맨위로가기

나디아 불랑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디아 불랑제는 프랑스의 음악가로, 작곡, 지휘, 피아노 연주, 교육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1887년에 태어나 1979년에 사망했으며, 파리 음악원에서 오르간, 작곡, 화성학 등을 공부했다. 1918년 여동생의 죽음 이후 교육에 전념하여 전 세계 수많은 음악가들을 가르쳤으며, 레너드 번스타인, 필립 글래스, 퀸시 존스 등 저명한 음악가들이 그녀의 제자였다. 여성 지휘자로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을 지휘했으며,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브리엘 포레 - 알프레도 카셀라
    이탈리아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였던 알프레도 카셀라는 20세기 초 이탈리아 음악계에서 신고전주의 음악을 주도하고 비발디 작품 부활에 기여했으며, 교육자로서 후진 양성에도 힘썼다.
  • 가브리엘 포레 - 샤를 케클랭
    샤를 케클랭은 프랑스의 작곡가, 음악 교사, 평론가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가브리엘 포레의 제자로서 영화 음악에도 기여했고, 저서를 통해 음악 교육에도 헌신했다.
  • 프랑스의 오르간 연주자 - 샤를마리 비도르
    샤를마리 비도르는 프랑스의 오르간 연주자, 작곡가, 교육자로 생 쉴피스 교회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프랑스 오르간 음악 부흥에 기여했고, 파리 음악원에서 루이 비에른, 마르셀 뒤프레 등 음악가를 양성했으며, 10개의 오르간 교향곡을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 프랑스의 오르간 연주자 - 알베르트 슈바이처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독일 태생의 신학자, 음악가, 철학자, 의사, 선교사, 인도주의자이자 평화주의자로서, '생명에 대한 경외심' 철학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에서 의료 봉사를 하고 평화 운동에 참여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 프랑스의 음악 이론가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음악 이론가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디아 불랑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5년의 불랑제
본명쥘리에트 나디아 불랑제
출생지프랑스, 파리
출생일1887년 9월 16일
사망일1979년 10월 22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직업음악 교사
지휘자
작곡가
음악 교육
학교파리 음악원
활동
활동 시기불명
관련 인물
영향 받은 인물불명
기타
로마자 표기Juliette Nadia Boulanger

2. 생애

'나디아 불랑제'는 20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음악가 중 한 명으로, 작곡가, 지휘자, 오르가니스트였으며 특히 음악 교육 분야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파리 음악원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그녀는 초기에는 작곡가로서 활동하며 로마 대상에 도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뛰어난 재능을 지녔던 동생 릴리 불랑제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후, 스스로 작곡 활동을 거의 중단하고 교육과 지휘에 더욱 헌신하게 된다.

퐁텐블로 미국 음악 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에서 화성학, 대위법, 작곡 등을 가르치며 애런 코플랜드를 비롯한 시대를 대표하는 수많은 음악가들을 길러냈다. 그녀의 교육은 엄격함과 동시에 학생 개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특히 미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뉴욕 필하모닉,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여성 지휘자의 길을 개척하기도 했다.

불랑제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같은 동시대 작곡가들의 음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알렸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에 머물며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 전쟁 후 프랑스로 돌아와 파리 음악원 교수를 역임하고 퐁텐블로 미국 음악 학교 원장을 지내는 등 말년까지 교육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다. 그녀의 삶과 교육 철학은 여러 저서를 통해 소개되었으며, 한국에도 브뤼노 몽생종의 인터뷰집이 번역되어 알려졌다. 1979년 파리에서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몽마르트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가정 환경

나디아 불랑제는 대대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외할머니 마리-쥐리 불랑제(Marie-Julie Boulanger)는 성악가였고[75], 외할아버지 프레데리크 불랑제(Frédéric Boulanger)는 1797년 파리 음악원 재학 중 15세에 첼로 부문 수석을 차지한 첼리스트였다.[75]

아버지 에르네스트 불랑제(Ernest Boulanger, 1815–1900)는 파리 음악원에서 샤를-발랑탱 알캉 등에게 사사한 프랑스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다.[4][75] 그는 20세였던 1835년 작곡 부문에서 명망 있는 로마 대상을 수상했다.[75] 에르네스트는 코믹 오페라와 연극 부수 음악을 작곡했지만, 합창 음악으로 더 널리 알려졌으며, 합창단 지휘자, 성악 교사, 합창 경연 심사위원으로도 명성을 얻었다. 여러 번의 시도 끝에 1872년 모교인 파리 음악원의 성악 교수로 임명되었다.

