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마가레테 키르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마가레테 키르히는 1670년에 태어나 1720년에 사망한 독일의 천문학자이다. 그녀는 루터교 목사의 딸로 태어나 아버지로부터 천문학을 포함한 교육을 받았으며, 크리스토프 아르놀트의 조수로서 천문학을 배우고, 1692년 저명한 천문학자 고트프리트 키르히와 결혼했다. 키르히 부부는 함께 천체를 관측하고 달력을 제작했으며, 마리아는 1702년에 혜성을 발견했으나, 남편의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남편 사후, 아카데미에 남편의 자리를 이어받으려 했으나 거절당하고, 이후 개인적인 연구를 이어가다 열병으로 사망했다. 그녀는 생전에 3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소행성 (9815) 마리아키르히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여자 과학자 - 에미 뇌터
에미 뇌터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추상대수학과 이론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대수학의 추상적인 개념 정립과 뇌터 정리 증명, 여성에 대한 차별 극복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독일의 여자 과학자 -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마리아 괴퍼트메이어는 독일 태생의 미국 이론 물리학자로, 원자핵 껍질 구조 연구로 196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핵 껍질 모델을 통해 '마법수' 현상을 설명하고 이중광자 흡수 이론을 제시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여자 천문학자 - 베아트리스 틴슬리
베아트리스 틴슬리는 은하 진화와 우주론 연구에 기여한 뉴질랜드 출신 천문학자로, 여성 과학자로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예일 대학교 최초 여성 천문학 교수가 되었으며, 가속 팽창 우주 연구 등의 업적과 함께 여성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인물이다. - 여자 천문학자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 1670년 출생 - 버나드 맨더빌
버나드 맨더빌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영국에서 의사이자 철학자, 사회사상가로 활동하며 '사적 악덕이 공공의 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쳐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론에 영향을 주었고 윤리, 경제, 정치, 사회에 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 1670년 출생 - 김춘택
김춘택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으로 인경왕후의 친정 조카이며, 인현왕후 복위 추진, 장희재 처를 이용한 남인 제거 등에 기여했으나 간통 및 영조 관련 소문으로 비판받아 유배되었고 고종 때 복권되었다.
| 마리아 마가레테 키르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출생명 | 마리아 마가레타 빙켈만 |
| 출생일 | 1670년 2월 25일 |
| 출생지 | 작센 선제후국 라이프치히 파니치 |
| 사망일 | 1720년 12월 29일 |
| 사망지 | 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
| 거주지 | 프로이센 |
| 국적 | 독일 |
| 종교 | 루터교 |
| 학문 | |
| 분야 | 수학 및 천문학 |
| 수상 | 베를린 왕립 과학 아카데미 황금 훈장 (1709년) |
2. 어린 시절
마리아 마르가레테 빈켈만(Maria Margarethe Winkelmann)은 1670년 2월 25일 라이프치히 근처의 파니슈(Panitzsch)에서 태어났다.[27] 아버지는 루터교 목사였는데, 당시로서는 드물게 딸도 남자아이들과 동등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여 어린 마리아를 직접 가르쳤다.[62][4][27][28] 그러나 13세 무렵 부모님을 모두 여의었고,[2][3][29] 이후 삼촌에게서 교육을 이어받았다.[62][27]
마리아 키르히는 남편 고트프리트 키르히와 함께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에서 비공식 조수로 활동하며 천문학 연구를 수행했다. 부부는 함께 천체를 관측하고 계산하여 달력과 역서(Ephemeris)를 제작했으며, 이는 아카데미의 중요한 수입원이었다.[39][4] 이 시기 마리아는 혜성 C/1702 H1을 발견하고 여러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자세한 내용은 #결혼과 초기 연구, #혜성 발견과 논문 발표 참조)
