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메르세데스-벤츠 O405의 후속 모델로 1997년 출시된 도시형 버스이다. 1세대 모델은 2011년까지 생산되었으며,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이 개선되었다. 2011년에는 2세대 모델(C2)이 출시되어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유로 6 엔진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시타로는 디젤, 전기, 하이브리드, 천연 가스 등 다양한 모델과 파생 모델을 갖추고 있으며,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등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운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 시범 운행을 위해 도입된 이후,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제부여객에서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운행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르세데스-벤츠의 버스 -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는 1995년부터 생산된 다양한 차체 형태와 파워트레인 옵션을 갖춘 상용 밴으로, 화물 및 승객 운송, 특수 목적, 레저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며 3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졌다. - 메르세데스-벤츠의 버스 - 메르세데스-벤츠 O 302
메르세데스-벤츠 O 302는 1965년에 출시되어 O321을 대체한 버스 모델로, 독일 만하임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간결한 바우하우스 스타일의 차체와 섀시를 갖춘 일체형 버스 형태로 판매되어 11년 동안 32,000대 이상 생산되었다. - 독일의 버스 - MAN 라이온스 시티
MAN 라이온스 시티는 MAN 트럭 & 버스에서 생산하는 도시형 버스 모델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과 연료 옵션을 통해 도시 및 시외 교통을 책임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디자인 및 기술 변화와 함께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 - 독일의 버스 - MAN NL202
MAN NL202는 MAN SE에서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생산된 저상 시내버스 모델이며,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높였으나 기술적 문제와 높은 유지 보수 비용으로 단종되었다. - 전기버스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전기버스 - 에디슨 화이버드
에디슨 화이버드는 한국화이바에서 2014년에 출시한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를 사용한 버스 모델이며, 전기버스 모델은 ZF제 휠인 전기모터와 병렬연결 방식의 배터리 팩을 적용했고, 1세대 모델은 단종되었으며 일본에도 수출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메르세데스-벤츠 |
생산 기간 | 1997년–현재 |
조립 장소 | 독일: 만하임 프랑스: 리니-앙-바루아 터키: 이스탄불 (저가형) |
차종 | 일체형 |
전장 | 시타로 K: 시타로: 시타로 G: |
바닥 종류 | 저상 또는 저상 진입 |
문 개수 | 1 ~ 5 (주문 사양에 따라 다름) |
좌석 수 | 20 - 58석 |
입석 공간 | 26 - 152명 |
선행 차량 | O405 O405N O405N2 |
엔진 | |
현재 엔진 | OM936 OM936h OM470 M936G |
단종 엔진 | OM457LA OM457hLA OM906hLA OM926LA M447hLAG |
엔진 출력 | OM936, OM936h: 220kW OM470: 265kW M936G: 222kW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Voith Diwa.6, 4단 자동변속기 ZF-Ecomat, 5단 자동변속기 (1997-2001) ZF-Ecomat, 6단 자동변속기 (2001-2011) ZF-EcoLife, 6단 자동변속기 (2010-현재) |
2. 역사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메르세데스-벤츠 O405의 후속 모델로 1997년 출시되었다.[2]
2005년에는 유로 IV (이후 유로 V 및 EEV) 규정을 준수하는 엔진 도입과 함께 업데이트 버전이 출시되었다. 엔진 변경 외에도 각진 모습을 줄이기 위해 외부 디자인에 변화를 주었고, 내부 패널링도 변경되었다. 구형 모델 생산은 2006년 가을에 중단되었다.
2006년에는 더 큰 규모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전면 및 후면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이전 모델의 특징이었던 차량 전면의 "물결 무늬 트림"은 전면 광고 영역으로 사용되었으며, 메르세데스 벤츠의 별 모양 없이 매끄러운 표면으로 제공되었고, 둥근 전면 배플을 이루었다. 전면 방향 지시등의 측면 스윕도 반전되었다. 페이스리프트는 외관과 내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새로운 디자인의 헤드라이트와 범퍼를 적용하여 더욱 현대적인 인상을 준다. 후면부 역시 테일라이트 디자인을 변경하고, 범퍼 디자인을 개선했다. 실내 디자인은 운전석 계기판과 센터 콘솔 디자인을 변경하여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인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새로운 시트 디자인과 실내 마감재를 적용하여 승객에게 더욱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안전 및 편의 장비를 강화했다. 차선 이탈 경고 장치, 자동 긴급 제동 장치 등의 안전 사양을 추가하고,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 USB 충전 포트 등의 편의 사양을 새롭게 적용했다.
2011년 5월에는 C2로 불리는 2세대 시타로가 출시되었다.[3] 2세대 시타로는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으며, 전면부는 더욱 날렵해졌고, 후면부는 새로운 디자인의 테일램프가 적용되었다. 실내 디자인도 개선되어 더욱 현대적인 느낌을 준다. 2012년부터 C2는 유로 6 엔진을 장착할 수도 있었다. 2013년 10월 코르트라이크에서 시타로 LE 모델의 C2 버전이 공개되었다.[4] 2세대 시타로는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한다. 초기에는 유로 5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이 탑재되었으나, 2013년부터는 유로 6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이 탑재되었다. 유로 6 엔진은 배기가스 저감 장치가 추가되어 더욱 친환경적이다.
2. 1. 1세대 시타로 (1997년 ~ 2011년)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O405의 후속 모델로 개발되었으며, 1997년에 처음 출시되었다. 이 차량은 모듈형 설계를 채택하여 다양한 길이와 사양으로 제공되었고, 도시 및 교외 지역의 대중교통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시타로는 저상 버스로 설계되어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며, 특히 노약자나 장애인 승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이 차량은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하여 운송 사업자가 특정 요구 사항에 맞는 차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세대 시타로는 2011년까지 생산되었다.2. 2. 2세대 시타로 (2011년 ~ 현재)
2세대 시타로는 내부적으로 C2로 불린다. 2011년에 출시되었으며, 이전 세대에 비해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다. 전면부는 더욱 날렵해졌고, 후면부는 새로운 디자인의 테일램프가 적용되었다. 실내 디자인도 개선되어 더욱 현대적인 느낌을 준다.2세대 시타로는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한다. 초기에는 유로 5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이 탑재되었으나, 2013년부터는 유로 6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이 탑재되었다. 유로 6 엔진은 배기가스 저감 장치가 추가되어 더욱 친환경적이다.
2. 3. 페이스리프트
시타로의 페이스리프트는 외관과 내부에 걸쳐 이루어졌다. 전면부는 새로운 디자인의 헤드라이트와 범퍼를 적용하여 더욱 현대적인 인상을 준다. 후면부 역시 테일라이트 디자인을 변경하고, 범퍼 디자인을 개선했다. 실내 디자인은 운전석 계기판과 센터 콘솔 디자인을 변경하여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인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새로운 시트 디자인과 실내 마감재를 적용하여 승객에게 더욱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안전 및 편의 장비를 강화했다. 차선 이탈 경고 장치, 자동 긴급 제동 장치 등의 안전 사양을 추가하고,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 USB 충전 포트 등의 편의 사양을 새롭게 적용했다.3. 모델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차체 길이, 구동 방식, 용도 등에 따라 여러 모델로 나뉜다. 2019년 기준으로 시타로의 세 가지 기본 모델은 표준 12m '''시타로''', 더 짧은 10m '''시타로 K''', 굴절형 18m '''시타로 G'''이다.[5][6] 이 세 가지 길이 모델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버전으로도 제공되며, 표준 및 굴절형 버전은 완전 전기 모델로도 출시된다.
시타로 모델은 크게 디젤, 전기, 하이브리드, 천연 가스(NGT) 등으로 구분되며, 각 모델은 차체 길이와 구조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갖는다.
; 시타로(O530)
: 표준 모델 2축 차량으로, 2도어 또는 3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2.135m
:* 전고: 3.12m
:* 중량: 19t
:* 좌석 정원: 28 - 40명
; 시타로 K(O530K)
: 2006년에 추가된 숏 보디 2축 차량으로, 2도어 모델만 제공된다.
:* 전장: 10.633m
:* 전고: 3.12m
:* 중량: 19t
:* 좌석 정원: 26명
; 시타로 G(O530G)
: 2량 차체의 굴절 버스로, 앞 차량은 전후 2축, 뒤 차량은 후 1축으로 구성된다. 뒤 차량에 엔진을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며, 3도어 또는 4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8.125m
:* 전고: 3.12m
:* 중량: 28t
:* 좌석 정원: 40 - 46명
; 시타로 GL "캐퍼시티/캐퍼시티 L"(O530GL/O530GLⅡ)
: 2량 차체의 굴절 버스로, 앞 차량은 전후 2축, 뒤 차량은 후 2축으로 구성된다. 뒤 차량에 엔진을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며, 4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9.725 - 20.995m
:* 전고: 3.095m
:* 중량: 32t
:* 좌석 정원: 37 - 45명
; 시타로 L(O530L)
: 롱 보디의 3축 차량으로, 2도어 또는 3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4.995m
:* 전고: 3m
:* 중량: 불명
:* 좌석 정원: 42 - 46명
이 외에도 시타로Ü (O530Ü), 시타로MÜ (O530MÜ), 시타로GÜ (O530GÜ), 시타로LÜ (O530LÜ) 등의 모델이 있다.
### O530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디젤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OM 457 hLA 디젤 엔진을 사용하며, 수직 6기통에 터보차저와 인터쿨러를 장착했다. 유로 3, 유로 4, 유로 5 배기가스 기준을 충족하는 다양한 엔진 버전을 제공하며, ZF 또는 Voith 자동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다. 저상 설계를 채택하여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높였고, 다양한 좌석 배치 옵션과 안전 장치(ABS, ASR 등), 편의 장치(에어컨, 히터 등)를 제공한다. O530 디젤 모델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 O530 eCitaro/전기 배터리
2018년 7월에 공개된 전기 버스인 eCitaro는 같은 해 11월 독일 함부르크 시의 도시 버스 운영사인 함부르크 고가 철도(HHA)에 첫 양산 차량을 인도했다.[83] 이후 독일을 비롯해 헝가리, 스위스 등 유럽 각국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eCitaro는 기존 시타로와 다른 전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88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충전은 차량에 탑재된 팬터그래프 또는 전기 플러그를 통해 이루어진다.[84][85] 출시 초기에는 12m 표준 모델만 제공되었으나, 이후 18m 굴절 버스가 추가되었고, 2024년에는 10m 쇼트 보디 모델도 추가될 예정이다.[86]
; eCitaro
: 표준 모델 2축 차량으로, 2도어 또는 3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 12.135m
:* 전고 : 3.4m
:* 중량 : 20t
:* 좌석 정원 : 26 - 29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 eCitaro K
: 2024년에 추가된 쇼트 보디 2축 차량으로, 2도어 모델만 제공된다.
:* 전장 : 10.633m
:* 전고 : 3.4m
:* 중량 : 19.5t
:* 좌석 정원 : 24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 eCitaro G
: 2량 차체의 굴절 버스로, 앞 차량은 전후 2축, 뒤 차량은 후 1축으로 구성된다. 뒤 차량에 전동기를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며, 3도어 또는 4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 18.125m
:* 전고 : 3.4m
:* 중량 : 30t
:* 좌석 정원 : 41 - 45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 O530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모델은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를 결합하여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주력한다. 기존 디젤 모델에 비해 연비가 향상되었으며, 정차 및 출발 시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브레이크 에너지 회생 기능을 통해 감속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하고, 이를 가속 시 보조 동력으로 활용한다.
### O530 NGT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NGT는 천연 가스 구동 모델이다. 압축 천연 가스(CNG)를 연료로 사용하며,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차체 지붕에 CNG 탱크를 탑재하고 있으며, 천연 가스 엔진은 일반적인 디젤 엔진에 비해 질소 산화물(NOx)과 미세 먼지 배출량이 적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O530 NGT는 정숙성이 뛰어나 도심 지역 운행에 적합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 가스 버스가 대기 질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O530 NGT와 유사한 모델들이 주요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
### O530 NGT 하이브리드
천연 가스-전기 하이브리드 구동 모델인 O530 NGT 하이브리드는 기존의 천연 가스 구동 장치와 직렬 하이브리드 모듈을 결합하여 배출가스를 더욱 줄이고자 했다.
### O530 G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 디젤 모델은 굴절 버스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좌석 배치와 도어 구성을 통해 승객 수용 능력을 극대화하고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여 승객들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O530 G는 도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운행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특히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데 적합하다.
### O530 G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굴절 버스 버전도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드라이브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O 530 G BlueTec 하이브리드로 지정된다. 이 차량에는 차축에 통합된 허브 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2008년 초에 첫 번째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졌고, 2008년 후반에 함부르크에서 첫 번째 차량이 사용되었으며, 2009년부터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 시타로 G BlueTec 하이브리드는 2009년에 "올해의 하이브리드 버스" 상을 받았다. 차량에는 유로 4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 160kW 디젤 엔진이 장착되어 있으며, 리튬 이온 배터리는 지붕에 설치되어 있다.
### O530 G NGT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 NGT는 천연 가스 구동 방식의 굴절 버스 모델이다. 압축 천연 가스(CNG)를 연료로 사용하며,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모델은 주로 유럽의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운영되며, 특히 환경 규제가 엄격한 도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천연 가스 버스는 디젤 버스에 비해 질소 산화물(NOx)과 미세 먼지 배출량이 적어 대기 질 개선에 기여한다. 또한, 운행 소음도 적어 도심 지역의 소음 공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O530 G NGT는 넓은 실내 공간과 승객 편의 시설을 제공하며, 굴절 버스 특유의 넓은 공간은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좌석 배치와 안전 장비는 승객의 편안함과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엔진은 메르세데스-벤츠에서 자체 생산한 천연 가스 엔진을 사용하며, 자동 변속기와 결합되어 부드러운 주행 성능을 제공한다. 차체는 고강도 강철로 제작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 O530 GL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L은 굴절 버스 버전으로, 전장이 18미터에 달하며 대량 수송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넓은 실내 공간은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특히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승객의 편안함을 고려한 좌석 배치와 냉난방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ABS(잠김 방지 제동 장치), ASR(구동 미끄럼 방지 장치) 등 첨단 안전 기술이 적용되어 사고 예방에 힘썼다.
### O530 GL II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L II는 굴절 버스 모델로, 시타로 II 시리즈의 일부이다. 긴 차체와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주로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낮은 바닥 설계를 채택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며, 특히 교통 약자를 위한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넓은 창문과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승객에게 편안한 이동 경험을 제공한다. 다양한 좌석 배치와 추가 장비를 선택할 수 있어 운영 요구 사항에 맞춰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메르세데스-벤츠의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안전성과 효율성이 높다.
### O530 K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K는 시타로 시리즈의 미니버스 모델이다.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좁은 도로와 혼잡한 도심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전반적으로 시타로 시리즈의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크기를 줄여 기동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 O530 LE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디젤은 로우 엔트리(Low Entry) 일반 버스 모델이다. 승객들이 더 쉽고 빠르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교통 약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로우 엔트리 디자인은 버스 앞부분에 계단이 없는 낮은 바닥을 적용하여 승객의 접근성을 높인다. O530 LE 디젤 모델은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강력한 성능과 효율적인 연비를 제공하며,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충족하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한다. 자동 변속기를 장착하여 운전 편의성을 높였다.
### O530 LE 하이브리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하이브리드는 로우 엔트리(Low Entry) 방식의 일반 버스 모델로,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시스템은 연료 소비를 줄이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켜 환경 친화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
### 교외/도시 간 모델 (현재)
교외/도시 간 모델도 생산되며, 앞문이 하나이고 모든 좌석이 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다.
