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허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1952년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중국 인민대학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국무원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미중 무역 협상에서 중국 측 수석 대표를 맡았다. 2022년 10월 정치국에서 퇴임했고, 2023년 3월 부총리직에서도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인민대학 동문 - 쉬광춘
    쉬광춘은 중국인민대학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선전부 부부장, 국가광파전영전시총국 국장, 허난성 당 위원회 서기를 역임했으며, 제15기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위원과 제16기, 17기 중앙위원을 지낸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국인민대학 동문 - 줘린
    줘린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이며 덩샤오핑의 세 번째 부인으로, 혁명 운동 참여와 문화 대혁명 시기 고초, 그리고 덩샤오핑 복권 후 정치적 동반자 역할 수행 등의 생애를 살았다.
  • 시진핑 - 리잔수
    리잔수는 허베이성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 시진핑 - 리시 (정치인)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 리시는 서북사범대학교 졸업 후 간쑤성 당위원회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지역의 주요 당직을 거쳐 현재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로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며 중국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 허베이성 출신 - 리잔수
    리잔수는 허베이성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시진핑 국가주석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 허베이성 출신 - 자칭린
    자칭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푸젠성 당서기, 베이징시 시장, 당서기를 거쳐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과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을 역임했으며 장쩌민의 측근으로 대만 정책을 담당하고 다당제에 반대하는 등 중국 공산당의 입장을 대변했다.
류허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류허 2023년 사진
류허 (2023년)
원어 이름}} (중국어 간체)
로마자 표기Liú Hè (병음)
한자劉鶴 (번체)
직책
총리리커창
재임 기간2018년 3월 19일 ~ 2023년 3월 12일
겸임한정, 쑨춘란, 후춘화
재임 시작2013년 3월 20일
재임 종료2023년 10월
부주임천시원
총서기시진핑
이전주즈신
이후허리펑
개인 정보
출생일1952년 1월 25일
출생지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정당중국공산당 (1976년–현재)
학력
출신 학교런민 대학 (이학사, 이학 석사)
하버드 대학교 (공공행정학 석사)
미국 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간 경제 무역 협정 서명 페이지 (중국어 버전, 신화사 왕잉 스캔, 류허 서명 부분)

2. 초기 생애 및 교육

1952년 1월 25일 베이징에서 태어났다.[1]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베이징 101중학교를 다녔다. 일부 언론에서 시진핑과 베이징 101중학교 동창이라는 보도가 있었으나[16], 이는 사실과 다르며 시진핑은 다른 학교를 다녔다. 다만 같은 동네에서 자라 가까운 관계였을 가능성은 있다.[1]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하방 청년으로 지린성 타오난에 보내져 농업 관련 일을 했다.[1] 1970년 제82집단군에 입대하여 부소대장까지 지냈고, 3년 뒤 제대하여 베이징 라디오 공장에서 3년간 노동자로 일했다.[1] 1976년 12월 중국 공산당(CCP)에 입당했다.[1][17]

중국 인민대학에서 1983년 산업 경제 및 관리학 학사 학위를, 1986년 산업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 세톤 홀 대학교 W. 폴 스틸먼 경영대학원에서 방문 학자로 있었다.[2] 1995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에서 행정학 석사(MPA) 학위를 취득했다.[3] 중국 경제학자 50인 포럼의 창립자이기도 하다.[1]

3. 경력

류허는 거시 경제학, 중국 산업 및 경제 개발 정책, 새로운 경제 이론, 정보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5권의 저서와 2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1][4]

그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류허의 주요 경력
기간직책주요 활동 및 비고
1986년 ~ 1987년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연구원[1]
1987년 ~ 1998년국가계획위원회 연구실 부주임, 산업 정책 및 장기 계획 부서 부주임[1]
1998년 ~ 2001년국가정보센터 상무 부주임, 중국 경제 정보 회사 회장[1]
2001년 ~ 2003년국무원 신문판공실 부국장전자상거래 및 국제 협력 담당[1]
2003년 ~ 2011년중앙재경영도소조 부주임거시 경제 정책 계획, 후진타오 총서기 연설문 초안 담당[1]
2011년 ~ 2013년국무원 발전연구센터 당서기, 부국장[1]
2013년 ~ 2018년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당서기[1]
2013년 ~ 2023년중앙재경영도소조 판공실 주임 (2018년 중앙 재경 위원회로 승격)[1][18]
2017년 ~ 2022년중앙정치국 위원
2018년 ~ 2023년국무원 부총리금융 및 경제 구조 개혁 담당, 미중 무역 전쟁 협상 대표[20]