마리아는 어릴 때부터 천문학에 흥미를 느꼈다.[62] 그녀는 인근 조머펠트(Sommerfeld) 마을에 살던 크리스토프 아르놀트(Christoph Arnold)에게서 천문학을 배울 기회를 얻었다.[62][2][3][28] 아르놀트는 본업은 농부였지만 독학으로 천문학을 공부하여 지나가는 혜성을 처음 발견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었다.[2][3][28] 마리아는 아르놀트의 비공식적인 견습생이자 조수가 되어 그의 집에서 함께 살며 연구를 도왔다.[62][4][28] 당시 천문학은 길드 체제로 완전히 조직되지 않아, 천문학자가 되는 과정은 사람마다 달랐다.[5]
아르놀트를 통해 마리아는 당시 독일의 유명한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고트프리트 키르히(Gottfried Kirch)를 만나게 되었다.[6][15][28] 고트프리트는 마리아보다 30살 연상이었고,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에게 천문학 훈련을 받았으며 예나 대학교에서 정식 교육을 받은 학자였다.[6][15] 두 사람은 1692년 5월 8일에 결혼했다.[7][32] 당시 여성 혼자서 천문학 연구를 지속하기는 어려운 환경이었기에,[28] 이 결혼은 마리아가 천문학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12][28] 동시에 고트프리트에게도 가사를 돌볼 뿐만 아니라 천문 관측과 계산을 돕는 조력자를 얻는 이점이 있었다.[12][28][27] 마리아의 삼촌은 처음에는 젊은 루터교 목사와의 결혼을 원했으나, 결국 고트프리트와의 결혼을 인정했다.[27][33]
3. 천문학 연구
1710년 남편 고트프리트가 사망하자, 마리아는 당시의 관례에 따라[20] 남편의 공식 직위였던 아카데미의 천문학자 및 달력 제작자 자리를 계승하고자 했다. 그는 자신의 자격을 충분히 설명하며 지원서를 제출했고,[21] 아카데미 회장이었던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마리아를 강력히 지지했다.[8] 라이프니츠는 이전부터 마리아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프로이센 궁정에 소개하기도 했다.[17]
그러나 아카데미 집행 위원회는 여성을 공식 직위에 임명하는 선례를 남기는 것을 꺼려 마리아의 요청을 거부했다.[8] 위원회는 "우리가 그녀에게 양보하는 것은 미래의 본보기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으며,[8] 사무총장 요한 테오도르 야블론스키는 라이프니츠에게 "그녀가 공식적인 자격으로 유지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경고하며 아카데미의 평판을 걱정했다.[6] 결국 마리아보다 경험이 부족했던 요한 하인리히 호프만이 그 자리에 임명되었다.[4] 마리아는 자신의 성별 때문에 거부되었다고 확신했는데,[4] 이는 당시 여성 과학자들이 겪었던 제도적 장벽과 성차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6] 라이프니츠는 이후에도 마리아를 돕기 위해 주택 마련 등을 지원했지만, 아카데미의 공식적인 입장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했고, 1712년 최종적으로 마리아의 지원은 거절되었다.[6]
아카데미에서의 공식적인 지위를 얻지 못한 마리아는 1712년, 아마추어 천문학자였던 베른하르트 프리드리히 폰 크로시크 남작의 후원을 받아 그의 개인 천문대에서 연구를 계속했다.[22] 1714년 크로시크 남작이 사망한 후에는 잠시 단치히로 이주했다가,[6] 러시아 표트르 대제의 천문학자 제안을 거절하고 1716년 베를린으로 돌아왔다.[17]
같은 해, 아들 크리스토프리트 키르히가 호프만의 사망 후 아카데미 천문대 관측자로 임명되자,[9] 마리아는 아들의 조수 자격으로 다시 아카데미 천문대에서 일하게 되었다.[8] 그는 딸 크리스틴 키르히와 함께 달력 계산 등의 업무를 도왔다.[24][17] 그러나 아카데미의 일부 남성 회원들은 여전히 마리아의 활동을 불편하게 여겨 "낯선 방문객 앞에서 너무 눈에 띈다"고 불평하며 마리아에게 뒤로 물러설 것을 요구했다.[17][25] 1717년, 아카데미는 마리아에게 자신의 지위를 위해 계속 싸우거나 아들의 경력을 위해 은퇴할 것을 종용했고,[25] 마리아는 결국 은퇴를 선택했다.[26]
은퇴 후에도 마리아는 집에서 천문학 연구와 달력 계산 작업을 계속했으며, 아들 크리스토프리트와 딸 크리스틴, 마르가레타 키르히를 조수로 훈련시켜 천문학 연구의 맥을 잇도록 했다.[23] 마리아는 1720년 12월 29일 베를린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25]
3. 1. 결혼과 초기 연구
마리아는 크리스토프 아르놀트를 통해 당시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고트프리트 키르히를 만났다.[2][3] 고트프리트가 마리아보다 서른 살 연상이었지만,[6][15] 두 사람은 1692년 5월 8일에 결혼하여[32]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자녀들 역시 부모를 따라 천문학을 공부했다.[63][7] 이 결혼은 마리아에게는 천문학 교육을 계속 받을 기회를 제공했고, 고트프리트에게는 가사뿐 아니라 연구를 돕는 조수를 얻는 이점을 주었다.[12][28][27] 당시 마리아는 이미 천문학에 정통했지만, 여성이 혼자 천문학자로서 활동하기는 어려운 시대였다.[28] 마리아의 삼촌은 처음에는 젊은 루터교 목사와의 결혼을 원했으나 결국 고트프리트와의 결혼을 인정했다.[27][33]
