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제타 (베네치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제타는 베네치아 산 마르코 광장에 위치한 건축물로, 13세기 말부터 존재했던 로지아에서 유래되었다. 1537년 번개로 인해 손상된 로지아를 조각가이자 건축가인 야코포 산소비노가 재건축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산소비노는 고대 개선문을 본떠 공공 행사에 웅장함을 더하는 기념비적인 배경을 설계했으며, 건축, 조각, 재료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혁신적인 시도를 했다. 1902년 종탑 붕괴로 인해 파괴되었으나, 재건을 통해 현재는 원래 재료의 일부를 사용하여 총독 궁전 안뜰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치아의 건축물 - 프로쿠라티에
프로쿠라티에는 베네치아 산 마르코 광장 주변에 위치한 건물들을 지칭하며, 산 마르코 감사의 사무실, 숙소, 임대 상점 등으로 사용되었고, 프로쿠라티에 베키에, 프로쿠라티에 누오베, 프로쿠라티에 누오비시메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역사적 배경과 건축 양식을 가진다. - 베네치아의 건축물 - 아르세날레 디 베네치아
아르세날레 디 베네치아는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의 조선소이자 무기고 단지로, 12세기 초 확장 이후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춰 함선 건조 및 해군 물자 생산의 핵심 시설로 기능했으며, 현재는 해군 기지, 연구소, 전시장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 산마르코 광장 - 두칼레 궁전
두칼레 궁전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 중심지이자 도제의 관저로, 화재와 반란으로 여러 양식이 혼재된 건축물로 재탄생했으며 현재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산마르코 광장 - 코레르 박물관
코레르 박물관은 이탈리아 베네치아 산마르코 광장에 위치하며 테오도로 코레르의 기증으로 시작, 베네치아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예술 작품, 문서, 귀족 가문 컬렉션을 소장하고 특히 베네치아 회화, 도제의 시대, 베네치아 아르세날레, 군사력, 프란체스코 모로시니 관련 유물 등 베네치아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소장품이 특징인 박물관이다.
로제타 (베네치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위치 | 베네치아, 이탈리아 |
좌표 | 45.4341°N 12.3392°E |
건축가 | 자코포 산소비노 |
건축 양식 | 하이 르네상스 |
건설 시작 | 1538년 |
건설 완료 | 1546년 |
재건 | 1902년–1912년 |
2. 역사적 배경
로제타는 베네치아 공화국 전성기에 건설되었다. 비토레 카르파초의 ''리알토 다리에서 십자가 유물 기적''(c. 1496)과 야코포 데 바르바리의 베네치아 조망 (1500)에 묘사되어 있으나, 1514년 리알토 시장을 파괴한 화재 이후 재건되지 않았다.[3]
2. 1. 초기 역사
로지아라고 불리는 지붕이 있는 외부 갤러리는 공공 집회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리알토 산 자코모 성당, 산 니콜로 데이 멘디콜리 성당과 같은 베네치아의 교회 정면에 지어졌다. 리알토의 카멜렌기 궁전 건물에도 귀족들이 도시의 상업 중심지에서 사업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회의 장소로 비슷한 구조가 부착되었다.[3]13세기 말부터 17세기 후반까지, 로지아는 정부 업무로 광장에 오는 귀족들의 집회 장소로 산 마르코 광장에도 존재했다. 산 바소 성당에 부착되었지만, 특히 광장 주변의 공공 건물에 대한 책임을 지는 산 마르코 '데 수프라'의 조달관의 관할 하에 있었다.
15세기에 조달관들은 종탑에 부착된 두 번째 로지아를 세웠다.