어머니 라이사 미셰츠카야(Raïssa Myshetskaya, 1856–1935)는 러시아 귀족 출신으로, 키예프 대공 미하일 2세(성 미카엘 체르니고프스키)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4][75] 에르네스트보다 43세 연하였다.[75] 라이사는 1873년 가정교사 자격을 얻었으며, 같은 해 러시아에서 에르네스트를 만나 그를 따라 파리로 왔다. 1876년 파리 음악원에서 에르네스트의 성악 수업에 참여했고, 두 사람은 1877년 러시아에서 결혼했다.

에르네스트와 라이사 사이에는 나디아가 태어나기 전 유아기에 사망한 딸 에르네스틴 미나 쥘리엣(Ernestine Mina Juliette)이 있었다. 나디아 불랑제는 1887년 9월 16일, 아버지의 72번째 생일에 파리에서 태어났다.[4]

나디아가 여섯 살이던 1893년, 여동생 마리-쥘리엣 올가(Marie-Juliette Olga)가 태어났는데, 그녀는 후에 작곡가 릴리 불랑제(Lili Boulanger)로 알려지게 된다.[75][76]

2. 2. 음악 교육

1897년, 10세에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77] 오르간을 알렉상드르 질망(Alexandre Guilmant)과 루이 비에르네(Louis Vierne)에게, 작곡법을 샤를-마리 비도르(Charles-Marie Widor)와 가브리엘 포레(Gabriel Fauré)에게, 반주법을 폴 비달(Paul Vidal)에게 사사했다.[78] 음악원에 입학하기 전인 7세부터 입학 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수업과 개인 레슨을 받았다. 1897년 솔페주 경연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고, 이듬해인 1898년에는 1위를 차지했다. 재학 중이던 1903년에는 화성에서 1등상을 수상했으며, 1904년에는 오르간, 피아노 반주(accompagnement au piano), 푸가 작곡 세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졸업했다.[77] 반주 시험에서는 유명 피아니스트이자 오르가니스트인 라울 푸뇨를 만났고, 그는 이후 불랑제의 경력에 관심을 보였다. 1900년 아버지 에르네스트가 사망하면서 가족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자, 나디아는 가족을 부양할 수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해 음악원 공부에 더욱 매진했다.

오랜 목표였던 로마 대상에는 여러 차례 도전했다. 1908년에는 최종 2등에 선정되었으나, 성악을 위한 푸가 과제에 현악 사중주곡을 제출하여 카미유 생상스 등의 반대에 부딪히는 등 논란을 일으켰다. 이 일로 인해 통상적인 입상자에게 주어지는 다음 해 상금 수여의 영예는 받지 못했고, 이 해를 마지막으로 로마 대상 도전은 멈추었다.

나디아는 6살 어린 여동생 릴리 불랑제와 특별한 관계를 맺었다. 허약했던 릴리를 돌보며 작곡을 포함한 음악의 기초를 가르쳤다. 릴리가 1913년 여성 최초로 로마 대상을 수상했을 때[77]도 언니인 나디아의 도움이 컸다. 나디아는 릴리의 뛰어난 작곡 재능에 압도감을 느꼈고, "내가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나의 음악은 무용하다는 것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79] 릴리는 음악원 입학 1년 만에 로마 대상을 수상했지만, 나디아는 입학 후 10년이 지나서야 2등상을 받았다.

1918년 릴리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77][80], 나디아는 큰 충격을 받고 작곡 활동을 거의 중단했다. 릴리는 미완성 작품을 언니가 완성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나디아는 자신의 재능이 여동생에 미치지 못하며 유작을 제대로 다룰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여 이를 실행하지 않았다.[8] 여동생의 죽음 이후, 나디아는 교육과 지휘에 더욱 헌신하기로 결심했다.