- O530 GÜ: 굴절 버스, 길이 18m, 3축, 3개 출입문
- O530 LE Ü: 로우 엔트리 솔로 버스, 길이 12m, 2축, 2개 출입문
- O530 LE MÜ: 로우 엔트리 (중간 길이), 길이 13m, 2축, 2개 또는 3개 출입문 (3번째 출입문은 단일 출입문으로만 제공)
- O530 Ü 디젤: 솔로 버스, 길이 12m, 2축, 2개 출입문
- O530 하이브리드 Ü: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솔로 버스, 길이 12m, 2축, 2개 출입문
- O530 MÜ: 솔로 버스 (중형), 길이 13m, 2축, 2도어
- O530 LÜ: 솔로 버스 (장형), 길이 15m, 3축, 2 또는 3도어
### O530 GÜ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Ü 모델은 굴절버스로, 3개의 차축을 가지고 있다. 차량 길이는 18m이며, 3도어 또는 4도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좌석수는 약 50석이며, 총 승객 정원은 약 160명이다. 이 모델은 도시 내 대량 수송에 적합하다.
### O530 LE Ü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Ü는 로우 엔트리(Low Entry) 형태의 솔로 버스 모델이다. 이 차량은 전반부는 일반 시타로와 동일한 고상 바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후반부는 저상 바닥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휠체어 이용객이나 거동이 불편한 승객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로우 엔트리 구조는 차량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여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O530 LE Ü 모델은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이 많이 사용되지만, 친환경적인 CNG(압축 천연 가스) 엔진이나 하이브리드 엔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양한 좌석 배치와 내부 디자인 옵션을 제공하여 운송 사업자의 요구에 맞춘 맞춤형 차량 제작이 가능하다.
### O530 LE MÜ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MÜ 모델은 로우 엔트리 설계를 채택하여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높였다. 중간 길이 모델로서 도심 및 교외 노선에서 균형 잡힌 성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좌석 배치와 실내 디자인 옵션을 통해 운송 사업자의 요구에 맞춘 맞춤형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최신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는 친환경 엔진을 탑재하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고 있다.
### O530 Ü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Ü는 2도어 또는 3도어 구성으로 제공되는 솔로 버스 디젤 모델이다. 이 모델은 수직으로 장착된 메르세데스-벤츠 OM 457 hLA 디젤 엔진을 사용하며, 엔진 출력은 160kW에서 220kW까지 다양하다. 변속기는 ZF 또는 Voith에서 공급받는다.
### O530 하이브리드 Ü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솔로 버스 모델인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하이브리드 Ü는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를 결합하여 구동된다. 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연료 소비를 줄이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이 모델은 교통량이 많은 도심 지역에서 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O530 하이브리드 Ü는 기존의 시타로 모델과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지만,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탑재되어 있다. 차량의 지붕에는 배터리 팩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젤 엔진은 필요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회생 제동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으며, 이는 버스가 감속할 때 전기 모터가 발전기 역할을 하여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에 저장한다.
### 단종 모델
단종된 도시형 모델은 다음과 같다.
- O530 CNG: 천연 가스를 동력으로 사용하며, 길이는 12m, 2축이고, 문은 2개 또는 3개이다. 이후 O530 NG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O530 G CNG: 천연 가스 구동 굴절 버스로, 길이는 18m, 3축이며, 문은 3개 또는 4개이다. O530 G NG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O530 FuelCell Hybrid: 수소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이며, 길이는 12m, 2축, 문은 3개이다.
- O530 G BlueTec Hybrid: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구동 굴절 버스로, 길이는 18m, 3축, 문은 3개 또는 4개이다.
- O530 L: 일반 버스 (롱바디) 모델로, 길이는 15m, 3축이며, 문은 2개 또는 3개이다.
### 교외/도시 간 모델
O530 MÜ는 전장이 13m인 2축 2도어의 중형 솔로 버스 모델이다. O530 LÜ는 전장이 15m인 3축의 장형 솔로 버스로, 2도어 또는 3도어 옵션을 제공한다.
### 사양
운송 사업자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전면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표준 디자인은 경사진 행선 표시기를 특징으로 하며, 도시 버스에 주로 사용되는 루프 돔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반면, 행선 표시기를 덮는 일체형 앞 유리를 갖춘 버전도 있으며, 이는 주로 도시 간 노선에 사용된다. 2세대 시타로가 도입되면서 전면 행선 표시기가 약간 커졌으며, 차량 지붕에서 약간 튀어나온 형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메르세데스-벤츠는 행선 표시기 양쪽에 작은 페어링을 설계했다.
그 외에도 문 개수와 유형, 실내 레이아웃 등 다양한 맞춤형 설정을 제공한다. 두 가지 유형의 좌석이 표준으로 제공되며, 도시형에는 기본 모델, 장거리 노선에는 향상된 버전이 제공되지만, 두 가지 모두 모든 모델에서 선택 가능하다.
일반적인 디젤 엔진 외에도, 시타로는 222kW의 강력한 유로 VI 압축 천연 가스 엔진 M936G를 장착할 수 있다. 이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새로운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옵션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연료 절감과 배출량 감소에 기여한다.[7]
3가지 종류의 엔진이 제공되며, 모두 수평형 (직렬 6기통)이며 유럽의 배출가스 규제 유로 3 기준을 충족한다. 유로 4 대응 버전은 요소수 SCR을 채용한다.
- OM906hLA (배기량 6,374cc, 최고 출력 231마력・245마력・279마력 (170, 180 또는 205kW))
- OM457hLA (배기량 11,967cc, 최고 출력 252마력・299마력・354마력 (185, 220 또는 260kW))
- M447hLAG (배기량 11,967cc, 최고 출력 252마력・326마력 (185kW 또는 240kW), CNG 엔진)
2005년부터는 유로 5 규제에, 2011년 (일본 시장용은 2016년)부터는 유로 6 규제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AT는 ZF ECOMAT (5단 또는 6단), 포이트 (4단)가 제공된다.
### 비표준 차체
독일 하노버의 위스트라(üstra)와 LVB(Leipziger Verkehrsbetriebe)가 엑스포 2000을 위해 제임스 어바인이 특별히 디자인한 차체를 적용한 시타로 차량을 특별 주문 방식으로 인도받았다. 라이프치히의 차량은 박람회 기간 동안 하노버에 대여되었지만, 이후 다시 라이프치히로 반환되어 정상 운행되었다.
2007년, 헝가리 세게드의 버스 운영업체 SZKT의 정비 공장에서 일반 시타로를 전기 버스로 개조했다. 2009년, 두바이 응급 서비스 센터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구급차로 개조된 3대의 시타로 차량을 인도받았다.
2010년, 프랑스 도시 렌은 도시형으로 13m 길이의 더 긴 버전인 '''시타로 M'''을 주문했다. 이 차량은 세트라 S416NF의 섀시를 기반으로 15대가 제작되었다.
독일 하노버와 루트비히스하펜에서는 시타로를 개조한 대형 구급차가 일부 소방서에 도입되었다. 2020년 4월에는 독일 국내에서의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스트레처와 인공호흡기를 4대 탑재한 감염 환자 수송용으로 개조된 대형 구급차가 독일 적십자사에 도입되었다[103]。
### 수소 연료 전지 버전
일반적인 시타로 모델은 경유 또는 천연 가스로 구동되지만, 수소 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버전도 있으며, 이는 ''시타로 BZ'' 또는 ''O530BZ''로 지정된다. 연소 과정에서 물 증기만 생성되므로 이 차량은 매우 친환경적이다. 수소 탱크는 지붕에 위치해 있어 차량 높이가 3.68m로 증가했다. 유럽 최초의 연료 전지 버스로 2002년에 개발되어 2006년까지 생산되었다. 2007년 말 현재 36대가 영업 실증 운행에 투입되었다.
2003년부터 CUTE (유럽을 위한 청정 도시 교통) 프로젝트 및 ECTOS (환경 친화형 도시 교통 시스템) 프로젝트 참가 차량으로 실증 운행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도 실증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2023년 6월에 양산이 시작된 수소 연료 전지 버스로, 차량 디자인 및 크기는 전기 버스 "eCitaro"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87]. 차량에 탑재되는 FC 모듈은 토요타 자동차 산하 Toyota Motor Europe이 공급하며, 최대 출력 60kW의 전력을 생성한다[88].
; eCitaro fuel cell
: 표준 모델의 2축 차량. 2도어 또는 3도어.
:* 전장 : 12.135m
:* 전고 : 3.4m
:* 중량 : 20t
:* 좌석 정원 : 26 - 29명
:* 연료 전지 : 98kWh×3기
:* 수소 탱크 총 용량 : 25kg
; eCitaroG fuel cell
: 2량 차체 굴절 버스로, 선두 차량이 앞뒤 2축, 후부 차량이 뒤 1축. 후부 차량에 전동기를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다. 3도어 또는 4도어.
:* 전장 : 18.125m
:* 전고 : 3.4m
:* 중량 : 30t
:* 좌석 정원 : 41명
:* 연료 전지 : 98kWh×4기
:* 수소 탱크 총 용량 : 30kg/35kg
### 하이브리드 전기 버전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G 블루텍 하이브리드는 직렬 하이브리드 방식의 굴절버스다. 450kg의 소형 4기통 4.8리터 160kW 유로 4 OM-924LA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지붕에 장착된 19.4kWh 리튬 이온 배터리 팩에 전력을 공급하고, 차체 중앙 및 후방 차축에 4개의 80kW 전기 휠 허브 모터를 장착했다. (일반 버스 디젤 엔진의 경우: 6기통, 12리터, 1,000kg) 배터리 팩은 회생 제동으로도 충전된다. 제조사는 기존 디젤 시타로보다 연료 소비량이 20% 낮을 것으로 예상한다.
다임러는 ''블루텍 하이브리드'' 모델을 2세대 시타로로 업그레이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신 2017년, 마일드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을 사용하는 시타로(디젤) 및 NGT의 '''시타로 하이브리드''' 모델을 출시했다.
연료 전지 버스 (O530BZ)의 후속 모델로서, 2009년 11월 함부르크에서 프로토타입이 발표되었으며, 2011년에 1호차가 납품되었다.
### 배터리 버전 / eCitaro
2015년부터 아헨 교통은 배터리 구동식 시타로 굴절 버스를 정기 운행 시험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차량은 2014년에 하이브리드 버스에서 배터리 버스로 개조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완전 전기 구동 방식의 시타로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했으며, 2018년 9월 하노버에서 열린 IAA 상용차 박람회에서 '''eCitaro'''로 출시되었다.[14][15] 2018년 11월 15일, 첫 번째 eCitaro 시리즈가 첫 번째 고객인 호흐반 AG(Hochbahn AG)에게 인도되었다.
2023년에는 토요타 수소 연료 전지 주행 거리 연장기가 장착된 버전이 제공될 예정이며,[21] 2024년 9월 15일, 메르세데스-벤츠는 하노버에서 열린 IAA 상용차 박람회에서 더 짧은 10.63미터 버전을 출시했다. eCitaro K라고 불리는 이 버스는 4,398mm 휠베이스와 17.28미터 회전 반경을 특징으로 하여 혼잡한 도시 노선에 적합하다.
### 가선 버전
EvoBus는 자체적으로 트롤리버스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헝가리 도시 세게드의 운송 회사들은 2006년에서 2010년 사이에 중고 시타로 솔로 차량 6대를 트롤리버스로 개조했다. 2012년에는 폴란드 그디니아에서도 두 대의 시타로 트롤리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3. 1. 도시형 모델 (현재)
현재 생산되는 시타로의 도시형 모델은 다양한 버전으로 제공된다.- O530 디젤: 일반적인 일반 버스 모델로, 길이는 12m, 2축이며 수평 또는 수직 엔진을 사용한다.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으며, 좌측 통행 국가에서는 앞문만 있는 경우도 있다.
- O530 eCitaro/전기 배터리: 완전 전기 구동 방식의 일반 버스 모델이다. 길이는 12m, 2축이며,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일반 버스 모델로, 길이는 12m, 2축이며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NGT: 천연 가스 구동 방식의 일반 버스 모델이다. 길이는 12m, 2축이며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NGT 하이브리드: 천연 가스-전기 구동 방식의 일반 버스 모델로, 길이는 12m, 2축이며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G 디젤: 굴절 버스 모델로, 길이는 18m, 3축이며 수평 또는 수직 엔진을 사용한다. 3개 또는 4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으며, 좌측 통행 국가에서는 2개의 출입문만 있는 경우도 있다.
- O530 G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굴절 버스 모델로, 길이는 18m, 3축이며 3개 또는 4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G NGT: 천연 가스 구동 방식의 굴절 버스 모델이다. 길이는 18m, 3축이며 3개 또는 4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GL: 굴절 버스 (장축) 모델 (카파시티)로, 길이는 19.5m, 4축이며 3개 또는 4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GL II: 굴절 버스 (장축) 모델 (카파시티 L)로, 길이는 21.0m, 4축이며 4개 또는 5개의 출입문(메트로 패키지)을 갖추고 있다.
- O530 K 디젤: 미니버스 모델로, 길이는 10.5m, 2축이며 수평 또는 수직 엔진을 사용한다.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K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미니버스 모델로, 길이는 10.5m, 2축이며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 O530 LE 디젤: 로우 엔트리 일반 버스 모델로, 길이는 12m, 2축이며 수평 엔진을 사용한다.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세 번째 출입문은 단일 출입문으로만 제공)
- O530 LE 하이브리드: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로우 엔트리 일반 버스 모델로, 길이는 12m, 2축이며 2개 또는 3개의 출입문을 갖추고 있다. (세 번째 출입문은 단일 출입문으로만 제공)
- O530 CNG: 천연 가스 구동 모델, 길이 12m, 2축, 2개 또는 3개의 문 (O530 NGT로 이름 변경)
- O530 G CNG: 천연 가스 구동 굴절 버스, 길이 18m, 3축, 3개 또는 4개의 문 (O530 G NGT로 이름 변경)
- O530 FuelCell Hybrid: 수소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구동, 길이 12m, 2축, 3개의 문
- O530 G BlueTec Hybrid: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구동 굴절 버스, 길이 18m, 3축, 3개 또는 4개의 문
- O530 L: 일반 버스 (롱), 길이 15m, 3축, 2개 또는 3개의 문
다음은 각 모델별 세부 정보이다.
; 시타로(O530)
: 표준 모델의 2축 차량으로, 2도어 또는 3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2.135m
:* 전고: 3.12m
:* 중량: 19t
:* 좌석 정원: 28 - 40명
; 시타로 K(O530K)
: 2006년에 추가 설정된 숏 보디의 2축 차량이며, 2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0.633m
:* 전고: 3.12m
:* 중량: 19t
:* 좌석 정원: 26명
; 시타로 G(O530G)
: 2량 차체의 굴절 버스로, 선두 차량이 전후 2축, 후부 차량이 후 1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부 차량에 엔진을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며, 3도어 또는 4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8.125m
:* 전고: 3.12m
:* 중량: 28t
:* 좌석 정원: 40 - 46명
; 시타로 GL "캐퍼시티/캐퍼시티 L"(O530GL/O530GLⅡ)
: 2량 차체의 굴절 버스로, 선두 차량이 전후 2축, 후부 차량이 후 2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부 차량에 엔진을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며, 4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9.725 - 20.995m
:* 전고: 3.095m
:* 중량: 32t
:* 좌석 정원: 37 - 45명
; 시타로 L(O530L)
: 롱 보디의 3축 차량으로, 2도어 또는 3도어로 제공된다.
:* 전장: 14.995m
:* 전고: 3m
:* 중량: 불명
:* 좌석 정원: 42 - 46명
3. 1. 1. O530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디젤 모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엔진: 메르세데스-벤츠 OM 457 hLA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 이 엔진은 수직 6기통이며, 터보차저와 인터쿨러를 장착했다.
- 배기 가스: 유로 3, 유로 4, 유로 5 배기가스 기준을 충족하는 다양한 엔진 버전을 제공한다.
- 변속기: ZF 또는 Voith 자동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다.
- 차체: 저상 설계를 채택하여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높였다.
- 좌석: 다양한 좌석 배치 옵션을 제공하며, 도시형 및 교외형 모델에 따라 좌석 구성이 달라진다.
- 기타 특징: ABS, ASR 등의 안전 장치를 기본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에어컨, 히터 등의 편의 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O530 디젤 모델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뛰어난 내구성과 연비 효율성을 바탕으로 많은 운송 사업자들에게 선호받았다.