당시 여성들은 대학에 진학할 수 없었으며,[11] 견습 기간도 주어지지 않아 훈련을 위해 가족 구성원에게 의존해야 했다.[6] 그러나 천문학 연구는 대부분 대학 밖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여성이 천문학에 참여하는 것이 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았다.[5] 고트프리트 키르히는 자신의 여동생과 다른 많은 학생들에게 그랬듯이, 아내 마리아에게도 심화된 천문학 교육을 제공했다.[64][10] 고트프리트 자신도 단치히의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개인 천문대에서 관측 기술을 배웠다.[64][6] 마리아는 남편의 비공식적이지만 인정받는 조수로서 연구에 참여했다.[16] 그는 가족 성의 여성형인 ''키르친''으로 널리 알려졌다.[14]
마리아와 고트프리트는 한 팀으로 연구했지만, 길드 방식처럼 마리아는 남편의 조수 역할에 가까웠다.[16] 부부는 함께 천체를 관측하고 계산하여 역법과 천체력(Ephemeris)을 산출했다.[65] 1697년부터는 기상 정보도 기록하기 시작했다.[65][4] 이들이 수집한 자료는 달력과 연감 제작에 사용되었고 항해에도 유용했다.[65][4] 1700년, 부부는 브란덴부르크의 선제후이자 나중에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가 고트프리트를 왕립 천문학자로 임명하면서 베를린으로 이주했다.[8]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는 부부가 만든 달력 판매를 처리했으며,[4] 이 달력에는 날짜 외에도 달의 위상, 해돋이와 해넘이, 일식 시간, 태양과 다른 행성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65] 아카데미는 달력 독점권을 통해 얻은 수입으로 천문학자들에게 급여를 지급했다.[2]
남편의 조수로서 아카데미에서 일하는 동안, 마리아는 매일 저녁 9시부터 천체를 관찰했다.[17] 1702년 4월 21일 밤, 이러한 정기 관측 중에 그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혜성 C/1702 H1을 발견했다.[65][17][18] (이 혜성은 하루 전 이탈리아 로마의 천문학자 프란체스코 비안키니와 자코모 필리포 마랄디가 먼저 발견했다.[18]) 남편 고트프리트는 당시 자신의 기록 노트에 다음과 같이 적어 아내의 발견 사실을 명시했다.
> "이른 아침(오전 2시경) 하늘은 맑고 별이 빛났다. 며칠 전, 나는 변광성을 관찰했고, 아내(내가 잠든 사이)는 그것을 직접 찾아보고 싶어했다. 그렇게 하던 중 그녀는 하늘에서 혜성을 발견했다. 그 순간 그녀는 나를 깨웠고, 나는 그것이 정말 혜성임을 알게 되었다... 나는 내가 전날 밤 그것을 보지 못했다는 사실에 놀랐다."[17]
그러나 이 혜성의 발견은 초기에 남편 고트프리트의 공으로 잘못 알려졌다.[61][19] 이는 고트프리트가 보고서 초안에 아내의 이름을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61] 당시 독일의 유일한 과학 저널이었던 《학술기요》(Acta Eruditorum)가 라틴어로만 발행되었고, 마리아는 자신의 연구를 독일어로만 출판했기 때문에[66] 이 학술지에 실리지 못해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더 크다.[66] 고트프리트는 1710년에야 발견에 대한 진실을 뒤늦게 밝혔지만, 이후에도 많은 과학사가들은 이 발견을 고트프리트 단독의 업적으로 오인했다.[66]
마리아는 천문학 연구를 계속하며 자신의 이름으로 독일어 논문을 출간했고, 적절한 인정을 받았다.[63][7] 그의 주요 연구로는 1707년의 북극광(오로라 보레알리스) 관측 기록,[7] 태양, 토성, 금성의 합(conjunction)을 다룬 1709년 소논문 ''Von der Conjunction der Sonne des Saturni und der Venusdeu'',[63][7] 그리고 1711년 새로운 혜성을 예측하며 발표하여 호평받은 대일조(opposition)에 관한 예측(''Die Vorbereitung zug grossen Oppositiondeu'')이 있다.[63][17] 목성과 토성의 근접한 합을 다룬 1712년 논문은 천문학에 대한 그의 마지막 주요 기여였다.[63][7] 이 논문에는 점성술과 천문학적 관측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일부에서는 그의 연구가 점성술에 치우쳤다고 보기도 했지만,[63] 베를린 아카데미 의장 알퐁스 데 비뇰은 추도사에서 "키르히 부인은 친구들의 요청에 따라 별점을 칠 준비를 했지만, 이는 후원자들의 기분을 거스르지 않기 위함이었지 그가 원해서 한 일은 아니었다"고 옹호했다.[67] 마리아 쿠니츠에 이어, 마리아 키르히는 자신의 이름으로 연구를 출판한 신성 로마 제국의 두 번째 여성 천문학자였다.[16]
3. 2. 혜성 발견과 논문 발표
