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릴롱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롱궤는 말라위의 수도이자 두 번째로 큰 도시로, 릴롱궤 강 유역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되어 20세기 초 영국 식민 행정 중심지로 발전했다. 1974년 수도가 좀바에서 릴롱궤로 이전되었으며, 현재 말라위의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한다. 릴롱궤는 1904년 영국령 니아사랜드의 북부 지소 설치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1920년대에는 담배 가공과 옥수수, 땅콩 생산을 통해 성장했다. 1947년 도시로 공식 인정받았고, 1965년 대통령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에 의해 경제 성장 거점으로 지정되었다. 릴롱궤는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주요 산업은 정부, 공공 기관, 금융, 소매 무역, 건설, 관광 등이다. 릴롱궤는 릴롱궤 국제공항을 통해 항공 교통이 이루어지며, 말라위 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라위의 도시 - 블랜타이어 (말라위)
    블랜타이어는 1876년 스코틀랜드 교회의 선교 활동으로 설립된 말라위의 상업 및 산업 중심 도시이며, 롬웨족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이고 가톨릭교회가 가장 큰 종교이며, 칠레카 국제공항과 세나 철도를 통해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하고, 제조업이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말라위 증권 거래소가 위치해 있다.
  • 말라위의 도시 - 카숭구
    말라위 중부에 위치한 카숭구는 습윤 아열대 기후의 도시이자 담배 재배 중심지로, 대통령 헤이스팅스 반다와 윌리엄 캄쾀바의 출생지이며 카숭구 국립공원과 카무주 아카데미가 인근에 있고 2018년 기준 58,653명의 인구가 체와어를 사용한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음바바네
    음바바네는 엠짐바 산맥에 위치하며 관광과 사탕수수 수출에 의존하는 에스와티니의 수도이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튀니스
    튀니지는 튀니지의 수도이자 북아프리카 주요 도시로서, 고대 카르타고 위성 도시에서 로마 시대 농업 중심지를 거쳐 아랍 왕조들의 지배와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지나 튀니지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 도시 시설이 공존한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릴롱궤
기본 정보
릴롱궤 시내 야경
"위에서부터: 빙구 국제 컨벤션 센터, K.A.R. 시계탑, 국립 은행, 말라위 국회 의사당"
공식 명칭릴롱궤
로마자 표기Lilongwe
별칭Liľonğwë
위치말라위
좌표북위 13° 59' 동경 33° 47'
위치 지도[[파일:Malawi#Africa|115px|릴롱궤의 말라위 내 위치]]
행정 구역
국가말라위
지역중부주
행정 구역 단위
릴롱궤
정부
시장줄리아나 카두야
면적
총 면적727.79 km²
고도
해발 고도1050 m
인구
인구 (2018년)989,318명
인구 밀도1,482명/km²
시간대
시간대중앙아프리카 시간
UTC 오프셋+02:00
서머 타임미적용
기후
기후Cwa
기타 정보
웹사이트lcc.mw

2. 역사

릴롱궤는 릴롱궤 강둑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기에 영국의 식민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는 남북을 잇는 주요 도로 상에 위치하여 말라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1974년 말라위의 수도가 공식적으로 좀바에서 릴롱궤로 이전되었다.[10] 비록 릴롱궤가 말라위의 공식적인 수도이고 1974년 이래로 크게 성장했지만, 대부분 상업적인 활동은 블랜타이어에서 발생한다.

최근 정치적인 재조직의 일환으로 국회가 릴롱궤로 이전했으며, 모든 국회의원들은 새로운 수도에서 시간을 보내도록 요구받고 있다. 릴롱궤는 현재 말라위의 정치 중심지이지만, 블랜타이어는 경제 수도로 남아있다.

1993년에는 육군과 반다 대통령 파의 군사 충돌로 릴롱궤 시가지도 피해를 입었다.[29]

2. 1. 초기 역사

이 도시는 릴롱궤 강둑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에 영국의 식민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6] 1904년 영국령 니아사랜드의 북부 지소 설치에 따라 건설된 것이 이 도시의 시작이다.[29] 1920년대에는 여러 주요 도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비옥한 중앙 지역 고원의 농업 시장 중심지로서 중요성이 커졌다.[8] 특히 1920년대부터 말라위 내에서 생산된 잎담배의 가공 및 출하, 옥수수땅콩의 생산으로 릴롱궤는 성장했다. 잎담배는 국외에도 출하되었으며, 현재도 말라위의 주요 수출품이 되고 있다.[30]

릴롱궤는 1947년에 공식적으로 도시로 인정받았다.[9] 독립 후 말라위 중앙 지역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점차 발전했다. 1964년 릴롱궤는 좀바를 대신하여 말라위의 수도로 선정되었다.[31] 1965년 말라위의 초대 대통령인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는 릴롱궤를 북부 및 중앙 말라위의 경제 성장 거점으로 선정했다.[4] 1966년 수도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말라위 정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융자를 받았지만,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실시되고 있어 주변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31]

