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사 그레이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사 그레이엄은 미국의 현대 무용가이자 안무가로, 1894년에 태어나 1991년에 사망했다. 그는 현대 무용의 선구자로서 '수축과 이완'을 핵심으로 하는 독창적인 그레이엄 테크닉을 개발하여 현대 무용의 기초를 다졌다. 그는 1926년 마사 그레이엄 현대무용 센터를 설립하고, 사회적 주제를 다룬 작품들을 통해 예술적,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이단자》(1929), 《애팔래치아의 봄》(1944), 《클리템네스트라》(1958) 등이 있으며, '무용계의 피카소'로 불리며 20세기 예술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라 로런스 칼리지 교수 -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마리아 괴퍼트메이어는 독일 태생의 미국 이론 물리학자로, 원자핵 껍질 구조 연구로 196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핵 껍질 모델을 통해 '마법수' 현상을 설명하고 이중광자 흡수 이론을 제시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세라 로런스 칼리지 교수 - 루돌프 아른하임
    루돌프 아른하임은 독일 출신의 예술 심리학자이자 영화 이론가로, 게슈탈트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시지각과 예술의 관계를 연구했으며, 시각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대 시각 예술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무용가 - 마이클 잭슨
    마이클 잭슨은 잭슨 5로 데뷔해 솔로 가수로서도 큰 성공을 거두며 혁신적인 뮤직비디오와 춤, 사회적 메시지로 "팝의 황제"라 불렸지만, 논란과 함께 프로포폴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 미국의 전설적인 팝 가수, 작곡가, 댄서, 배우이다.
  • 미국의 무용가 - 루스 세인트데니스
    루스 세인트데니스는 동양 철학에서 영감을 받은 춤으로 오리엔탈리즘 무용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미국의 모던 댄스 무용가이자 안무가이며, 테드 숀과 데니숀 학교를 설립하여 마사 그레이엄 등 많은 무용가를 배출했고, 데니숀 해체 후에도 종교와 춤의 결합을 탐구하며 무용 교육에도 헌신했다.
  • 1894년 출생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1894년 출생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마사 그레이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8년의 마사 그레이엄
1948년의 그레이엄
본명마사 그레이엄
출생일1894년 5월 11일
출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사망일1991년 4월 1일
사망지미국 뉴욕주 뉴욕
국적미국
활동
분야무용, 안무
활동모던 댄스
배우자
배우자에릭 호킨스 (1948년 결혼, 1954년 이혼)
수상
수상케네디 센터 명예상 (1979년)
대통령 자유 훈장 (1976년)
국민 예술 훈장 (1985년)

2. 생애

마사 그레이엄은 1894년 펜실베이니아 주 앨러게이니(현재의 피츠버그)에서 태어났다. 정신과 의사인 아버지와 청교도 개척자 후손인 어머니 사이에서 엄격한 가정 환경에서 자랐다. 1908년, 천식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캘리포니아 주 샌타바버라로 이주하였다.

1911년, 로스앤젤레스에서 루스 세인트 데니스의 공연을 보고 감명을 받아 무용가가 되기로 결심했으나, 아버지의 반대로 컴모크 학교에 진학하여 교양 교육과 무용을 함께 공부했다. 1916년, 데니숀 무용학교에 입학하면서 본격적으로 무용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61년, 칼 반 베흐텐이 촬영한 마사 그레이엄과 버트럼 로스


1926년, 자신의 이름을 딴 '마사 그레이엄 무용단'을 창단하고 뉴욕에서 첫 발표회를 가졌다. 가난한 노동자를 주인공으로 한 격렬한 춤 '반항'을 선보여 당시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그레이엄의 춤은 미국 사회의 종교적,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했으며, 1944년에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개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애팔래치아의 봄을 발표하여 무용을 종합예술 작품으로 인정받게 했다.

1969년, 〈독수리의 행렬〉 공연을 마지막으로 무대에서 은퇴한 후에는 후배 양성과 창작 활동에 매진했다. 1990년, 191번째 창작 무용 〈메이플 리프 래그〉를 발표하고, 1991년 순회공연 중 폐렴으로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0]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마사 그레이엄은 1894년 5월 11일 펜실베이니아주 앨러게이니(현재의 피츠버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조지는 정신과 의사였고, 어머니 제인 비어즈는 청교도 개척자의 후손이었다. 그레이엄은 엄격한 가정 환경에서 자랐다. 1908년, 그레이엄이 천식을 앓아 가족은 캘리포니아주 샌타바버라로 이주했다.

1911년, 그레이엄은 로스앤젤레스에서 루스 세인트 데니스의 공연을 보고 무용가가 되기로 결심했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컴모크(Commock) 학교에 진학하여 교양 교육과 함께 무용을 공부했다. 1916년, 데니숀 무용학교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무용을 배우기 시작했다.

2. 2. 무용 경력 초기

1923년, 그레이엄은 데니숀 무용학교를 떠나 2년 동안 그리니치 빌리지 폴리스 리뷰에서 주요 무용수로 활동했다.[9] 춤을 단순한 오락이 아닌 인간 경험의 원초적인 측면과 오리엔탈리즘에 뿌리내린 예술 형태로 만들고자 하는 열망을 느꼈다.[9] 이는 발레와 데니숀 학교에서 받은 훈련의 장식적인 동작들을 제거하고 운동의 기본적인 측면에 집중하게 했다.