2013년 이후 류허는 시진핑 총서기의 핵심 경제 참모로 부상하며 중국 경제 정책의 주요 설계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그는 "시진핑이 매우 신뢰하는 기술 관료 중 한 명"으로 묘사되었으며,[5][19] 특히 18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자원 배분에 있어 "시장 원리"의 "결정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성명서의 주 집필자로 알려져 있다.[1] 국무원 부총리 재임 시절에는 미중 무역 전쟁 국면에서 중국 측 수석 협상 대표를 맡아 미국과의 협상을 이끌었다.

3. 1. 초기 경력

1952년 1월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1960년대 베이징 101 중학교 재학 시절 시진핑과 동창이었다.[16] 1976년 12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17]

1983년 중국 인민대학 산업경제학 연구과를 졸업했으며, 1995년에는 미국으로 유학하여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에서 행정학 석사(MPA) 학위를 취득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부소장을 지냈다. 2013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과 중국 공산당 중앙재경영도소조 판공실 주임을 맡았다.[18] 이 시기부터 시진핑 당 총서기의 경제 정책 브레인으로서 금융 경제의 거시 정책을 총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9] 2017년 중국 공산당 제19기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3. 2. 중앙재경영도소조 및 국가발전개혁위원회

2013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과 중국 공산당 중앙재경영도소조 판공실 주임을 맡았다.[18] 이 시기 그는 시진핑 당 총서기의 주요 경제 정책 참모로서 금융 및 경제 분야의 거시 정책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9] 2017년에는 중국 공산당 제19기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8년 3월 19일, 제2차 리커창 내각에서 국무원 부총리로 임명되었다.[20] 부총리 취임 직후인 3월 24일,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의 슈퍼 301조에 근거한 중국 제품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보복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21] 이는 본격화되는 미중 무역 전쟁의 서막이었다.

같은 해 5월 3일, 베이징을 방문한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 윌버 로스 상무장관,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회의 위원장, 피터 나바로 통상제조업정책국 국장 등 미국 고위급 대표단과 통상 협상을 진행했다.[22] 이어 5월 15일에는 직접 미국을 방문하여[2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24] 이 회담 후, 중국이 미국의 상품과 서비스 구매를 대폭 늘려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겠다는 내용의 미중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고, 양국이 상호 관세 부과를 통한 무역 전쟁을 피하기로 합의했다고 알려졌다.[25]

그러나 갈등은 쉽게 봉합되지 않았다. 6월, 중국을 방문한 로스 상무장관과의 협상에서 류허는 미국의 관세 철폐를 수입 확대의 조건으로 내걸었다.[26] 이후 양국 간의 관세 공방이 격화되면서 류허는 미중 무역 전쟁 협상의 중국 측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 내 일각에서는 그가 서구 열강에 타협하지 않고 아편 전쟁을 초래했던 청나라 관리 엽명침에 빗대어 "육불총독(六不總督)"[27]이라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2018년 8월 30일에는 중국을 방문한 일본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과 회담했다. 이 자리에서 양국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통화 스왑 협정 체결 등 금융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28] 이는 미국의 통상 압박에 맞서 주변국과의 연대를 모색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되었다.

2019년 1월, 다시 미국을 방문하여 트럼프 대통령, 므누신 재무장관,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 로스 상무장관 등과 협상을 이어갔다.[29] 같은 해 2월 트럼프 대통령과의 재회담 이후 미국 측이 대중국 관세 인상을 유보하겠다고 발표했으나,[30] 중국 내에서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과의 강화 조약을 맺었던 이홍장에 비유하며 류허가 미국에 지나치게 양보한다는 비판이 쿵칭둥 등을 중심으로 제기되기도 했다.[31][32]

협상은 순탄치 않았다. 2019년 5월 9일,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위해 다시 방미했을 때,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렀던 합의문 초안의 상당 부분을 류허 측이 일방적으로 수정하여 보냈다는 논란이 불거졌다.[33][34][35] 이에 미국이 5월 10일 예고했던 관세 인상을 단행하자, 류허는 "반드시 보복할 것이며, 중국은 원칙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결코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36]

같은 해 10월, 미국에서 열린 미중 통상 협상에서는 일부 진전이 있었다.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확대하고 금융 서비스 시장을 추가 개방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부분 합의에 도달했고,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관세 인상을 보류하겠다고 발표했다. 류허는 이 협상 결과를 논의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회담했다.[37]

마침내 2020년 1월 15일, 류허는 중국 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하여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미중 1단계 경제 무역 합의문에 서명했다.[38][39] 이 합의는 격렬했던 미중 무역 전쟁 국면을 일단락 짓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았다.