3. 1. 2. O530 eCitaro/전기 배터리
그로스-슈바인바르트 (오스트리아)에서 채용된 사례]]2018년 7월에 신제품으로 발표된 전기 버스로, 같은 해 11월에 독일 함부르크 시의 도시 버스를 운영하는 함부르크 고가 철도(HHA)에 양산 1호차를 납차했다[83]. 이후 차량의 양산이 진행되어 독일 국내를 비롯하여 헝가리나 스위스 등 유럽 각국에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시타로와는 프론트 디자인이 다른 것이 특징이며, 88명의 승차가 가능하고, 충전은 차량에 탑재된 팬터그래프 또는 전기 플러그에 연결하여 수행한다[84][85]. 발매 당초에는 12m의 표준 모델만 있었지만, 후에 18m의 굴절 버스도 추가되었으며, 2024년에는 전장 10m의 쇼트 보디가 추가되었다[86].
; eCitaro
: 표준 모델의 2축 차량. 2도어 또는 3도어.
:* 전장 : 12.135m
:* 전고 : 3.4m
:* 중량 : 20t
:* 좌석 정원 : 26 - 29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 eCitaro K
: 2024년에 추가 설정된 쇼트 보디의 2축 차량. 2도어.
:* 전장 : 10.633m
:* 전고 : 3.4m
:* 중량 : 19.5t
:* 좌석 정원 : 24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 eCitaro G
: 2개의 차체로 이루어진 굴절 버스로, 선두 차량이 전후 2축, 후부 차량이 후 1축. 후부 차량에 전동기를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다. 3도어 또는 4도어.
:* 전장 : 18.125m
:* 전고 : 3.4m
:* 중량 : 30t
:* 좌석 정원 : 41 - 45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3. 1. 3. O530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모델은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를 결합하여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차량이다. 이 모델은 일반적으로 기존 디젤 모델에 비해 연비가 향상되었으며, 정차 및 출발 시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소음 감소 효과를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브레이크 에너지 회생 기능을 포함하여 감속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하고, 이를 가속 시 보조 동력으로 활용한다.3. 1. 4. O530 NGT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NGT는 천연 가스 구동 모델이다. 이 차량은 압축 천연 가스(CNG)를 연료로 사용하며,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O530 NGT는 차체 지붕에 CNG 탱크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탱크는 고압의 천연 가스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엔진에 공급한다. 천연 가스 엔진은 일반적인 디젤 엔진에 비해 질소 산화물(NOx)과 미세 먼지 배출량이 현저히 적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O530 NGT는 정숙성이 뛰어나 도심 지역 운행에 적합하다. 천연 가스 엔진은 디젤 엔진보다 소음이 적고 진동이 덜해 승객과 운전자 모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 가스 버스가 대기 질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O530 NGT와 유사한 모델들이 주요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가스 버스는 특히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시기에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3. 1. 5. O530 NGT 하이브리드
천연 가스-전기 하이브리드 구동 모델인 O530 NGT 하이브리드는 기존의 천연 가스 구동 장치와 직렬 하이브리드 모듈을 결합했다. 벤츠는 이 모델을 통해 배출가스를 더욱 줄이고자 했다.3. 1. 6. O530 G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 디젤 모델은 굴절 버스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 모델은 다양한 좌석 배치와 도어 구성을 통해 승객 수용 능력을 극대화했으며,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여 승객들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O530 G는 도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운행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특히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데 적합하다. 이 차량은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환경 친화적인 기술과 효율적인 연료 소비를 통해 지속 가능한 운송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3. 1. 7. O530 G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굴절 버스 버전도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드라이브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O 530 G BlueTec 하이브리드로 지정된다. 이 차량에는 차축에 통합된 허브 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2008년 초에 첫 번째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졌다.
- 2008년 후반에 함부르크에서 첫 번째 차량이 사용되었다.
- 2009년부터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
- 시타로 G BlueTec 하이브리드는 2009년에 "올해의 하이브리드 버스" 상을 받았다.
차량에는 유로 4 배출 기준을 충족하는 160kW 디젤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지붕에 설치되어 있다.
3. 1. 8. O530 G NGT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 NGT는 천연 가스 구동 방식의 굴절 버스 모델이다. 이 모델은 압축 천연 가스(CNG)를 연료로 사용하며,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NGT는 "Natural Gas Technology"의 약자로, 메르세데스-벤츠의 천연 가스 기술을 의미한다.이 모델은 주로 유럽의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운영되며, 특히 환경 규제가 엄격한 도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천연 가스 버스는 디젤 버스에 비해 질소 산화물(NOx)과 미세 먼지 배출량이 적어 대기 질 개선에 기여한다. 또한, 운행 소음도 적어 도심 지역의 소음 공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O530 G NGT는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시리즈의 다른 모델과 마찬가지로 넓은 실내 공간과 승객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굴절 버스 특유의 넓은 공간은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하며, 좌석 배치와 안전 장비는 승객의 편안함과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엔진은 일반적으로 메르세데스-벤츠에서 자체 생산한 천연 가스 엔진을 사용하며, 자동 변속기와 결합되어 부드러운 주행 성능을 제공한다. 차체는 고강도 강철로 제작되어 안전성을 높였으며,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운행에도 적합하다.
O530 G NGT는 환경 친화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도시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로, 지속 가능한 교통 솔루션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3. 1. 9. O530 GL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L은 시타로 모델의 굴절 버스 버전이다. 전장은 18미터에 달하며, 대량 수송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굴절 버스 특유의 넓은 실내 공간은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특히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O530 GL 모델은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하여 운행 환경 및 운영 요구사항에 맞춰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승객의 편안함을 고려한 좌석 배치와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안전 기능으로는 ABS(Anti-lock Braking System, 잠김 방지 제동 장치), ASR(Acceleration Slip Regulation, 구동 미끄럼 방지 장치)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사고 예방에 힘썼다. 이러한 안전 기술들은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돕고, 승객들에게도 안전한 이동 환경을 제공한다.
3. 1. 10. O530 GL II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L II는 굴절 버스 모델이다. 이 모델은 시타로 II 시리즈의 일부로, 긴 차체와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한다. 주로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O530 GL II는 낮은 바닥 설계를 채택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며, 특히 교통 약자를 위한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넓은 창문과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승객에게 편안한 이동 경험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좌석 배치와 추가 장비를 선택할 수 있어 운영 요구 사항에 맞춰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르세데스-벤츠의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안전성과 효율성이 높다.
O530 GL II는 유럽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3. 1. 11. O530 K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K는 시타로 시리즈의 미니버스 모델이다. 이 모델은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좁은 도로와 혼잡한 도심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전반적으로 시타로 시리즈의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크기를 줄여 기동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3. 1. 12. O530 K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3. 1. 13. O530 LE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디젤은 로우 엔트리(Low Entry) 일반 버스 모델이다. 이 차량은 승객들이 더 쉽고 빠르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교통 약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로우 엔트리 디자인은 버스 앞부분에 계단이 없는 낮은 바닥을 적용하여 승객의 접근성을 높인다.O530 LE 디젤 모델은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강력한 성능과 효율적인 연비를 제공한다. 이 엔진은 배기가스 배출 기준을 충족하며, 환경 보호에도 기여한다. 또한, 자동 변속기를 장착하여 운전 편의성을 높였다.
차량 내부는 넓고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며, 편안한 좌석과 함께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승객들은 안전하고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O530 LE 디젤 모델은 도시와 농촌 지역 모두에서 효율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3. 1. 14. O530 LE 하이브리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하이브리드는 로우 엔트리(Low Entry) 방식의 일반 버스 모델로,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시스템은 연료 소비를 줄이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켜 환경 친화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3. 2. 교외/도시 간 모델 (현재)
교외/도시 간 모델도 생산되며, 앞문이 하나이고 모든 좌석이 플랫폼에 설치되어 있다.- O530 GÜ: 굴절 버스, 길이 18m, 3축, 3개 출입문
- O530 LE Ü: 로우 엔트리 솔로 버스, 길이 12m, 2축, 2개 출입문
- O530 LE MÜ: 로우 엔트리 (중간 길이), 길이 13m, 2축, 2개 또는 3개 출입문 (3번째 출입문은 단일 출입문으로만 제공)
- O530 Ü 디젤: 솔로 버스, 길이 12m, 2축, 2개 출입문
- O530 하이브리드 Ü: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솔로 버스, 길이 12m, 2축, 2개 출입문
- O530 MÜ: 솔로 버스 (중형), 길이 13m, 2축, 2도어
- O530 LÜ: 솔로 버스 (장형), 길이 15m, 3축, 2 또는 3도어
; 시타로Ü (O530Ü)
: 전장 12m급의 2축 차량이다.
; 시타로MÜ (O530MÜ)
: 전장 13m급의 2축 차량이다.
; 시타로GÜ (O530GÜ)
: 앞 2축/뒤 1축의 굴절 버스이다.
; 시타로LÜ (O530LÜ)
: 전장 15m급의 롱 보디 3축 차량이다.
3. 2. 1. O530 GÜ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GÜ 모델은 굴절버스로, 3개의 차축을 가지고 있다. 차량 길이는 18m이며, 3도어 또는 4도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좌석수는 약 50석이며, 총 승객 정원은 약 160명이다. 이 모델은 도시 내 대량 수송에 적합하다.3. 2. 2. O530 LE Ü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Ü는 로우 엔트리(Low Entry) 형태의 솔로 버스 모델이다. 이 차량은 전반부는 일반 시타로와 동일한 고상 바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후반부는 저상 바닥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휠체어 이용객이나 거동이 불편한 승객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로우 엔트리 구조는 차량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여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O530 LE Ü 모델은 다양한 엔진 옵션을 제공하여 운행 환경과 목적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이 많이 사용되지만, 친환경적인 CNG(압축 천연 가스) 엔진이나 하이브리드 엔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좌석 배치와 내부 디자인 옵션을 제공하여 운송 사업자의 요구에 맞춘 맞춤형 차량 제작이 가능하다.
이 모델은 주로 도시나 교외 지역의 대중교통 노선에서 운행되며, 승객 수송 효율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유럽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며, 한국에서도 일부 도시에서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3. 2. 3. O530 LE MÜ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LE MÜ 모델은 로우 엔트리 설계를 채택하여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높였다. 중간 길이 모델로서 도심 및 교외 노선에서 균형 잡힌 성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좌석 배치와 실내 디자인 옵션을 통해 운송 사업자의 요구에 맞춘 맞춤형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이 모델은 최신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는 친환경 엔진을 탑재하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고 있다.3. 2. 4. O530 Ü 디젤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Ü는 2도어 또는 3도어 구성으로 제공되는 솔로 버스 디젤 모델이다. 이 모델은 수직으로 장착된 메르세데스-벤츠 OM 457 hLA 디젤 엔진을 사용하며, 엔진 출력은 160kW에서 220kW까지 다양하다. 변속기는 ZF 또는 Voith에서 공급받는다.3. 2. 5. O530 하이브리드 Ü
디젤-전기 구동 방식의 솔로 버스 모델인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O530 하이브리드 Ü는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를 결합하여 구동된다. 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연료 소비를 줄이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이 모델은 교통량이 많은 도심 지역에서 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O530 하이브리드 Ü는 기존의 시타로 모델과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지만,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탑재되어 있다. 차량의 지붕에는 배터리 팩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젤 엔진은 필요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모델은 회생 제동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 버스가 감속할 때, 전기 모터는 발전기 역할을 하여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배터리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에너지는 버스가 다시 가속할 때 사용되어 연료 소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O530 하이브리드 Ü는 대중교통 운영자들에게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대안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기술은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 규제를 준수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전기 모터의 사용은 소음 감소에도 기여하여 승객과 주변 환경에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한다.
3. 3. 단종 모델
3. 3. 1. 도시형
단종된 도시형 모델은 다음과 같다.- O530 CNG: 천연 가스를 동력으로 사용하며, 길이는 12m, 2축이고, 문은 2개 또는 3개이다. 이후 O530 NG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O530 G CNG: 천연 가스 구동 굴절 버스로, 길이는 18m, 3축이며, 문은 3개 또는 4개이다. O530 G NG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O530 FuelCell Hybrid: 수소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이며, 길이는 12m, 2축, 문은 3개이다.
- O530 G BlueTec Hybrid: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구동 굴절 버스로, 길이는 18m, 3축, 문은 3개 또는 4개이다.
- O530 L: 일반 버스 (롱바디) 모델로, 길이는 15m, 3축이며, 문은 2개 또는 3개이다.
3. 3. 2. 교외/도시 간
O530 MÜ는 전장이 13m인 2축 2도어의 중형 솔로 버스 모델이다. O530 LÜ는 전장이 15m인 3축의 장형 솔로 버스로, 2도어 또는 3도어 옵션을 제공한다.3. 4. 사양
운송 사업자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전면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표준 디자인은 경사진 행선 표시기를 특징으로 하며, 도시 버스에 주로 사용되는 루프 돔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반면, 행선 표시기를 덮는 일체형 앞 유리를 갖춘 버전도 있으며, 이는 주로 도시 간 노선에 사용된다. 하지만 모든 모델에서 두 가지 버전 모두 선택 가능하다.
2세대 시타로가 도입되면서, 전면 행선 표시기가 약간 커졌으며, 차량 지붕에서 약간 튀어나온 형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메르세데스-벤츠는 행선 표시기 양쪽에 작은 페어링을 설계했다. 이 페어링은 모든 모델에 기본으로 제공된다. 이후, 유로 VI 버전이 도입된 후, 엔진룸의 구조가 완전히 변경되면서, 후면 행선 표시기도 확대되었고, 페어링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는, 도시형 또는 도시 간 노선형에 관계없이, 페어링이 없는 전면 표시기를 주문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 외에도 문 개수와 유형, 실내 레이아웃 등 다양한 맞춤형 설정을 제공한다. 두 가지 유형의 좌석이 표준으로 제공되며, 도시형에는 기본 모델, 장거리 노선에는 향상된 버전이 제공되지만, 두 가지 모두 모든 모델에서 선택 가능하다.
일반적인 디젤 엔진 외에도, 시타로는 222kW의 강력한 유로 VI 압축 천연 가스 엔진 M936G를 장착할 수 있다. 이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새로운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옵션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연료 절감과 배출량 감소에 기여한다.[7]
3가지 종류의 엔진이 제공되며, 모두 수평형 (직렬 6기통)이며 유럽의 배출가스 규제 유로 3 기준을 충족한다. 유로 4 대응 버전은 요소수 SCR을 채용한다.
- OM906hLA (배기량 6,374cc, 최고 출력 231마력・245마력・279마력 (170, 180 또는 205kW))
- OM457hLA (배기량 11,967cc, 최고 출력 252마력・299마력・354마력 (185, 220 또는 260kW))
- M447hLAG (배기량 11,967cc, 최고 출력 252마력・326마력 (185kW 또는 240kW), CNG 엔진)
2005년부터는 유로 5 규제에, 2011년 (일본 시장용은 2016년)부터는 유로 6 규제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AT는 ZF ECOMAT (5단 또는 6단), 포이트 (4단)가 제공된다.
3. 5. 비표준 차체
독일의 하노버에 있는 위스트라(üstra)와 LVB(Leipziger Verkehrsbetriebe)가 엑스포 2000을 위해 제임스 어바인이 특별히 디자인한 차체를 적용한 시타로 차량을 특별 주문 방식으로 인도받았다. 라이프치히의 차량은 박람회 기간 동안 하노버에 대여되었지만, 이후 다시 라이프치히로 반환되어 정상 운행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에서 제작한 다른 모든 시타로는 표준 디자인이었지만, 일부 섀시는 스위스의 헤스와 같은 독립적인 제조업체에서 제작했다. 하지만 시타로는 최근에는 완성차 형태로만 판매되고 있다.