2. 2. 산 마르코 광장의 로지아
로지아는 지붕이 있는 외부 갤러리로, 공공 집회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베네치아의 교회 정면, 예를 들어 리알토 산 자코모 성당과 산 니콜로 데이 멘디콜리 성당에 지어졌다.[3] 13세기 말부터 17세기 후반까지, 로지아는 정부 업무로 광장에 오는 귀족들의 집회 장소로 산 마르코 광장에도 존재했다. 산 바소 성당에 부착되었지만, 특히 광장 주변의 공공 건물에 대한 책임을 지는 산 마르코 '데 수프라'의 조달관의 관할 하에 있었다.15세기에 조달관들은 종탑에 부착된 두 번째 로지아를 세웠다. 라차로 바스티아니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산 마르코 광장'' (c. 1487)에서 볼 수 있듯이, 부분적으로 폐쇄된 린투목 구조였으며, 4개의 석조 기둥이 지지하는 3중 아케이드로 구성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폭풍과 지진으로 인해 종탑에서 떨어진 석조물로 인해 반복적으로 손상되었지만, 각 사건 후에 수리되었다. 그러나 1537년 8월 11일 번개가 종탑을 강타하고 그 아래의 로지아가 다시 손상되었을 때, 구조를 완전히 재건하기로 결정했다. 이 공사는 산 마르코 '데 수프라'의 조달관의 '프로토'(자문 건축가 및 건물 관리자)인 조각가이자 건축가인 야코포 산소비노에게 맡겨졌다.[3]
2. 3. 산소비노의 로제타 건설
1537년 8월 11일, 번개가 종탑을 강타하여 그 아래에 있던 로지아가 손상되었다. 이에 구조물 전체를 재건하기로 결정했고, 이 공사는 산 마르코 '데 수프라'의 조달관의 '프로토'(자문 건축가 및 건물 관리자)였던 조각가이자 건축가인 야코포 산소비노에게 맡겨졌다.[3]3. 건축
로제타는 안드레아 그리티 도제 임기 동안 시작된 베네치아의 야심찬 건축 쇄신 프로그램인 ''renovatio urbis''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4] 이 프로그램은 캉브레 동맹 전쟁 중 아냐델로 전투에서의 패배와 코냐크 동맹 전쟁 이후 이탈리아 반도에 대한 합스부르크의 패권을 인정한 볼로냐 평화 조약으로 인해 실추된 베네치아의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로제타는 산마르코 광장을 음식 노점, 환전상, 심지어 화장실까지 있던 낡은 중세 도시의 중심부에서 고대 로마를 본뜬 웅장한 공공 포럼으로 탈바꿈시키는 과정의 일부였다. 특히, 로제타는 고대 개선문을 본떠 공공 행사에 웅장함을 더하는 기념비적인 배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쌍을 이룬 기둥과 조각상이 있는 틈새를 포함한 많은 주요 건축 요소는 실제로 1514년 산소비노가 교황 레오 10세의 전년도 도시 입성 행사를 위해 피렌체에 설계하고 세운 임시 목조 아치에 이미 사용되었다.[5][3][6]
로제타는 호화로운 석재 외관 때문에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4,258 두카토와 14 '그로시'라는 상당한 비용이 들었다.[11] 여러 희귀한 석재와 값비싼 대리석을 사용하여 얻은 풍부한 다색 효과는 판테온, 라파엘로의 키지 예배당(1512년경 시작)과 발다사레 페루치의 산타 마리아 델라니마의 교황 하드리아노 6세 묘 (1523–1530)의 내부를 연상시킨다. 산소비노는 로마에서의 두 번째 기간 (1516–1527)에 이러한 건축물들을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10]
3. 1. 건설 과정