1925년, 이스트먼 음악학교에 고용되었는데, 당시 루벤 마무리안이 연극학교의 책임자였다.[9] 마무리안과 그레이엄은 이스트먼 학생들을 출연시킨 ''크리슈나의 피리''라는 짧은 이색 영화를 비롯한 여러 공연을 함께 제작했다.[9] 마무리안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이스트먼을 떠났고, 그레이엄도 남아달라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학교를 떠나기로 했다.[9]

1926년, 뉴욕시 어퍼 이스트 사이드의 작은 스튜디오에 마사 그레이엄 현대무용 센터가 설립되었다.[10] 같은 해 4월 18일,[9] 그레이엄은 자신이 안무한 18개의 짧은 독무와 삼중주로 구성된 첫 번째 독립 콘서트를 맨해튼의 48번가 극장에서 열었다.[9] 그녀는 나중에 이 콘서트에 대해 "내가 한 모든 것은 데니션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1926년 11월 28일, 그레이엄과 그녀의 단원들은 뉴욕시의 클라우 극장에서 무용 발표회를 열었다.[10] 같은 시기에 그녀는 일본계 미국인 피크토리얼리스트 사진작가 소이치 스나미와 장기적인 협업을 시작했고, 다음 5년 동안 그들은 초기 현대무용의 가장 상징적인 이미지들을 함께 만들어냈다.[10]

2. 3. 마사 그레이엄 테크닉과 주요 작품

마사 그레이엄은 '수축과 이완'을 기본으로 하는 독창적인 '그레이엄 테크닉'을 개발하여 현대 무용의 기초를 확립했다.[24] 1929년, <이단자>(Heretic)를 통해 사회적 주제 의식을 드러내기 시작했다.[46] 1936년에는 대공황, 스페인 내전 등 당대 사회 문제를 다룬 <연대기>(Chronicle)를 발표하여 예술적,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했다.[46] 같은 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예술 경연에 초청받았으나, 나치 정권에 대한 항의로 참가를 거절했다. 1938년, <미국 문서(American Document)>를 통해 미국의 이상과 민주주의를 표현하며 파시즘에 대한 저항 의지를 드러냈다.

<애팔래치아의 봄(Appalachian Spring)>(1944), <마음의 동굴(Cave of the Heart)>(1946), <밤의 여정>(Night Journey)>(1947) 등 미국적 주제와 그리스 신화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1958년에는 대작 <클리템네스트라>(Clytemnestra)를 통해 여성의 심리와 신화를 재해석하는 작업을 이어갔다.[24]

다음은 마사 그레이엄의 주요 작품과 공연 연도, 음악, 비고를 정리한 표이다.