1969년부터 정부의 건설 및 시설 건설이 시작되어, 1975년 말라위의 정식 수도로 지정되었다.[31] 릴롱궤가 새로운 수도로 지정된 후에도 국회는 구 수도인 좀바에서 열렸으며, 1994년 국회가 릴롱궤로 이전했다.[32]

2. 2. 성장과 발전

릴롱궤는 릴롱궤 강둑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기에 영국의 식민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릴롱궤는 나라를 통과하는 주요 북-남 루트 상에 위치하여 말라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1974년 말라위의 수도가 공식적으로 좀바에서 릴롱궤로 이동했다.[8][10] 릴롱궤는 말라위의 공식적인 수도이자 1974년 이래로 크게 성장했지만, 대부분 상업적인 활동은 말라위의 가장 큰 도시인 블랜타이어에서 발생한다. 최근에는 정치적인 재조직의 일부로서 국회가 릴롱궤로 이동했으며, 모든 국회 의원들이 새로운 수도에서 시간을 보내도록 요구받고 있다. 릴롱궤는 현재 말라위의 정치적인 중심이지만, 블랜타이어는 경제적인 수도로 남아있다.

릴롱궤는 1902년경 지역 지도자 은제와에 의해 보마로 건설되었으며,[6] 1904년에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7] 1920년대에는 여러 주요 도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비옥한 중앙 지역 고원의 농업 시장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이 커졌다.[8] 1947년 교역소로서 공식적으로 도시로 인정받았다.[9] 독립 후에는 말라위 중앙 지역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점차 발전했다.

1965년 말라위의 초대 대통령인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는 릴롱궤를 북부 및 중앙 말라위의 경제 성장 거점으로 선정했다.[4] 1975년에는 이전 수도였던 좀바를 대체하여 말라위의 수도가 되었다.[8][10] 마지막 정부 기관은 2005년에 릴롱궤로 이전되었다.[11]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개발 프로젝트에는 릴롱궤 국제공항 건설, 동쪽의 살리마와 서쪽의 잠비아 국경을 잇는 철도 연결, 도시 북부의 산업 지역, 중앙 지역 고원의 비옥한 담배 토지를 위한 농업 프로그램이 포함되었다.[4] 릴롱궤의 인구는 계속해서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으며, 연간 4.3%의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12]

1904년 영국령 니아사랜드의 북부 지소 설치에 따라 건설된 것이 이 도시의 시작이다.[29] 1920년대부터 말라위 내에서 생산된 잎담배 가공 및 출하, 옥수수땅콩 생산으로 릴롱궤는 성장했다. 잎담배는 국외에도 출하되었으며, 현재도 말라위의 주요 수출품이다. 릴롱궤는 말라위 내 다른 도시에 비해 식민지 경영의 색채가 옅었는데, 이는 후에 수도로 선정되는 한 원인이 된다.[30]

1964년 릴롱궤는 존바를 대신하여 말라위의 수도로 선정되었다.[31] 이전이 결정되기 전 구 시가지에는 약 20,000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수도 건설에 따라 6,000 가구가 이주했다.[31] 1966년 수도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말라위 정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융자를 받았지만,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실시되고 있어 주변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31]

1969년부터 정부 및 시설 건설이 시작되어 1975년에 말라위의 정식 수도로 지정되었다.[31] 릴롱궤가 새로운 수도로 지정된 후에도 국회는 구 수도인 존바에서 열렸으며, 1994년에 국회가 릴롱궤로 이전했다.[32] 1993년에 발발한 육군과 반다 대통령 파의 군사 충돌에서는 릴롱궤 시가지도 피해를 입었다.[29]

2. 3. 수도 이전

1964년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 대통령에 의해 릴롱궤는 좀바를 대신하여 말라위의 수도로 선정되었다.[31] 이전이 결정되기 전 구 시가지에는 약 20,000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수도 건설에 따라 6,000 가구가 이주했다.[31] 1966년, 수도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말라위 정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융자를 받았지만,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실시되고 있어 주변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31]

1965년 말라위의 초대 대통령인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는 릴롱궤를 북부 및 중앙 말라위의 경제 성장 거점으로 선정했다.[4] 1969년부터 정부 청사 및 시설 건설이 시작되어, 1975년에 말라위의 정식 수도로 지정되었다.[31] 1974년에는 말라위의 수도가 공식적으로 좀바에서 릴롱궤로 이동했다.[10]

릴롱궤가 새로운 수도로 지정된 후에도 국회는 구 수도인 좀바에서 열렸으며, 1994년에 국회가 릴롱궤로 이전했다.[32] 마지막 정부 기관은 2005년에 릴롱궤로 이전되었다.[11] 최근에는 정치적인 재조직의 일부로서, 국회가 릴롱궤로 이동한 상태이며 모든 국회 의원들이 새로운 수도에서 시간을 보내도록 요구받는다.

