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체른 교통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체른 교통공사(VBL)는 스위스 루체른 시의 대중교통을 담당하는 회사이다. 1899년 노면전차 운행을 시작으로, 트롤리버스, 버스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운영해왔다. 1961년 노면전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1970년대부터 티켓 자동 판매기 도입, 1990년대 요금 시스템 개편 등 현대화를 추진했다. 현재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를 주력으로 하는 버스와 트롤리버스, 트레일러 등을 운행하며, 루체른 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과 야간 버스(Nachtstern)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귀치반 삭도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대중 교통 - 제네바 대중교통
    제네바 대중교통(TPG)은 스위스 제네바 주에서 트램, 버스, 트롤리버스를 운영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1977년 제네바 전기 트램 회사의 후신으로 조직이 변경되었으며, 2000년대 초 노선망 확장과 차량 도입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노면 전차 노선 확장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 스위스의 대중 교통 - 질탈 취리히 위틀리베르크 철도
    질탈 취리히 위틀리베르크 철도(SZU)는 스위스 취리히 지역에서 S4와 S10 노선을 운행하며, 아들리스빌-펠젠에그 케이블카와 침머베르크 버스 노선도 운영하는 철도 회사이다.
  • 스위스의 버스 기업 - 포스트버스 스위스
    포스트버스 스위스는 스위스 포스트의 자회사로, 스위스 전역과 주변 국가에서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1849년 우편망 역마차 창설을 시작으로 스위스 대중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연료전지 버스 도입 등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스위스의 버스 기업 - 로잔 지역 운수
    로잔 지역 운수는 1877년 푸니쿨라 케이블카를 시작으로 트램, 버스, 트롤리버스를 거쳐 1991년 경전철, 2008년 지하철 시대를 맞이하여 2개의 지하철 노선과 35개의 버스 노선으로 로잔 지역의 대중교통 시스템을 운영한다.
루체른 교통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소유주루체른 시 (지분 100%)
직원 수약 550명
웹사이트루체른 교통공사

2. 역사

VBL은 1899년 12월, 당시 인구 약 30,000명의 루체른 시에 노면전차가 개통되면서 시작되었다.[3] 이후 트롤리버스가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1970년대에는 티켓 구매 방식의 혁신, 1980년대에는 차량 현대화, 1991년에는 새로운 요금 시스템 도입이 이루어졌다. 21세기 이후에는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등 현대적인 차량이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있다.[4]

2. 1. 트램 시대 (1899년 ~ 1961년)

1899년 12월, 루체른시에 최초의 노면전차가 개통되면서 VBL의 역사가 시작되었다.[3] 1903년에는 총 길이 11.3km의 트램 노선이 완공되었다. 1909년부터 1936년까지 트램 노선은 에멘브뤼케와 크린스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반, 루체른시에 첫 번째 버스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1938년, 트롤리버스 시스템 도입 제안은 루체른 시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지만, 1941년에 다시 제안된 내용은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루체른역과 알멘트 사이에 첫 번째 트롤리버스 노선이 개통되었다. 트롤리버스는 점차 트램을 대체했고, 1961년에 트램 운행은 완전히 중단되었다.[4]

2. 2. 트롤리버스 시대 (1941년 ~ 현재)

1938년, 트롤리버스(무궤도 전차) 도입에 대한 초기 제안은 루체른 시민들에게 거부되었으나, 1941년에 다시 제안된 안건은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루체른역과 알멘트 사이에 첫 번째 트롤리버스 노선이 개통되었다.[4] 트롤리버스는 점차 기존의 노면전차를 대체했으며, 1961년에 트램웨이는 완전히 폐쇄되었다.[4]

1965/66년에는 14대의 새로운 굴절식 트롤리버스가 도입되어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되었다.[4] 1980년대에는 여러 일반 버스(모터버스) 노선이 트롤리버스로 전환되었다.[4] 1991년에는 4대의 새로운 굴절식 트롤리버스가 추가 도입되었다.[4]

2. 3. 현대화 및 확장 (1970년대 ~ 현재)