연도작품음악비고
1926코랄 (Chorale)세자르 프랑크 (César Franck)
1926노벨레트 (Novelette)로베르트 슈만 (Robert Schumann)
1927루그브레 (Lugubre)알렉산더 스크리아빈 (Alexander Scriabin)
1927반란 (Revolt)아르튀르 오네거 (Arthur Honegger)
1927프라질리테 (Fragilité)알렉산더 스크리아빈 (Alexander Scriabin)
1927셰르차 (Scherza)로베르트 슈만 (Robert Schumann)
1929성녀의 모습 (Figure of a Saint)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George Frideric Handel)
1929부활 (Resurrection)티보르 하르샤니 (Tibor Harsányi)
1929청소년기 (Adolescence)파울 힌데미트 (Paul Hindemith)
1929단자 (Danza)다리우스 미요 (Darius Milhaud)
1929묵시록의 환상 (Vision of the Apocalypse)헤르만 로이터 (Hermann Reutter)
1929불성실 (Insincerities)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Sergei Prokofiev)
1929모먼트 루스티카 (Moment Rustica)프랑시스 풀랑크 (Francis Poulenc)
1929이단자 (Heretic)민속 음악옛 브르타뉴 (Brittany) 노래, 샤를 드 시브리(Charles de Sivry) 편곡; 2013년 다른 세 편의 마사 그레이엄 무용 영화와 함께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30통곡 (Lamentation)졸탄 코드아이 (Zoltán Kodály)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2013년 다른 세 편의 마사 그레이엄 무용 영화와 함께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30아르르캥 (Harlequinade)에른스트 토흐 (Ernst Toch)그레이엄 의상 디자인
1931원시적 신비 (Primitive Mysteries)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
1931바카날 (Bacchanale)월링포드 리거 (Wallingford Riegger)
1931돌로로사 (Dolorosa)헤이투르 빌라-로보스 (Heitor Villa-Lobos)
1933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폴 노르도프 (Paul Nordoff)캐서린 코넬(Katharine Cornell) 공연을 위한 무용 시퀀스
1934네 부분으로 된 춤 (Dance in Four Parts)조지 안테일 (George Antheil)
1934축하 (Celebration)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마사 그레이엄 의상 디자인
1935프렐류드 (Praeludium)폴 노르도프 (Paul Nordoff)그레이엄 의상 디자인 (1935),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8)
1935프런티어 (Frontier)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2013년 다른 세 편의 마사 그레이엄 무용 영화와 함께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35코스 (Course)조지 안테일 (George Antheil)
1936거리의 발걸음 (Steps in the Street)월링포드 리거 (Wallingford Riegger)연대기의 일부
1936연대기 (Chronicle)월링포드 리거 (Wallingford Riegger)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36지평선 (Horizons)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알렉산더 콜더(Alexander Calder) 무대 디자인
1936경례 (Salutation)레먼 엔젤 (Lehman Engel)
1937깊은 노래 (Deep Song)헨리 카우엘 (Henry Cowell)
1937개막 무용 (Opening Dance)노먼 로이드 (Norman Lloyd)
1937즉각적인 비극 (Immediate Tragedy)헨리 카우엘 (Henry Cowell)
1937미국 서정시 (American Lyric)앨릭스 노스 (Alex North)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8미국 문서 (American Document)레이 그린 (Ray Gree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9콜럼비아드 (Columbiad)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필립 스탭(Philip Stapp)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9모든 영혼은 서커스 (Every Soul is a Circus)폴 노르도프 (Paul Nordoff)필립 스탭(Philip Stapp)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0엘 페니텐테 (El Penitente)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원래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이후 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가 무대 디자인 수정
1940세계에 보내는 편지 (Letter to the World)헌터 존슨 (Hunter Johnso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1펀치와 주디 (Punch and the Judy)로버트 맥브라이드 (Robert McBride)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샬럿 트로브리지(Charlotte Trowbridge) 의상 디자인, 에드워드 고든 크레이그(Edward Gordon Craig) 텍스트
1942땅은 밝다 (Land Be Bright)아서 크로이츠 (Arthur Kreutz)샬럿 트로브리지(Charlotte Trowbridge) 무대 및 의상 디자인
1943죽음과 등장 (Deaths and Entrances)헌터 존슨 (Hunter Johnso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3), 오스카 드 라 렌타(Oscar de la Renta) 의상 디자인 (2005)
1943세일럼 해안 (Salem Shore)폴 노르도프 (Paul Nordoff)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4애팔래치아의 봄 (Appalachian Spring)애런 코플랜드 (Aaron Copland)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2013년 다른 세 편의 마사 그레이엄 무용 영화와 함께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44상상의 날개 (Imagined Wing)다리우스 미요 (Darius Milhaud)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4헤로디아드 (Hérodiade)파울 힌데미트 (Paul Hindemith)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46어두운 초원 (Dark Meadow)카를로스 차베스 (Carlos Chávez)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46마음의 동굴 (Cave of the Heart)새뮤얼 바버 (Samuel Barber)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47미궁으로의 심부름 (Errand into the Maze)지안 카를로 메노티 (Gian Carlo Menotti)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47밤의 여정 (Night Journey)윌리엄 슈먼 (William Schuman)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48천사의 전환 (Diversion of Angels)노먼 델로 조이오 (Norman Dello Joio)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초연 후 제거됨)
1950유딧 (Judith)윌리엄 슈먼 (William Schuman)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51성녀 조안의 승리 (The Triumph of St. Joan)노먼 델로 조이오 (Norman Dello Joio)
1952순진한 광대들을 위한 성가(Canticle for Innocent Comedians)토마스 리빈크(Thomas Ribbink)
1954열정적인 노래 (Ardent Song)알란 호바네시안 (Alan Hovhaness)
1955세라픽 대화 (Seraphic Dialogue)노먼 델로 조이오 (Norman Dello Joio)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58클리템네스트라 (Clytemnestra)할림 엘-다브 (Halim El-Dabh)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그레이엄과 헬렌 맥기(Helen McGehee) 의상 디자인
1958싸움의 정원 (Embattled Garden)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59에피소드 (Episodes)안톤 베베른 (Anton Webern)뉴욕시티 발레(New York City Ballet) 위촉
1960신의 곡예사 (Acrobats of God)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
1960알케스티스 (Alcestis)비비안 파인 (Vivian Fine)
1961환상 독주회 (Visionary Recital)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1962년 삼손 아고니스테스(Samson Agonistes)로 개정
1961또 하나의 화려한 밤 (One More Gaudy Night)할림 엘-다브 (Halim El-Dabh)
1962파이드라 (Phaedra)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62번개를 보다 (A Look at Lightning)할림 엘-다브 (Halim El-Dabh)
1962세속적 게임 (Secular Games)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
1962유딧 전설 (Legend of Judith)[47]모르데카이 세터 (Mordecai Seter)
1963키르케 (Circe)알란 호바네시안 (Alan Hovhaness)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65엔도어의 마녀 (The Witch of Endor)윌리엄 슈먼 (William Schuman)
1967독수리의 행렬 (Cortege of Eagles)유진 레스터 (Eugene Lester)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68눈 내리는 시간 (A Time of Snow)노먼 델로 조이오 (Norman Dello Joio)
1968기도의 평원 (Plain of Prayer)유진 레스터 (Eugene Lester)
1968잠의 집의 여인 (The Lady of the House of Sleep)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
1969고대의 시간 (The Archaic Hours)유진 레스터 (Eugene Lester)
1973저녁의 구걸자 (Mendicants of Evening)데이비드 G. 워커 (David G. Walker)1974년 크로니크(Chronique)로 개정
1973항해의 신화 (Myth of a Voyage)알란 호바네시안 (Alan Hovhaness)
1974성스러운 정글 (Holy Jungle)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
1974'야곱의 꿈 (Jacobs Dream)''모르데카이 세터 (Mordecai Seter)
1975루시퍼 (Lucifer)할림 엘-다브 (Halim El-Dabh)
1975찬양 (Adorations)마테오 알베니스(Mateo Albéniz)
도메니코 치마로사(Domenico Cimarosa)
존 다울랜드(John Dowland)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Girolamo Frescobaldi)
1975교차점 (Point of Crossing)모르데카이 세터 (Mordecai Seter)
1975주홍 글자 (The Scarlet Letter)헌터 존슨 (Hunter Johnson)
1977오, 노래하려는 당신의 욕망이여 (O Thou Desire Who Art About to Sing)마이어 쿠퍼만 (Meyer Kupferman)
1977그림자 (Shadows)지안 카를로 메노티 (Gian Carlo Menotti)
1978올빼미와 고양이 (The Owl and the Pussycat)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
1978적도 (Ecuatorial)에드가르 바레즈 (Edgard Varèse)
1978판의 피리 (Flute of Pan)전통 음악.
1978 또는 1979프레스코화 (Frescoes)새뮤얼 바버 (Samuel Barber)
1979에피소드 (Episodes)안톤 베베른 (Anton Webern)재구성 및 재작업
1980유딧 (Judith)에드가르 바레즈 (Edgard Varèse)
1981빛의 행위 (Acts of Light)칼 닐센 (Carl Nielsen)핼스턴(Halston) 의상 디자인
1982황금 홀의 춤 (Dances of the Golden Hall)안제이 파누프니크 (Andrzej Panufnik)
1982'안드로마케의 슬픔 (Andromanches Lament)''새뮤얼 바버 (Samuel Barber)
1983'파이드라의 꿈 (Phaedras Dream)''조지 크럼 (George Crumb)
1984봄의 제전 (The Rite of Spring)이고르 스트라빈스키 (Igor Stravinsky)
1985노래 (Song)루마니아 민속 음악게오르게 잠피르(Gheorghe Zamfir)의 팬플루트 연주와 마르셀 셀리에(Marcel Cellier)의 오르간 연주
1986달의 유혹 (Temptations of the Moon)벨러 버르토크 (Béla Bartók)
1986얽힌 밤 (Tangled Night)클라우스 에게 (Klaus Egge)
1987페르세포네 (Perséphone)이고르 스트라빈스키 (Igor Stravinsky)핼스턴(Halston) 의상 디자인[48]
1988밤의 노래 (Night Chant)R. 카를로스 나카이 (R. Carlos Nakai)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89미국 문서 (새 버전) (American Document)존 코릴리아노 (John Corigliano)게스트 아티스트 M. 바리시니코프(M. Baryshnikov)
1990메이플 리프 래그 (Maple Leaf Rag)스콧 조플린 (Scott Joplin)캘빈 클라인(Calvin Klein) 의상 디자인, 데이비드 핀리(David Finley) 조명 디자인
1991여신의 눈 (The Eyes of the Goddess) (미완성)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마리솔 에스코바르(Marisol Escobar) 무대 디자인