2. 4. 수도 이전의 배경과 논란

릴롱궤는 1902년경 지역 지도자 은제와에 의해 보마로 처음 건설되었으며,[6] 1904년에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7] 1920년대에는 여러 주요 도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비옥한 중앙 지역 고원의 농업 시장 중심지로서 중요성이 커졌다.[8] 교역소로서 1947년에 공식적으로 도시로 인정받았으며,[9] 독립 후 말라위 중앙 지역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점차 발전했다.

1965년 말라위의 초대 대통령인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는 릴롱궤를 북부 및 중앙 말라위의 경제 성장 거점으로 선정했다.[4] 1975년에 이전 수도였던 좀바를 대체하여 말라위의 수도가 되었으며,[8][10] 마지막 정부 기관은 2005년에 릴롱궤로 이전되었다.[11]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개발 프로젝트에는 릴롱궤 국제공항 건설, 동쪽의 살리마와 서쪽의 잠비아 국경을 잇는 철도 연결, 도시 북부의 산업 지역, 그리고 중앙 지역 고원의 비옥한 담배 토지를 위한 농업 프로그램이 포함되었다.[4]

1904년 영국령 니아사랜드의 북부 지소 설치에 따라 건설된 것이 이 도시의 시작이다.[29] 1920년대부터 말라위 내에서 생산된 잎담배의 가공과 출하, 옥수수땅콩의 생산으로 성장했다. 말라위 내의 도시 중에서도 릴롱궤는 식민지 경영의 색채가 옅어, 이것이 후에 수도로 선정되는 한 원인이 된다.[30]

1964년에 존바를 대신하여 말라위의 수도로 선정되었다.[31] 수도 이전이 결정되기 전 구 시가지에는 약 20,000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수도 건설에 따라 6,000 가구가 이주했다.[31] 1966년, 수도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말라위 정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융자를 받았지만,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실시되고 있어 주변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31]

1969년부터 정부의 건설 및 시설 건설이 시작되어, 1975년에 말라위의 정식 수도로 지정되었다.[31] 릴롱궤가 새로운 수도로 지정된 후에도 국회는 구 수도인 존바에서 열렸으며, 1994년에 국회가 릴롱궤로 이전했다.[32] 1993년에 발발한 육군과 반다 대통령 파의 군사 충돌에서는 릴롱궤 시가지도 피해를 입었다.[29]

2. 5. 현대

릴롱궤는 릴롱궤 강둑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기에 영국의 식민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남북을 가로지르는 주요 도로 상에 위치하여 말라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1974년 말라위의 수도가 공식적으로 좀바에서 릴롱궤로 이전되었다.[8][10] 1974년 이후 릴롱궤는 크게 성장했지만, 대부분의 상업 활동은 여전히 블랜타이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국회가 릴롱궤로 이전되었으며, 모든 국회 의원들은 새로운 수도에서 시간을 보내도록 요구받고 있다. 릴롱궤는 현재 말라위의 정치 중심지이지만, 블랜타이어는 경제 수도로 남아있다.

1902년경 지역 지도자 은제와에 의해 보마로 처음 건설되었으며,[6] 1904년에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7] 1920년대에는 주요 도로 교차점에 위치하여 중앙 지역 고원의 농업 시장 중심지로서 중요성이 커졌다.[8]

1947년, 릴롱궤는 교역소로서 공식적으로 도시로 인정받았다.[9] 독립 후, 말라위 중앙 지역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점차 발전했다.

1965년,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는 릴롱궤를 북부 및 중앙 말라위의 경제 성장 거점으로 선정했다.[4] 1975년, 릴롱궤는 이전 수도였던 좀바를 대체하여 말라위의 수도가 되었다.[10] 2005년에는 마지막 정부 기관이 릴롱궤로 이전되었다.[11]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개발 프로젝트에는 릴롱궤 국제공항 건설, 동쪽의 살리마와 서쪽의 잠비아 국경을 잇는 철도 연결, 도시 북부의 산업 지역, 중앙 지역 고원의 담배 토지를 위한 농업 프로그램이 포함되었다.[4] 릴롱궤의 인구는 연간 4.3%씩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12]

1904년 영국령 니아사랜드의 북부 지소 설치로 릴롱궤가 시작되었다.[29] 1920년대부터 릴롱궤는 잎담배 가공 및 출하, 옥수수땅콩 생산으로 성장했다. 잎담배는 국외로도 수출되었으며, 현재도 말라위의 주요 수출품이다. 릴롱궤는 식민지 경영의 색채가 옅었는데, 이것이 훗날 수도로 선정되는 한 원인이 되었다.[30]

1964년, 릴롱궤는 존바를 대신하여 말라위의 수도로 선정되었다.[31] 수도 이전 결정 전 구 시가지에는 약 20,000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수도 건설에 따라 6,000 가구가 이주했다.[31] 1966년, 수도 건설 자금 조달을 위해 말라위 정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융자를 받았는데,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실시하고 있어 주변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31]