로제타의 건설은 안드레아 그리티 도제 시기에 시작된 건축 쇄신 프로그램인 ''renovatio urbis''의 일환이었다.[4] 이 프로그램은 캉브레 동맹 전쟁 중 아냐델로 전투 패배와 코냐크 동맹 전쟁 이후 베네치아의 국제적 위상을 재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산마르코 광장을 중세 도시 중심지에서 고대 로마를 본뜬 공공 포럼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로제타는 고대 개선문을 본떠 공공 행사에 웅장함을 더하는 기념비적인 배경으로 설계되었다. 쌍을 이룬 기둥과 조각상이 있는 틈새 등 많은 건축 요소들은 1514년 산소비노가 피렌체에 설계한 임시 목조 아치에 이미 사용되었다.[5][3][6]작은 벽돌 구조물은 1538년에서 1540년 사이에 빠르게 건설되었으며, 일부는 옛 산 프란체스코 델라 비냐 교회의 건축 자재를 재활용했다. 그러나 전체 건축 프로그램의 규모와 비용에 대한 우려로 작업이 잠시 중단되었고, 측벽의 벽돌을 노출시켜 설계를 단순화하기로 결정했다. 종탑 주변 경사 구조물이 로제타 측면을 따라 확장되어 추가 임대 수입을 제공하면서 측면이 부분적으로 가려졌다.[7] 1541년 1월까지 납 지붕이 덮이면서 기본 구조가 완성되었다.[8]
3. 2. 건축 양식
로제타의 주요 모델은 높은 받침대에 트로피로 전시된 돌출된 기둥과 번갈아 배치된 세 개의 눈에 띄는 아치가 있는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일 가능성이 높다. 쌍을 이룬 기둥 사이에 조각상이 배치된 틈새 디자인은 도나토 브라만테가 로레토 산타 카사 바실리카 내부의 대리석 스크린을 디자인한 것에서 유래되었을 수도 있다.[9] 그러나 볼록한 쿠션형 프리즈와 결합된 복합식 기둥머리의 특정 선택은 산타 마리아 델라니마에 있는 교황 하드리아노 6세의 무덤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10]3. 3. 사용된 재료
로제타에는 여러 희귀한 석재와 값비싼 대리석이 사용되어 풍부한 다색 효과를 냈다. 적색 베로나 대리석은 처마 장식, 난간, 틈새 내부 패널, 상부 부조 틀 등 구조물 곳곳에 사용되었다. 난간에는 베로나 인근 산 비탈레 계곡에서 채취한, 화석화된 연체동물 껍질로 유명한 루마켈도 포함되었다.[12] 조각 부조에는 흰색 이스트라 석재가 사용되었다.[12]1902년 종탑 붕괴로 3개만 남은 진품 고대 기둥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브레치아로 만들어졌으며, 기둥 중앙으로 갈수록 돌에 있는 기존 암석 조각들의 색상과 질감이 더 뚜렷해지도록 배치되었다.[12] 기둥 뒤의 평주, 엔타블러처의 프리즈, 기둥머리는 회색 띠가 있는 흰색 카라라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12] 펠로폰네소스에서만 발견되는 귀한 짙은 녹색 라피스 라케다에모니우스 (''베르데 안티코'')는 틈새 주변의 강조에 사용되었다.[12][10]
4. 조각
로제타는 다색 대리석과 청동을 사용하여 라파엘로의 키지 예배당을 연상시키는 조각상들과 부조들로 장식되어 있다. 특히, 네 개의 큰 조각상에는 청동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이 조각상들은 안토니오 카펠로 행정관의 구상에 따라 야코포 산소비노가 디자인했으며, 공화국의 미덕을 칭송하는 우화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5][13]
산소비노의 아들 프란체스코 산소비노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 조각상들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했다.[14] 조각상들은 각각 팔라스(아테나), 아폴로, 메르쿠리우스, 팍스를 나타낸다.
아틱 부분의 세 부조는 다네세 카타네오와 티치아노 아스페티의 작품으로,[19] 베네치아와 그 주요 영토였던 크레타, 키프로스를 우화적으로 표현하고 있다.[5][19][20] 중앙 부조는 정의의 여신으로 표현된 베네치아를, 양옆에는 각각 유피테르로 표현된 크레타와 비너스로 표현된 키프로스가 있다.
