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베쓰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베쓰촌은 이투루프 섬(일본명 에토로후 섬)의 남서쪽에 위치했던 촌으로, 쿠나시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쿠나시르 섬과 마주하고 있었다. 주요 지형으로는 평야와 호수, 늪이 발달했으며, 루베쓰, 토시모이 등이 중심 취락이었다. 어업과 채조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며, 1945년 소련군이 상륙하면서 소련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주민들은 사할린 섬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현재는 러시아에 의해 쿠이비셰프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부레베스트니크 마을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시마국 -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은 1875년 일본과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되어 일본이 사할린 섬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쿠릴 열도 18개 섬을 러시아로부터 양도받았으며, 사할린과 쿠릴 열도의 국경을 확정하고 일본인 거주자 보상, 일본 어선의 오호츠크해 접근 허용 등을 규정했다. - 지시마국 - 유즈노쿠릴스크
유즈노쿠릴스크는 쿠나시르섬의 오호츠크해 연안에 있는 러시아의 항구 도시로, 과거 고후마후였으나 소련 점령 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며 북방 영토 문제와 관련된 논란 지역이며, 지진, 기상, 쓰나미 관측소가 있다. - 이투루프섬 - 부레베스트니크 공항
부레베스트니크 공항은 러시아 사할린주 이투루프섬에 위치하며, 과거 일본군 비행장으로 건설되어 냉전 시대에는 소련 방공군 기지로 운영되었고 현재는 군사 기지 및 예비 비행장으로 사용 중인 공항이다. - 이투루프섬 - 에토로후군
에토로후군은 홋카이도 네무로 진흥국에 속한 군으로 이투루프섬 남서쪽에 위치하며 평야와 양항이 풍족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에 점령되어 현재는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고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쿠릴 열도 분쟁 지역이다. - 홋카이도의 촌 - 아카이가와촌
아카이가와촌은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의 아카이가와 칼데라 분지에 위치한 촌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키로로 리조트를 중심으로 관광업이 활발하지만, 인구 감소와 소멸 위기를 겪고 있고, 무라버스와 국도 393호선으로 교통이 연결되며, 지명은 아이누어에서 유래했다. - 홋카이도의 촌 - 시마마키촌
시마마키촌은 홋카이도 남부의 우치우라 만에 접한 촌으로, 아이누어에서 유래된 이름과 함께 어업, 관광업이 활발하며 금광 개발과 온천 발견의 역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했다.
루베쓰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留別村 (일본어) |
국가 | 일본/러시아 |
광역 자치 단체 | 홋카이도(네무로 지청)/사할린 |
기초 자치 단체 | 에토로후 군/쿠릴스키 군 |
지역 | 홋카이도/극동 연방관구 |
면적 | 1,442.82 km² |
인구 | 2,814명 (1945년) |
인구 밀도 | 1.95명/km² |
시간대 | UTC+11 (MSK+8) |
![]() | |
지리 | |
인접 자치 단체 | 샤나 촌, 시베토로 촌, 루요베쓰 촌 |
특징 | 러시아 연방이 점령 및 실효 지배 중 |
상징 | |
마을 나무 | (정보 없음) |
마을 꽃 | (정보 없음) |
마을 새 | (정보 없음) |
행정 | |
촌장 | (정보 없음) |
소재지 | 홋카이도 에토로후 군 루베쓰 촌 |
전국 지방 공공 단체 코드 | 01698-5 |
기타 | |
![]() | |
참고 | 경계 미확정 지역 존재 |
2. 지리
이투루프 섬(일본명 에토로후 섬)은 남서쪽으로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쿠나시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쿠나시르 섬(일본명 구나시리 섬)의 아토이야 곶과 약 20km 떨어져 있다. 지형은 평야가 많고, 호수와 늪도 발달했다. 또한 모에소 만, 히토캇푸 만, 포로노트 만 등 천연의 양항이 많다.
중심 취락인 루베쓰는 어업 중심지이자 섬 양안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했다. 겨울에 유빙으로 폐쇄되는 루베쓰 항을 보완하기 위해 남해안의 히토캇푸 만에 접한 도시모에도 발전했다. 쇼와 시대에는 에토로후 섬 산업의 중심이 되어 인구가 증가했다.