1969년부터 정부 건설 및 시설 건설이 시작되어 1975년에 말라위의 정식 수도로 지정되었다.[31] 릴롱궤가 새로운 수도로 지정된 후에도 국회는 존바에서 열렸으며, 1994년에 국회가 릴롱궤로 이전했다.[32] 1993년에 발생한 육군과 반다 대통령 파의 군사 충돌로 릴롱궤 시가지도 피해를 입었다.[29]

2. 6. 도시 계획

릴롱궤는 1902년경 지역 지도자 은제와에 의해 보마로 건설되었고,[6] 1904년에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7] 1920년대에는 주요 도로 교차점에 위치하여 농업 시장 중심지로서 중요성이 커졌다.[8] 1947년에는 공식적으로 도시로 인정받았다.[9]

1965년, 헤이스팅스 카무주 반다 대통령은 릴롱궤를 북부 및 중앙 말라위의 경제 성장 거점으로 선정했다.[4] 1975년에는 좀바를 대체하여 말라위의 수도가 되었다.[8][10]

릴롱궤의 최초 계획은 1955년에 발표되었고, 1968년에 완료된 릴롱궤 마스터 플랜은 이후 계획들의 기초가 되었다. 1969년 릴롱궤 개요 구역 계획은 초기 도시 개발을 이끌었으며, 단일 중심지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 선형, 다중 중심 도시 형태를 채택했다. 각 중심지 주변에는 주거, 고용, 서비스 구역을 집중시켜 장거리 이동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4개의 주요 중심지는 다음과 같다:

  • (a) 구 시가지 주요 상업 중심지, 지역 2 (Bwalonjobvu)와 지역 3 (Kang'ombe)의 쌍둥이 중심지
  • (b) 수도 언덕 구역을 위한 시내 중심지
  • (c) 지역 25/2 (Bvunguti)의 카넨고 주요 상업 중심지
  • (d) 지역 53/2 (Kalimbakatha)에 있는 기존 무역 중심지를 기반으로 하는 룸바드지 주요 상업 중심지.


1978년 릴롱궤 도시 구조 계획은 경계 변경과 룸바드지 및 카무주 국제공항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통합했다. 1986년, 도시 개발 초기 단계가 완료되면서 도시가 정착되고 미래 성장이 보장되었다.

1986년 개요 구역 계획은 규제된 도시 개발과 교통 및 기타 목적에 적합한 토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2000년까지 유효했다. 2008년, 일본 국제 협력 기구(JICA)는 "릴롱궤 도시 개발 마스터 플랜 연구"를 수행했고, 2011년 릴롱궤시 도시 개발 마스터 플랜 연구 보고서가 승인되었다. 2012년부터 JICA의 지원을 받아 릴롱궤시 의회는 도시 구조 계획 개정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릴롱궤시는 지역 58을 포함하여 393km2 면적에 약 989,318명(2018년 기준)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13] 도시 지역은 구 시가지 구역의 남쪽, 남서쪽, 서쪽 지역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불법 정착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3]

릴롱궤 조감도

3. 지리

린가지 강, 리쿠니 강 등의 강이 릴롱궤 시내에서 릴롱궤 강에 합류하여 동쪽으로 흘러 살리마 현으로 들어가 말라위 호로 흘러든다. 시내는 릴롱궤 강과 린가지 강에 끼인 지역 내에서 발달했다.[33]

3. 1. 위치 및 지형

릴롱궤는 말라위 중부의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해발 1050m에 위치한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일부를 형성하며, 릴롱궤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릴롱궤


릴롱궤 현은 동쪽으로 살리마 현, 서쪽으로 무친지 현, 북쪽으로 도와 현, 북서쪽으로 카숭구 현, 남동쪽으로 데자 현, 남쪽으로 모잠비크의 치푼데 (Chifunde), Macanga District|마칸가영어의 각 디스트릭트(현)에 둘러싸여 있다.[33] 린가지 강 (Lingadzi river), 리쿠니 강 (Likuni river) 등의 강이 릴롱궤 시내에서 Lilongwe River|릴롱궤 강영어에 합류하여 동쪽으로 흘러 살리마 현으로 들어가 말라위 호로 흘러든다.[33] 시내는 릴롱궤 강과 린가지 강에 끼인 지역 내에서 발달했다.[33]

3. 2. 행정 구역

릴롱궤는 신도시와 구시가지로 나뉜다. 신도시에는 호텔, 대사관, 정부 기관 및 사무실이 있고, 구시가지에는 시장, 버스 터미널, 카페 및 레스토랑이 있다. 도시의 현대적인 상점들은 구시가지의 거리와 벽으로 둘러싸인 시장과 대조를 이룬다.[16]