4. 1. 조각상의 의미
다색 대리석과 청동의 조합은 라파엘로의 키지 예배당을 연상시키기도 한다.[5] 그러나 로제타에서는 네 개의 큰 조각상에 사용된 재료인 청동이 더 두드러진다. 이 조각상들은 공화국을 찬양하고 공공 장소에서 그 고유한 미덕을 칭송하려는 의도로 안토니오 카펠로 행정관이 구상한 우화적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산소비노가 디자인했다.[5][13] 건축가의 아들인 프란체스코 산소비노는 ''L'Arte oratoria secondo i modi della lingua volgare''(1546)[14]과 ''Venetia, città nobilissima et singolare''(1581)에서 조각상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했으며, 후자에서는 아버지로부터 직접 설명을 얻었다고 명시했다.프란체스코 산소비노는 가장 왼쪽에 있는 조각상을 팔라스로 식별했는데,[16] 이는 아테나의 별칭이다. 메두사의 방패로 특징지어지는 아테나는 지혜와 정의, 그리고 전쟁의 여신을 상징한다.[17] 이는 베네치아 귀족의 정의, 그리고 베네치아 해군의 무용을 의미했을 수 있다.
아폴로는 하나의 태양(''Sole'')의 신으로서 공화국과 그 정부의 독특함을 우화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음악의 신으로서 그는 국가의 안정과 장수를 보장하는 여러 의회와 행정관 사이의 완벽한 헌법적 조화를 암시한다. 로제타에서 그는 꿰뚫는 태양 광선의 상징인 화살통과 화살을 가지고 묘사된다. 그의 왼손에서는 리라가 사라졌다.
메르쿠리우스는 웅변의 신으로, 베네치아의 현명하고 신중한 결정이 귀족들에 의해 웅변적으로 표현됨을 강조한다. 이 신은 발치에 아르고스의 잘린 머리를 가지고 있다. 오른손에서는 카두케우스가 사라졌다.
팍스는 공화국이 사랑하는 평화를 나타내며, 이는 그 위대함을 보장한다. 여신상은 발치에 버려진 갑옷 위에서 횃불을 끄는 모습을 보여준다.[5][13][18]
4. 2. 부조
아틱에 있는 세 개의 부조는 다네세 카타네오와 티치아노 아스페티의 작품이다.[19] 이것들은 베네치아와 그 주요 영토인 크레타, 키프로스를 우화적으로 나타낸다.[5][19][20]중앙 부조는 칼과 저울을 든 정의로서의 베네치아를 보여준다. 그녀는 솔로몬의 지혜를 암시하는 사자들이 받치고 있는 왕좌에 앉아 있다. 양쪽에는 항아리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강신들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는 이탈리아 본토의 영토를 언급한다. 1205년부터 1669년까지 베네치아의 지배를 받던 크레타는 유피테르로 표현되었으며, 크레타의 아이기온 산에서 자라 섬 최초의 왕인 미노스를 낳았다. 1489년에 베네치아에 합병되어 1573년에 오스만 투르크에 양도된 키프로스는 섬 근처의 물에서 태어난 비너스로 묘사된다.
5. 이후의 변화
발다사레 롱게나, 안토니오 가이, 조르지오 마사리 등에 의해 로제타는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차례 수정 및 보수되었다. 1876년에서 1885년 사이에는 중세 시대 로제타를 덮고 있던 나무 가판이 철거되고, 창틀이 아래로 연장되었다.
5. 1. 1653–1663년
발다사레 롱게나는 1640년부터 1682년까지 산마르코 대성당의 건축 자문이자 건물 관리자였다. 그는 번개로 인해 종탑이 손상된 후 보수 공사를 진행하면서 로제타 앞의 다섯 계단과 외부 벤치를 넓은 테라스와 난간으로 교체했다. 두 개의 측면 창은 상단에 철제 격자 세공이 된 반원형 창으로 축소되었고, 문이 추가되었다.[21]5. 2. 1733–1750년
안토니오 가이는 1733년부터 1734년까지 경계(왼쪽, 불이 켜진 램프와 발로 조약돌을 잡고 있는 학)와 자유(오른쪽, 지팡이에 필레우스가 있음)를 의인화한 형상을 표현한 청동 문을 정교하게 조각했다.[22] 문 위에는 무장한 평화(왼쪽, 헬멧과 올리브 가지)와 공공의 행복(오른쪽, 카두케우스와 풍요의 뿔)이 조각되어 있다.
