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드밀라 엥크비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드밀라 엥크비스트는 소련 출신의 육상 선수로, 100m 허들 종목에서 활약했다. 1996년 스웨덴으로 귀화하여 스웨덴 대표로 1996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다. 유방암을 극복하고 육상 선수로 복귀했으나, 봅슬레이 선수로 전향 후 도핑으로 인해 선수 자격이 정지되었다. 이후 은퇴하여 현재는 스페인에서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에서 스웨덴으로 이민간 사람 - 레지나 데리예프
레지나 데리예바는 시집, 에세이집, 산문집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러시아어, 영어, 이탈리아어 등 다양한 언어로 작품 활동을 펼친 작가이다. - 러시아에서 스웨덴으로 이민간 사람 - 소피야 코발렙스카야
소피야 코발렙스카야는 러시아의 수학자이자 작가로, 여성 고등 교육이 제한된 시대에 수학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유럽 최초로 스톡홀름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으며, 코시-코발렙스카야 정리 증명과 강체 회전 문제 연구, 자전 소설 《러시아의 어린 시절》 등의 업적을 남겼다.
루드밀라 엥크비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류드밀라 빅토로브나 나로질렌코-레오노바 |
로마자 표기 | Lyudmila Viktorovna Narozhilenko-Leonova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964년 4월 21일 |
출생지 | 탐보프 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신장 | 165cm |
선수 경력 | |
종목 | 육상 경기 |
세부 종목 | 허들 |
100m 허들 최고 기록 | 12.26초 (1992년) |
메달 기록 (소련) |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1, 도쿄, 100m 허들)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1, 세비야, 60m 허들) 은메달 (1989, 부다페스트, 60m 허들) |
메달 기록 (스웨덴) | |
올림픽 | 금메달 (1996, 애틀랜타, 100m 허들)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7, 아테네, 100m 허들) 동메달 (1999, 세비야, 100m 허들) |
2. 생애
루드밀라 엥크비스트는 현재의 러시아 탐보프주 탐봅스키구의 마을인 벨로메스트나야크리우샤에서 태어났다. 첫 결혼 당시 이름은 '''루드밀라 나로질렌코'''였으며, 소비에트 연방과 러시아를 대표하여 선수 생활을 할 때 이 이름을 사용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나 100m 허들 종목 준결승에서 기권했다. 이후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100m 허들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6년에 스웨덴으로 귀화한 후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100m 허들 종목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97년에는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1996년과 1999년 예링 상을 수상했다.[2]
1999년 유방암 진단을 받았으나 수술과 화학 치료 후에 선수로 복귀하였다. 이후 봅슬레이로 전향하여 2002년 동계 올림픽 참가를 시도했으나, 2001년 도핑 적발로 2년간 선수 자격이 정지되었다.[4] 2003년 자격 정지 기간이 끝났으나, 현역으로 복귀하지 않았다. 현재 남편이자 사업가인 요한 엥크비스트와 함께 스페인에서 살고 있다.
2. 1. 선수 경력
루드밀라 엥크비스트는 현재의 러시아 탐보프주 탐봅스키구의 마을인 벨로메스트나야크리우샤에서 태어났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나 100m 허들 종목 준결승에서 기권했다. 이후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100m 허들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6년에 스웨덴으로 귀화한 후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100m 허들 종목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97년에는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1996년과 1999년 예링 상을 수상했다.[2]1999년 유방암 진단을 받았으나 수술과 화학 치료 후에 선수로 복귀하였다. 이후 봅슬레이로 전향하여 2002년 동계 올림픽 참가를 시도했으나, 2001년 도핑 적발로 2년간 선수 자격이 정지되었다.[4] 2003년 자격 정지 기간이 끝났으나, 현역으로 복귀하지 않았다.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1996 | 올림픽 | 미국 애틀랜타 | 100m 허들 | 금메달 | 12.58초 |
1996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이탈리아 밀라노 | 100m 허들 | 1위 | 12.61초 |
1997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그리스 아테네 | 100m 허들 | 금메달 | 12.50초 |
1999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페인 세비야 | 100m 허들 | 동메달 | 12.47초 |
2. 1. 1. 소련 국가대표 시절 (1988-1991)
1988년에 소련 국가대표 허들 선수로 발탁되어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나 100m 허들 종목 준결승에서 기권했다.[4]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 대표로 출전하여 준결승에서 넘어졌다.[4] 이후 도쿄에서 열린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100m 허들 금메달을 획득했다.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1989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헝가리 부다페스트 | 60m 허들 | 7.83초 | |
1989 | IAAF 육상 월드컵 | 스페인 바르셀로나 | 100m 허들 | 2위 | 12.80초 |
1991 |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페인 세비야 | 60m 허들 | 7.88초 | |
1991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일본 도쿄 | 100m 허들 | 12.59초 |
2. 1. 2. 스웨덴 귀화와 전성기 (1996-1999)
1995년 스웨덴 사업가 요한 엥크비스트와 결혼했고, 1996년에 스웨덴 시민권을 획득했다.[1]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00m 허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1] 이 공로로 스웨덴에서 태어나지 않은 인물로는 최초로 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 금메달을 수상했고,[1] 스웨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여성 스포츠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1996년과 1999년에는 라디오 청취자들의 투표로 선정되는 예링 상을 수상했다.[2]1999년 유방암 진단을 받았으나, 수술 후 화학 치료를 4번 받은 끝에 육상 선수로 복귀하였다.