릴롱궤 현은 동쪽으로 살리마 현, 서쪽으로 무친지 현, 북쪽으로 도와 현, 북서쪽으로 카숭구 현, 남동쪽으로 데자 현, 남쪽으로 모잠비크의 치푼데 (Chifunde), Macanga District|마칸가영어의 각 디스트릭트(현)에 둘러싸여 있다. 린가지 강, 리쿠니 강 등의 강이 릴롱궤 시내에서 Lilongwe River|릴롱궤 강영어에 합류하여 동쪽으로 흘러 살리마 현으로 들어가 말라위 호로 흘러든다. 시내는 릴롱궤 강과 린가지 강에 끼인 지역 내에서 발달했다.[33]

3. 3. 도시 구조

릴롱궤는 신도시와 구시가지로 나뉜다. 신도시는 호텔, 대사관, 정부 기관 및 사무실을 포함하고, 구시가지는 시장, 버스 터미널, 카페 및 레스토랑을 포함한다. 도시의 현대적인 상점들은 구시가지의 거리와 벽으로 둘러싸인 시장과 대조를 이룬다.[16]

린가지 강, 리쿠니 강 등의 강이 릴롱궤 시내에서 릴롱궤 강에 합류하여 동쪽으로 흘러 살리마 현으로 들어가 말라위 호로 흘러든다. 시내는 릴롱궤 강과 린가지 강에 끼인 지역 내에서 발달했다.[33]

캐피탈 힐이라는 언덕에 관공서 건물이 늘어서 있고, 언덕 주변은 한적한 오피스 거리가 있으며, 그 바깥에는 잡목림이 펼쳐져 있다. 캐피탈 힐의 북쪽에는 공업 지구, 남쪽에는 구시가지가 있다.

도시 성장은 주로 두 개의 큰 경제 중심지(구시가지와 시티 센터)에 집중되어 있으며, 도시 확장 축은 남쪽, 남동쪽, 남서쪽 및 서쪽으로 뻗어 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클러스터 형태 개발이 도시 공간 개발의 대안으로 채택되고 있다.[13]

3. 3. 1. 구역 (Areas)

릴롱궤는 1968년에 완료된 마스터 플랜에 따라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단일 중심지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 선형, 다중 중심 도시 형태가 채택되었으며, 각 중심지 주변에 주거, 고용, 서비스 구역을 집중시켜 장거리 이동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러한 중심지는 네 곳이었으며, 각각 도시의 한 구역을 대표했다.

  • (a) 구 시가지 주요 상업 중심지 (지역 2 (Bwalonjobvu)와 지역 3 (Kang'ombe))
  • (b) 수도 언덕 구역을 위한 시내 중심지
  • (c) 카넨고 주요 상업 중심지 (지역 25/2 (Bvunguti))
  • (d) 룸바드지 주요 상업 중심지 (지역 53/2 (Kalimbakatha), 기존 무역 중심지 기반)


1978년에는 릴롱궤 도시 구조 계획이 수립되어 경계 변경과 룸바드지, 카무주 국제공항에 대한 새로운 계획이 포함되었다. 1986년에는 도시 개발 초기 단계가 완료되었고, 2000년까지 유효한 개요 구역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후 2008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라 지역 58이 추가되었다.

일본 국제 협력 기구(JICA)의 지원으로 2011년에 릴롱궤시 도시 개발 마스터 플랜이 승인되었고, 2012년부터 도시 구조 계획 개정 작업이 진행되었다.

릴롱궤시는 2018년 기준으로 58개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393km2, 인구는 약 989,318명이다. 도시 지역은 구 시가지, 수도 언덕, 카넨고, 룸바드지 구역 외에도 남쪽, 남서쪽, 서쪽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불법 정착촌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각 구역은 번호로 구분되며, 주거, 상업, 산업, 정부 기관, 개방 공간/녹지 등 다양한 용도로 지정되어 있다.

  • 주거 지역: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고층 아파트, 준주거 등으로 구분
  • 상업 지역: 상업, 고층 상업으로 구분
  • 산업 지역: 중공업/대규모 산업, 경공업으로 구분
  • 정부 기관 용지: 정부 기관 집중 구역
  • 개방 공간/녹지: 자연 보호 구역,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녹지/자연 개방 공간, 농업, 임업


도시 성장은 주로 두 개의 큰 경제 중심지(구시가지와 시티 센터)에 집중되어 있으며, 도시 확장 축은 남쪽, 남동쪽, 남서쪽 및 서쪽으로 뻗어 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클러스터 형태 개발이 도시 공간 개발의 대안으로 채택되고 있다.

4. 기후

릴롱궤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wa)를 보이며, 아열대 고산 기후(쾨펜: Cwb)와 경계를 이룬다. 고도 때문에, 열대 지역에 위치한 도시에서 예상되는 온도보다 낮다. 릴롱궤는 짧은 몬순 계절을 보이며, 12월부터 3월까지 이어진다. 긴 건조한 겨울은 4월부터 8월까지, 따뜻한 여름은 9월부터 11월까지 이어진다. 몬순 기간 동안 폭우가 쏟아지기도 한다.