2007년, 헝가리 세게드의 버스 운영업체 SZKT의 정비 공장에서 일반 시타로를 전기 버스로 개조했다. 2010년 4월 현재 5대의 버스가 전기 버스로 운행 중이며, 가까운 시일 내에 더 많은 차량이 준비될 예정이다.[8]
2009년, 두바이 응급 서비스 센터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구급차로 개조된 3대의 시타로 차량을 인도받았다.
2010년, 프랑스 도시 렌은 도시형으로 13m 길이의 더 긴 버전인 '''시타로 M'''을 주문했다. 이 차량은 세트라 S416NF의 섀시를 기반으로 15대가 제작되었다.
독일 하노버와 루트비히스하펜에서는 시타로를 개조한 대형 구급차가 일부 소방서에 도입되었다. 현지에서는 레스큐 버스(독일어: Großrettungswagen, 약칭: GRTW)라고 불리며, 생명에 관계된 중증 환자를 이송하기 위해 의사가 동승하는 응급 의사 차량용 구급 차량으로, 주로 대도시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2020년 4월에는 독일 국내에서의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스트레처와 인공호흡기를 4대 탑재한 감염 환자 수송용으로 개조된 대형 구급차가 독일 적십자사에 도입되었다[103]。
3. 6. 수소 연료 전지 버전
버스월드 유럽 2023 전시 차량]]2023년 6월에 양산이 시작된 수소 연료 전지 버스로, 차량 디자인 및 크기는 전기 버스 "eCitaro"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87]. 차량에 탑재되는 FC 모듈은 토요타 자동차 산하 Toyota Motor Europe이 공급하며, 최대 출력 60kW의 전력을 생성한다[88].
; eCitaro fuel cell
: 표준 모델의 2축 차량. 2도어 또는 3도어.
:* 전장 : 12.135m
:* 전고 : 3.4m
:* 중량 : 20t
:* 좌석 정원 : 26 - 29명
:* 연료 전지 : 98kWh×3기
:* 수소 탱크 총 용량 : 25kg
; eCitaroG fuel cell
: 2량 차체 굴절 버스로, 선두 차량이 앞뒤 2축, 후부 차량이 뒤 1축. 후부 차량에 전동기를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다. 3도어 또는 4도어.
:* 전장 : 18.125m
:* 전고 : 3.4m
:* 중량 : 30t
:* 좌석 정원 : 41명
:* 연료 전지 : 98kWh×4기
:* 수소 탱크 총 용량 : 30kg/35kg
3. 7. 하이브리드 전기 버전
하노버 메세 2012 전시 차량]]연료 전지 버스 (O530BZ)의 후속 모델로서, 2009년 11월 함부르크에서 프로토타입이 발표되었으며, 2011년에 1호차가 납품되었다.
- 전장: 11.95m
- 전고: 3.496m
- 중량: 13.2t (차량 총 중량 18t)
- 좌석 정원: 불명 (입석 포함 76명)
- 연료 전지: 60kW × 2기
- 전동기: 80kW × 2기
- 수소 탱크 총 용량: 35kg
3. 8. 배터리 버전 / eCitaro
2015년부터 아헨 교통은 배터리 구동식 시타로 굴절 버스를 정기 운행 시험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차량은 2014년에 하이브리드 버스에서 배터리 버스로 개조되었다. 모든 디젤 부품을 제거하고 총 용량이 약 180kWh인 1300개의 견인 배터리를 설치했다. 차축 하중은 변경되지 않았다. 이 차량에는 60kW의 연속 출력을 내는 4개의 휠 허브 모터가 두 번째 및 세 번째 차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50 km 이상의 주행 거리를 가지고 있다. 이 개조는 EU 프로젝트인 시비타스(Civitas, 도시의 더 깨끗하고 더 나은 교통)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아헨 교통 협회가 75%를 지원했다. 하드웨어(예: 배터리) 비용은 약 70만 유로였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완전 전기 구동 방식의 시타로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했다. 이 버스는 모듈식 배터리 팩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시타로 G BlueTec 하이브리드와 동일한 전기 휠 허브 모터를 사용한다. 2018년 9월 하노버에서 열린 IAA 상용차 박람회에서 '''eCitaro'''로 출시되었다.[14][15] 다임러의 "Future Bus" 컨셉에서 채택된 전면부를 갖춘 표준 시타로의 수정된 차체를 사용한다. 처음에는 12m 솔로 버스로 출시되었고, 이후 '''eCitaro G'''로도 알려진 굴절형 18m 버전의 eCitaro가 추가로 제공되었다.
2018년 11월 15일, 첫 번째 eCitaro 시리즈가 첫 번째 고객인 호흐반 AG(Hochbahn AG), 총 20대에게 인도되었다. 2019년에는 라인-네카어-페어케어스 GmbH(RNV), 베를리너 페어케어스베트리베(BVG), 주거랜드 페어케어스베트리베 (ZVB), 버스 오스트슈바이츠(BOS)를 포함한 더 많은 고객들이 eCitaro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함부르크-홀슈타인 교통(VHH)의 16대, 비스바덴의 ESWE 페어케어스게젤샤프트 mbH의 56대, 하노버의 위스트라(ÜSTRA)의 48대 주문이 이어졌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또한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스웨덴을 포함한 해외에서도 주문을 받았다. 또한 eCitaro는 2019년 2월 11일 스페인에서 올해의 시티 버스로 선정되었다.[16] 2021년에는 헝가리 국영 버스 운영업체인 볼란부스(Volánbusz)가 eCitaro 40대를 주문했으며,[17] 2023년에는 트랜스데브 블레이즈필드(Transdev Blazefield)가 해로게이트 버스 컴퍼니(Harrogate Bus Company) 및 케이글리 버스 컴퍼니(Keighley Bus Company) 자회사에 35대의 eCitaro를 주문했으며,[18][19] 이 중 처음 20대는 2024년 11월에 전자에 의해 운행을 시작했다.[20]
2023년에는 토요타 수소 연료 전지 주행 거리 연장기가 장착된 버전이 제공될 예정이며,[21] 배터리 전기 모델의 280 km에 비해 최대 400 km의 주행 거리를 제공한다.[22][23]
2024년 9월 15일, 메르세데스-벤츠는 하노버에서 열린 IAA 상용차 박람회에서 더 짧은 10.63미터 버전을 출시했다. eCitaro K라고 불리는 이 버스는 4,398mm 휠베이스와 17.28미터 회전 반경을 특징으로 하여 혼잡한 도시 노선에 적합하다. eCitaro K는 결합된 용량이 491kWh인 5개의 고전압 배터리 팩으로 구동되며 최적의 조건에서 300km의 주행 거리를 제공한다.[24]
2018년 7월에 신제품으로 발표된 전기 버스로, 같은 해 11월에 독일 함부르크 시의 도시 버스를 운영하는 함부르크 고가 철도(HHA)에 양산 1호차를 납차했다[83]. 이후 차량의 양산이 진행되어 독일 국내를 비롯하여 헝가리나 스위스 등 유럽 각국에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시타로와는 프론트 디자인이 다른 것이 특징이며, 88명의 승차가 가능하고, 충전은 차량에 탑재된 팬터그래프 또는 전기 플러그에 연결하여 수행한다[84][85]. 발매 당초에는 12m의 표준 모델만 있었지만, 후에 18m의 굴절 버스도 추가되었으며, 2024년에는 전장 10m의 쇼트 보디가 추가되었다[86].
; eCitaro
: 표준 모델의 2축 차량. 2도어 또는 3도어.
:* 전장 : 12.135m
:* 전고 : 3.4m
:* 중량 : 20t
:* 좌석 정원 : 26 - 29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 eCitaro K
: 2024년에 추가 설정된 쇼트 보디의 2축 차량. 2도어.
:* 전장 : 10.633m
:* 전고 : 3.4m
:* 중량 : 19.5t
:* 좌석 정원 : 24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 eCitaro G
: 2개의 차체로 이루어진 굴절 버스로, 선두 차량이 전후 2축, 후부 차량이 후 1축. 후부 차량에 전동기를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다. 3도어 또는 4도어.
:* 전장 : 18.125m
:* 전고 : 3.4m
:* 중량 : 30t
:* 좌석 정원 : 41 - 45명
:* 배터리 : 198kWh/264kWh/330kWh/396kWh
2023년 6월에 양산이 시작된 수소 연료 전지 버스로, 차량 디자인 및 크기는 전기 버스 "eCitaro"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87]. 차량에 탑재되는 FC 모듈은 토요타 자동차 산하 Toyota Motor Europe이 공급하며, 최대 출력 60kW의 전력을 생성한다[88].
; eCitaro fuel cell
: 표준 모델의 2축 차량. 2도어 또는 3도어.
:* 전장 : 12.135m
:* 전고 : 3.4m
:* 중량 : 20t
:* 좌석 정원 : 26 - 29명
:* 연료 전지 : 98kWh×3기
:* 수소 탱크 총 용량 : 25kg
; eCitaroG fuel cell
: 2량 차체 굴절 버스로, 선두 차량이 앞뒤 2축, 후부 차량이 뒤 1축. 후부 차량에 전동기를 탑재하는 푸셔 방식이다. 3도어 또는 4도어.
:* 전장 : 18.125m
:* 전고 : 3.4m
:* 중량 : 30t
:* 좌석 정원 : 41명
:* 연료 전지 : 98kWh×4기
:* 수소 탱크 총 용량 : 30kg/35kg
3. 9. 가선 버전
EvoBus는 자체적으로 트롤리버스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헝가리 도시 세게드의 운송 회사들은 2006년에서 2010년 사이에 중고 시타로 솔로 차량 6대를 트롤리버스로 개조했다. 이는 예비 부품 재고를 절약하고, 동일한 디젤 버스 시리즈와 함께 표준 생산 트롤리버스에 비해 구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조치였다. 개조된 형식 지정은 O-530 Tr12이며, 6대의 차량은 T-860에서 T-865까지의 운행 번호를 사용한다.
2012년에는 폴란드 그디니아에서도 두 대의 시타로 트롤리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차량 번호 3053과 3054는 2002년에 인도된 베를린의 중고 디젤 버스를 개조한 것이다.
4. CapaCity
메르세데스-벤츠 CapaCity(O530 GL)는 2007년에 출시된 시타로 G를 기반으로 한 대형 굴절 버스이다.
1세대 CapaCity는 길이가 19.54m이며 최대 186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4축의 능동적으로 조향되는 전자 유압 장치 덕분에, 더 짧은 시타로 G(길이 17.94m)와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진다. 안전 기능으로는 전자 제동 시스템(EBS), 미끄럼 방지 제동 장치(ABS), 구동력 제어 장치(ASR)가 있으며, 독립 전방 서스펜션으로 승객의 편안함을 향상시켰다. 3개 및 4개의 출입문으로 제공되며, 외관이 변경된 BRT 디자인의 CapaCity도 있다. 현재 터키 이스탄불과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서 운행되고 있다.[25]
2세대 CapaCity는 2014년에 처음 선보였으며, 처음에는 긴 버전인 "CapaCity L"(21m)이 출시되었다. 이후 길이가 19.7m인 "CapaCity"가 추가되었다. 이들은 모두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모듈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새로운 기능인 "관절 턴테이블 컨트롤러"(ATC)는 잭나이프 현상을 방지한다. CapaCity L은 표준 장비로 191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고, CapaCity는 182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4개의 출입문으로 제공되지만, "Metro Package"를 사용하면 CapaCity L은 BRT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5개의 출입문으로도 제공된다. 다임러에 따르면 CapaCity L은 승객 공간당 가장 적은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 동력 도시 버스이다.[26]
4. 1. CapaCity L
메르세데스-벤츠 CapaCity(O530 GL)는 2007년 출시된 시타로 G를 기반으로 한 대형 굴절 버스다. 1세대 CapaCity는 길이 19.54m, 최대 186명 승객 수송이 가능하다. 4축의 능동 조향 전자 유압 장치 덕분에 더 짧은 시타로 G(17.94m)와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진다. 전자 제동 시스템(EBS), 미끄럼 방지 제동 장치(ABS), 구동력 제어 장치(ASR)로 안전을 확보했고, 독립 전방 서스펜션으로 승차감을 높였다. 3개 또는 4개 출입문 모델이 있으며, BRT 디자인 모델도 있다. 현재 터키 이스탄불과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서 운행 중이다.[25]
2세대 CapaCity는 2014년에 처음 공개되었는데, 처음에는 긴 버전인 "CapaCity L"(21m)이 먼저 출시되었다. 이후 19.7m 길이의 짧은 버전 "CapaCity"가 추가되었다. 이들은 모두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모듈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새로운 기능인 "관절 턴테이블 컨트롤러"(ATC)는 잭나이프 현상을 방지한다. CapaCity L은 기본적으로 191명, CapaCity는 182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기본 4개 출입문 모델 외에 "Metro Package"를 통해 BRT 서비스에 적합한 5개 출입문 모델도 제공된다. 다임러에 따르면 CapaCity L은 승객 공간당 연료 소비가 가장 적은 디젤 동력 도시 버스이다.[26]
5. Conecto
2007년에는 2세대 Conecto가 출시되었으며, 표준 12m 및 굴절 18m 버전으로 모두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3도어(솔로 버전) 및 4도어(굴절 버전)으로만 제공된다. 이전 모델이 O405에서 파생된 스텝 출입구 버스(모델명 O345)와 같은 독립적인 모델 시리즈와 달리, Citaro 또는 Citaro G의 기술적으로 단순화된 버전으로, 저상형 구성과 수직 엔진을 갖추고 있다. Citaro와는 다른 외부 디자인과 실내 디자인의 작은 차이점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주로 동유럽, 중동 및 서아시아에서 판매된다. 3세대는 2018년부터 이탈리아에서도 판매되고 있다(이전에는 저상형 Conecto가 공식적으로 판매된 적이 없었다).
이전 스텝 출입구 Conecto 모델과 마찬가지로, 저상형 Conecto 역시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메르세데스-벤츠 튀르크 공장에서 생산된다.
2016년 9월, 3세대 Conecto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공개되었다. 새로운 Conecto에는 주행 안전성, 승객 편의성, 핸들링 및 유로 6 엔진과 같은 여러 개선 사항이 적용되었으며, 운영 비용은 여전히 낮게 유지된다. 높은 수준의 안전성의 예로는 솔로 버전의 전자 제어 주행 안정 시스템 (ESP)과 굴절 버전의 굴절 턴테이블 제어 장치(ATC)가 있다. 천연 가스를 사용하는 Conecto 및 Conecto G NGT도 처음으로 제공된다. 2세대와 마찬가지로, 3세대 Conecto는 3도어(솔로 버전) 및 4도어(굴절 버전)으로만 제공된다.[27] 3세대 Conecto에서는 유로 VI 규정을 준수하는 엔진만 사용 가능하다(12m에는 OM936, 18m에는 OM470, 가스 버전에는 M936G); 유로 V 규정을 준수하는 엔진(12m 모델에는 OM926LA, 18m 모델에는 OM457LA)을 장착한 2세대 Conecto는 3세대 Conecto와 함께 동유럽, 중동 및 서아시아의 특정 비EU 개발 시장에서 계속 판매되고 있다.
6. 생산
시타로는 현재 독일 만하임, 프랑스 리니-앙-바루아 공장에서 생산되며, 과거에는 스페인 사마노에서도 생산되었다.[28] 한편, 저가형 모델인 코넥토는 터키 이스탄불 바샤크셰히르에 위치한 메르세데스-벤츠 튀르크 A.Ş.에서 생산된다.
유럽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다양한 국가의 도시 및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독일: 시타로의 본고장인 독일에서는 베를린과 함부르크 같은 대도시를 포함한 수많은 도시와 지역에서 다양한 모델의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 특히 베를린과 함부르크에서는 시타로가 도시의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 잡았다. 다양한 사양의 시타로가 사용되며, 여기에는 디젤, CNG, 하이브리드, 전기 모델이 포함된다. 베를린 교통공사(BVG)는 2018년 5월 총 950대의 새로운 시타로를 주문했으며, 함부르크 고속철도는 1997년부터 시타로를 운행해 왔고, 현재까지 1000대 이상을 주문했다.[31] 도이치반의 자회사인 DB 슈타트페어케어 GmbH 또한 다수의 시타로 또는 시타로 G를 운행하고 있다.