마리아와 고트프리트 키르히는 한 팀으로 연구했지만, 마리아는 남편의 조수 역할에 가까웠다.[16] 1700년 부부는 브란덴부르크로 이주했고, 같은 해 고트프리트는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천문학자가 되었다.[34] 마리아 역시 비공식적인 조수로서 아카데미에서 일했다.[28][35][16] 부부는 함께 천체를 관측하고 계산하여 달력과 역서(Ephemeris)를 제작했으며, 1697년부터는 기상 정보도 기록했다. 이 데이터는 항해에도 유용하게 사용되었다.[65][4] 당시 아카데미는 재정적으로 어려워 관측 장비가 부족했고,[28] 부부가 제작한 달력 판매는 중요한 수입원이었다.[39]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는 이 달력을 판매했는데, 달력에는 날짜 외에도 달의 위상, 일출/일몰 시간, 일식 시간, 행성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되었다.[65]
마리아는 낮에는 계산, 가사, 육아를 병행하고 밤에는 남편과 교대로 천체를 관측했다.[36] 아카데미에서 조수로 일하며 매일 저녁 9시부터 관측하던 중,[17] 1702년 4월 21일,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혜성 C/1702 H1을 발견했다.[18][35] 남편 고트프리트는 그날 밤 노트에 "이른 아침(오전 2시경) 하늘은 맑고 별이 빛났다. 며칠 전, 나는 변광성을 관찰했고, 아내(내가 잠든 사이)는 그것을 직접 찾아보고 싶어했다. 그렇게 하던 중 그녀는 하늘에서 혜성을 발견했다. 그 순간 그녀는 나를 깨웠고, 나는 그것이 정말 혜성임을 알게 되었다... 나는 내가 전날 밤 그것을 보지 못했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기록했다.[17][35]
이 혜성은 이탈리아 천문학자 프란체스코 비안키니와 자코모 필리포 마랄디가 하루 전에 먼저 발견했지만,[18] 마리아의 독립적인 발견 우선권은 인정된다.[17] 그러나 발견 보고 시 고트프리트가 자신의 이름만 언급하여,[37] 처음에는 이 발견이 남편의 공으로 잘못 알려졌다.[61] 고트프리트가 아내의 공로를 인정하지 않으려 했을 수도 있지만, 당시 독일 유일의 과학 저널 《학술기요》(Acta Eruditorum)가 라틴어로만 출간되었고 마리아는 독일어로만 논문을 발표했기 때문에, 그의 연구가 공식적으로 기록되지 못해 권리를 주장하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더 크다.[66] 고트프리트는 1710년에야 '베를린 잡집'을 통해 마리아의 발견 사실을 밝혔으나,[38][66] 이후에도 많은 과학사가들은 이를 고트프리트의 업적으로 오인했다.[66]
마리아는 자신의 이름으로 독일어 논문을 발표하며 연구를 계속했고 상당한 인정을 받았다.[7] 주요 논문으로는 1707년 북극광(오로라 보레알리스) 관측 기록, 1709년 태양, 토성, 금성의 합에 관한 소책자 ''Von der Conjunction der Sonne des Saturni und der Venus''가 있다.[7][63] 1709년에는 아카데미 이사장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의 추천으로 프로이센 궁정에서 흑점 관측 결과를 발표하여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40][17] 라이프니츠는 마리아를 "가장 박식한 여성"이자 "천문학의 가장 심오한 교리에 통달한" 인물로 높이 평가하며, 그녀가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을 지지하고 관측 장비를 능숙하게 다룬다고 언급했다.[17]
1711년에는 새로운 혜성을 예측한 소책자 ''Die Vorbereitung zur grossen Opposition''을 출판하여 호평받았고,[63][4] 1712년에는 목성과 토성의 합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점성술적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일부에서는 그의 연구가 점성술에 치우쳤다고 보기도 했지만,[63] 알퐁스 데 비뇰은 추도사에서 "후원자들의 요청에 따라 마지못해 별점을 쳤을 뿐"이라고 변호했다.[67] 마리아 키르히 이전 신성 로마 제국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한 여성 천문학자는 마리아 쿠니츠가 유일했다.[16]
4. 아카데미와의 갈등
1710년 7월 25일 남편 고트프리트 키르히가 베를린에서 사망하자, 마리아는 왕립 과학 아카데미에 남편의 직책이었던 천문학자 및 달력 제작자 자리를 자신이 이어받게 해달라고 요청했다.[41][42] 그녀는 남편이 병석에 있는 동안 자신이 업무 대부분을 수행했으며, 오랫동안 남편과 함께 달력 제작에 참여하여 충분한 능력과 자격이 있다고 주장했다.[42]
당시 남편이 사망하면 아내가 사업을 잇는 것이 드물지 않았으나[20], 왕립 아카데미 위원회는 마리아의 요청을 거절했다. 위원회는 여성을 임명하여 선례를 남기는 것을 꺼렸고, 그녀가 청원하기도 전에 이미 후보로 고려하지 않았다.[8] 아카데미 서기 다니엘 에른스트 야블론스키는 아카데미 회장 라이프니츠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카데미가 여성의 도움을 받아 캘린더를 제작하는 것에 대해 고트프리트 생전부터 비웃음을 샀으니, 마리아를 앞으로도 같은 직책에 앉히는 일이 있다면 세상 사람들은 기가 막혀할 것"이라며 아카데미의 평판에 대한 우려와 함께 반대 의사를 표했다.[43][44]