조르지오 마사리는 1749년부터 1750년까지 다락을 넓혔다.[22] 건물 외부 날개에 있는 두 개의 ''어린 천사'' 대리석 부조는 안토니오 가이가 조각했다.[22]
5. 3. 1876–1885년
원래 중세 시대의 로제타는 양쪽에 종탑 주변을 따라 이어진 가게를 위한 덧댄 나무 가판으로 덮여 있었다. 산마르코 대성당 집정관에게 중요한 임대 수입원이었던 이 가판들은 1550년에 산소비노의 구조물과 함께 재건되었으며, 1873년에 완전히 철거될 때까지 존재했다.[23] 이로 인해 측면 벽돌 벽이 완전히 드러났는데, 아래에 덧댄 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해 상단 부분에 부분적으로 세 개의 창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베네치아의 산 마르티노의 높은 제단에서 산소비노 자신이 사용했던, 브라만테의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와 로마 근처 제나차노의 님파에움에서 유래한 창문을 모델로 하여 창틀을 아래로 연장하기로 결정했다.6. 재건
1902년, 종탑 붕괴로 로제타는 대부분 파괴되었다. 남아있는 요소들은 목록화되었고 대체 부품과 통합되었다. 이후 총독 궁전 안뜰에서 재조립된 후 새로운 종탑 기저부로 옮겨졌다. 건설은 1912년에 완료되었다.[10]
현재 로제타는 원래 건축 및 장식 재료의 약 50%로 지어졌다.[10] 생존한 세 개의 기둥은 출입구 양쪽과 오른쪽에서 두 번째에서 마지막 위치에 있다.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다락방의 부조는 맨 오른쪽의 ''putto''를 제외하고는 원래의 것이다. 스팬드럴 조각과 틈새 위아래 대부분의 부조도 원래의 것이다.
재건 당시 원래 노출된 벽돌로 남겨졌던 측면은 재설계되었다. 정면의 건축 요소가 측면을 따라 이어졌고, 주요 정면 덮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유형의 돌과 대리석이 측면에 적용되어 전체 구조를 균일하게 만들었다.[24]
참조
[1]
서적
Jacopo Sansovino
1538-02
[2]
서적
Jacopo Sansovino
[3]
서적
Jacopo Sansovino
[4]
서적
Jacopo Sansovino
[5]
서적
Jacopo Sansovino
[6]
서적
Vite de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d architetti...
I Giunti
1568
[7]
간행물
Il restauro ottocentesco della Loggetta sansoviniana
[8]
서적
Jacopo Sansovino
[9]
간행물
The Roman Legacy in Sansovino's Venetian Buildings
[10]
서적
Jacopo Sansovino
[11]
서적
Jacopo Sansovino
[12]
서적
Jacopo Sansovino
[13]
서적
Jacopo Sansovino
[14]
간행물
L'Arte oratoria secondo i modi della lingua volgare
[15]
간행물
Venetia Città nobilissima et singolare
[16]
서적
Venetia, Citta Nobilissima.: Venice 1663. [New York]: Gregg International Publishers, 1969
[17]
서적
Jacopo Sansovino : Architecture and Patronage in Renaissance Veni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8]
서적
Myths of Venice
[19]
서적
Jacopo Sansovino
[20]
서적
Myths of Venice
[21]
서적
Jacopo Sansovino
[22]
서적
Jacopo Sansovino
[23]
서적
Jacopo Sansovino
[24]
서적
Jacopo Sansovi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