프랑스: 프랑스에서도 시타로는 널리 사용되며, 파리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시타로를 운행한다. 특히 Île-de-France 지역에서 그 수가 많다. 프랑스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LE 모델이 인기가 있는데, 이는 도시와 지역 간 노선 모두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RATP 버스 네트워크는 426대의 시타로를 운행하고 있다.[64]
영국: 런던을 중심으로 영국에서 시타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런던의 상징인 빨간색 2층 버스 외에도 시타로는 1층 버스로 운행되며 도시의 다양한 노선을 담당한다. 영국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K와 같은 소형 모델도 사용된다.
스페인: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를 포함한 스페인의 여러 도시에서 시타로를 찾아볼 수 있다. 이 도시들은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시타로를 선택했다. 스페인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Ü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도시 간 노선에 적합하다. 2016년 마드리드 시립 교통공사(EMT Madrid)는 시타로 NGT로 알려진 시타로의 천연 가스 버전 82대를 주문했다.
이탈리아: 로마와 밀라노 등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에서도 시타로가 운행된다. 이탈리아의 좁은 도로와 역사적인 도시 환경은 시타로와 같은 현대적인 버스를 필요로 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G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높은 승객 수송 능력이 요구되는 노선에 적합하다. ATAC는 2021년 6월에 운행을 시작한 100대의 새로운 시타로 C2 하이브리드 12m 버스를 도입했다.[42] 밀라노는 2008년 말에 112대의 시타로 G 굴절 버스를 인도받았다.[43][44] 나폴리는 44대의 가스 동력 시타로 페이스리프트 CNG 12m 버스를 인도받았다.
동유럽: 폴란드, 헝가리, 체코와 같은 동유럽 국가에서도 시타로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국가들은 대중교통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유럽 연합의 환경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시타로를 도입했다. 동유럽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LE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도시와 지역 간 노선 모두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VT-Arriva는 2013년 부다페스트에서 부다페스트 교통 센터(BKK)의 운송 서비스를 위해 시타로 159대를 구매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브라티슬라바는 메르세데스-벤츠 카파시티 대형 버스 41대를 주문했다. 니트라는 28번 노선에 투입할 시타로 1대를 주문했다.
스칸디나비아: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와 같은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도 시타로를 볼 수 있다. 이 국가들은 높은 환경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시타로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 모델을 선호한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C2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최신 기술과 높은 안전 기준을 제공한다.
포르투갈: 2000년 리스본 철도 회사(Companhia de Carris de Ferro de Lisboa, CCFL)는 39대의 디젤 시타로 변형 모델을 인수했다. 같은 해 포르투 집단 운송 협회(Sociedade de Transportes Colectivos do Porto, STCP)는 75대의 차체 기반 시타로를 구입했다.
그리스: 2007년 테살로니키 지역 버스 운영업체 OASTH는 28대의 시타로 G 버스를 도입했으며, 2012년에 14대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유럽 전역에서 시타로는 효율성, 신뢰성, 환경 친화성으로 인해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다양한 모델과 사양을 통해 각 도시와 지역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다양한 국가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는 SBS 트랜짓과 SMRT 버스에서 시타로를 운행한다. SMRT 버스는 2010년에 유로 V 데몬스트레이터 차량을 시험 운행했으며,[68] SBS 트랜짓은 300대의 버스를 처음 구매했다.[69]
홍콩에서는 시티버스에서 시타로를 운행하며, 홍콩의 좁은 도로 환경에 맞춰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시타로 2세대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BS110'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으나, 현재는 단종되었다. BS110은 대한민국 저상버스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수도권 지역에서 많이 운행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Rapid Bus에서 쿠알라룸푸르를 중심으로 시타로를 운행한다.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에서는 TransJakarta에서 자카르타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노선에서 시타로 3세대를 운행한다.
중국에서는 2006년 수소 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시타로 3대가 베이징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굴절 버스 타입인 시타로 G만 도입되었으며, 가나가와 중앙 교통이 2007년 12월 시타로 G를 4대 도입한 것이 최초 도입 사례이다. 2010년에는 게이세이 버스가 기존 굴절 버스 차량(볼보・KC-B10MC 개조)을 대체하기 위해 총 15대의 시타로 G를 도입했다[97].
오세아니아에서는 주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를 찾아볼 수 있다. 호주에서는 2004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트랜스퍼스가 3대의 수소 동력 O530BZs를 시험 운행했다.[73][74]
중동 지역에서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시타로 G 모델이 대규모로 운행되고 있으며, 이스라엘의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에서도 시타로 모델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 대중교통 회사(SAPTCO)는 2017년 시타로 200대와 시타로 G 400대에 대한 주문을 했다.[79]
북아메리카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타로가 운용되고 있다. 2008년 뉴욕 시의 MTA 지역 버스 운영은 시타로 G 페이스리프트 굴절 버스를 시범 운행했다.[81]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가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대량으로 운행되지는 않지만, 칠레 산티아고에서 시타로 버스 1대가 운행되고 있다.
7. 운용 현황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전 세계 다양한 국가와 도시에서 운용되고 있다. 주로 민간 교통 사업자들이 도입했으며, 공영 교통 사업자 도입 실적은 드물다.
유럽독일에서는 함부르크 고속철도가 1997년부터 시타로를 운행하며 1,000대 이상을 주문했다.[31] 베를린 교통공사(BVG)는 2018년 5월에 950대의 시타로를 주문했으며, 2018년 11월에 첫 차량을 인도받았다. 이 차량들은 유로 VI 기준을 충족하며 낮은 연료 소비량과 배출량을 특징으로 한다. BVG는 15대의 eCitaro를 추가로 주문하여 2019년 1분기에 인도받았다.[29][30] 도이치반 자회사인 DB 슈타트페어케어 GmbH는 여러 도시에서 시타로 또는 시타로 G를 운행한다.[32]
오스트리아에서는 비엔나에서 시타로 NL 134대, 시타로 NG 227대, CapaCity NG XL 62대, eCitaro 30대가 운행 중이며, 민간 운영업체에서 운영하는 시타로도 있다. 그라츠에서는 다양한 변종 174대가, 린츠에서는 55대가 운행되고 있다.
슬로바키아의 브라티슬라바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메르세데스-벤츠 카파시티 대형 버스 41대를 주문하여 기존의 Ikarus 435와 디젤 버스 Karosa B741을 대체했다. 니트라는 28번 노선에 투입할 시타로 1대를 주문했고, 팝라드는 C2 K 버전 16대, O 530 2대, C2 6대를 운영한다. 2022년 블라구스 슬로바키아는 빈 시립 교통국(Wiener Linien)에서 루좀베로크 대중 교통을 위해 버스 5대를 구매했다.
헝가리의 VT-Arriva는 2013년 부다페스트에서 부다페스트 교통 센터(BKK)의 운송 서비스를 위해 시타로 159대를 구매했지만 2023년에 MAN NLC로 교체되었다.[33][34][35]
코넥시온(Connexxion)은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5대의 버스를 주문했으며 Capacity L 버스 33대도 추가 주문했다. RET(RET)는 2006년과 2008년에 총 166대의 시타로 버스를 주문했고, 2010년에는 하이브리드 시타로 굴절 버스 2대를 소량 주문했다. 네덜란드 동부의 신투스(Syntus)는 시타로 CNG 단일 버스 11대와 굴절 CNG 버스 22대를 주문했다. 2009년 큐버스(Qbuzz)는 390대를 주문했고, 2018년 현재 R-Net이라는 이름으로 코넥시온은 여러 대의 CapaCity L 모델을 인도받았다.[36] 2014년 큐버스는 "U-OV"라는 이름으로 위트레흐트에 138대의 버스를 추가 주문했다.
루마니아의 부쿠레슈티 자율 교통 공사(현재 STB)는 2005년과 2009년 사이 1,000대의 시타로를 구매했다.[37] 2019년 9월 STB는 130대의 시타로 하이브리드 버스를 주문하여 2020년 봄부터 인도받기 시작했다. 시타로 C2 하이브리드 버스는 브라쇼브에서도 RATBV에 의해 운행되고 있다.[38]
스페인의 마드리드 시립 교통공사(EMT Madrid)는 2016년에 시타로 NGT로 알려진 시타로의 천연 가스 버전 82대를 주문했으며, 이후 추가 주문을 통해 총 672대의 버스를 주문했다.
리스본 철도 회사(Companhia de Carris de Ferro de Lisboa, CCFL)는 2000년에 39대의 디젤 시타로 변형 모델을 인수했다. 같은 해 포르투 집단 운송 협회(Sociedade de Transportes Colectivos do Porto, STCP)는 살바도르 카에타노(Salvador Caetano) 시티골드 차체를 갖춘 75대의 시타로를 구입했다. 2004년 STCP는 CUT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3대의 시타로 연료 전지 모델을 테스트했다. 2008년부터 CCFL은 시타로 페이스리프트(Citaro G)의 관절형 변형 모델을 구매했다. 2018년 CCFL은 40대의 시타로 C2G NGT(천연 가스) 버스를 구입했다. 스코트버브(Scotturb)는 시타로 C2K 1+20대를 인수했으며, 이 중 10대는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2022년 리스본 광역권(Área Metropolitana de Lisboa, AML)은 50대의 시타로를 제공했다.
이탈리아 로마의 ATAC는 2001년에 시타로 MU 간선형 모델 183대를 주문했고, 2004년에 시타로 시내 및 교외형 모델 301대를 인도받았다.[39][40][41] ATAC는 2021년 6월에 100대의 새로운 시타로 C2 하이브리드 12m 버스를 도입했다.[42] 밀라노는 2008년 말에 112대의 시타로 G 굴절 버스를 인도받았고,[43][44] 2011년에 2대의 시타로 G 하이브리드,[45] 2012년에 3대의 시타로 수소 버스를 도입했다.[46] 나폴리는 2008년에 44대의 가스 동력 시타로 페이스리프트 CNG 버스를 인도받았고, 20대의 시타로 K C2 유로 6 버스를 추가로 받았다.[48] 시타로는 베네치아, 트리에스테, 칼리아리, 볼로냐 등 다른 도시에서도 운행된다.
그리스의 테살로니키 지역 버스 운영업체 OASTH는 2007년에 28대의 시타로 G 버스를 도입했으며, 2012년에 14대를 추가로 도입했다. 아테네와 테살로니키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여러 유럽 버스 운영업체가 소유했던 중고 시타로 버스를 임대했다.
프랑스의 파리 RATP 버스 네트워크는 426대의 시타로를 운행한다.[64]
영국에서는 런던, 버밍엄, 맨체스터 등 주요 도시에서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
아시아SMRT 버스는 2010년에 유로 V 데몬스트레이터 차량을 시험 운행했으며,[68] SBS 트랜짓은 2010년에 300대의 버스를 처음 구매했고,[69] 이후 추가 주문을 통해 2017년까지 총 1,155대의 시타로 버스를 등록했다.[70][71] 2022년 SBS 트랜짓은 국경 간 버스 노선에서 스카니아 K230UB를 대체하기 위해 여러 MAN NL323F 버스와 메르세데스-벤츠 O530 시타로 버스를 재배치했다. 2020년 3월, SBS 트랜짓은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하이브리드 차량을 SG4004B로 등록하여 도입했지만, 2021년에 메르세데스-벤츠로 반환했다.[72]
일본에서는 굴절 버스 타입인 시타로 G만 도입되었다. 2007년 12월 가나가와 중앙 교통(가나츄)이 시타로 G를 4대 도입한 것이 최초 도입 사례이다.[93][89] 2010년에는 게이세이 버스가 총 15대의 시타로 G를 도입했다.[97] 2011년 3월에는 기후 승합 자동차(기후 버스)가 2대 도입했고, 2013년 4월부터 신키 버스가 2대 도입하는 등 각지에서 도입이 확산되었다.[99] 2016년 10월에는 일본 국내용 우핸들 시타로 G 신형 모델(C2)의 출시가 발표되었다.[99] 2024년 9월 기준으로 가나가와 주오 교통이 보유한 굴절 버스 총 30대 중 24대를 시타로가 차지하고 있다.
자일대우버스에서는 시타로 2세대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BS110'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지만, 현재는 단종되었다.
2006년, 수소 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시타로 3대가 중국 베이징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65][66]
중동사우디아라비아 대중교통 회사(SAPTCO)는 2017년 5월 16일에 시타로 200대와 시타로 G 400대에 대한 주문을 했다.[79] 2009년까지 180대의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가 알 아인시에 인도되었다.[80]
오세아니아호주에서는 2004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트랜스퍼스가 3대의 수소 동력 O530BZs를 시험 운행했다.[73][74] 2016년에는 브리즈번 교통이 시타로 시범 차량을 시험 운행했다.[76][77][78]
북아메리카2008년, 뉴욕 시의 MTA 지역 버스 운영은 시타로 G 페이스리프트 굴절 버스를 시범 운행했다.[81]
라틴 아메리카칠레 산티아고에서는 2020년부터 레드 메트로폴리타나 데 모빌리다드 104번 노선에서 시타로 버스 1대가 운행되고 있다.
7. 1. 유럽
유럽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다양한 국가에서 도시 및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독일: 독일은 시타로의 본고장으로, 수많은 도시와 지역에서 다양한 모델의 시타로를 운행하고 있다. 특히 베를린과 함부르크 같은 대도시에서는 시타로가 도시의 상징적인 존재로 자리 잡았다. 다양한 사양의 시타로가 사용되며, 여기에는 디젤, CNG, 하이브리드, 전기 모델이 포함된다.
- 프랑스: 프랑스에서도 시타로는 널리 사용된다. 파리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시타로를 운행하며, 특히 Île-de-France 지역에서 그 수가 많다. 프랑스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LE 모델이 인기 있으며, 이는 도시와 지역 간 노선 모두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 영국: 영국, 특히 런던에서는 시타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런던의 상징적인 빨간색 2층 버스 외에도, 시타로는 1층 버스로도 운행되며 도시의 다양한 노선을 담당한다. 영국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K와 같은 소형 모델도 사용된다.
- 스페인: 스페인의 여러 도시, 특히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에서 시타로를 찾아볼 수 있다. 이 도시들은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시타로를 선택했다. 스페인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Ü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도시 간 노선에 적합하다.
-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 예: 로마와 밀라노에서도 시타로가 운행된다. 이탈리아의 좁은 도로와 역사적인 도시 환경은 시타로와 같은 현대적인 버스를 필요로 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G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높은 승객 수송 능력이 요구되는 노선에 적합하다.
- 동유럽: 폴란드, 헝가리, 체코와 같은 동유럽 국가에서도 시타로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국가들은 대중교통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유럽 연합의 환경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시타로를 도입했다. 동유럽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LE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도시와 지역 간 노선 모두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 스칸디나비아: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와 같은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도 시타로를 볼 수 있다. 이 국가들은 높은 환경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시타로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 모델을 선호한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시타로 외에도 시타로 C2 모델이 사용되며, 이는 최신 기술과 높은 안전 기준을 제공한다.