마리아를 지지한 유일한 주요 인물은 당시 아카데미 의장이었던 라이프니츠였다.[68] 라이프니츠는 이전부터 마리아를 격려했으며, 1709년에는 프로이센 궁정에 그녀를 소개해 흑점 관측 결과를 설명할 기회를 주기도 했다.[17] 라이프니츠는 마리아를 위해 주거와 급여 지급을 요청했으나[43], 아카데미는 급여 지급은 거부하고 대신 고트프리트가 남긴 관측 기록부 대금으로 40터라를 지급했다.[43] 마리아는 급료 없이 아카데미에 머물 수는 있었지만, 위원회의 결정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었다.[68] 1711년 말, 아카데미는 마리아에게 정식 직책 대신 공로를 인정하는 훈장을 수여했다.[68][43][46]
마리아는 자신의 성별 때문에 청원이 거절당했다고 생각했다.[68] 이러한 생각은 그녀보다 경험이 부족했던 요한 하인리히 호프만이 남편의 자리에 임명되었다는 사실로 어느 정도 뒷받침된다.[68][4] 호프만은 곧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어 필요한 관측을 제대로 마치지 못했고, 아카데미는 심지어 마리아에게 호프만의 조수가 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4]
1712년 10월, 아카데미를 떠난 마리아는 아마추어 천문학자 베른하르트 프리드리히 폰 크로시크 남작의 후원을 받아 그의 개인 천문대에서 연구를 시작했다.[46] 그녀는 이곳에서 달력과 연감을 제작하고 천문 관측을 계속하며 천문학자로서 명성을 쌓았다.[69] 1714년 크로시크 남작이 사망하자 마리아는 천문대를 떠나 잠시 단치히에서 수학 교수의 조수로 일했고[69][46], 이후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유족에게 고용되어 헤벨리우스가의 천문대에서 아들, 딸과 함께 일했다.[48]
한편, 아카데미에서는 1716년 호프만이 사망하자[33] 마리아의 아들 크리스토프리트를 후임 관측자로 임명했다.[9] 당시 크리스토프리트는 라이프치히 대학교 학생으로 아직 천문학 이론에는 부족하다고 여겨졌으나, 전문 지식을 가진 어머니 마리아를 조수로 둘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47][48] 같은 시기, 마리아는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로부터 러시아 천문대에서 일해달라는 제안도 받았다. 이는 라이프니츠의 추천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8] 그러나 마리아는 아들의 경력을 우선시하여[48] 베를린으로 돌아와 아들의 조수가 되는 길을 택했다.[49]
마리아와 딸들(크리스틴 키르히, 마르가레타 키르히)은 크리스토프리트의 조수로 일하며 다시 아카데미 천문대에서 달력 계산과 관측을 수행했다.[69][17][24] 그러나 아카데미 회원들은 마리아가 방문객 앞에서 너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불만을 표하며, 조수처럼 배경에 머물러 있을 것을 요구했다.[69][25] 1717년, 아카데미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마리아는 결국 은퇴를 강요당했고 아카데미를 떠나야 했다.[69][25] 이후 집에서 개인적인 연구를 이어갔으나[26], 1720년 12월 29일 베를린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70][25]
5. 독립적인 연구 활동
1710년 7월 25일 남편 고트프리트가 베를린에서 사망하자,[41] 마리아는 왕립 과학 아카데미에 남편의 자리였던 천문학자 및 달력 제작자 자리를 자신이 잇기를 요청했다. 그는 남편이 병석에 있는 동안 자신이 업무 대부분을 수행했음을 근거로 들었다.[42] 당시 남편이 사망하면 아내가 사업을 잇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었으나,[20] 왕립 아카데미 위원회는 선례를 남기는 것을 꺼려 마리아의 요청을 거절했다.[8] 마리아를 지지한 유일한 인물은 당시 아카데미 의장이었던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였는데, 그는 이전부터 마리아를 격려하고 흑점 관측 결과를 설명하도록 1709년 프러시아 궁정에 소개하기도 했다.[17] 라이프니츠의 지원에도 아카데미의 결정은 바뀌지 않았고, 마리아는 급여 없이 머무를 수만 있었다.[68] 마리아는 자신의 요청이 성별 때문에 거절당했다고 생각했는데,[68] 이는 그보다 경험이 부족했던 요한 하인리히 호프만이 대신 임명된 사실로 뒷받침된다.[4] 호프만은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마리아를 조수로 두라는 제안까지 받았다.[68] 1711년 말, 아카데미는 마리아의 공로를 인정해 메달을 수여했다.[68][43][46]
1712년 10월, 마리아는 아카데미를 떠나 남편과 친분이 있던 아마추어 천문학자 베른하르트 프리드리히 폰 크로시크 남작의 후원을 받아 그의 천문대에서 연구를 시작했다.[46] 그는 이곳에서 책임자 역할을 맡아 두 명의 조수를 두고 관측과 달력 제작을 계속했다.[31] 이 시기 마리아는 폴란드 브레슬레우, 뉘른베르크, 드레스덴, 헝가리 등 지역용 달력과 연감을 제작하여 생계를 유지하며 천문학자로서 명성을 쌓았다.[69] 1714년 크로시크 남작이 사망하자 마리아는 천문대를 떠나야 했다.[46]