릴롱궤는 해발 1083m 정도의 고원에 위치해 있다.[29] 말라위에서 더운 건기라고 불리는 10월과 11월이 가장 더운 시기이지만, 평균 기온은 23°C 전후이다. 5월부터 8월경이 평균 기온 15°C에서 18°C 정도로 서늘한 시기이며, 연평균 기온은 20°C 정도이다.

다음은 1991년-2020년 관측된 릴롱궤의 기후 데이터이며, 극한값은 1981년부터 현재까지의 기록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6.2°C26.3°C26.3°C25.9°C25.5°C23.5°C22.5°C24.5°C27.2°C29.5°C29.3°C27.7°C26.3°C
평균 최저 기온 (°C)17.9°C17.5°C17.1°C14.9°C11.9°C9.2°C8.6°C10.3°C13.3°C16.3°C17.9°C18°C14.4°C
역대 최고 기온 (°C)32.5°C31.2°C30.2°C30.5°C31.5°C28°C29.2°C29.5°C33.1°C34.5°C34.2°C32.4°C34.5°C
역대 최저 기온 (°C)11.8°C11.7°C11.3°C8.1°C3°C0.5°C-0.6°C1.4°C5.1°C7.9°C10°C11.8°C-0.6°C
월 강수량 (mm)223mm187mm128mm44mm12mm1mm0mm0mm1mm10mm63mm199mm869mm
평균 강수일수 (≥ 0.1 mm)181615841110281791
평균 상대 습도 (%)83838278746965605253627869
월 평균 일조시간140.1159.6198.2214.6260.1233.8295.1285.7279.0306.6236.6164.52688

[17][18][19][20]

5. 인구

릴롱궤 시의 인구는 1966년 2만 명 미만에서 2018년 거의 100만 명으로 매우 빠르게 증가했다. 이러한 급격한 인구 성장은 도시 주변에 빈민가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38][39] 2018년 기준 인구의 절반은 체와족이며, 응고니족이 그 다음으로 큰 민족 집단을 이루고 있다.

5. 1. 인구 성장

연도인구[35]
1930년5,000
1977년98,718
1987년223,318
1998년435,964
2008년669,021
2012년781,538
2018년990,000 (추정)



릴롱궤 시의 인구는 1966년 2만 명 미만에서 2018년 거의 100만 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놀랍도록 빠른 성장으로, 도시 주변에 빈민가가 생기는 원인이 되었다.[38][39] 인구의 절반은 체와족이며, 응고니족이 그 다음을 차지한다.

5. 2. 민족 구성

201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릴롱궤 시 인구의 42.28%를 차지하는 체와족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을 이루고 있다. 시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 집단은 인구의 17.13%를 차지하는 응고니족이었다. 다른 소수 민족 집단으로는 롬웨족(14.48%), 야오(12.11%), 툼부카족(6.46%), 망안자족(1.86%), 세나족(1.78%), 통가(1.56%), 냔자족(0.67%), 콩데(0.63%), 람비야족(0.35%), 수쿠와족(0.04%), 그리고 기타 민족 집단(0.64%)이 있었다.[15]

릴롱궤 시의 민족 집단 (2018년 인구 조사)[15]
민족 집단비율
체와족42.28%
응고니족17.13%
롬웨족14.48%
야오12.11%
툼부카족6.46%
망안자족1.86%
세나족1.78%
통가1.56%
냔자족0.67%
콩데0.63%
람비야족0.35%
수쿠와족0.04%
기타0.64%


5. 3. 종교

종교비율 (%)
중앙 아프리카 장로교회23.15
가톨릭17.28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침례교, 사도교10.35
오순절교8.6
성공회2.31
기타 기독교21.67
이슬람11.12
전통 종교0.34
기타3.38
무교1.73

[15]

릴롱궤 시에서 가장 큰 종교는 중앙 아프리카 장로교회 (23.15%)이다. 가톨릭 (17.28%)은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이 외에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침례교, 사도교 (10.35%), 오순절교 (8.6%), 성공회 (2.31%), 기타 기독교 종파 (21.67%), 이슬람 (11.12%), 전통 종교 (0.34%), 기타 종교 (3.38%), 무교 (1.73%) 등이 있다.[15]

주요 예배 장소는 기독교 교회와 사찰이다. 중앙 아프리카 루터교회 (고백적 복음주의 루터교 연맹), 중앙 아프리카 장로교회 (세계 개혁 교회 연합), 말라위 침례교 연합 (침례교 세계 연맹), 하나님의 성회, 릴롱궤 로마 가톨릭 대교구 (가톨릭 교회) 등이 있다.[24] 이슬람교 사원도 있다.

6. 정치

릴롱궤는 말라위 회의당이 주도하는 릴롱궤 시의회의 통치를 받는다. 말라위 의회는 릴롱궤에 있다.