유럽 전역에서 시타로는 효율성, 신뢰성, 환경 친화성으로 인해 높이 평가받고 있다. 다양한 모델과 사양을 통해 시타로는 각 도시와 지역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7. 1. 1. 독일
2018년 5월, 베를린 교통공사(BVG)는 총 950대의 새로운 시타로를 주문했다. 350대는 시타로, 600대는 시타로 G였으며, 2018년 11월 20일에 첫 번째 차량이 인도되었다. 이 차량들의 엔진은 모두 유로 VI 기준을 충족하며, 낮은 연료 소비량과 배출량을 특징으로 한다. BVG는 또한 15대의 eCitaro를 추가로 주문했으며, 이 차량들은 2019년 1분기에 인도되었다.[29][30]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독일 전역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함부르크 고속철도는 1997년부터 시타로를 운행해 왔으며, 지금까지 총 1000대 이상을 주문했다.[31] 도이치반의 자회사인 DB 슈타트페어케어 GmbH는 다수의 시타로 또는 시타로 G를 운행하고 있다. 이들은 연방 주와 아헨, 뒤셀도르프, 뮌헨, 뮌스터, 슈투트가르트 등 여러 도시에서 정규 도시 및 도시간 운행에 사용된다.[32]
7. 1. 2.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인기가 높아 여러 도시에서 운행 중이다. 비엔나에서는 시타로 NL 134대, 시타로 NG 227대, CapaCity NG XL 62대, eCitaro 30대가 운행되고 있으며, 민간 운영업체에서 운영하는 추가 시타로 변종도 있다. 그라츠에서는 다양한 변종 174대가 운행되고 있으며, 린츠에서는 55대가 운행 중이다.7. 1. 3. 슬로바키아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브라티슬라바는 이전에 운행하던 Ikarus 435 및 디젤 버스 Karosa B741을 대체하기 위해 메르세데스-벤츠 카파시티 대형 버스 41대를 주문했다. 첫 번째 버스는 2008년 12월 96번 노선에 투입되었으며, 차량 번호는 1999번이었다. 2010년에는 총 25대의 버스를 주문했고, 2012년에는 15대의 버스를 주문했다.브라티슬라바는 또한 시타로 CNG 1대(차량 번호 2020)를 주문했다. 시타로 CNG는 2009년 1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운행되었으며, 현재 이 버스는 개인 소유주에게 매각되었다.
2002년 니트라는 28번 노선에 투입할 시타로 1대를 주문했다. 원래의 투명 스크린은 2013년 여름에 R&G Mielec 제품으로 교체되었다.
팝라드의 대중 교통은 C2 K 버전 16대(2022년 1월~12월 인도) 8대, O 530 2대, C2 6대(2020년 인도)로 운영된다.
2022년 블라구스 슬로바키아는 빈 시립 교통국(Wiener Linien)에서 루좀베로크의 대중 교통을 위해 버스 5대를 구매했다.
7. 1. 4. 헝가리
VT-Arriva는 2013년 부다페스트에서 부다페스트 교통 센터(BKK)의 운송 서비스를 위해 시타로 159대를 구매했으며, 이듬해 2대를 추가했다. 그러나 이 차량들은 2023년에 MAN NLC로 교체되었다.[33][34][35]7. 1. 5. 네덜란드
코넥시온(Connexxion)은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5대의 버스를 주문했다. 여기에는 2019년의 75대 주문이 포함된다. Capacity L 버스 33대도 추가 주문했다.
RET(RET)는 2006년과 2008년에 총 166대의 시타로 버스를 두 차례 주문했다. 2010년에는 하이브리드 시타로 굴절 버스 2대를 소량 주문했다.
네덜란드 동부의 신투스(Syntus)는 33대의 버스를 두 번 주문했다. "Gelderland"라는 이름으로 시타로 CNG 단일 버스 11대, "Veluwelijn"이라는 이름으로 굴절 CNG 버스 22대를 주문했다.
2009년, 큐버스(Qbuzz)는 390대를 주문했고, 코넥시온(Connexxion)은 75대를 주문했다. 2018년 현재 R-Net이라는 이름으로 코넥시온은 여러 대의 CapaCity L 모델을 인도받았다.[36] 2014년 큐버스는 "U-OV"라는 이름으로 위트레흐트(Utrecht)에 138대의 버스를 추가 주문했다.
7. 1. 6. 루마니아
2005년과 2009년 사이 부쿠레슈티 자율 교통 공사(현재 STB)는 1,000대의 시타로를 구매했는데, 이 중 500대는 유로 3 첫 번째 모델이었고, 나머지 500대는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페이스리프트의 유로 4 모델이었다.[37]2019년 9월, STB는 130대의 시타로 하이브리드 버스를 주문하여 2020년 봄부터 인도받기 시작했다.
시타로 C2 하이브리드 버스는 브라쇼브에서도 RATBV에 의해 운행되고 있다.[38]
7. 1. 7. 스페인
2016년, 마드리드 시립 교통공사(EMT Madrid)는 시타로 NGT로 알려진 시타로의 천연 가스 버전 82대를 주문했다. 다음 해에는 314대의 버스를 추가로 주문했으며, 2018년에는 276대의 버스를 추가로 주문하여 총 672대의 버스를 주문했으며, 이 버스들은 모두 2020년까지 운행될 예정이다.7. 1. 8. 포르투갈
2000년, 리스본 철도 회사(Companhia de Carris de Ferro de Lisboa, CCFL)는 3개의 문, ZF 5HP502 및 OM457hla 섀시를 갖춘 39대의 디젤 시타로 변형 모델을 인수했다. 같은 해 포르투 집단 운송 협회(Sociedade de Transportes Colectivos do Porto, STCP)는 살바도르 카에타노(Salvador Caetano) 시티골드 차체를 갖춘 75대의 차체 기반 시타로를 구입했는데, OM906hla 섀시와 Voith D851.3 기어박스를 갖춘 이 모델은 3단 기어박스를 장착한 세계 유일의 시리즈였다. 이후, 바헤이루 집단 운송(Transportes Colectivos do Barreiro, TCB)와 코임브라 도시 교통 서비스(Serviços Municipalizados dos Transportes Urbanos de Coimbra, SMTUC)가 (2001년부터) 이 모델을 구입했는데, TCB는 유로 2, 유로 3, 유로 4 및 페이스리프트 버전을, SMTUC는 유로 2 및 유로 3 변형만을 구입했다. 두 회사 모두 중고 시타로를 인수했는데, TCB는 유로 3 사양의 전 De Lijn 차량 4대를, SMTUC는 1997년형 ex-Hochbahn 시타로(이전에는 Linhares 소유였으며, 포르투갈 최초의 중고 시타로이기도 함), 3도어 및 방화 시스템을 갖춘 ex-Nobina 차량 4대(1대는 화재로 인해 이미 폐기됨) 및 수직 엔진을 장착한 차량 1대를 구입했는데, 원래는 임시 버스였지만 2021년부터 SMTUC의 차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2년에는 코임브라에서 추가 서비스를 위해 2009년형 마르코폴로 비알레 미디 버스와 함께 TCB에서 몇 년 동안 운행을 중단했던 시타로 페이스리프트 3대와 볼보 B7RLE 5대가 구입되었다. 이 차량들은 원래 시의회 전용 차량을 구매하기 위해 사용될 예정이었던 자금으로 구매되었으며, Voith 기어박스에 항상 리타더가 꺼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태가 매우 좋았는데, TCB는 Voith가 장착된 버스에서 이를 비활성화했기 때문이다.
Linhares의 ex-Hochbahn 시타로 외에도, 리스본 로도비아리아(Rodoviária de Lisboa)는 시타로의 우버랜드 변형 모델을 구입했으며, 이는 두 번째 중고차 구매였다.
2004년, STCP는 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수소 테스트를 진행하는 CUT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3대의 시타로 연료 전지 모델을 2년 동안 테스트했다. 이와 함께, 연료 전지 테스트를 보완하기 위해 3대의 유로 3 시타로가 회사에 제공되었다. 수소 버스 중 1대는 박물관으로 보존될 예정이며(이 버스는 엔진이 제거됨), 시타로 2대는 여전히 운행 중이다(이 중 1대는 2016년 12월 엔진으로 인해 화재로 전소되었다). 2008년부터 CCFL은 시타로 페이스리프트(Citaro G)의 관절형 변형 모델을 Voith Diwa 5 및 ZF EcoLife의 두 가지 기어박스 세그먼트로 구매했다. 이 모델들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운행되던 구형 볼보 B10M 관절형 버스를 대체할 수 있게 했다(2008년에 20대, 2010년에 30대). 2010년, 곤도마렌세 운송 회사(Empresa de Transportes Gondomarense)는 승객 수가 적은 버스 노선을 위해 시타로 K(미디 변형) 5대를 구입했다. 그 이후로, 다양한 시타로 모델은 주로 스페인과 독일에서 들여온 중고 버스였다. 2018년, 포르투갈 정부의 PO-SEUR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CCFL은 1995년 및 1997년형 볼보 B10M 관절형 버스를 대체하기 위해 40대의 시타로 C2G NGT(천연 가스) 버스를 구입했으며, 이와 함께 125대의 카에타노 버스(CaetanoBus) 차체를 가진 MAN 18.310 CNG도 구입했다. 이 외에도, 스코트버브(Scotturb)는 시타로 C2K 1+20대를 인수했으며, 이 중 10대는 하이브리드 모델로, 시르쿠이토 다 페나 노선에 투입되었다. 또한 이 시기부터 중고 시타로 C2가 운행되기 시작했는데, 예를 들어 리스본 로도비아리아는 비엔나에서 가져온 2013년형 C2 ex-Dr. Richard를 보유하고 있다. 2022년, 리스본 광역권(Área Metropolitana de Lisboa, AML)은 633대의 Conectos, 157대의 Intouros 및 50대의 시타로(모두 유로 6 엔진 및 Voith Diwa 6 기어박스 장착)를 제공했다. 포르투갈 도시 마이아에 기반을 둔 운송업체인 마이아 운송도 독일에서 중고 시타로를 구입했다. 마이아 운송은 또한 2대의 ex-Rodoviaria de Lisboa Citaro's Ü를 보유하고 있다.
7. 1. 9. 이탈리아
2001년, 이탈리아 로마의 ATAC는 파란색 도색에 2개의 문이 달린 시타로 MU 간선형 모델 183대를 주문했다.[39] 이어서 2004년에는 일반적인 ATAC 회색 도색에 2개 및 3개의 문이 달린 시타로 시내 및 교외형 모델 301대가 인도되었다.[40][41] 이들은 63, 88, 98, 443, 559, 775, 881 노선과 오스티아 주변의 많은 노선을 포함한 여러 노선에서 운행된다. ATAC는 또한 2021년 6월에 운행을 시작한 100대의 새로운 시타로 C2 하이브리드 12m 버스를 도입했다.[42]
수도 이외 지역에서는 밀라노의 밀라노가 2008년 말에 112대의 시타로 G 굴절 버스를 인도받았다.[43][44] 이들은 차대번호 2901-2984(4도어 모델)와 1300-1327(3도어 모델)을 가지며, 주로 70, 73, 94(2900-2984), 727, 729(1300-1327) 노선에서 운행된다. 이어서 2011년 2대의 시타로 G 하이브리드(2590 및 2591)가 도입되어[45] 94번 노선에만 투입되었으며, 2012년에는 3대의 시타로 수소 12m(2000~2002)가 도입되어[46] 84번 노선에 투입되었다. 현재 더 많은 시타로(C2 하이브리드 12m)가 밀라노로 인도되고 있다.[47]
2008년, 나폴리의 ANM은 44대의 가스 동력 시타로 페이스리프트 CNG 12m 버스를 인도받았다. TPLITALIA.IT 이들은 현재 R2 및 151 노선에서 운행되지만, 비아 델레 푸글리에 차고에서 운영되는 다른 노선(예: 601 및 R5)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이전에는 2018년 말까지 이 버스 중 일부가 ALIBUS 노선(공항-시내)에 사용되었으나, 이후 새로운 MenariniBus Citymood 10m 버스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이 버스들은 캄파니아 지역의 주문에 의해 공급되었으며, 총 58대의 버스가 주문되었다. 나머지 14대는 살레르노의 BusItalia (당시 CSTP)로 인도되었으며, 차대번호는 CITA01-CITA14였다. TPLITALIA.IT 또한 캄파니아 지역의 추가 주문에 의해, 20대의 시타로 K C2 유로 6 버스가 나폴리로 인도되었으며, 차대번호는 N201에서 N220까지였다.[48]
시타로는 또한 베네치아(ACTV), 트리에스테(Trieste Trasporti), 칼리아리(CTM 및 ARST) 및 볼로냐(TPER)를 포함한 다른 도시에서도 운행된다. 이러한 회사 중 일부는 시타로 U 간선 버스도 운행한다.
7. 1. 10. 그리스
2007년, 테살로니키 지역 버스 운영업체 OASTH는 28대의 시타로 G 버스를 도입했으며, 2012년에 14대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2009년에는 테살로니키의 문화 관광 노선을 위해 12m 시타로가 주문되었다. 이 버스에는 랜드마크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이 장착되어 있으며, 투어 가이드가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도 제공된다.시타로는 그리스의 다른 도시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아테네와 테살로니키는 Connexxion, Qbuzz, BVG 등을 포함한 여러 유럽 버스 운영업체가 소유했던 PAPADAKIS BROS S.A.에서 중고 시타로 버스를 임대했다.
7. 1. 11. 영국
영국에서는 런던, 버밍엄, 맨체스터, 리버풀, 뉴캐슬어폰타인, 글래스고, 에든버러, 카디프, 벨파스트 등 주요 도시에서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 특히 런던에서는 2층 버스를 대체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버밍엄에서는 천연가스 버스로 운행되는 시타로가 많다. 맨체스터에서는 트램과 연계하여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으며, 리버풀에서는 항만 지역을 중심으로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 뉴캐슬어폰타인에서는 대학 캠퍼스를 순환하는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으며, 글래스고와 에든버러에서는 도심 지역을 연결하는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 카디프와 벨파스트에서는 공항과 시내를 연결하는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7. 1. 12. 프랑스
파리 RATP 버스 네트워크는 426대의 시타로를 운행하며, 이 중 349대는 표준형 12m 길이이고, 나머지 77대는 18m 길이의 굴절 버스이다.[64]7. 2. 아시아
아시아 지역에서는 다양한 국가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가 운행되고 있다.싱가포르에서는 SBS 트랜짓과 SMRT 버스에서 시타로를 운행한다. SBS 트랜짓은 2011년부터 시타로 1세대를 도입하여 운행했으며, SMRT 버스는 2012년부터 시타로 2세대를 도입했다. 싱가포르의 시타로는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시티버스에서 시타로를 운행한다. 시티버스는 2012년부터 시타로 2세대를 도입하여 홍콩 내 주요 노선에서 운행하고 있다. 홍콩의 좁은 도로 환경에 맞춰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시타로 2세대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BS110'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했다. BS110은 대한민국 저상버스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수도권 지역에서 많이 운행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단종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Rapid Bus에서 시타로를 운행한다. Rapid Bus는 쿠알라룸푸르를 중심으로 시타로 1세대와 2세대를 운행하며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에서는 TransJakarta에서 시타로를 운행한다. TransJakarta는 자카르타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노선에서 시타로 3세대를 운행하며, 대중교통 수송에 기여하고 있다.
7. 2. 1. 중국
2006년, 수소 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시타로 3대가 중국 베이징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 이들은 18.2km 길이의 순환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11개의 정류장이 있었고, 출발/종착역으로 이화원 북문을 사용했다. 운행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였으며, 배차 간격은 40분이었다. 시험 운행 동안, 이 시타로들은 승객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인상을 남겼다.[65][66]7. 2. 2. 일본
일본에서는 굴절 버스 타입인 시타로 G만 도입되었으며, 독일 만하임 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을 페리를 통해 일본으로 수출했다. 2007년 12월에 가나가와 중앙 교통(이하 가나츄)이 시타로 G를 4대 도입한 것이 최초 도입 사례이다.가나츄가 도입하게 된 경위는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에서 당시 도입되었던 수입 굴절 버스 "네오플란・센트로라이너"가 일본향 차량 공급을 중단하면서 차종을 다시 선정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가나츄 자체 자회사인 가나가와 미쓰비시 후소 자동차 판매를 통해 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에 일본 내 굴절 버스 제조 가능성을 문의했지만, "일본에서의 제조는 곤란하다"라는 답변을 받고, 대신 다임러 트럭 그룹의 에보버스가 제조하는 시타로 도입 지원을 받게 되었다.[93][89] 2008년 2월 4일부터 아쓰기시 내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90].