2. 1. 주요 지형
이투루프 섬(일본명 에토로후 섬)의 남서쪽, 거의 절반을 차지하며, 쿠나시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쿠나시르 섬의 아토야곶과는 약 20km 거리에 있다. 지세는 평야부가 많고, 호수도 발달해 있다. 또한 모이케시 만과 단칸 만, 포로노츠 곶(오오사키)과 노토로 곶 등의 지형으로 인해 천연의 양항이 많다.
- 산: 니시단칸 산 (1629m), 베르타루베 산 (활화산, 1221m), 아토사 산 (활화산, 1209m), 옹네토잔 (1422m), 아토사토 산, 롯코 산, 야케야마
- 하천: 루베쓰 강, 토쿠모이베츠 강 (우루몬베츠 강, 연어 번식지의 남쪽 한계[7])
- 호수[8]: 토쿠모이베츠 호 (우루몬베츠코, 5.8km2), 토시모이 호 (4.36km2), 얀케토우 늪, 우치보 늪, 키몬 늪, 라우스 늪
2. 2. 인접 자치체
3. 역사
1923년 (다이쇼 12년) 4월 1일, 에토로후군 단네모이 촌, 나이호 촌, 후리베츠군 후리베츠 촌, 오토마리 촌이 합병하여 행정권을 가진 2급 정촌으로 '''에토로후군 루베쓰 촌'''이 성립했다. 1932년 (쇼와 7년)에는 에토로후 아토사 산이 분화했다.
1945년 (쇼와 20년) 8월 28일, 루베쓰 만에 브룬슈테인 해군 중좌가 이끄는 소련군이 상륙했다.[1]
3. 1. 루베쓰 촌 성립 이전
- 1869년 (메이지 2년) 8월 15일 홋카이도 11국이 설치되었고, 이듬해 '''샤나 군 루베쓰 촌'''이 성립되었다.
- 1870년 (메이지 3년) 이토로프군탄네모이 촌(丹根萌村), 나이보 촌(内保村), 후레베츠군후레베츠 촌(振別村), 오이토 촌(老門村)이 성립하였다.
- 1873년 (메이지 6년) 후레베츠에 네무로 지청 파출소(전 섬 관할)가 설치되었다.
- 1874년 (메이지 7년) 나이보에 밀렵 감시소(사자 사냥 단속소)가 설치되었다.
- 1879년 (메이지 12년) 후레베츠에 군구 편성에 따른 후레베츠 이토로프 사나 시베토로 군청(전 섬 관할)이 설치되었다.
- 1880년 (메이지 13년) 루베쓰에 어업 회사(왕강사)가 설립되었다.
- 1884년 (메이지 17년) 샤나 촌, 후리베쓰 촌, 스룻토 촌에 호장역장이 설치되었다. 루베쓰 촌은 군 내의 샤나가 아닌 후리베쓰의 소관으로 지정되어[9], 합병으로 군이 분리되는 토대가 되었다.
- 1885년 (메이지 18년) 루베쓰에 초등학교가 개설되었고[10], 후레베츠 외 3군청이 사나로 이전하여 사나 외 3군청으로 개칭, 후레베츠에는 후레베츠 외 4개 촌 호장역장이 설치되었다.
- 1886년 (메이지 19년) 8월 후리베쓰 외 4개 촌 호장역장이 루베쓰로 이전하여, 루베쓰 외 4개 촌 호장역장으로 개칭하였다. (1884년 7월 - 1886년 12월 사이, 나이호와 탄네모가 분리되어 루베쓰 외 2개 촌 호장역장)
- 1889년 (메이지 22년) 루베쓰에서 상점이 개업했다.
- 1895년 (메이지 28년) 나이보에 미쓰이 물산 합명회사가 진출하였다.
- 1897년 (메이지 30년) 나이보에 초등학교가 개설되었다.
- 1902년 (메이지 35년) 토시에 초등학교가 개설되었다.
- 1920년 (다이쇼 9년) 4월 1일 네무로 스룻토 선의 건설이 인정되어, 간선도로 정비가 시작되었다.
3. 2. 루베쓰 촌 성립 이후
- 1946년 2월 1일 - 소련 정부가 영유를 선언했다.[1]
- 1947년 10월 - 주민들이 사할린으로 강제 송환되었다.[1]
- 1970년 3월 17일 - 발달한 저기압을 피하기 위해 단칸 만에 긴급 입항한 일본 어선이 유빙에 갇혀 조난되었다. 일부 어선은 선체를 포기하고 고무 보트로 상륙했지만 18명 이상이 사망했다.