2. 4. 결혼과 인간 관계

1938년, 무용수 에릭 호킨스를 단원으로 맞이하여 함께 활동했다. 1948년, 15살 연하의 에릭 호킨스와 결혼했으나 1954년에 이혼했다. 베스사베 드 로스차일드와 절친한 친구였으며, 로스차일드가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1965년 설립한 밧셰바 무용단의 초대 감독을 맡았다.

2. 5. 은퇴와 말년

그레이엄은 1969년 〈독수리의 행렬〉 공연을 마지막으로 무대에서 은퇴하고 후배들을 가르치고 창작하는 데 전념했다.[30] 은퇴 후 우울증과 알코올 중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72년 재활에 성공하고 다시 창작 활동을 재개했다. 1990년 191번째 창작무용 〈메이플 리프 래그(Maple Leaf Rag)〉를 발표했고, 1991년 순회공연을 다녀오다가 폐렴에 걸려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0]

3. 마사 그레이엄 테크닉

Contraction and Release영어'는 그레이엄 테크닉의 핵심 원리로, 호흡의 양식화된 개념에서 유래했다.[13]

인간 움직임의 기본적인 측면을 강조하고자 했던 그레이엄은 '수축과 이완'을 만들어냈다. 각 동작은 머리의 위치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 자유롭거나 제약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수축과 이완은 모두 일반적으로 무중력의 환상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고전 발레 기법과는 정반대인 그레이엄의 무게 있고 기반이 잡힌 스타일의 기초가 되었다. 더욱 타악적이고 스타카토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그레이엄은 결국 유동성을 통합하기 위해 나선형을 그녀의 기법 어휘에 추가했다.

'수축과 이완'은 호흡을 할 때, 들숨을 쉴 때 몸은 이완(release)되고, 날숨을 쉴 때 수축(contraction)된다는 것이다. 그레이엄은 이러한 활동을 표현에서 의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핵심으로 삼았다.

4. 작품 세계와 주제 의식

마사 그레이엄의 작품 세계는 초기에는 개인적인 감정과 경험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으나, 점차 사회적, 정치적 문제로 관심을 넓혀갔다. 그녀는 아메리카나, 그리스 신화, 여성 심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특히 여성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재해석하는 데 주력했다.