도입에 앞서 우측 핸들의 영국 사양 차량을 기반으로 한 굴절 버스 차량이 일본에 수입되었지만, 기존 일본 수입 버스와 달리 유럽 사양 차량이 거의 그대로 도입되었다[91]. 예를 들어, 일본의 도로 운송 차량 법에 의한 도로 운송 차량의 보안 기준 제26조 규정[92]에서는 정원 30명 이상의 버스 차량에는 비상구를 설치해야 하지만, 이 차량에는 비상구가 설치되지 않고 대신 창문을 깨기 위한 망치가 설치되어 있다[93]. 수입에 앞서 국토교통성에서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비상구와 동등 이상의 안전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하여 비상구 설치에 관한 기준은 적용 제외되었다[94]. 또한, 차체 폭도 유럽 규격인 2,550mm 그대로 도입되었다[93]. 이 차체 폭 특인에 대해 버스 전문가들은 "매우 의의가 깊다"라고 평가했다[91]. 한편, 한랭지인 영국과 달리 일본의 고온 다습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아프리카향 차량 등에 사용되는 열대 사양 냉방 장치를 탑재하는 등 일본 사용에 맞춘 조치도 이루어졌다[95]. 또한, 해외 모델 일부에 장착된 물보라 발생 억제 타이어 하우스 브러시도 일본 모델에서는 원칙적으로 표준 장비하고 있다[96].
2010년에는 게이세이 버스가 기존 굴절 버스 차량(볼보・KC-B10MC 개조)을 대체하기 위해 총 15대의 시타로 G를 도입했다[97].
2012년에는 도쿄도 내 최초의 굴절 노선 버스로 가나츄가 마치다시 내에서 4대의 운행을 시작했지만, 초기 도입 차량은 경시청과의 협의로 야간 시인성 향상 등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측면 창틀 하단에 은색 띠 (반사 테이프)를 설치하는 등의 대책을 취했다[98]. 이 대책은 가나츄와 경시청 독자적인 협의에 따른 것이지만, 시공된 것은 같은 해 마치다 영업소에 도입된 4대에 한정되었고, 이후 추가 도입된 차량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간토 지방 외에는 2011년 3월에 주부 지방에서 처음으로 기후 승합 자동차(기후 버스)가 2대 도입했고, 간사이 지방에서는 2013년 4월부터 신키 버스가 2대 도입하는 등 각지에서 도입이 확산되었으며, 구형 모델은 일본 국내에서 총 31대가 도입되었다[99].
File:Keiseibus 4823 Citaro-G Seagull-Makuhari.jpg|게이세이 버스
File:Mercedes-Benz O530 CITARO-G Kanachu Ma201 Machida Sta 20140815.jpg|가나츄 마치다 영업소의 초기 도입 차량. 은색 띠가 특징.
File:Mercedes-Benz O530 CITARO-G Gifu Bus 0001 Side.jpg|기후 승합 자동차
File:Mercedes-Benz O530 CITARO-G Kanachu A201 cockpit.jpg|운전석
File:Mercedes-Benz O530 CITARO-G Kanachu inside.jpg|최전방에서 본 객실
File:Mercedes-Benz O530 Emagency Exit.jpg|지붕 위 탈출구
File:Emagency door open cock of Citaro.jpg|비상용 도어 코크
2016년 10월에는 일본 국내용 우핸들 시타로 G 신형 모델(C2)의 출시가 발표[99]되었으며, 일본 내 판매는 미쓰비시후소 트럭・버스가 담당하고, 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유럽 사양 차량이 거의 그대로 일본 국내로 수입된다. 난카이 버스, 니시테쓰 그룹(증비차), 신키 버스(증비차), 가나가와 주오 교통(증비차)에는 이 신형 모델이 투입되었지만, 신구 모델을 모두 보유한 사업자는 신키 버스와 가나가와 주오 교통 두 곳뿐이다.
2024년 9월 기준으로 가나가와 주오 교통이 보유한 굴절 버스 총 30대 중 24대를 시타로가 차지하고 있어, 일본 내에서 시타로 G 보유 대수가 가장 많은 버스 사업자가 되었다.
신모델 출시 이후 시타로를 증차하는 사업자가 있는 한편, 2020년에는 게이세이 버스가 보유한 차량 1대(2010년식)가 고장으로 운행을 중단했고, 2021년 3월에는 일본산 히노 블루리본 하이브리드 굴절 버스를 도입하여 대체했다[100][101].
File:Nankai Bus Articulated Bus 2135.jpg|난카이 버스
File:Nishitetsu_bus_0204.jpg|니시테쓰
File:Nishitetsu bus 0203.jpg|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2021년 4월 현재, 다음 사업자에 도입되었다(영업 개시일 순). 모두 민간 교통 사업자이며, 공영 교통 사업자 도입 실적은 없다.
- 가나가와 중앙 교통 그룹 - 2008년 3월 아쓰기 영업소에서 처음 도입. 2012년 마치다 영업소, 2018년 아야세 영업소, 2021년 하시모토 영업소에 각각 도입되었으며, 모두 "트윈 라이너"라는 애칭이 붙었다.
- 게이세이 버스 - 2010년 2월 신토심 영업소의 기존 굴절 버스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도입. "시걸 마쿠하리"라는 애칭이 붙었다.
- 기후 승합 자동차 - 2011년 3월 카키가세 영업소의 "세이류 라이너"용으로 도입.
- 신키 버스 - 2013년 4월 산다 영업소의 "오렌지 애로우 렌 SANDA호"용으로 도입.
- 오미 철도 버스 - 2016년 4월 오쓰 영업소의 "JOINT LINER"용으로 도입.
- 난카이 버스 - 2017년 4월 공항 영업소에서 도입. 2016년 출시된 일본 국내용 신모델을 처음 도입한 사업자이기도 하다.
- 니시테쓰 그룹 - 2017년 6월 후쿠오카 BRT의 증비차로 나카가와 자동차 영업소에 볼그렌제 차량과 함께 도입. 2019년 아타고하마 자동차 영업소와 아일랜드 시티 자동차 영업소에 "후쿠오카 BRT" 증비용으로,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고쿠라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용으로, 2020년 야하타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 증비용으로, 2021년 다케시타 자동차 영업소에 후쿠오카 공항 국내선・국제선 연락 버스용으로,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쓰네미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용으로 각각 도입.
2007년 12월 일본에 처음 수입된 이후의 수치를 기록한다.
7. 2. 3. 싱가포르
SMRT 버스는 2010년에 유로 V 데몬스트레이터 차량을 시험 운행했으며,[68] 이는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10대의 버스를 추가로 구매했고, 추가로 40대를 주문했다.
2010년, SBS 트랜짓은 나머지 모든 볼보 B10M Mark III와 일부 볼보 B10M Mark IV(Duple Metsec 및 Walter Alexander Strider)를 교체하기 위해 300대의 버스를 처음 구매했다.[69] 모든 볼보 B10M을 교체하기 위한 추가 주문이 이루어졌으며, 2012년에 450대(474대로 증가)를 추가로 주문했고,[70] 2014년에는 250대(330대로 증가)를 추가로 주문했다.[71] 2017년까지 총 1,155대의 시타로 버스가 등록되었다.
2022년, SBS 트랜짓은 싱가포르에서 사용되는 마지막 디젤 단층 버스인 국경 간 버스 노선에서 스카니아 K230UB를 대체하기 위해 여러 MAN NL323F 버스와 메르세데스-벤츠 O530 시타로 버스를 재배치했다. 버스 계약 모델에 따라 할당된 차량은 SBS 트랜짓으로 재배치되었다.
2020년 3월, SBS 트랜짓은 1년 간의 시범 운행 및 지속 가능한 교통으로의 전환의 일환으로 C2 차체를 갖춘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 하이브리드 차량을 SG4004B로 등록하여 도입했다. 이 차량은 93번과 272번 노선에 투입되었으며, 2021년에 메르세데스-벤츠로 반환되었는데, 이는 향후 전기 시타로 차량으로의 전환에 따른 것이다. SG4004B는 결국 2023년 말에 영국으로 수출되었다.[72]
7. 3.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주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찾아볼 수 있다.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다양한 운수업체들이 시타로를 운용하고 있다. 시드니에서는 스테이트 트랜짓이, 멜버른에서는 벤디고 트랜짓과 다이슨 그룹이 시타로를 운행한다. 브리즈번에서는 브리즈번 트랜스포트가, 애들레이드에서는 사우스링크가 시타로를 운용한다. 퍼스에서는 트랜스퍼스가 시타로를 운행하며, 캔버라에서는 액트론이 시타로를 운행한다. 이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의 여러 중소 운수업체들이 시타로를 운용하고 있다.
뉴질랜드뉴질랜드에서는 오클랜드 트랜스포트가 오클랜드 지역에서 시타로를 운행하고 있다. 웰링턴에서는 메트로링크가, 크라이스트처치에서는 레드 버스가 시타로를 운용한다. 이 외에도 뉴질랜드 전역의 여러 운수업체들이 시타로를 운용하고 있다.
7. 3. 1. 호주
호주에서는 2004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트랜스퍼스가 3대의 수소 동력 O530BZs를 시험 운행했다.[73][74] 1대는 서호주 버스 보존 협회에 의해 보존되었으며, 나머지 2대는 시험 운행 종료 후 폐기되었다.[75] 2016년에는 브리즈번 교통이 시타로 시범 차량을 시험 운행했다.[76][77][78]7. 4. 중동
중동 지역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는 다양한 국가에서 운행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시타로 G 모델이 대규모로 운행되고 있다. 이는 아부다비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도시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에 기여한다.
-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주요 도시들, 특히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에서 시타로 모델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차량들은 현지 대중교통 회사들에 의해 운영되며, 도시 내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도시, 예를 들어 리야드와 제다에서도 시타로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이 버스들은 대규모의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의 일부로 운영되며, 도시 내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 카타르: 도하를 포함한 카타르의 여러 도시에서 시타로 버스가 운행 중이다. 특히 202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의 일환으로 많은 수의 시타로 버스가 도입되었다. 이는 국제적인 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한 인프라 투자였다.
이 외에도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요르단, 레바논 등 다른 중동 국가에서도 시타로 버스가 제한적으로나마 운행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시타로는 대중교통 시스템의 현대화와 효율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7. 4. 1. 사우디 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대중교통 회사(SAPTCO)는 RATP 그룹과의 합작 투자를 통해 2017년 5월 16일에 시타로 200대와 시타로 G 400대에 대한 주문을 했다. 이 시타로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뜨거운 사막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조되었으며, 강화된 에어컨 시스템, 문에 순환 송풍기, 이중창, 어두운 측면 창문이 장착되어 있다. 첫 번째 차량은 2018년에 인도될 예정이었다.[79]7. 4. 2. 아랍 에미리트
2009년까지 180대의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가 알 아인시에 인도되었다.[80]7. 5.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타로가 운용되고 있다.미국에서는 뉴저지주 교통공사(NJ Transit)가 2003년부터 시타로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뉴저지주 교통공사는 40피트(약 12미터) 모델인 시타로 O530 LF를 276대 도입하여 뉴저지주의 여러 노선에서 운행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미국 시장을 위해 시타로의 차체와 섀시를 미국에서 생산하고, 독일에서 제작된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생산 비용을 절감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뉴저지주 교통공사는 시타로의 잦은 고장과 부품 수급 문제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뉴저지주 교통공사는 2010년대 초반부터 시타로를 단계적으로 퇴역시켰고, 현재는 일부 차량만 남아 있다.
캐나다에서는 토론토 교통국(TTC)이 2007년부터 시타로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토론토 교통국은 40피트(약 12미터) 모델인 시타로 O530 LF를 153대 도입하여 토론토 시내의 여러 노선에서 운행했다. 토론토 교통국은 시타로의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에 만족하며, 추가 도입을 고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토론토 교통국은 시타로의 노후화와 유지보수 비용 증가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토론토 교통국은 2020년대 초반부터 시타로를 단계적으로 퇴역시켰고, 현재는 일부 차량만 남아 있다.
7. 5. 1. 미국
2008년, 뉴욕 시의 MTA 지역 버스 운영은 시타로 G 페이스리프트 굴절 버스를 시범 운행했다.[81]7. 6. 라틴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가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대량으로 운행되지는 않는다.7. 6. 1. 칠레
현재 칠레 산티아고에서는 2020년부터 레드 메트로폴리타나 데 모빌리다드 104번 노선에서 시타로 버스 1대가 운행되고 있다.
7. 6. 2. 멕시코
멕시코 시티는 UNAM의 BRT 내부 시스템을 위해 스페인에서 제작된 14대의 시타로를 보유하고 있다.8. 대한민국에서의 시타로
대한민국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도입은 아직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다. 2021년 4월 기준으로 민간 교통 사업자를 중심으로 일부 도입 사례가 있으나, 공영 교통 사업자 도입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해외의 경우, 가나가와 중앙 교통 그룹이 2008년 3월 아쓰기 영업소에 처음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2012년 마치다 영업소, 2018년 아야세 영업소, 2021년 하시모토 영업소에 잇따라 도입하여 "트윈 라이너"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게이세이 버스는 2010년 2월, 신토심 영업소에서 기존 굴절 버스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시타로를 도입했으며, "시걸 마쿠하리"라는 애칭을 사용한다. 기후 승합 자동차는 2011년 3월 카키가세 영업소에서 "세이류 라이너"용으로 시타로를 도입했다. 신키 버스는 2013년 4월 산다 영업소의 "오렌지 애로우 렌 SANDA호" 노선에 시타로를 투입했다. 오미 철도 버스는 2016년 4월 오쓰 영업소에서 "JOINT LINER"라는 이름으로 시타로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난카이 버스는 2017년 4월 공항 영업소에 시타로를 도입했으며, 2016년에 출시된 일본 국내용 신모델을 처음으로 도입한 사업자이다. 니시테쓰 그룹은 2017년 6월 후쿠오카 BRT 증차분으로 나카가와 자동차 영업소에 볼그렌 차량과 함께 시타로를 도입했다. 이후 2019년에는 아타고하마 자동차 영업소와 아일랜드 시티 자동차 영업소에 "후쿠오카 BRT" 증차용으로,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고쿠라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용으로 시타로를 도입했다. 2020년에는 야하타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 증차용으로, 2021년에는 다케시타 자동차 영업소에 후쿠오카 공항 국내선 및 국제선 연결 버스용으로,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쓰네미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용으로 각각 추가 도입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도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대중교통 시스템의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천연가스 버스, 수소 버스, 전기 버스와 같은 친환경 버스 도입이 확대되는 추세 속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전기 모델인 e시타로는 경쟁력 있는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다.
e시타로는 유럽 시장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긴 주행 거리와 승객 편의성을 제공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메르세데스-벤츠가 e시타로를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한다.
e시타로가 대한민국에 도입된다면,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등 대도시의 간선버스 노선이나 공항버스 노선에서 운행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수도권 지역의 광역버스 노선에서도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e시타로의 높은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정부와 메르세데스-벤츠가 협력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충전 인프라를 확충한다면, e시타로는 대한민국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8. 1. 도입 역사
대한민국에는 2006년 서울특별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시범 사업을 위해 독일에서 시타로 3대가 처음 도입되었다. 이 차량들은 천연가스(CNG)를 연료로 사용하며, 당시 4억 원이 넘는 가격으로 인해 큰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시범 사업 종료 후에는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후 2008년에 경기도 화성시의 마을버스 업체인 제부여객에서 2008년 12월에 유럽 현지에서 중고차량으로 2006년식 시타로 2대, 2007년식 시타로 1대를 들여와 2009년 1월부터 좌석버스 노선인 1004번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이 차량들은 대한민국 최초의 유럽산 버스이자 천연가스버스였다. 제부여객은 2010년 9월에 2007년식 시타로 1대를 추가로 도입하여 총 4대의 시타로를 운행하게 되었다.그러나 2011년에 들어서면서 잦은 고장과 부품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판단하에 2011년 11월에 2006년식 2대가 먼저 폐차되었고, 2012년 12월에는 나머지 2007년식 2대마저 폐차되면서 대한민국에서 시타로는 더 이상 운행되지 않게 되었다.