- 1990년 8월 24일 ~ 8월 28일 - 전 거주자들이 루베쓰 묘지에 성묘했다.
- 2005년 기후현 다카야마시의 합병으로 다카야마 시가 일본 국내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시정촌"이 되었기 때문에, 루베쓰 촌은 일본 국내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정촌"이 되었다.
4. 경제
섬의 북서쪽(니시마에)과 남동쪽(히가시마에)은 생산물이 달랐는데, 주로 서쪽은 어업, 동쪽은 채조업을 했다. 냉장선이 연안을 순회하며 정치망 어획물을 수거하여 네무로로 출하하였다.[1]
4. 1. 산업
섬의 북서 해안(니시마에)과 남동 해안(히가시마에)에서 생산되는 품목이 달랐는데, 주로 서쪽은 어업, 동쪽은 채조업을 했다. 냉장선이 연안을 순회하며 고정망 어획물을 수거하여 네무로에 출하했다.[1]5. 공공기관
- 루베쓰촌사무소
- 루베쓰 등기소
- 사나 경찰서 순사 파출소(루베쓰, 텐네이, 도시오모에)
- 우체국(루베쓰, 도시오모에, 텐네이, 이리후시, 우치호)
- 사나 영림구서 주재소
- 홋카이도 연어·송어 부화장(루베쓰 지장, 오후유 부화장, 우루몬베쓰 홍연어 부화장)
- 사쿠라가오카 운동장
- 경마장
- 네무로 구 재판소 출장소
6. 군사 시설
- 텐닌 해군 비행장
- 텐닌 해군 사령부 (제51경비대 텐닌 파견대)
- 혼성 제3여단 사령부
- 넨모 육군 기관포 진지
7. 지역
대자(大字) |
---|
연도 | 총인구 | 남성 | 여성 | 세대수 | 비고 |
---|---|---|---|---|---|
1920년 (다이쇼 9년) | 1,053명 | 647명 | 406명 | 223 | |
1925년 (다이쇼 14년) | 2,350명 | ||||
1930년 (쇼와 5년) | 2,542명 | ||||
1935년 (쇼와 10년) | 2,554명 | 1,548명 | 1,006명 | 정주 인구 2,033명 | |
1940년 (쇼와 15년) | 2,814명 | 1,697명 | 1,117명 | 478 |
8. 시설
루베쓰촌에는 루베쓰 병원, 내호 진료소, 여러 초등학교, 묘지, 신사, 사찰, 세이세키 온천, 루베쓰 유적 등이 있었다.
8. 1. 의료기관
- 루베쓰 병원
- 내호 진료소
8. 2. 교육
루베쓰촌에는 다음 초등학교들이 있었다.학교 이름 |
---|
루베쓰 국민학교 고등과 (구 루베쓰 심상고등소학교) |
토요메 초등학교 |
우치보 초등학교 |
카무이코탄 초등학교 |
쿠야 초등학교 |
텐네이 초등학교 |
이리세츠 초등학교 |
텐네이 초등학교 토요하마 분교 |
8. 3. 묘지
묘지명 |
---|
루베쓰 묘지 |
토시모에 묘지 |
신텐네이 묘지 |
구텐네이 묘지 |
토요하마 묘지 |
구야 묘지 |
이리세쓰 묘지 |
후리베쓰 묘지 |
8. 4. 사찰 및 신사
- 루베쓰 신사
- 나이호 신사
- 이와시마 신사
- 토시모에 신사
- 쇼와 신사
- 구야 신사
- 홋카이 센코지
- 호조지
- 호조지 조동종 이리세쓰 설교소
8. 5. 온천
세이세키 온천이 있다.8. 6. 유적
루베쓰 유적9. 교통
루베쓰촌에는 준 지방비도 85호선 네무로 시베츠 선(홋카이도의 지방비도 목록)이 지나간다. 과거에는 루베쓰, 나이호, 이리세츠, 구야, 텐네이, 토시모에, 후리베츠, 산구에 관설 역참이 설치되어 있었다.