2. 1. 3. 유방암 투병과 복귀 (1999-2001)
1999년 엥크비스트는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수술 후, 약물이 운동 경력에 지장을 줄 것을 우려하여 4번의 치료 후 화학 요법을 중단하고 트랙으로 복귀했다.[4]이후 엥크비스트는 육상에서 은퇴했지만,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여자 봅슬레이 2인승 종목에 출전하여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여성이 되고자 했다. 그러나 2001년 말, 금지 약물 사용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2년 동안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다. 그녀는 봅슬레이를 시작한 후 최근에만 약물을 사용했다고 인정했지만, 과거 소비에트 연방 선수 시절에도 한 번 금지 약물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고 (항소 후 제재가 해제되었음) 스웨덴에서 매우 논란이 많은 인물이 되었다. 일부 사람들은 그녀가 지속적으로 경기력 향상 물질을 사용해 왔다고 주장했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없다. 출전 금지 기간은 2003년 12월 3일에 종료되었지만,[3] 엥크비스트는 다시는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
2. 1. 4. 봅슬레이 전향과 도핑 논란 (2001-2003)
1999년 유방암 진단을 받았으나 수술 후 화학 치료 4번을 받은 끝에 육상 선수로 복귀했다. 엥크비스트는 육상 선수 생활을 끝내고 봅슬레이로 전향하여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2002년 동계 올림픽 여자 봅슬레이 2인승에 참가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2001년 후순에 도핑이 적발되어 2년간 선수 자격이 정지되면서 동계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4] 엥크비스트의 도핑 적발은 당시 스웨덴에서 최고의 논쟁 거리로 떠올랐으며, 소련 국가대표 선수 시절에도 도핑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2003년 12월 자격 정지 기간이 끝났으나,[3] 엥크비스트는 현역으로 복귀하지 않았다.2. 2. 은퇴 이후
1999년 유방암 진단을 받았으나 수술 후 화학 치료를 4번 받고 육상 선수로 복귀하였다. 육상 선수 생활을 끝내고 봅슬레이로 전향하여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2002년 동계 올림픽 여자 봅슬레이 2인승에 참가하려 했다. 하지만 2001년 후순에 도핑이 적발되어 2년간 선수 자격이 정지되면서 동계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4] 엥크비스트의 도핑 적발은 당시 스웨덴에서 가장 큰 논쟁 거리였으며, 소련 국가대표 선수 시절에도 도핑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2003년 12월 자격 정지 기간이 끝났으나, 엥크비스트는 현역으로 복귀하지 않았다. 현재 남편이자 사업가인 요한 엥크비스트와 함께 스페인에서 살고 있다.3. 주요 기록
엥크비스트는 1989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1991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과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60m 허들에서 7초 69(1990년 2월 4일, 세계 역대 2위), 100m 허들에서 12초 26(1992년 6월 6일, 세계 역대 4위)을 기록했다.
3. 1. 국제 대회
연도 | 대회 | 장소 | 종목 | 결과 | 기록 |
---|---|---|---|---|---|
1989 | 1989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60m 허들 | 은메달 | 7.83초 |
1989 | IAAF 육상 월드컵 | 바르셀로나 (스페인) | 100m 허들 | 2위 | 12.80초 |
1991 | 1991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세비야 (스페인) | 60m 허들 | 금메달 | 7.88초 |
1991 |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도쿄 (일본) | 100m 허들 | 금메달 | 12.59초 |
1996 | 올림픽 | 애틀랜타 (미국) | 100m 허들 | 금메달 | 12.58초 |
1996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밀라노 (이탈리아) | 100m 허들 | 1위 | 12.61초 |
1997 |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아테네 (그리스) | 100m 허들 | 금메달 | 12.50초 |
1999 | 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세비야 (스페인) | 100m 허들 | 동메달 | 12.47초 |
3. 2. 개인 최고 기록
종목 | 기록 | 날짜 | 비고 |
---|---|---|---|
60m 허들 | 7초 69 | 1990년 2월 4일 | 세계 역대 2위 |
100m 허들 | 12초 26 | 1992년 6월 6일 | 세계 역대 4위 |
참조
[1]
뉴스
Ludmila Engquist 40 år
https://www.hd.se/20[...]
Helsingborgs Dagblad
2004-04-20
[2]
뉴스
Ludmila Engquist har sina skålar framme
https://sverigesradi[...]
2024-04-01
[3]
뉴스
I morgon är Ludmilas strafftid slut
https://www.svd.se/i[...]
Svenska Dagbladet
2003-12-02
[4]
뉴스
엥퀴스트, 약물복용 고백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01-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