이후 마리아는 잠시 단치히로 이주하여 수학 교수의 조수로 일했고,[6] 이후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유족에게 고용되어 헤벨리우스가의 천문대에서 아들 크리스토프리트, 딸 크리스티네와 함께 일했다.[48]
1716년,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로부터 천문학자 자리를 제안받았다. 이는 라이프니츠의 추천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48] 그러나 같은 시기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에서는 호프만의 사망으로 후임자를 찾고 있었고, 마리아의 아들 크리스토프리트 키르히가 후보로 올랐다.[33][47] 크리스토프리트는 아직 대학생으로 이론적 지식이 부족했지만, 전문 지식을 갖춘 어머니 마리아를 조수로 둘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다.[48] 마리아는 러시아의 제안 대신 아들의 조수가 되기 위해 베를린으로 돌아가는 길을 선택했다.[49]
마리아는 딸 크리스티네와 함께 아들 크리스토프리트의 조수로서 아카데미 천문대에서 달력 계산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17][24] 그러나 아카데미 회원들은 마리아가 방문객 앞에서 너무 눈에 띄는 역할을 하는 것에 불만을 표하며, 그에게 배경에 머물러 있을 것을 요구했다.[69] 1717년, 아카데미는 이러한 요구를 거부하는 마리아에게 아들의 경력을 위해 은퇴할 것을 강요했고, 마리아는 결국 아카데미를 떠나야 했다.[25]
아카데미를 떠난 뒤에도 마리아는 집에서 개인적인 관측과 연구 활동을 이어갔으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지속하기 어려웠다.[70] 그는 1720년 12월 29일 베를린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25] 그가 사망한 후에는 딸 크리스티네와 마가레타가 천문대에서 조수로 일하며 아들 크리스토프리트를 보조했다.[70]
독립적인 활동 기간 동안 마리아는 여러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 1707년 오로라 보레알리스 관측 기록, 1709년 태양, 토성, 금성의 합에 관한 소책자 ''Von der Conjunction der Sonne des Saturni und der Venus'', 그리고 1712년 목성과 토성의 합에 관한 예측을 담은 ''Die Vorbereitung zur grossen Opposition'' 등이 있다.[7][22] 이러한 저술들은 그가 천문학 분야에 지속적으로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6. 말년과 죽음
1710년 7월 25일 남편 고트프리트 키르히가 베를린에서 사망하자, 마리아는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에 남편의 자리였던 천문학자 및 달력 제작자 자리를 자신이 이어받기를 요청했다. 그는 남편이 병상에 있는 동안 자신이 실질적으로 업무 대부분을 수행했음을 근거로 제시했다. 당시 남편이 사망하면 아내가 사업을 잇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었으나,[20] 아카데미 위원회는 여성을 임명하는 선례를 남기는 것을 꺼려 마리아의 요청을 거절했다. 마리아를 지지한 유일한 인물은 당시 아카데미 의장이었던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였다. 라이프니츠는 오랫동안 마리아를 격려해왔으며, 1709년에는 프로이센 궁정에 그를 소개해 흑점 관측 결과를 설명할 기회를 마련해주기도 했다. 라이프니츠의 지원 덕분에 마리아는 급료 없이 아카데미에 머무를 수는 있었지만, 아카데미의 결정을 바꾸지는 못했다. 마리아는 자신의 요청이 성별 때문에 거절당했다고 여겼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했던 요한 하인리히 호프만이 남편의 자리에 대신 임명된 사실로 어느 정도 뒷받침된다. 호프만은 곧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었고, 심지어 마리아를 조수로 채용하라는 제안까지 받게 되었다. 1711년 말, 아카데미는 마리아에게 자리를 주는 대신 그의 공로를 인정하는 훈장을 수여했다.[68] [8] [6] [21] [4]
1712년 10월, 마리아는 남편과 친분이 있던 아마추어 천문학자 베른하르트 프리드리히 폰 크로시크 남작의 후원을 받아 그의 개인 천문대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아들 크리스트프리트를 대학에 보낸 후, 마리아는 두 딸과 함께 폴란드 브레슬레우, 뉘른베르크, 드레스덴, 헝가리 등 여러 지역의 달력과 연감을 제작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천문 관측과 연구를 계속하여 천문학자로서 명성을 쌓아갔다. 1714년 크로시크 남작이 사망하자 마리아는 천문대를 떠나 잠시 단치히로 이주하여 수학 교수의 조수로 일했다.[69] [22]