1904년 가을부터 파리의 가족 아파트(36 rue Ballu)에서 개인 레슨을 시작했으며,[6] 수요일 오후에는 분석과 청음 그룹 수업을 열었다. 이 수업은 그녀가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계속되었으며, 수업 후에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폴 발레리, 포레 등 저명한 예술가들과 학생들이 교류하는 "홈 파티"가 열리곤 했다.[6] 1919년에는 알프레드 코르토의 초청으로 새로 설립된 파리 국립 음악학교(École Normale de Musique de Paris)에서 화성, 대위법, 악곡 분석, 오르간, 작곡 등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또한 ''르 몽드 뮤지컬''(Le Monde musical) 등 신문에 음악 비평을 기고하기도 했다.[10] 1920년 잠시 작곡을 재개하여 카미유 모클레(Camille Mauclair)의 시에 곡을 붙인 가곡을 발표하기도 했으나, 이후로는 교육자로서의 활동에 전념하게 된다.

2. 3. 작곡 활동

1904년 파리 음악원 졸업 후 1918년 여동생 릴리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불랑제는 푸뇨와 포레의 격려 속에서 작곡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녀의 음악은 드뷔시의 영향을 받았으며, 화성적으로 풍부하지만 항상 조성에 기반을 두었다.[81] 그녀는 무조성에는 손대지 않았다.[81]

불랑제는 아버지처럼 로마 대상 1등 수상을 목표로 했으나, 1906년과 1907년 도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1908년에는 요구된 성악 푸가 대신 기악 푸가를 제출하여 논란이 있었지만, 칸타타 《라 시렌(La Sirène)》으로 2등상을 수상했다.

1908년부터는 푸뇨와 협력하여 상당한 호평을 받은 가곡 모음집 《맑은 시간들(Les Heures claires)》을 작곡했으며, 이후 다눈치오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 《죽음의 도시(La ville morte)》도 함께 작업했다. 이 오페라는 1914년 상연 예정이었으나, 푸뇨의 사망과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81]

1918년 동생 릴리의 죽음은 불랑제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후 그녀는 점차 자신의 작곡 활동을 줄여나갔다. 그녀는 스스로 "쓸모없는 음악을 작곡했다"고 평가하며 극도의 자기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16] 1919년 여러 연주회에서 자신의 곡과 함께 동생의 작품을 알리는 데 힘썼으며,[9] 점차 교육자로서의 길에 집중하게 되었다. 1920년 잠시 작곡을 재개하여 카미유 모클레의 시에 곡을 붙인 가곡들을 발표하기도 했다.

불랑제의 작품으로는 30곡 이상의 성악곡, 여러 실내악 작품, 그리고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변주 환상곡(Fantaisie variée pour piano et orchestre)》(1912) 등이 있다.[81] 훗날 스트라빈스키 음악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어 1938년 그의 《덤버튼 오크스 협주곡》 초연을 지휘하기도 했다.[81]

'''주요 작품 목록'''

분류작품명 (원작자)편성작곡 연도
성악곡은빛 호수를 보러 가자 (A. 실베스트르)2성부, 피아노1905년
아주 감미로운 노래를 들어보세요 (베를렌)1성부, 오케스트라1905년
세이렌 (그랑무쟁)여성 합창, 오케스트라1905년
새벽에 (실베스트르)합창, 오케스트라1906년
제비에게 (프뤼돔)합창, 오케스트라1908년
세이렌 (E. 아데니스/데보)3성부, 오케스트라 (칸타타)1908년
드네구시카 (G. 델라퀴)3성부, 오케스트라1909년
1성부와 피아노를 위한 가곡 (30곡 이상)주요 작품: 황홀경(위고, 1901), 절망(베를렌, 1902), 수녀 베아트리체의 찬가(메테를링크, 1909), 찬란하고 어두운 달콤함(A. 사맹, 1909), 외로운 눈물(하이네, 1909), 약해진 새벽(베를렌, 1909), 기도(바타유, 1909), 겨울 저녁(N. 불랑제, 1915), 밤의 가장자리에서 외(모끌레르, 1922), 나는 두드렸다(R. 드 마르캥, 1922)1901년~1922년
실내악 및 독주곡3개의 소품오르간 (첼로와 피아노 편곡 존재)1911년
3개의 소품피아노1914년
플랑드르 민요풍 소품오르간1917년
새로운 삶을 향하여피아노1917년
관현악곡알레그로오케스트라1905년
변주 환상곡 (Fantaisie variée)피아노, 오케스트라1912년
라울 푸뇨와 공동 작업밝은 시간들 (Les Heures claires) (베르하렌)8곡, 1성부, 피아노1909년
죽은 도시 (La ville morte) (다눈치오)오페라 (미상연)1910-13년