1926년 뉴욕에서 첫 발표회를 가진 그레이엄은 가난한 노동자를 주인공으로 한 격렬한 춤 '반항'을 선보였다.[9] 이는 아름답고 우아한 춤에 익숙했던 당시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그레이엄의 춤은 단순한 오락이 아닌, 인간 경험의 원초적인 측면을 탐구하는 예술 형태였다.

그레이엄은 춤의 소재에 한계를 두지 않았다. 크리스트교 중심의 미국 사회에서 이교도들이 느끼는 두려움, 원주민들이 성모 마리아를 받아들이는 과정 등을 춤으로 표현했다. 1944년에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개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애팔래치아의 봄>'을 발표하여 무용을 종합예술 작품으로 인정받게 했다.[46]

그레이엄의 안무 스타일은 '수축과 이완'이라는 독특한 기법으로 대표된다.[13] 이는 호흡의 양식화된 개념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간 움직임의 기본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수축과 이완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전 발레와는 달리 무게감 있고 기반이 잡힌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녀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억압과 차별에 저항하는 작품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 대표적인 예로, 1936년 작품 ''연대기''의 일부인 ''거리의 발걸음''은 월링포드 리거의 음악을 배경으로, 사회적 불평등과 억압에 대한 저항을 표현했다.

모리타 레이코(森田玲子)에 따르면, 그레이엄의 무용은 무거운 주제나 이야기를 바탕으로 신체 움직임과 몸짓을 통해 인간의 깊은 내면을 표현했다. 또한 감정이 강하고 장식성을 배제하며 타악기적인 리듬을 중시하는 안무를 선보였다.