1716년,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로부터 천문학자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같은 해 호프만이 사망하고 아들 크리스토프리트 키르히가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관측자로 임명되자 마리아는 베를린으로 돌아갔다. 그는 아들의 조수로서 딸 크리스틴 키르히, 마르가레타 키르히와 함께 일했다.[69] [17] [9] [8] [24] 그러나 아카데미 회원들은 마리아가 관측소 방문객들 앞에서 너무 눈에 띄는 역할을 한다며 불만을 표했고, 조수처럼 행동하며 배경에 머물러 있을 것을 요구했다. 마리아가 이러한 부당한 요구를 거부하자, 1717년 10월 아카데미는 그에게 은퇴를 강요하며 사실상 아카데미에서 퇴거시켰다.[69] [25] [50] [49]
아카데미를 떠난 마리아는 집에서 개인적으로 관측과 연구 활동을 계속했지만,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26] 결국 1720년 12월 29일, 베를린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70] [25] [51] 그가 사망한 후, 딸 크리스티네와 마가레타는 아카데미 천문대에서 조수로 일하며 오빠인 관측자 크리스트프리트를 계속 보조했다.[70]
7. 사후와 유산
마리아의 아들 크리스토프리트 키르히는 어머니의 사후에도 과학 아카데미에서 계속 일하며 1740년에 사망할 때까지 아카데미에 근무했다[50]。
마리아의 딸 크리스티네 키르히와 마르가레타 키르히는 과학 아카데미에서 오빠의 일을 도왔다. 어머니의 상황을 보았기 때문인지, 두 사람은 아카데미 내에서의 지위를 얻으려 하지 않고, 오빠의 조수로서 관측과 역(曆) 제작에 참여했다[52]。마르가레타는 결혼 후 천문학에서 멀어졌지만, 크리스티네는 1782년까지 역을 계속 만들었다[50][53]。또한, 마르가레타의 아들 요한 보데는 고모인 크리스티네에게 천문학을 배우고, 후에 아카데미에서 천문대 책임자가 되었다[54]。
크리스티네 이후, 한동안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에서 여성이 과학적인 일에 종사하는 일은 없었다. 때때로 명예직으로 여성에게 회원의 자격이 주어지는 일은 있었지만, 과학적인 업적으로 여성이 회원이 된 것은 1949년 리제 마이트너가 처음이다[55]。
참조
[1]
서적
Hypatia's heritage
The Women's Press Limited
1986
[2]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
서적
Pandora's Breeches
[4]
서적
The Mind Has No Sex?: Women in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5]
서적
Current Issues in Women's Histor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men's History
Routledge
[6]
간행물
Maria Winkelmann at the Berlin Academy: A Turning Point for Women in Science
1987
[7]
서적
Hypatia's Heritage: A History of Women in Science from Antiquity to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986
[8]
서적
A to Z of Women in Science and Math
Infobase Publishing
[9]
웹사이트
Leibniz-Objekt des Monats: Leibniz und das Kalender-Edikt von 1700
http://jahresthema.b[...]
Berlin-Brandenburg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16-03
[10]
간행물
Reconstructed sunspot positions in the Maunder minimum based on the correspondence of Gottfried Kirch
2018-05
[11]
웹사이트
Maria Winkelmann at the Berlin Academy
1987-06
[12]
서적
Current Issues in Women's History
[13]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5]
서적
Current Issues in Women's Histor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men's History
Routledge
[16]
서적
Current Issues in Women's Histor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men's History
Routledge
[17]
서적
Gendered Domains: Rethinking Public and Private in Women's History: Essays from the Seventh Berkshire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Women
Cornell University Press
[18]
서적
Cometography: Volume 1, Ancient–1799: A Catalog of Com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United Kingdom
[19]
웹사이트