2. 4. 연주 활동과 교육 활동

1912년 지휘자로 데뷔했으며[77], 뉴욕 필하모닉(New York Philharmonic)[77],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Boston Symphony Orchestra)[77][82], 할레 오케스트라(Halle Orchestra),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 주요 교향악단을 지휘하며 여성 지휘자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솔리스트로서도 활동하여, 1925년 미국 연주 여행에서는 제자 애런 코플랜드(Aaron Copland)가 위촉한 《오르간과 관현악을 위한 교향곡》(Symphony for Organ and Orchestra)[83][84][85] 초연에서 직접 오르간을 연주했다.

교육자로서의 경력은 1907년 파리 여성음악원(fr)에서 시작되었고[77], 1920년부터는 알프레드 코르토(Alfred Cortot)가 설립한 에콜 노르말 음악학교(École Normale de Musique)의 초대 교수로서 화성학, 대위법, 악곡 분석, 오르간, 작곡 등 여러 과목을 가르쳤다.[77] 1921년에는 퐁텐블로 미국음악원(American Conservatory at Fontainebleau)의 화성학 교수로 임명되어[77][13], 재즈스트라빈스키와 같은 새로운 음악 경향에 개방적인 태도와 학생 개개인의 재능을 이끌어내는 교육 방식으로 명성을 얻었다.[86] 이로 인해 애런 코플랜드, 버질 톰슨(Virgil Thomson), 월터 피스톤(Walter Piston), 로이 해리스(Roy Harris) 등 많은 미국 작곡가들이 그녀에게 가르침을 받았다.[86] 그녀는 1948년 퐁텐블로 음악원의 원장으로 승격했다.[87]

미국에서는 롱이 음악학교(Longy School of Music of Bard College)[37]와 볼티모어의 피바디 음악원(Peabody Conservatory)[38]에서도 가르쳤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에 머물며 웰즐리 대학교(Wellesley College), 래드클리프 대학교(Radcliffe College), 줄리아드 음악학교(Juilliard School) 등에서 강의했다. 1946년부터는 파리 음악원(Conservatoire de Paris) 피아노 반주과 교수를 역임했으며[77], 1957년 이 자리를 앙리에트 퓌이그-로제(Henriette Puig-Roget)에게 물려주었다.[88] 말년에는 시력과 청력이 저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79년 파리에서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77] 교육 활동에 헌신했다.

2. 5. 한국과의 관계

프랑스의 음악가이자 교육자인 나디아 불랑제에 대한 브뤼노 몽생종의 저서 Mademoiselle, Entretiens Avec Nadia|마드무아젤, 앙트르티앵 아베크 나디아프랑스어(1980)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임선근이 번역하여 『음악가의 음악가 나디아 불랑제』라는 제목으로 2013년 포노 출판사에서 나왔으며, 이를 통해 불랑제의 음악 세계와 교육 방식이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되었다.

2. 6. 말년

1946년 1월 프랑스로 돌아와 파리 음악원에서 피아노 반주 교수직을 맡았다.[39] 1953년에는 퐁텐블로 음악학교의 총괄 이사로 임명되었다.[40] 그녀는 다른 나라들로의 순회 공연도 계속했다.

오랜 친구이자 모나코의 공식 예배당 악장이었던 불랑제는 1956년 레니에 3세와 미국 여배우 그레이스 켈리의 결혼식 음악을 준비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41] 1958년에는 6주간의 순회 공연을 위해 미국으로 돌아왔으며, 방송, 강연, 4편의 텔레비전 영화 제작을 병행했다.[42] 또한 1958년 뉴욕 포츠담의 크레인 음악학교 감마 델타 지부에서 국제 여성 음악 친목회인 시그마 알파 이오타의 명예 회원으로 추대되었다.[43]

1962년에는 젊은 제자 이딜 비렛과 함께 콘서트를 지휘하며 터키 순회 공연을 가졌다.[44] 같은 해 말에는 미국 백악관존 F. 케네디 대통령과 그의 부인 재클린 케네디의 초청을 받았다.[45] 1966년에는 에밀 길렐스가 의장을 맡은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으로 모스크바에 초청되었다.[46] 영국 체류 중에는 예후디 메뉴인 음악학교에서 강의를 했고, 왕립 음악 대학과 왕립 음악 아카데미에서도 강연했는데, 이 강연들은 모두 BBC에서 방송되었다.[46]