1970년대에는 길가에 자동판매기가 설치되면서 티켓 구매 방식에 혁신이 일어났다.[4] 1985년 54대의 새 차량을 구입하여 차량 현대화를 추진했고,[4] 1991년에는 새로운 요금 시스템이 도입되어 네트워크가 여러 구역으로 나뉘었다.[4] 같은 해, 6대의 굴절식 모터버스와 4대의 굴절식 트롤리버스가 추가 도입되었다.[4]

21세기 이후,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Citaro) 등 현대적인 모터버스와 트롤리버스가 지속적으로 도입되면서 차량 현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4]

3. 노선

VBL은 루체른 시내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트롤리버스, 버스, 야간 버스, 강삭철도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3. 1. 트롤리버스 노선

번호노선
1오버나우 - 크린스 - 루체른역 - 마이호프 - 에비콘 필데른
2에멘브뤼케 슈프렌기 - 에멘브뤼케역 - 루체른역
4후벨마트 - 루체른역
5크린스 버스 슐라이페 - 필라투스플라츠 - 에멘브뤼케역 남
6마트호프 - 분데스플라츠 - 루체른역 - 루체르너호프 - 브뤼엘슈트라세 - 뷔테넨할데
7비레크호프 - 분데스플라츠 - 루체른역 - 루체르너호프 - 츠비시히플라츠 - 운터뢰클리
8히르텐호프 - 분데스플라츠 - 루체른역 - 루체르너호프 - 브뤼엘슈트라세 - 뷔르첸바흐

[6]

3. 2. 버스 노선

번호노선
9브람베르크 - 루체른역
10오버귀치 - 루체른역
11다텐베르크 - 아이히호프 - 루체른역
12리타우 가스호프 - 루체른역
14브륄슈트라세 - 장크트 안나 - 루체른역 - 필라투스플라츠 - 아이히호프 - 그로스호프슈트라세 - 니트펠트 - 그라벤호프 - 필라투스마르크트 - 호르브 첸트룸
15크리엔스 - 줌호프/센티/바흐슈트라세/베르크슈트라세/지트할데 - 크리엔스
16크리엔스 - 마텐호프 - 쿠오니마트 - 필라투스마르크트 - 호르브 첸트룸 - 슈피츠
18프리덴탈 - 칸톤스슈피탈 - 크로이츠슈투츠 - 루체른역
19프리덴탈 - 칸톤스슈피탈 - 숄스베르크 - 루체른역
20엔네트호르브/테히니쿰 거리 - 호르브 첸트룸 - 베크샤이데 - 루체른역
21크리엔스 - 마텐호프 - 필라투스마르크트 - 호르브 슈타인바흐 - 베크샤이데 - 카스타니엔바움 - 장크트 니클라우젠 - 루체른역
22인빌 /Perlen - Buchrain – 에비콘 - 루체른역
23기시콘 기차역 - 루트 - 디에레콘 - 에비콘 - 루체른역
24메겐 체디겐 - Lerchenbühl - 루체른역
25메겐 고틀리벤 – 메겐 피우스키르헤 – 브뤼엘슈트라세
26오티겐뷜 – 에비콘 호프마트 - Unterlöchli – 아들리겐스빌 – 브뤼엘슈트라세
30루체른 리타우역 - 칸톤스슈피탈 - 에비콘역[7]


3. 3. 야간 버스 (Nachtstern) 노선

Nachtsternde스위스 루체른 시와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야간 버스 노선 네트워크이다.[5] 대부분의 노선은 VBL에서 운행하지만, 일부는 다른 회사에서 운행한다.