Maria Winckelmann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2-03-04
[20]
서적
The Mind Has No Sex?: Women in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Gendered Domains: Rethinking Public and Private in Women's History: Essays from the Seventh Berkshire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Women
Cornell University Press
[22]
서적
Gendered Domains: Rethinking Public and Private in Women's History: Essays from the Seventh Berkshire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Women
Cornell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Maria Winckelmann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2-05-06
[24]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5]
서적
A to Z of Women in Science and Math
Infobase Publishing
[26]
서적
Gendered Domains: Rethinking Public and Private in Women's History: Essays from the Seventh Berkshire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Women
Cornell University Press
[27]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28]
문서
ヌルミネン(2016)
[29]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0]
문서
ヌルミネン(2016)
[31]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2]
문서
アーリク(1999)
[33]
웹사이트
Maria Margarethe Winckelmann Kirch
null
2021-03-24
[34]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35]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36]
문서
ヌルミネン(2016)
[37]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38]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39]
문서
ヌルミネン(2016)
[40]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41]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42]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43]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44]
문서
ヌルミネン(2016)
[45]
문서
ヌルミネン(2016)
[46]
문서
ヌルミネン(2016)
[47]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48]
문서
ヌルミネン(2016)
[49]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50]
문서
ヌルミネン(2016)
[51]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52]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53]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54]
문서
ヌルミネン(2016)
[55]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56]
문서
ヌルミネン(2016)
[57]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58]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59]
문서
シービンガー(1992)
[60]
서적
Hypatia's heritage
https://archive.org/[...]
The Women's Press Limited
1986
[61]
웹인용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들
http://scent.ndsl.kr[...]
2017-04-11
[62]
문서
쉬빈저
[63]
서적
Hypatia's Heritage: A History of Women in Science from Antiquity to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986
[64]
문서
쉬빈저
[65]
문서
쉬빈저
[66]
문서
쉬빈저
[67]
문서
쉬빈저
[68]
문서
쉬빈저
[69]
문서
쉬빈저
[70]
문서
쉬빈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