마사 그레이엄은 1991년 사망할 때까지 총 181편의 발레를 제작했다.[24] 다음은 그레이엄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연도작품음악비고
1926코랄 (Chorale)세자르 프랑크 (César Franck)
1926노벨레트 (Novelette)로베르트 슈만 (Robert Schumann)
1927루그브레 (Lugubre)알렉산드르 스크랴빈 (Alexander Scriabin)
1927반란 (Revolt)아르튀르 오네거 (Arthur Honegger)
1927프라질리테 (Fragilité)알렉산드르 스크랴빈 (Alexander Scriabin)
1927셰르차 (Scherza)로베르트 슈만 (Robert Schumann)
1929성녀의 모습 (Figure of a Saint)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George Frideric Handel)
1929부활 (Resurrection)티보르 하르샤니 (Tibor Harsányi)
1929청소년기 (Adolescence)파울 힌데미트 (Paul Hindemith)
1929단자 (Danza)다리우스 미요 (Darius Milhaud)
1929묵시록의 환상 (Vision of the Apocalypse)헤르만 로이터 (Hermann Reutter)
1929불성실 (Insincerities)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Sergei Prokofiev)
1929모먼트 루스티카 (Moment Rustica)프랑시스 풀랑크 (Francis Poulenc)
1929이단자 (Heretic)민속 음악옛 브르타뉴 (Brittany) 노래, Tetus Breton, 샤를 드 시브리(Charles de Sivry) 편곡; 2013년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30통곡 (Lamentation)졸탄 코다이 (Zoltán Kodály)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2013년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30아르르캥 (Harlequinade)에른스트 토흐 (Ernst Toch)그레이엄 의상 디자인
1931원시적 신비 (Primitive Mysteries)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
1931바카날 (Bacchanale)월링포드 리거 (Wallingford Riegger)
1931돌로로사 (Dolorosa)에이토르 빌라로부스(Heitor Villa-Lobos)
1933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폴 노르도프 (Paul Nordoff)캐서린 코넬(Katharine Cornell) 공연을 위한 무용 시퀀스
1934네 부분으로 된 춤 (Dance in Four Parts)조지 안테일 (George Antheil)
1934축하 (Celebration)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마사 그레이엄 의상 디자인
1935프렐류드 (Praeludium)폴 노르도프 (Paul Nordoff)그레이엄 의상 디자인 (1935),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8)
1935프런티어 (Frontier)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2013년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35코스 (Course)조지 안테일 (George Antheil)
1936거리의 발걸음 (Steps in the Street)월링포드 리거 (Wallingford Riegger)연대기의 일부
1936연대기 (Chronicle)월링포드 리거 (Wallingford Riegger)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36지평선 (Horizons)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 무대 디자인
1936경례 (Salutation)레먼 엔젤 (Lehman Engel)
1937깊은 노래 (Deep Song)헨리 카웰 (Henry Cowell)
1937개막 무용 (Opening Dance)노먼 로이드 (Norman Lloyd)
1937즉각적인 비극 (Immediate Tragedy)헨리 카웰 (Henry Cowell)
1937미국 서정시 (American Lyric)앨릭스 노스 (Alex North)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8미국 문서 (American Document)레이 그린 (Ray Gree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9콜럼비아드 (Columbiad)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필립 스탭(Philip Stapp)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39모든 영혼은 서커스 (Every Soul is a Circus)폴 노르도프 (Paul Nordoff)필립 스탭(Philip Stapp)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0엘 페니텐테 (El Penitente)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원래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이후 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가 무대 디자인 수정
1940세계에 보내는 편지 (Letter to the World)헌터 존슨 (Hunter Johnso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1펀치와 주디 (Punch and the Judy)로버트 맥브라이드 (Robert McBride)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샬럿 트로브리지(Charlotte Trowbridge) 의상 디자인, 에드워드 고든 크레이그(Edward Gordon Craig) 텍스트
1942땅은 밝다 (Land Be Bright)아서 크로이츠 (Arthur Kreutz)샬럿 트로브리지(Charlotte Trowbridge) 무대 및 의상 디자인
1943죽음과 등장 (Deaths and Entrances)헌터 존슨 (Hunter Johnso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3), 오스카 드 라 렌타(Oscar de la Renta) 의상 디자인 (2005)
1943세일럼 해안 (Salem Shore)폴 노르도프 (Paul Nordoff)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4애팔래치아의 봄 (Appalachian Spring)에런 코플런드(Aaron Copland)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2013년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
1944상상의 날개 (Imagined Wing)다리우스 미요 (Darius Milhaud)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1944헤로디아드 (Hérodiade)파울 힌데미트 (Paul Hindemith)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46어두운 초원 (Dark Meadow)카를로스 차베스(Carlos Chávez)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46마음의 동굴 (Cave of the Heart)새뮤얼 바버(Samuel Barber)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47미궁으로의 심부름 (Errand into the Maze)잔 카를로 메노티(Gian Carlo Menotti)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47밤의 여정 (Night Journey)윌리엄 슈먼 (William Schuman)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48천사의 전환 (Diversion of Angels)노먼 델로 조이오(Norman Dello Joio)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초연 후 제거됨)
1950유딧 (Judith)윌리엄 슈먼 (William Schuman)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장 로젠탈(Jean Rosenthal) 조명 디자인
1951성녀 조안의 승리 (The Triumph of St. Joan)노먼 델로 조이오(Norman Dello Joio)
1952순진한 광대들을 위한 성가(Canticle for Innocent Comedians)토마스 리빈크(Thomas Ribbink)
1954열정적인 노래 (Ardent Song)앨런 호바네스 (Alan Hovhaness)
1955세라픽 대화 (Seraphic Dialogue)노먼 델로 조이오(Norman Dello Joio)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58클리템네스트라 (Clytemnestra)할림 엘다브 (Halim El-Dabh)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그레이엄과 헬렌 맥기(Helen McGehee) 의상 디자인
1958싸움의 정원 (Embattled Garden)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59에피소드 (Episodes)안톤 베베른(Anton Webern)뉴욕시티 발레(New York City Ballet) 위촉
1960신의 곡예사 (Acrobats of God)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
1960알케스티스 (Alcestis)비비안 파인 (Vivian Fine)
1961환상 독주회 (Visionary Recital)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1962년 삼손 아고니스테스(Samson Agonistes)로 개정
1961또 하나의 화려한 밤 (One More Gaudy Night)할림 엘다브 (Halim El-Dabh)
1962파이드라 (Phaedra)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62번개를 보다 (A Look at Lightning)할림 엘다브 (Halim El-Dabh)
1962세속적 게임 (Secular Games)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
1962유딧 전설 (Legend of Judith)모르데카이 세터 (Mordecai Seter)
1963키르케 (Circe)앨런 호바네스 (Alan Hovhaness)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65엔도어의 마녀 (The Witch of Endor)윌리엄 슈먼 (William Schuman)
1967독수리의 행렬 (Cortege of Eagles)유진 레스터 (Eugene Lester)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68눈 내리는 시간 (A Time of Snow)노먼 델로 조이오(Norman Dello Joio)
1968기도의 평원 (Plain of Prayer)유진 레스터 (Eugene Lester)
1968잠의 집의 여인 (The Lady of the House of Sleep)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
1969고대의 시간 (The Archaic Hours)유진 레스터 (Eugene Lester)
1973저녁의 구걸자 (Mendicants of Evening)데이비드 G. 워커 (David G. Walker)1974년 크로니크(Chronique)로 개정
1973항해의 신화 (Myth of a Voyage)앨런 호바네스 (Alan Hovhaness)
1974성스러운 정글 (Holy Jungle)로버트 스타러 (Robert Starer)
1974'야곱의 꿈 (Jacobs Dream)''모르데카이 세터 (Mordecai Seter)
1975루시퍼 (Lucifer)할림 엘다브 (Halim El-Dabh)
1975찬양 (Adorations)마테오 알베니스(Mateo Albéniz)
도메니코 치마로사(Domenico Cimarosa)
존 다울랜드(John Dowland)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Girolamo Frescobaldi)
1975교차점 (Point of Crossing)모르데카이 세터 (Mordecai Seter)
1975주홍 글자 (The Scarlet Letter)헌터 존슨 (Hunter Johnson)
1977오, 노래하려는 당신의 욕망이여 (O Thou Desire Who Art About to Sing)마이어 쿠퍼만 (Meyer Kupferman)
1977그림자 (Shadows)잔 카를로 메노티(Gian Carlo Menotti)
1978올빼미와 고양이 (The Owl and the Pussycat)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
1978적도 (Ecuatorial)에드가르 바레즈(Edgard Varèse)
1978판의 피리 (Flute of Pan)전통 음악.
1978 또는 1979프레스코화 (Frescoes)새뮤얼 바버(Samuel Barber)
1979에피소드 (Episodes)안톤 베베른(Anton Webern)재구성 및 재작업
1980유딧 (Judith)에드가르 바레즈(Edgard Varèse)
1981빛의 행위 (Acts of Light)카를 닐센(Carl Nielsen)핼스턴(Halston) 의상 디자인
1982황금 홀의 춤 (Dances of the Golden Hall)안제이 파누프니크 (Andrzej Panufnik)
1982'안드로마케의 슬픔 (Andromanches Lament)''새뮤얼 바버(Samuel Barber)
1983'파이드라의 꿈 (Phaedras Dream)''조지 크럼 (George Crumb)
1984봄의 제전 (The Rite of Spring)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985노래 (Song)루마니아 민속 음악게오르게 잠피르(Gheorghe Zamfir)의 팬플루트 연주와 마르셀 셀리에(Marcel Cellier)의 오르간 연주
1986달의 유혹 (Temptations of the Moon)벨러 버르토크(Béla Bartók)
1986얽힌 밤 (Tangled Night)클라우스 에게 (Klaus Egge)
1987페르세포네 (Perséphone)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핼스턴(Halston) 의상 디자인[48]
1988밤의 노래 (Night Chant)R. 카를로스 나카이 (R. Carlos Nakai)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무대 디자인
1989미국 문서 (새 버전) (American Document)존 코릴리아노 (John Corigliano)게스트 아티스트 M. 바리시니코프(M. Baryshnikov)
1990메이플 리프 래그 (Maple Leaf Rag)스콧 조플린(Scott Joplin)캘빈 클라인(Calvin Klein) 의상 디자인, 데이비드 핀리(David Finley) 조명 디자인
1991여신의 눈 (The Eyes of the Goddess) (미완성)카를로스 수리나흐 (Carlos Surinach)마리솔 에스코바르(Marisol Escobar) 무대 디자인