6. 1. 지방 정부

릴롱궤는 말라위 회의당이 주도하는 릴롱궤 시의회의 통치를 받는다.

6. 2. 국회

국회.


말라위 의회는 릴롱궤에 있다.

7. 경제

블랜타이어가 말라위의 상업 수도이지만, 릴롱궤의 경제는 정부와 공공 기관이 지배하고 있다. 도시 북부의 카넨고는 주요 산업 지역으로, 식품 가공, 담배 저장 및 판매, 옥수수 저장, 기타 경공업 관련 활동이 이루어진다. 금융, 은행, 소매 무역, 건설, 운송, 공공 행정, 관광, 담배 제조가 이 도시의 주요 경제 활동이다.[11]

릴롱궤 인구의 76%가 비공식 정착지에 거주하며, 빈곤율은 25%, 실업률은 16%이다. 공무원은 전체 정규직 근로자의 약 27%를 고용하며, 40%는 민간 부문에서 일하고 2%는 자영업자이다.[12]

8. 교통

카무주 국제공항


릴롱궤의 주요 도로망은 남북 축(M1), 내부 순환 도로, 외부 순환 도로, 나칼라 회랑(서부 우회로 일부), 방사형 도로 및 카무주 국제공항(KIA) 접근 도로로 구성된다. 내부 순환 도로는 M1 및 중심 업무 지구(CBD)의 상업/행정 밀집 지역을 연결하는 기타 주요 도로와 연결된다. 외부 순환 도로는 산업 관련 교통을 처리하며 시내의 주요 시가지 통과를 피한다.[13] 1970년대 초 릴롱궤와 블랜타이어를 잇는 자동차 도로가 개통되었다.[29] 주요 도로는 M1(국도 1호선)이 북-남동 방향으로 관통하며, 동쪽의 살리마 방면으로 M14, 서쪽의 무친지 방면으로 M12, 북쪽의 도와, 은치시 방면으로 M7 국도가 통과한다. M12는 잠비아 국경에서 잠비아의 국도 루사카 방면 도로와 연결된다.

8. 1. 항공

카무주 국제공항(LLW)은 릴롱궤 시 북쪽에 있으며, 시내 중심가(CBD)에서 약 7km 떨어져 있다. 카무주 국제공항은 말라위에서 가장 오래된 공항이다.[21]

릴롱궤에서 북쪽으로 28km 떨어진 곳에는 캄즈 국제공항(릴롱궤 국제공항)이 있다.[31] 이 공항에서는 나이로비, 요하네스버그, 아디스아바바 등의 도시와 직항편이 운항되고 있다.[36]

8. 2. 버스

릴롱궤에서 블랜타이어, 좀바, 카숭구, 므주주로 가는 정기 버스 노선이 있다.[22]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 탄자니아로 가는 국제 버스는 매일 운행한다.

릴롱궤와 요하네스버그를 잇는 버스


시내 및 근교에는 미니버스가 다수 운행되고 있으며, 미니버스의 대부분은 하이 에이스 등 일본 중고차이다.

8. 3. 철도

릴롱궤에는 철도 서비스가 제공된다. 서쪽으로는 세나 철도 노선이 잠비아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동쪽으로는 세나 철도 노선이 살리마로 이어진다.[23] 시내에는 말라위 철도가 통과하지만, 현재는 화물만 취급한다.

9. 교육

말라위 대학교는 1964년에 설립되었다. 릴롱궤에는 총 103,602명의 학생이 다니는 38개의 사립 초등학교(베디르 스타 국제학교, 비숍 매켄지 국제학교 등)와 66개의 공립 초등학교, 그리고 30,795명의 학생이 다니는 29개의 중등학교가 있다.[12]

릴롱궤는 말라위의 교육 중심지이기도 하다. 릴롱궤에 본부를 둔 주요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 말라위 대학교
  • * 분다 농업 대학 (Bunda College of Agriculture)
  • * 카무주 간호 대학 (Kamuzu College of Nursing)
  • 말라위 경영 연구소 (The Malawi Institute of Management, MIM)
  • 릴롱궤 기술 대학 (Lilongwe Technical College)

10. 종교 시설

릴롱궤 시에서 가장 큰 종교는 중앙 아프리카 장로교회로 23.15%를 차지한다. 가톨릭은 17.28%로 도시에서 가장 큰 소수 종교이다. 다른 소수 종교로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침례교, 사도교 (합쳐서 10.35%), 오순절교 (8.6%), 성공회 (2.31%), 기타 기독교 종파 (21.67%), 이슬람 (11.12%), 전통 종교 (0.34%), 기타 종교 (3.38%), 무교 (1.73%) 등이 있다.[15]

예배 장소 중에는 주로 기독교 교회와 사찰이 있다. 여기에는 중앙 아프리카 루터교회 (고백적 복음주의 루터교 연맹), 중앙 아프리카 장로교회 (세계 개혁 교회 연합), 말라위 침례교 연합 (침례교 세계 연맹), 하나님의 성회, 릴롱궤 로마 가톨릭 대교구 (가톨릭 교회) 등이 있다.[24] 이슬람교 사원도 있다.