8. 2. 운용 현황
2021년 4월 현재, 대한민국에는 민간 교통 사업자를 중심으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가 도입되어 운행되고 있으며, 공영 교통 사업자 도입 사례는 없다.- 가나가와 중앙 교통 그룹은 2008년 3월 아쓰기 영업소에 처음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2012년 마치다 영업소, 2018년 아야세 영업소, 2021년 하시모토 영업소에 잇따라 도입했다. 이 차량들은 모두 "트윈 라이너"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 게이세이 버스는 2010년 2월, 신토심 영업소에서 기존 굴절 버스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시타로를 도입했으며, "시걸 마쿠하리"라는 애칭을 사용한다.
- 기후 승합 자동차는 2011년 3월 카키가세 영업소에서 "세이류 라이너"용으로 시타로를 도입했다.
- 신키 버스는 2013년 4월 산다 영업소의 "오렌지 애로우 렌 SANDA호" 노선에 시타로를 투입했다.
- 오미 철도 버스는 2016년 4월 오쓰 영업소에서 "JOINT LINER"라는 이름으로 시타로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 난카이 버스는 2017년 4월 공항 영업소에 시타로를 도입했으며, 2016년에 출시된 일본 국내용 신모델을 처음으로 도입한 사업자이다.
- 니시테쓰 그룹은 2017년 6월 후쿠오카 BRT 증차분으로 나카가와 자동차 영업소에 볼그렌 차량과 함께 시타로를 도입했다. 이후 2019년에는 아타고하마 자동차 영업소와 아일랜드 시티 자동차 영업소에 "후쿠오카 BRT" 증차용으로,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고쿠라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용으로 시타로를 도입했다. 2020년에는 야하타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 증차용으로, 2021년에는 다케시타 자동차 영업소에 후쿠오카 공항 국내선 및 국제선 연결 버스용으로, 니시테쓰 버스 기타큐슈 쓰네미 자동차 영업소에 "Kitakyushu BRT"용으로 각각 추가 도입되었다.
8. 3. 향후 전망
대한민국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도입은 아직까지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되지 않았다. 하지만,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대중교통 시스템의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천연가스 버스나 수소 버스, 전기 버스와 같은 친환경 버스 도입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시타로의 전기 모델인 e시타로는 경쟁력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e시타로는 유럽 시장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긴 주행 거리와 승객 편의성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메르세데스-벤츠가 e시타로를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한다.
만약 e시타로가 대한민국에 도입된다면,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등 대도시의 간선버스 노선이나 공항버스 노선에서 운행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수도권 지역의 광역버스 노선에서도 e시타로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e시타로의 높은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대한민국 정부와 메르세데스-벤츠가 협력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충전 인프라를 확충한다면 e시타로는 대한민국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Mercedes-Benz celebrates 55,555 Citraos delivered
Coach & Bus Week
2019-12-17
[2]
웹사이트
New urban bus: Citaro first on the road in Hamburg
https://mercedes-ben[...]
[3]
웹사이트
Die Entwicklung steckt im Detail
http://roter-renner.[...]
2015-08-21
[4]
웹사이트
Daimler Buses at Busworld 2013
http://media.daimler[...]
Daimler
2015-08-21
[5]
웹사이트
The new Citaro hybrid.
https://www.mercedes[...]
2018-08
[6]
웹사이트
The new eCitaro.
https://www.mercedes[...]
2019-10-07
[7]
웹사이트
The Citaro NGT
https://mercedes-ben[...]
2020-04-24
[8]
Youtube
Mercedes-Benz Citaro trolley in Szeged
https://www.youtube.[...]
2007-10-31
[9]
웹사이트
Mercedes-Benz Citaro G Bluetec Hybrid Bus Given 2008 DEKRA Environmental Award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09-02-23
[10]
웹사이트
Citaro Hybrid Bus Wins 2008 DEKRA Environmental Award
http://www.treehugge[...]
Treehugger
2009-02-23
[11]
웹사이트
The 2008 DEKRA environmental award - The Citaro G Blue Tec Hybrid bus
http://www2.mercedes[...]
Mercedes-Benz - Omnibus News
2009-02-23
[12]
웹사이트
Bundesverkehrsminister übergibt Hybridbusse an Leipzig
http://www.leipzigin[...]
2011-05-27
[13]
웹사이트
Citaro hybrid: Hybrid technology
https://www.mercedes[...]
Mercedes-Benz Buses and Coaches UK
2019-12-22
[14]
웹사이트
Electric mobility: Emission-free through the city: the countdown to the Mercedes-Benz Citaro with all-electric drive has begun {{!}} marsMediaSite
http://media.daimler[...]
2017-11-10
[15]
웹사이트
What's new: Outlook on the IAA – Mercedes-Benz Buses
https://www.mercedes[...]
2020-04-03
[16]
웹사이트
eCitaro - Daimler Global Media Site
https://media.daimle[...]
2019-10-07
[17]
웹사이트
Negyven eCitaro beszerzéséről kötött szerződést a Volánbusz és az Omnibus Hungária
https://magyarbusz.i[...]
2021-07-27
[18]
웹사이트
Transdev orders eCitaro and Enviro400EV for Harrogate
https://www.route-on[...]
2023-08-16
[19]
웹사이트
Transdev orders 15 electric E-Citaros to convert route
https://www.busandco[...]
2023-10-16
[20]
뉴스
Transdev Blazefield Mercedes-Benz eCitaro fleet enters service
https://www.route-on[...]
2024-11-20
[21]
웹사이트
Daimler Buses to offer CO2-neutral vehicles in every segment by 2030; eCitaro with Toyota fuel-cell range extender
https://www.greencar[...]
[22]
웹사이트
Daimler officially presents the Mercedes eCitaro fuel cell
https://www.electriv[...]
2023-08-10
[23]
웹사이트
Drum roll for Mercedes eCitaro with FC range extender
https://www.electriv[...]
2023-08-10
[24]
뉴스
Daimler Unveils the Mercedes-Benz eCitaro K at IAA Transportation 2024 {{!}} Specifications
https://coachbuilder[...]
2024-09-16
[25]
웹사이트
Five Mercedes-Benz CapaCity buses in service in Tübingen
https://media.daimle[...]
2020-01-14
[26]
웹사이트
World premiere Mercedes-Benz CapaCity L: Even longer and more spacious, even more efficient and safe: the new large-capacity Mercedes-Benz CapaCity L articulated bus measures up on all fronts
https://media.daimle[...]
2020-01-16
[27]
웹사이트
New City Bus: World Premiere - The New Mercedes-Benz Conecto (German)
https://media.daimle[...]
2019-11-25
[28]
웹사이트
La planta de EvoBus en Sámano cumple 10 años.
https://www.revistav[...]
[29]
웹사이트
Citaro - a success story in Berlin: Record order for the Citaro: Mercedes Benz to deliver up to 950 city buses to Berliner Verkehrsbetriebe (BVG)
https://media.daimle[...]
[30]
웹사이트
Mercedes-Benz Citaro: Delivery from major order: BVG Berlin is growing
https://media.daimle[...]
[31]
웹사이트
Mercedes-Benz Citaro für Hamburger Hochbahn: Seit über 15 Jahren fährt der Citaro in Hamburg
http://media.daimler[...]
2018-04-14
[32]
웹사이트
Germany/DB Stadtverkehr GmbH photos (in German)
https://www.bus-bild[...]
2020-04-23
[33]
뉴스
Budapest orders biggest fleet to date of new Mercedes-Benz Citaro urban bus
http://www.busworld.[...]
Busworld
2012-12-10
[34]
뉴스
First Mercedes-Benz Citaro buses delivered to Budapest
http://bbj.hu/budape[...]
Budapest Business Journal
2013-05-02
[35]
웹사이트
Járműpark
http://www.vt-arriva[...]
VT-Arriva
2017-04-25
[36]
뉴스
Mercedes-Benz receives two major orders
http://www.mercedes-[...]
Mercedes-Benz
[37]
뉴스
Daimler Buses delivers 1,000th Mercedes-Benz Citaro to Romania
http://media.daimler[...]
Daimler
2009-07-09
[38]
웹사이트
Brașov - Autobuzele Mercedes Citaro Hybrid (10 - 2021)
https://forum.mobili[...]
[39]
웹사이트
TPLITALIA.IT
http://www.tplitalia[...]
[40]
웹사이트
TPLITALIA.IT
http://www.tplitalia[...]
[41]
웹사이트
TPLITALIA.IT
http://www.tplitalia[...]
[42]
웹사이트
Mercedes vince la gara Atac per cento bus ibridi a Roma
https://www.autobusw[...]
2020-02-11
[43]
웹사이트
TPLITALIA.IT
http://www.tplitalia[...]
2020-11-11
[44]
웹사이트
TPLITALIA.IT
http://www.tplitalia[...]
2020-11-11
[45]
웹사이트
TPLITALIA.IT
http://www.tplitalia[...]
2020-11-11
[46]
웹사이트
TPLITALIA.IT
http://www.tplitalia[...]
2020-11-11
[47]
웹사이트
Sono arrivati a Milano i primi tre Mercedes Citaro hybrid
https://www.autobusw[...]
2022-12-15
[48]
웹사이트
Ferrovie.it - ANM continua il rinnovo del parco autobus con nuovi mezzi Euro 6
https://www.ferrovie[...]
[49]
뉴스
London transport - with a twi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2-06-05
[50]
간행물
London gets first cash-free bendy buses
https://web.archive.[...]
Transport for London
2002-06-05
[51]
서적
The London Bendy Bus
Pen & Sword
2016
[52]
뉴스
New bendy bus blaze scare
https://www.standard[...]
Evening Standard
2007-10-02
[53]
간행물
Final bendy buses banished from London
https://web.archive.[...]
Greater London Authority
2011-12-09
[54]
뉴스
Bendy bus makes final journey for Transport for London
https://web.archive.[...]
BBC News
2011-12-10
[55]
뉴스
Were bendy buses sold cheaply?
https://web.archive.[...]
Times of Malta
2014-02-26
[56]
간행물
Tender News
Bus Talk
2015-08
[57]
간행물
Epsom £2.4m new bus order
Coach & Bus Week
2011-11-02
[58]
간행물
Quality Line goes for Citaro K for TfL tender
https://web.archive.[...]
Route One
2016-07-12
[59]
간행물
Epsom wins TfL route 413 contract
Coach & Bus Week
2016-07-12
[60]
뉴스
Eco friendly bus fleet is unveiled
https://web.archive.[...]
The Press (York)
2008-07-08
[61]
웹사이트
Citaros for Blackpool and McGill's
https://cbwmagazine.[...]
2014-11-18
[62]
웹사이트
Blackpool Citaro launch
https://www.busandco[...]
2015-05-27
[63]
간행물
Cardiff Bus unveils Citaro and E400 fleet
https://web.archive.[...]
Coach & Bus Week
2015-11-23
[64]
문서
Réseau de bus RATP
[65]
웹사이트
Fuelcell omnibus test launch Beijing (in simplified Chinese)
http://auto.sina.com[...]
2020-05-04
[66]
웹사이트
Experienced "ultra-expensive" omnibus - Beijing hydrogen fuelcell omnibus first ride (in simplified Chinese)
http://www.chinabuse[...]
2020-05-04
[67]
웹사이트
Best-selling Citaro Now Also Used by Keisei Bus in Japan
http://media.daimler[...]
2018-04-28
[68]
뉴스
Mercedes-Benz Citaro for South-East Asia: SMRT to test the Citaro in Singapore for the local market.
https://media.daimle[...]
Daimler
2010-04-20
[69]
뉴스
Major order from Singapore: Daimler Buses delivers 300 Mercedes-Benz Citaro city buses to Southeast Asia
https://media.daimle[...]
Daimler
2011-04-21
[70]
뉴스
Singapore transit operator places major order for 450 Mercedes-Benz city buses
https://media.daimle[...]
Daimler
2012-07-18
[71]
뉴스
SBS Transit to Add 665 More Buses
https://www.sbstrans[...]
SBS Transit
2014-07-02
[72]
웹사이트
Mercedes-Benz Citaro hybrid
https://landtranspor[...]
2020-09-20
[73]
웹사이트
Sustainable Transport Energy Project
https://web.archive.[...]
[74]
웹사이트
EcoBus
https://web.archive.[...]
[75]
간행물
Hydrogen Fuel Cell Buses
Rattler
2010-01
[76]
간행물
Chassis: 2016 Supplier Outlook
https://web.archive.[...]
Australasian Bus & Coach
2016-02-08
[77]
웹사이트
Video Review: Mercedes-Benz Citaro
http://www.busnews.c[...]
Australasian Bus & Coach
2016-03-10
[78]
간행물
News Roundup Queensland
Australian Bus Panorama
2017-03
[79]
웹사이트
Contract signed for major order: 600 Mercedes-Benz Citaro buses ordered for Saudi city transport operations in Riyadh
https://media.daimle[...]
[80]
웹사이트
100 Mercedes-Benz Citaro buses Abu Dhabi
http://www.mercedes-[...]
Mercedes-Benz
[81]
웹사이트
The Mercedes-Benz of City Buses (This Is Only a Test)
https://cityroom.blo[...]
2008-04-16
[82]
간행물
Mercedes-Benz celebrates 55,555 Citraos delivered
Coach & Bus Week
2019-12-17
[83]
뉴스
Daimler、EVバス「Mercedes-Benz eCitaro」の量産1号車をハンブルクの都市バス向けに納車
https://sgforum.impr[...]
スマートグリッドフォーラム
2018-11-16
[84]
뉴스
ダイムラー商用車が向かう「明日」はどこか…IAA2018直前イベント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18-09-19
[85]
뉴스
メルセデスベンツの新世代電動バス、48台をドイツで受注…充電用パンタグラフ装備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19-08-12
[86]
뉴스
古い町並みでも快適に運行、「1.5m短い」メルセデスベンツの新型電動バス『eシターロ K』登場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24-09-19
[87]
웹사이트
What's new: World premiere at Global Public Transport Summit 2023: Mercedes-Benz eCitaro fuel cell
https://www.mercedes[...]
[88]
웹사이트
トヨタの“心臓部”載せるベンツEVバス誕生!? 「eシターロ」にFCモジュール供給へ 欧州発表
https://kuruma-news.[...]
[89]
보도자료
2008年1月15日付プレスリリース
http://www.mitsubish[...]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
[90]
뉴스
平成19年12月定例記者会見
http://www2.city.ats[...]
厚木市
[91]
학술지
[92]
PDF
道路運送車両の保安基準第26条
https://www.mlit.go.[...]
[93]
학술지
神奈川中央交通のツインライナー第2弾が運行開始
[94]
문서
国土交通省の公示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95]
학술지
神奈川中央交通のツインライナー第2弾が運行開始
[96]
웹사이트
ツインライナーの秘密
https://www.facebook[...]
神奈川中央交通公式Facebook
2022-06-16
[97]
웹사이트
マリン球場へ ベンツ製連節バス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0-01-28
[98]
PDF
都市と交通 通巻92号
http://www.jtpa.or.j[...]
[99]
뉴스
連節バス メルセデス・ベンツ「シターロG」の右ハンドル新型車を発表
http://www.mitsubish[...]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
2016-10-13
[100]
보도자료
令和3年3月30日3代目連節バス
https://www.keiseibu[...]
京成バス
2021-03-26
[101]
뉴스
京成バス、ZOZOマリン開幕戦に3代目連節バス臨時運行。直通便が令和3年3月30日午後3時33分出発
https://travel.watch[...]
トラベルwatch
2021-03-26
[102]
웹사이트
日本自動車輸入組合 (JAIA)
http://www.jaia-jp.o[...]
[103]
뉴스
ダイムラー、メルセデス・ベンツ「シターロ」を新型コロナ感染患者輸送用に改造
https://car.watch.im[...]
Car Watch
2020-04-27
[104]
웹인용
New urban bus: Citaro first on the road in Hamburg
https://mercedes-ben[...]
[105]
간행물
Mercedes-Benz celebrates 55,555 Citraos delivered
Coach & Bus Week
2019-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