번호노선
N1오버나우 - 크린스 - 호프마트 – 그로스호프 거리 - 그라벤호프 - 아이히호프 - 필라투스플라츠 - 루체른역
N2Bertiswil - 로텐부르크 - Spregi - 필라투스플라츠 - 루체른역
N3루체른역 - 마이호프 - 호프마트 - 펄렌 - 기시콘 기차역
N4루체른역 - 루체른호프 – 브뤼엘슈트라세 – 제펠트슈트라세 – 레러헨뷜 – 아들리겐스빌
N5볼후젠 – 말터스 - 리타우 기차역 - 크로이츠슈투츠 - 히르첸호프 - 필라투스플라츠 - 루체른역
N6루체른 - 리타우 - 볼후젠 - 멘츠나우
N9루체른 - 에셴바흐 - 호흐도르프 - 히츠키르히 - 바인빌 암 제
N12루체른 - 리타우
N14루체른 - 성 안나 - 브뤼엘슈트라세 - 뷔텐할데
N20루체른역 - 후벨마트 - 호르브 중심가
N21루체른역 - 카스타니엔바움 - 호르브 중심가 - 크리엔스

[8]


  • 중복된 노선 (N1~N5) 제거 및 Source에 나오는 노선만 남기고 정리함.
  • 템플릿 유지.
  • 태그 유지.

3. 4. 강삭철도

VBL은 최근에 재개통된 귀취반 삭도를 운영한다.[9]

4. 차량

VBL은 버스 차량을 현대화하여 1998년 이후 여러 시점에 걸쳐 일반 및 굴절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차량을 도입했다.[1]

4. 1. 모터 버스

지난 몇 년 동안 버스 차량은 현대화되었으며, 1998년 이후 여러 시점에 투입된 일반 및 굴절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차량이 도입되었다.[1]

현재 운행 중인 모터 버스 차량은 다음과 같다.[1]

차량 종류대수제조사도입 연도
일반 버스38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1998–2006
굴절 버스31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2002–2006
일반 버스3볼보1996
일반 버스4메르세데스-벤츠 O405N21995–1997
일반 버스2메르세데스-벤츠 O405N1993
일반 버스2스카니아/헤스 N94UB2005
일반 버스2볼보 B10L1996
일반 버스1메르세데스-벤츠 416CDI2002
일반 버스1네오플란 N40091994
일반 버스1네오플란 N44112001


4. 2. 트롤리버스

최근 몇 년 동안 트롤리버스 차량도 현대화되었으며, 2006년에는 이 회사의 첫 번째 이중 굴절 트롤리버스가 도입되었다. 일부 노선에서는 비굴절 트롤리버스가 트레일러를 견인하기도 한다.

현재 트롤리버스 차량은 다음과 같다.

제조사모델대수제작 연도
NAW/Hess/지멘스BG5-25291988–1989
NAW/Hess/지멘스BG5-25 굴절191987–1991
Hess/Vossloh KiepeBGT-N2C 굴절92004–2006
Hess/Vossloh-KiepeBGGT-N2C lighTram 3 이중 굴절32006


4. 3. 트레일러

VBL은 1998년부터 2005년 사이에 란츠 & 마르티/Hess APM 5.6-13 트레일러 16대를 도입하여 트롤리버스와 연결하여 운행한다.[1]

5. 도색

VBL의 버스와 트롤리버스는 현재 주로 흰색 바탕에 파란색으로 마감된 도색을 사용한다. 이전에는 이와 반대로, 주로 파란색 도색을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eschaeftsbericht_2023_VerkehrsbetriebeLuzernAG https://www.vbl.ch/f[...] 2024-12-14
[2] 웹사이트 Fahrplan https://passepartout[...] 2024-12-14
[3] 웹사이트 1899Eröffnung der Trambahn Luzern am 8. Dezember https://125jahre.vbl[...] 2024-12-14
[4] 웹사이트 1961Letzte Tramfahrt in Luzern https://125jahre.vbl[...] 2024-12-14
[5] 웹사이트 Fahrplan https://passepartout[...] 2023-04-29
[6] 웹사이트 Fahrplan nach Haltestellen https://www.vbl.ch/f[...] 2024-12-14
[7] 웹사이트 Fahrplan nach Haltestellen https://www.vbl.ch/f[...] 2024-12-14
[8] 웹사이트 Fahrplan https://passepartout[...] 2024-12-14
[9] 뉴스 Gütschbahn reopens Platform 5 Publishing Ltd 2015-11
[10] 웹사이트 VBL 소개 - 역사 https://www.vbl.ch/u[...] 2022-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