11. 스포츠

빙구 국립 경기장


새 국립 경기장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7000만달러 차관으로 건설되었으며, 수용 인원은 4만 명이다.[25] 이 경기장은 빙구 국립 경기장으로 불리며, 2017년 초에 공식 개장했다. 다른 축구 경기장으로는 실버 스타디움(47구역), 시보 스타디움(9구역), 난카카 그라운드(30구역) 등이 있다. 릴롱궤의 주요 팀으로는 실버 스트라이커스, 시보 스포팅, 블루 이글스, 카무주 바라크스가 있다.

농구는 아프리카 성서 대학, 시보 코트, 돈 보스코 및 기타 사립 기관에서 진행된다. 릴롱궤의 다른 스포츠 종목으로는 게이트웨이 몰, 돈 보스코, 난카카, ABC에서 진행되는 네트볼이 있다.

또한 여러 팀이 경쟁하는 럭비 연맹 경기도 시에서 개최된다.

12. 자매 도시

도시국가체결 년도
타이베이중화민국1984년
루사카잠비아2004년


참조

[1] 웹사이트 Malawi Mayoral polls: MCP's Bikoko elected mayor for Lilongwe City Council, promises forensic audit for past three financial years http://www.maravipos[...] 2017-01-06
[2] PDF https://malawi.unfpa[...]
[3] 웹사이트 Lilongwe {{!}} national capital, Malawi https://www.britanni[...] 2020-04-05
[4] 웹사이트 Lilongwe {{!}} national capital, Malawi https://www.britanni[...] 2019-06-14
[5] 웹사이트 Lilongwe, Malawi Population (2020) - Population Stat https://populationst[...] 2020-04-05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alawi Scarecrow Press
[7] 웹사이트 Lilongw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9-07-30
[8] 서적 Capital Cities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eography, History, and Culture ABC-CLIO
[9] 웹사이트 Lilongwe http://www.expertafr[...]
[10] 웹사이트 Lilongwe {{!}} Malawi {{!}} Expert Africa https://www.expertaf[...] 2019-06-14
[11] 웹사이트 Malawi Reports: Urban Profiles of Blantyre, Lilongwe, Mzuzu and Zomba https://web.archive.[...] 2015-01-27
[12] PDF http://www.zaragoza.[...]
[13] 웹사이트 The Urban Structure Plan of Lilongwe City https://web.archive.[...] Ministry of Lands, Housing & Urban Development, Republic of Malawi 2013-06-17
[14] 웹사이트 Malawi: Cities, Towns & Urban Localities http://www.citypopul[...]
[15] 웹사이트 2018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Main Report https://web.archive.[...] Malawi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9-12-25
[16] 웹사이트 Lilongwe – Malawi Tourism – Malawi Safari – Malawi Attractions https://web.archive.[...] 2015-01-27
[17]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for Lilongwe 1991–2020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10-15
[18] 웹사이트 Station Lilongwe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6-10-14
[19] 웹사이트 July record low https://www.mherrera[...] 2023-07-03
[20] 웹사이트 Klimatafel von Lilongwe (Int. Flugh. Kamuzu) / Malawi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8-10
[21] 웹사이트 (LLW) Lilongwe International Airport https://web.archive.[...] 2015-01-28
[22] 웹사이트 Getting there & away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3-05-07
[23] 웹사이트 (Malawi Rail Map) https://web.archive.[...] Railroad Development Corporation 2014-09-24
[24] 웹사이트 Malawi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9-07-07
[25] 웹사이트 Malawi, China sign loan agreement to construct new stadium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Taipei City Council https://web.archive.[...] 2015-01-27
[27] 뉴스 Zambia: Lusaka, Lilongwe Cities Twin http://allafrica.com[...] 2004-08-20
[28]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29] 서적 世界地名情報事典
[30] 서적 世界地名大事典
[31]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32]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33]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34] 웹사이트 http://www.weatherbase.com/weather/weatherall.php3?s=78576&refer=&cityname=Lilongwe-Lilongwe-Malawi&units= http://www.weatherba[...]
[35] 웹사이트 Malawi: largest cities and towns and statistics of their population http://www.world-gaz[...]
[36] 웹사이트 主な観光地(駐日マラウイ共和国大使館公式ホームページ) http://www.malawiemb[...] 2013-01-01
[37] 서적 マラウィを知るための45章
[38] 웹사이트 Malawi: Cities, Towns & Urban Localities http://www.citypopul[...]
[39] 웹사이트 http://www.zaragoza.[...]
[40] 웹인용 Klimatafel von Lilongwe (Int. Flugh. Kamuzu) / Malawi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8-10
[41] 웹인용 Station Lilongwe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6-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