유빙으로 인해 겨울철에 폐쇄되는 루베쓰항 외에 네모이항에서는 하코다테항까지 홋카이도청 명령 항로가 연중 운행되고 있다. 그 외에 우치호항, 이리후시항, 구야항, 우에우치항 등이 있다.
9. 1. 도로
준 지방비도 85호선 네무로 시베츠 선9. 2. 항구
이투루프 섬(일본명 에토로후 섬) 남서쪽에 위치하며, 쿠나시르 섬(일본명 구나시리 섬)의 아토이야 곶과 약 20km 떨어져 있다. 모에소 만, 히토캇푸 만, 포로노트 만 등 천연 항구가 많다. 중심 취락인 루베쓰는 어업 중심지이자 섬 양안을 잇는 교통 요지였다. 겨울철 유빙으로 닫히는 루베쓰 항을 보완하기 위해 남해안 히토캇푸 만에 접한 도시모에가 발전했고, 쇼와 시대에는 에토로후 섬 산업 중심지가 되어 인구가 증가했다.10. 러시아 통치 이후
1945년 8월 28일, 브룬슈테인 해군 중좌가 이끄는 소련군이 루베쓰 만에 상륙했다.[1] 1946년 2월 1일 소비에트 연방 정부가 영유를 선언했고,[1] 1947년 10월, 주민들은 사할린으로 강제 송환되었다.[1]
1970년 3월 17일, 발달한 저기압을 피해 단칸 만에 긴급 입항한 일본 어선이 유빙에 갇혀 조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일부 어선은 선체를 포기하고 고무 보트로 상륙했지만, 18명 이상이 사망했다.[1]
1990년 8월 24일부터 28일까지, 전 거주자들이 루베쓰 묘지에 성묘했다.[1]
소련 점령 후 루베쓰는 러시아 이름 쿠이비셰프(Куйбышевru) 마을, 우치호는 도브로예(Доброеru) 마을이 되었지만, 현재는 폐촌이다.[1] 구 텐닌 비행장(부레베스트니크 공항)이 있는 텐닌만은 부레베스트니크(Буревестникru) 마을로 남아 있으며, 1992년 인구는 6,500명이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Northern Territories: So close, yet so far away {{!}} NHK WORLD-JAPAN News
https://www3.nhk.or.[...]
2021-03-17
[2]
PDF
根室振興局管内 市町村行財政概要 令和3年度(2021年度)版 10ページ(一覧の面積は国土地理院資料)
https://www.nemuro.p[...]
北海道根室振興局
[3]
웹사이트
世帯および男女別人口(全人口)-全国,道府県,郡,市区町村
http://www.e-stat.go[...]
昭和15年国勢調査 政府統計の総合窓口
[4]
웹사이트
北海道総合振興局及び振興局の設置に関する条例
https://www.pref.hok[...]
[5]
PDF
留別(るべつ)
http://www.chishima.[...]
北方四島居住地図 千島歯舞諸島居住者連盟
[6]
PDF
年萌(としもえ)・ヤンケトウ
http://www.chishima.[...]
北方四島居住地図 千島歯舞諸島居住者連盟
[7]
PDF
択捉島ウルモベツ産紅鱒の降海期の幼魚に就いて
http://salmon.fra.af[...]
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さけますセンター
[8]
웹사이트
平成26年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 湖沼面積
https://web.archive.[...]
2015-03-06
[9]
웹사이트
地方行政区画便覧
https://dl.ndl.go.jp[...]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国立国会図書館
[10]
웹사이트
千島の島々と「北方領土」
https://web.archive.[...]
社会科副読本らうす 羅臼町教育委員会
[11]
문서
ボリス・スラヴィンスキー「千島占領」、から孫引き
[12]
웹사이트
占領生活、脱出、樺太を経由して引き上げ 佐藤 正二
https://web.archive.[...]
元島民が語る「北方領土」 北方領土問題対策協会
[13]
뉴스
流氷、漁船閉じ込める 緊急入域中野9隻
朝日新聞
1970-04-13
[14]
뉴스
「18遺体帰る 択捉沖遭難」
朝日新聞
1970-04-13
[15]
웹사이트
北方四島への墓参
https://web.archive.[...]
北方領土問題対策協会
[16]
웹사이트
北方領土の人口
https://web.archive.[...]
独立行政法人北方領土問題対策協会
[17]
웹사이트
北方領土の行政、交通・通信
https://web.archive.[...]
北方領土問題対策協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