3. 3. 국무원 부총리

2018년 오벌 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난 류허.


2017년 10월 중국 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했으며, 같은 해 11월 신설된 금융안정발전위원회의 책임자가 되었다. 2018년 3월 19일, 제2차 리커창 내각의 부총리로 임명되어 금융 및 경제 구조 개혁을 담당하게 되었다.[20] 부총리로서 시진핑 주석의 주요 경제 정책인 新常态|신창타이중국어(New Normal)와 供给侧改革|공급 측 개혁중국어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18년 5월, 중국-미국 무역 전쟁에서 중국 측 수석 협상 대표를 맡았다. 같은 해 3월 24일에는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의 슈퍼 301조에 따른 관세 부과에 보복할 것임을 예고했다.[21] 5월 3일에는 중국을 방문한 므누신 재무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 윌버 로스 상무장관,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회의 위원장, 피터 나바로 통상제조업정책국 국장 등 미국 대표단과 통상 협상을 진행했다.[22] 5월 15일에는 미국을 방문하여[2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하고[24], 중국이 미국의 상품과 서비스를 대량 구매하여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겠다는 내용의 공동 성명을 발표하며 양국 간 무역 전쟁 회피에 합의했다고 밝혔다.[25]

그러나 합의는 오래가지 못했다. 2018년 6월, 중국을 방문한 로스 상무장관과의 협상에서 류허는 미국의 관세 철폐를 수입 확대의 조건으로 내걸었고[26], 이후 양국은 추가 관세를 주고받으며 미중 무역 전쟁은 격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류허는 중국 내에서 서구 열강에 타협하지 않고 아편 전쟁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 청나라 관리 엽명침에 빗대어 六不總督|육불총독중국어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27]

2018년 8월 30일, 중국을 방문한 일본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과 회담하여 미국의 보호주의적 무역 정책에 공동 대응하고, 양국 간 스왑 협정 등 금융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28]

2019년 1월, 다시 미국을 방문하여 트럼프 대통령, 므누신 재무장관 등과 협상을 진행했고[29], 같은 해 2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 조치를 유보하겠다고 발표했다.[30] 하지만 이 협상 결과를 두고 중국 내 일부에서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과 불리한 강화 조약을 맺었던 이홍장에 비유하며 류허가 미국에 지나치게 양보했다는 쿵칭둥 등의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31][32]

2019년 5월, 미중 통상 협상이 타결 직전에 이르렀으나, 류허가 90% 이상 완성된 합의문 초안의 7개 장을 대폭 수정하여 미국 측에 일방적으로 통보하면서[33][34][35] 협상은 다시 파국을 맞았다. 이에 미국이 5월 10일 추가 관세를 발동하자, 류허는 "반드시 보복할 것"이며 "중국은 원칙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결코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경하게 대응했다.[36] 같은 해 10월, 미국에서 열린 협상에서 미국산 농산물 구매 확대와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등 일부 쟁점에서 부분 합의에 도달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관세 인상을 보류했다.[37]

2020년 1월 15일, 류허는 중국 대표로서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하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미중 1단계 경제 무역 합의문에 서명했다.[38][39]

류허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으며, 2018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 경제 포럼(WEF) 연차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 정부의 앤트 그룹 등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과정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3. 4. 미중 무역 협상

2018년 3월 19일, 제2차 리커창 내각의 국무원 부총리에 임명되었다.[20] 임명 직후인 같은 달 24일,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의 슈퍼 301조에 따른 중국 제품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보복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21] 이는 미중 무역 갈등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신호였다.