5. 한국과의 관계

마사 그레이엄은 한국 전쟁의 비극을 다룬 발레 <주홍 글자> (1975)를 안무하여 한국과 관련된 작품을 창작했다.[46] 1955년, 1974년, 1990년 세 차례 방한하여 한국 무용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리코 키쿠치, 아키코 칸다, 아사카와 타카코, 오리하라 미키 등 많은 일본인 제자들이 마사 그레이엄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이는 한국의 현대 무용 발전에도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6. 유산과 영향

마사 그레이엄은 현대 무용의 선구자로서 무용 기법, 안무 스타일, 주제 의식 등 모든 면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무용계의 피카소'로 불리며, 20세기 예술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30] 1998년, 《타임》지는 마사 그레이엄을 '20세기 최고의 무용가'로 선정하기도 했다. 그녀의 작품과 기법은 전 세계 무용수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현대 무용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마사 그레이엄 무용단은 1926년에 설립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무용단이다.[30] 이 무용단은 에릭 호킨스, 안나 소콜로, 머스 커닝햄, 릴라 요크, 폴 테일러 등 20세기와 21세기의 많은 유명 무용수와 안무가들을 배출했다.[30] 사라토가 공연예술센터(2008년 6월), 시카고 현대미술관(2007년) 등에서 ''애팔래치안 스프링'', ''포위된 정원'', ''미궁으로의 심부름'', ''미국 오리지널'' 등의 프로그램으로 현재까지도 공연을 계속하고 있다.[31][32]

7. 수상 내역


  • 1976년, 제럴드 포드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자유 훈장(Presidential Medal of Freedom영어)을 수여받았다.[35]
  • 1984년,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훈장(Légion d'honneur프랑스어)을 받았다.[38]
  • 1987년, 국립 무용 박물관 명예의 전당(National Museum of Dance's Mr. & Mrs. Cornelius Vanderbilt Whitney Hall of Fame영어)에 헌액되었다.[39]

8. 주요 작품 목록

2013년 다른 세 편의 마사 그레이엄 무용 영화와 함께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1930통곡 (Lamentation)졸탄 코드아이 (Zoltán Kodály)이사무 노구치 무대 디자인;
2013년 다른 세 편의 마사 그레이엄 무용 영화와 함께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1931원시적 신비 (Primitive Mysteries)루이스 호스트 (Louis Horst)1936연대기 (Chronicle)월링포드 리거 (Wallingford Riegger)장 로젠탈 조명 디자인1938미국 문서 (American Document)레이 그린 (Ray Gree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1940세계에 보내는 편지 (Letter to the World)헌터 존슨 (Hunter Johnson)아치 라우테러(Arch Lauterer)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1944애팔래치아의 봄 (Appalachian Spring)애런 코플랜드 (Aaron Copland)이사무 노구치 무대 디자인;
2013년 다른 세 편의 마사 그레이엄 무용 영화와 함께 미국 국립영화등록부에 등재[46]1946마음의 동굴 (Cave of the Heart)새뮤얼 바버 (Samuel Barber)이사무 노구치 무대 디자인, 에디스 길폰드(Edythe Gilfond) 의상 디자인, 장 로젠탈 조명 디자인1947밤의 여정 (Night Journey)윌리엄 슈먼 (William Schuman)이사무 노구치 무대 디자인1958클리템네스트라 (Clytemnestra)할림 엘-다브 (Halim El-Dabh)이사무 노구치 무대 디자인, 그레이엄과 헬렌 맥기 의상 디자인1990메이플 리프 래그 (Maple Leaf Rag)스콧 조플린 (Scott Joplin)캘빈 클라인 의상 디자인, 데이비드 핀리(David Finley) 조명 디자인