그녀의 시력과 청력은 생애 말년에 쇠퇴하기 시작했다. 90세 생일을 앞둔 1977년 8월 13일, 퐁텐블로의 영국식 정원에서 깜짝 생일 파티가 열렸다. 학교 주방장은 "1887–나디아 불랑제 생일 축하합니다–퐁텐블로, 1977"이라고 적힌 큰 케이크를 준비했고, 케이크가 나왔을 때 연못에 떠 있는 90개의 작은 흰색 촛불이 주변을 밝혔다. 당시 불랑제의 제자였던 에밀 나우모프는 이 자리를 위해 작곡한 곡을 연주했다.[47] 불랑제는 1979년 파리에서 사망할 때까지 거의 쉬지 않고 활동했다. 그녀는 누이인 릴리와 부모님과 함께 몽마르트 묘지에 묻혔다.

3. 교수법 및 제자

나디아 불랑제의 교수법은 엄격함과 개성 존중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녀는 학생들에게 화성학, 대위법, 곡 분석, 솔페주, 악보 읽기, 반주법 등 음악의 기초를 철저히 가르쳤으며,[58] 특히 바흐의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연주 능력을 강조했다.[65][89][90] 그녀의 놀라운 기억력은[66][67] 수업 중 다양한 작품 간의 연관성을 즉석에서 제시하는 데 활용되었다.[66]

불랑제는 학생 개개인의 타고난 재능과 직관을 파악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57] 학생의 배경보다는 배우고자 하는 열망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55] 재능 있는 학생에게는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다.[55] 그녀가 강조한 핵심 원칙 중 하나는 음악의 긴 흐름, 즉 '라 그랑드 리뉴'(fr)를 만드는 것이었다.[68] 불랑제는 확립된 음악 어법 안에서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며,[60] 단순히 새로움을 위한 혁신은 경계했다.[59] 그녀는 스트라빈스키와 같은 현대 작곡가들을 열렬히 지지했지만, 쇤베르크나 빈 악파의 12음 기법에는 거의 공감하지 않았다.[47]

불랑제는 가르침을 특권이자 의무로 여겼으며,[53] 완전한 집중을 강조했다.[50] 그녀는 자신이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줄 수는 없지만, 음악의 기술을 이해하는 지적인 음악가가 되도록 도울 수는 있다고 믿었다.[62] 거슈윈이 작곡 수업을 요청했을 때 "나는 당신에게 아무것도 가르칠 수 없습니다"라고 말한 일화는 유명하다.[20] 한편, 여성 제자들에 대해서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여성의 역할은 아내와 어머니가 되는 것이라는 생각을 가졌으며, 결혼을 위해 학업을 중단하는 제자들에게 실망감을 표현하기도 했다.[51][52]

그녀의 영향력은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특히 1920년대에 가르친 많은 미국 출신 제자들은 그녀의 지도를 바탕으로 미국 신고전주의 음악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주요 제자 목록

나디아 불랑제는 화성학, 대위법, 곡 분석, 솔페주, 악보 읽기, 반주법 등 다양한 분야를 지도했다. 제자들은 종종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을 암보하고,[89] 바흐처럼 푸가즉흥 연주하도록 요구받았다. 제자 중 한 명인 다니엘 바렌보임은 불랑제가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의 임의의 곡을 지정된 조성으로 즉시 연주하도록 요구했다고 회상하기도 했다.[90]

불랑제 자신과 조수이자 친구였던 아네트 뒤도네(Annette Dieudonné)[91]는 제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을 남기지 않아, 개인 지도를 받은 모든 이들을 명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랑제는 유럽 각국은 물론 미국에서만 600명 이상,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터키, 극동 지역에서도 학생들을 받아들여 가르쳤다.[86]