같은 해 5월 3일, 베이징을 방문한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윌버 로스 미국 상무부 장관,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정책국 국장 등 미국 고위급 대표단과 첫 공식 무역 협상을 진행했다.[22] 이어 15일에는 협상을 위해 직접 미국을 방문하여[2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도 면담했다.[24] 이 방문에서 중국이 미국의 상품과 서비스 구매를 대폭 늘려 대미 무역 흑자를 감축하겠다는 내용의 미중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양국이 상호 관세 부과를 통한 무역 전쟁을 피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25]

그러나 이러한 합의는 오래가지 못했다. 6월, 중국을 다시 찾은 로스 상무장관과의 협상에서 류허 부총리는 미국의 관세 철회를 수입 확대의 조건으로 내걸었고,[26] 이후 양국은 추가 관세를 주고받으며 미중 무역 전쟁은 격화되었다. 류허는 이 과정에서 중국 측 협상을 이끄는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하지만 중국 내에서는 서구 열강에 타협하지 않다가 아편 전쟁을 초래한 청나라 관리 엽명침에 빗대어 그를 "육불총독"이라 비난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27]

한편, 미국과의 갈등 속에서 다른 국가와의 협력도 모색했다. 2018년 8월 30일, 중국을 방문한 일본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과 만나 미국의 보호주의에 공동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논의하고, 양국 간 통화 스와프 협정 체결 등 금융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28]

2019년 들어서도 미국과의 협상은 계속되었다. 1월에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트럼프 대통령, 므누신 재무장관, 라이트하이저 대표, 로스 상무장관 등과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았고,[29] 2월에 트럼프 대통령을 다시 만났을 때는 미국 측이 당초 예고했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시한을 연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30] 하지만 중국 내 일각에서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과 불리한 강화 조약을 맺었던 이홍장에 류허를 비유하며 미국에 지나치게 양보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쿵칭둥 등이 이러한 비판에 앞장섰다.[31][32]

협상은 2019년 5월 다시 파국 위기를 맞았다. 5월 9일,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으나, 직전에 거의 합의되었던 협정문 초안의 상당 부분을 중국 측이 일방적으로 수정하여 미국에 보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33][34][35] 이에 미국은 10일 예고했던 대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 인상을 단행했고, 류허 부총리는 "반드시 보복할 것이다. 중국은 원칙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절대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36]

이후 양측은 다시 접촉하여 2019년 10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고위급 협상에서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확대하고 금융 서비스 시장을 추가 개방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1단계 부분 합의'에 도달했다. 류허 부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만나 이 합의를 확인했으며, 미국은 예정되었던 추가 관세 인상을 보류했다.[37]

이 부분 합의를 바탕으로 2020년 1월 15일, 류허 부총리는 중국 대표단을 이끌고 미국 백악관을 방문하여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미중 1단계 경제 무역 합의'에 공식 서명했다.[38][39] 이로써 1년 반 이상 지속된 양국 간의 무역 전쟁은 일단락되었다.

3. 5. 기타 활동

2018년 8월 30일, 중국을 방문한 일본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과 회담하였다. 이 자리에서 미국의 대중국 및 대일본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한 미일 무역 마찰과 미중 무역 전쟁 상황을 논의하며 보호주의에 공동으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또한, 스왑 협정 체결을 포함한 양국 간 금융 협력 강화 방안에 합의하였다.[28]

3. 6. 퇴임 이후

류허는 2022년 10월 제20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이후 정치국에서 퇴임했으며, 2023년 3월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 이후 부총리직에서도 물러났다.[11] 그는 또한 2023년 10월까지 중앙 재경 위원회 판공실 주임직에서 물러났으며, 이 자리는 부총리 허리펑이 승계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퇴임 후에도 여전히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경제 관련 회의에 참석하고, 미국과의 무역 및 경제 문제, 그리고 국내 경제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도록 요청받았다.[11] 류허는 또한 2023년 7월과 2024년 4월에 미국 재무장관 재닛 옐런과 만났다.[13][14]

4. 가족

류허는 결혼하였다. 그의 아들 류톈란(刘天兰)은 天壹紫腾资产管理|톈이쯔텅 자산 관리중국어(Skycus Capital)의 회장이다.[15]