참조

[1] 웹사이트 Martha Graham {{!}} Biography, Dance, Technique, Company, & Facts https://www.britanni[...] 2023-10-22
[2] TV The Dancer Revealed, American Masters PBS 1994-05-13
[3] 웹사이트 Mission and History https://marthagraham[...] 2021-03-26
[4] 웹사이트 https://sites.pitt.e[...]
[5] 서적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 An Exploration of Consensus Across Theory and Practice Critical Publishing Ltd 2022
[6] 잡지 Martha Graham's Mode of Dance https://www.newyorke[...] 1947-12-19
[7] 웹사이트 Martha Graham (1894–1991) http://new.danceheri[...] 2020-04-13
[8] 뉴스 Music Films Standard-Examiner 1922-05-21
[9] 서적 page needed 2020-04
[10] 웹사이트 from Kathy Muir http://www.seattleca[...] Seattle Camera Club 2015-10-04
[11] 서적 Gregory Peck: A Biography https://archive.org/[...] Scribner 2002
[12] 웹사이트 Batsheva Dance Company: About https://batsheva.co.[...] 2022-06-12
[1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Dan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8-19
[14] 웹사이트 Art Competitions at the 1936 Summer Olympics https://www.olympedi[...]
[15] 라디오 Exploring the Seven Arts 1938-06-23
[16] 웹사이트 Martha Graham Timeline: 1894–1949 http://memory.loc.go[...] The Library of Congress
[17] 잡지 Martha Graham: A special issue of the journal Choreography and Dance 2016-06
[18] 서적 Nietzsche's Dancers: Isadora Duncan, Martha Graham, and the Revaluation of
[19] 뉴스 Dance: Clytemnestra; Martha Graham Work Offered by Her and Company at Broadway Theatr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2-03-09
[20] 웹사이트 Marthagraham.org http://marthagraham.[...] 2010-01-10
[21] 서적 Women in Leadership: Contextual Dynamics and Boundaries Emerald
[22] 문서 Hello Goodbye Hello: A Circle of 101 Remarkable Meetings 2016-06
[23] 웹사이트 Martha Graham Dance Company – History http://marthagraham.[...] 2012-04-13
[24] 뉴스 Martha Graham Dies at 96; A Revolutionary in Dance https://www.nytimes.[...] 1991-04-02
[25] 서적 Letter to the World: Seven Women who Shaped the American Century https://books.google[...] W.W. Norton
[26] 서적 Bondi 1995
[27] 뉴스 Martha Graham: About the Dancer https://www.pbs.org/[...] 2005-09-16
[28] 뉴스 Google Doodle Celebrates Martha Graham and Dynamic Web http://www.pcworld.c[...] 2011-05-11
[29] 잡지 See the cast of Halston and their real-life counterparts https://ew.com/tv/ha[...] 2021-05-14
[30] 웹사이트 Martha's back! Famed dance company in residence during June. http://cms.skidmore.[...] Skidmore College 2012-10-10
[31] 웹사이트 Martha Graham Dance Company http://www.mcachicag[...]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2011-08-08
[32] 뉴스 Martha Graham Dance Company returns to Chicago for long-awaited performance at MCA http://news.medill.n[...] 2007-04-17
[33] 잡지 Education: Guggenheim Fellowships https://time.com/arc[...] 1932-03-21
[34] 웹사이트 Martha Graham –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https://www.gf.org/f[...] 2024-09-04
[35]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G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4-07-29
[36] 뉴스 Martha Graham to Receive $25,000 Life's-Work Award https://www.nytimes.[...] 2023-06-12
[37] 웹사이트 About ADF https://americandanc[...] 2024-10-07
[38] 뉴스 PARIS CHEERS MARTHA GRAHAM https://www.nytimes.[...] 2024-10-07
[39] 서적 One Hundred People who Changed 20th-century America
[40] 웹사이트 Geoffrey Beene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geoffreybeene[...] Geoffrey Beene 2024-10-07
[41] 간행물 TIME 100: Martha Graham http://www.time.com/[...] 1998-08-06
[42] 서적 Women in Leadership: Contextual Dynamics and Boundaries
[43] 웹사이트 10 women honored at Hall of Fame induction http://www.democrata[...] Democratandchronicle.com 2015-10-04
[44] 뉴스 For the Public Library, Martha Graham Is the Missing Link https://www.nytimes.[...] 2020-05-11
[45] 서적 Armitage 2020-12
[46] 뉴스 2013 additions to National Film Registry http://www.cbsnews.c[...] 2013-08-29
[47] 뉴스 Moving force http://www.haaretz.c[...]
[48] 뉴스 Ballet: Graham's Persephone https://www.nytimes.[...] 1987-10-15
[49] 웹사이트 ダンスの軌跡がGoogleロゴになる「マーサ・グレアム(MARTHA GRAHAM)」の元ネタがわかるムービー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0-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