특히 1920년대에 지도한 미국 작곡가들, 예를 들어 애런 코플랜드, 월터 피스톤, 로이 해리스, 버질 톰슨 등은 귀국 후 불랑제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미국적인 신고전주의 음악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버질 톰슨은 미국 각 도시에는 싸구려 잡화점과 불랑제의 제자가 널려 있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이는 아마도 불랑제와 그녀의 제자들이 미국 음악을 널리 알렸기 때문에 프랑스 국내보다 해외 작곡가들에게 더 귀중하게 여겨졌기 때문일 것이다.[92]

불랑제에게 배운 주요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

4. 주요 작품

1904년 파리 음악원을 졸업한 후 1918년 여동생 릴리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불랑제는 라울 푸뇨와 가브리엘 포레의 격려를 받으며 작곡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녀의 음악은 클로드 드뷔시의 영향을 받았으며, 화성적으로 풍부하지만 항상 조성에 기반을 두었다.[81] 무조에는 손대지 않았다.[81] 아버지처럼 로마 대상 1등상 수상을 목표로 했으나, 1908년 칸타타 《라 시렌(La Sirène)》으로 2등상을 받는 데 그쳤다.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성악곡'''


  • 은빛 호수를 보러 가자 (A. 실베스트르), 2성, 피아노, 1905년
  • 아주 감미로운 노래를 들어보세요 (폴 베를렌), 1성, 오케스트라, 1905년
  • 세이렌 (샤를 그랑무쟁), 여자 합창, 오케스트라, 1905년
  • 새벽에 (A. 실베스트르), 합창, 오케스트라, 1906년
  • 제비에게 (쉴리 프뤼돔), 합창, 오케스트라, 1908년
  • 세이렌 (E. 아데니스/데보), 3성, 오케스트라, 1908년 (로마 대상 2등상 수상작)
  • 드네구시카 (G. 델라퀴), 3성, 오케스트라, 1909년
  • 1성, 피아노를 위한 30곡 이상 포함:
  • * 황홀경 (빅토르 위고), 1901년
  • * 절망 (폴 베를렌), 1902년
  • * 수녀 베아트리체의 찬가 (모리스 메테를링크), 1909년
  • * 찬란하고 어두운 달콤함 (A. 사맹), 1909년
  • * 외로운 눈물 (하인리히 하이네), 1909년
  • * 약해진 새벽 (폴 베를렌), 1909년
  • * 기도 (바타유), 1909년
  • * 겨울 저녁 (N. 불랑제), 1915년
  • * 밤의 가장자리에서, 노래, 칼, 의심, 교환 (모끌레르), 1922년
  • * 나는 두드렸다 (R. 드 마르캥), 1922년


'''실내악 및 독주곡'''

  • 3개의 소품, 오르간, 1911년 (첼로와 피아노 편곡 버전 존재)
  • 3개의 소품, 피아노, 1914년
  • 플랑드르 민요풍 소품, 오르간, 1917년
  • 새로운 삶을 향하여, 피아노, 1917년


'''관현악곡'''

  • 알레그로, 1905년
  • 변주 환상곡, 피아노, 오케스트라, 1912년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랩소디 (작곡 연도 미상)[81] - 라울 푸뇨를 위해 작곡되었으나, 불랑제 자신의 비판적인 성격으로 인해 많은 수정을 거쳤다.[81]


'''라울 푸뇨와 함께'''

  • 밝은 시간들 (에밀 베르하렌), 8곡, 1성, 피아노, 1909년
  • ''죽은 도시'' (가브리엘레 다눈치오), 오페라, 1910-13년 - 1914년 상연 예정이었으나 푸뇨의 사망과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무산되었다.[81]

5. 수상 및 서훈

wikitext

연도수상 및 서훈 내역수여 기관/국가
1932년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Chevalier)프랑스
1934년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Order of Polonia Restituta)폴란드
1962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명예 외국 회원미국
하울랜드 기념상(Howland Memorial Prize)예일 대학교
1975년프랑스 학사원(Institut de France) 미술 아카데미(Académie des Beaux-Arts) 금메달(Médaille d'Or)프랑스
1977년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 오피시에(Grand officier)프랑스
대영 제국 훈장(Order of the British Empire)영국
성 카를로 훈장(Order of St. Charles)모나코
왕관 훈장(Order of the Crown)벨기에