참조

[1] 웹사이트 Liu He 刘鹤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23-06-23
[2] 뉴스 Liu He: China's quiet economist becomes top economic leader https://www.bbc.com/[...] 2023-06-23
[3] 서적 China's World View: Demystifying China to Prevent Global Conflict W. W. Norton & Company 2024
[4] 웹사이트 China Vitae : Biography of Liu He http://www.chinavita[...] 2018-03-19
[5] 뉴스 A Political Economist on How China Sees Trump's Trade War https://www.newyorke[...] 2019-05-23
[6] 뉴스 China's Liu He to take broad economic role as vice-premier https://www.ft.com/c[...] 2023-06-20
[7] 뉴스 Liu He: China's new one-man debt bomb disposal unit http://www.scmp.com/[...] 2018-03-19
[8] 웹사이트 国务院副总理、国务委员、各部部长完整名单 http://news.ifeng.co[...] 2018-03-19
[9] 웹사이트 'You're very tough negotiators': Trump's truce in China-US trade war https://www.abc.net.[...] ABC News 2019-10-27
[10] 뉴스 At Davos, the Real Star May Have Been China, Not Trump https://www.nytimes.[...] 2018-01-28
[11] 뉴스 Elder Liu He remains China’s economic guide, including on US strategy https://www.scmp.com[...] 2023-06-23
[12] 뉴스 China’s Vice-Premier He Lifeng handed increased economic authority, takes over key policymaking role https://www.scmp.com[...] 2023-10-30
[13] 웹사이트 U.S. Treasury Secretary Janet Yellen meets Chinese Premier Li Qiang https://www.cnbc.com[...]
[14] 웹사이트 Secretary of the Treasury Janet L. Yellen to Travel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home.treasur[...]
[15] 뉴스 Firm founded by son of China finance tsar invests heavily in tech https://www.ft.com/c[...] 2021-05-26
[16] 웹사이트 解密劉鶴─中國新經濟計劃的頂層設計師" https://theinitium.c[...] 端傳媒 2018-03-29
[17] 웹사이트 刘鹤同志简历 http://www.xinhuanet[...] 新华网 2018-03-29
[18] 웹사이트 刘鹤同志简历 http://www.xinhuanet[...] 新华网 2018-03-29
[19] 웹사이트 China’s Liu He to take broad economic role as vice-premier https://www.ft.com/c[...] Financia Times 2018-03-29
[20] 웹사이트 国务院副总理、国务委员、各部部长完整名单 http://news.ifeng.co[...] Xinhua 2018-03-29
[21] 간행물 中国、米に報復方針示す 副首相、電話協議で 「知財侵害」制裁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5-06
[22] 뉴스 Trump's top economic advisers are embarking on a trip that could make or break the US-China trade fight http://www.businessi[...] ビジネスインサイダー 2018-05-04
[23] 뉴스 中国副首相が米国到着 通商協議、2回目に https://web.archive.[...] フジサンケイ ビジネスアイ 2018-05-16
[24] 뉴스 中国の劉鶴副首相がトランプ米大統領と会談=CCTV https://jp.reuters.c[...] AFPBB 2018-05-20
[25] 뉴스 中国が米国からの購入「大幅に」拡大、貿易戦争は回避されたと表明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18-05-21
[26] 뉴스 輸入拡大、米の追加関税取り下げ条件に 中国が声明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6-04
[27] 뉴스 米中貿易戦争の中国副首相はアロー戦争の「無策」官僚に似てい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8-16
[28] 뉴스 保護主義反対で一致 財務相、中国副首相と会談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8-30
[29] 뉴스 米大統領、通商合意目指し中国主席と会談へ 協議の前進評価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9-02-02
[30] 뉴스 トランプ氏、中国製品の関税引き上げを延期 協議で「大きな進展」と https://www.bbc.com/[...] BBC 2019-03-02
[31] 뉴스 「劉鶴氏は日清戦争の李鴻章に及ばず」が示す暗闘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3-02
[32] 뉴스 一張照片看出差異... 中國學者批:劉鶴不如李鴻章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19-04-08
[33] 뉴스 衝撃の対米合意案3割破棄 「習・劉」が送った105 ペー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5-15
[34] 뉴스 米中貿易交渉、中国が合意文書案に大幅な修正=関係筋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9-05-15
[35] 뉴스 米通商代表ら、中国を非難 関税引き上げの方針確認 https://www.cnn.co.j[...] CNN 2019-05-15
[36] 뉴스 中国副首相「原則では譲らない」米中協議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5-11
[37] 뉴스 米中通商協議が「第1段階」の合意、包括合意には至らず https://www.cnn.co.j[...] CNN 2019-10-12
[38] 뉴스 米中、第1段階の貿易合意に署名-中国は2年で22兆円の追加購入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20-01-16
[39] 뉴스 Economic and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ustr.gov/abo[...] アメリカ合衆国通商代表部 2020-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