참조

[1] 서적 Lennox Berkeley and Friends: Writings, Letters and Interviews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American Students of Nadia Boulanger https://www.nadiabou[...]
[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Laurence Rosenthal https://www.conversa[...]
[4] 서적 Master teacher, Nadia Boulanger https://books.google[...] Pastoral Press 1984-08-00
[5] 논문 1985
[6] 논문 1985
[7] 학술지 1913. Lili Boulanger, première femme Prix de Rome http://emf.oicrm.org[...] 2020-03-12
[8] 서적 The Musical Work of Nadia Boulanger: Performing Past and Future Between The W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9] 논문 1998
[10] 논문 1998
[11] 논문 1998
[12] 논문 1998
[13] 논문 1998
[14] 논문 1998
[15] 논문 1998
[16] 논문 1985
[17] 논문 1998
[18] 논문 1998
[19] 논문 1998
[20] 논문 1998
[21] 논문 1998
[22] 논문 1985
[23] 논문 1998
[24] 논문 1998
[25] 논문 1998
[26] 논문 1998
[27] 논문 1998
[28] 논문 1998
[29] 논문 1998
[30] 논문 1998
[31] 논문 1998
[32] 서적 Odds Were Against Me: A Memoir Vantage Press 1985
[33] 웹사이트 Nadia Boulanger http://www.naxos.com[...] 2012-02-21
[34] 논문 1998
[35] 논문 1998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웹사이트 Sigma Alpha Iota – Honorary Members http://www.sai-natio[...] 2013-04-21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Women Composers https://archive.org/[...] Hall
[47] 뉴스 'Mademoiselle': 'Conversations with Nadia Boulanger', by Bruno Monsaingeon https://www.latimes.[...] 1985-09-08
[48] 서적
[49] 학술지 Nadia Boulanger as Teacher http://www.musicweb-[...] 1931-01
[50] 서적
[51] 서적
[52] 뉴스 The Composer and the Music Teacher https://www.nytimes.[...] 1982-05-23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뉴스 Michel Legrand: 'Desprecio la música contemporánea' https://elpais.com/e[...] 2016-11-09
[57] 서적
[58] 서적
[59] 학술지 Boulanger 1983-03
[60] 간행물 Mademoisel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06
[61] 오디오 Quincy Jones on Nadia Boulanger http://arts.gov/audi[...]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웹사이트 Nadia Boulanger: Teacher of the Century http://www.nadiaboul[...] nadiaboulanger.org
[67] 웹사이트 The Last Class: Memories of Nadia Boulanger http://www.mvdaily.c[...]
[68] 서적 On Music Pyramid
[69] 서적
[70] 웹사이트 Nadia Boulanger Remembered http://aaowen.com/in[...] aaowen.com
[71] 서적 The Tender Tyrant – Nadia Boulanger – A Life Devoted To Music Macdonald and Jane's
[72]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4-07-29
[73] 웹사이트 Griswold Awards Prize to Nadia Boulanger https://ydnhistorica[...] Yale University 2021-03-25
[74] 서적 Nadia Boulanger Pendragon Press
[75] 서적 ナディア・ブーランジェとの対話 音楽之友社 1992-08
[76] 기타
[77] 기타
[78] 기타
[79] 서적 Composers of Modern Europe, Israel, Australia, and New Zealand
[80] 기타
[81] 기타
[82] 기타
[83] 서적 「アメリカ音楽」の誕生 : 社会・文化の変容の中で 河出書房新社 2005-09
[84] 기타
[85] 서적 20世紀(にじゅっせいき)を語る音楽 1 みすず書房 2010-11
[86] 기타
[87] 기타
[88] 서적 ある「完全な音楽家」の肖像 : マダム・ピュイグ=ロジェが日本に遺したもの 音楽之友社 2003-02
[89] 기타
[90] 기타
[91] 기타
[92] 기타
[93] 서적 20世紀(にじゅっせいき)を語る音楽 2 みすず書房 2010-11
[94] 기타
[95] 기타
[96] 기타
[97] 기타
[98] 기타
[99] 서적 抵抗と適応のポリトナリテ : ナチス占領下のフランス音楽 (叢書ビブリオムジカ) アルテスパブリッシング 2022-02
[100] 기타
[101] 기타
[102] 기타
[103] 서적 天才作曲家大澤壽人 : 駆けめぐるボストン・パリ・日本 みすず書房 2017-08
[104] 서적 オルフェオの死 (内なる音との対話叢書 ; 3) 深夜叢書社 197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