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웅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웅어는 이와이자어족 이와이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6개의 명사 부류를 가지는 등 이와이자어와 차이점을 보인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중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하는 언어이며, 음운론적으로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갖는다. 형태론적으로는 관사,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불변화사 등의 품사를 가지며, 명사 부류, 대명사, 관사 등에서 문법적 성을 따른다. 쿤마룽이라고도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 노퍽어
    노퍽어는 핏케언 섬 주민들이 노퍽섬으로 이주한 후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2004년 노퍽 아일랜드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나 현재는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웅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마웅어
고유 이름Gun-Marung
사용 국가오스트레일리아
사용 지역노던 준주 아넘랜드 골번 제도
사용자마웅족
2021년 인구 조사360명
언어학적 분류
언어 계통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방언마낭카리어
언어 코드
ISO 639-3mph
글롯토로그maun1240
AIATSISN64

2. 이와이자어와의 비교

이와이자어와 마웅어는 모두 이와이자어족 이와이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서로 매우 가깝다. 하지만 뚜렷한 차이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와이자어에는 여러 명사 부류가 없지만, 마웅어는 여섯 개의 명사 부류를 가지고 있다.

한편,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는 접미사만을 사용하는 언어와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하는 언어로 나뉘는데,[9] 이와이자어와 마웅어는 둘 다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사용하는 언어에 속한다.[10]

3. 음운론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3. 1. 자음

마웅어의 자음 음소 목록은 다음과 같다.[2]

자음 목록
rowspan=2|말단설단설첨
양순연구개후치경치경권설
파열음pktʈ
비음mŋnɳ
설측음colspan=2|lɭ
탄음colspan=2|ɾɽ
접근음wɣjɹ



성문 파열음은 감탄사에서만 나타난다.

위에 제시된 음소 목록은 Capell의 1970년 연구에 기반한 것이다.[2] 이후 Singer (2006)[5]와 Teo (2007)[6]의 연구에서는 Capell이 제시한 세 개의 로틱(rhotic)과 달리 두 개의 로틱만을 인정한다. Teo는 치경 탄음을, Singer는 권설 탄음을 음소 목록에서 제외한다. 또한 두 연구 모두 치경 접근음권설 접근음으로 기술하지만, Capell은 이를 치경음으로 기술한다는 사소한 차이가 있다.

3. 2. 모음

마웅어의 모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2]



다른 이와이자어족 언어들이나 많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와는 달리, 마웅어는 중모음 /ɛ/와 /ɔ/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3. 3. 음소 배열론

마웅어에서 가능한 음절 구조는 V, VC, VCC, CCV, CCVC, CCVCC, CV, CVC, CVCC가 있다. 이 중에서 V와 VC 구조는 단어의 맨 앞에서만 나타나며, 다른 음절 구조는 단어 내 어떤 위치에서든 나타날 수 있다. V, VC, VCC 구조의 모음으로는 주로 /a/가 사용되며, 가끔 /ɛ/와 /ɔ/가 나타나기도 한다.[11]

3. 4. 자음 연쇄

/ɣ/, /ṇ/, /ṛ/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단어 맨 앞에서 모음 앞에 올 수 있다. 단어 맨 앞에서 가능한 자음 연쇄는 /gw/와 /ŋj/ 두 가지뿐이다. 단어 맨 뒤에서는 /ɣ/와 /ṙ/가 모음 뒤에 올 수 있다. 단어 맨 뒤에서 가능한 두 자음으로 이루어진 연쇄는 다음 두 경우 중 하나이다.[12]

# 유음, 설측음, 반모음 뒤에 연구개음이 오는 경우

# /w/ 뒤에 특정 자음이 오는 경우

단어 안에서 두 자음(C1C2)이 연속해서 오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제약이 따른다.

  • 첫 번째 자음(C1)은 /ɣ/가 될 수 없다.
  • 두 번째 자음(C2)은 /ṇ/, /ṛ/, /ṙ/, /l/가 될 수 없다.


아래 표는 단어 안에서 가능한 두 자음 연쇄(CC)를 보여준다.

단어 내의 자음 연쇄 (CC)
bdjdgmnjnŋwrl
b-djbdbḍbgbmbnjbnbṇbŋbwbrbṙb-lbḷb
djbdj-ddjḍdjgdjmdjnjdjndjṇdjŋdjwdjrdjṙdj-ldjḷdj
d-----md-nd------ld-
-----mḍ--ṇḍ-wḍ-----
gbgdjgdgḍg-mgnjgngṇgŋgwgrgṙg-lgḷg
m-djm----njmnmṇmŋm-rmṙm-lmḷm
nj-------nnj--------
n------njn---wn-----
ŋ----njŋṇŋ-ṙŋ-ḷŋ
w--dwḍw-------rwṙwṛwlwḷw
j-------n-j---r-l
r----------wr-----
----------wḷ-----
ɣ----------ṙɣ-ḷɣ



단어 안에서 세 자음이 연속해서 오는 경우는, 단어 맨 뒤에서 가능한 자음 연쇄 뒤에 /p/, /k/, /c/가 오는 경우이다.[13]

3. 5. 강세

마웅어의 강세는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이 없으며, 그 위치가 비교적 자유롭게 변한다. 세 음절 이하의 단어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음절이 동일하게 강조된다. 네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주강세가 오고, 그 앞의 음절들에는 부강세가 번갈아 가며 붙는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끝에서 두 번째 음절 바로 앞에 받침이 있는 음절(폐음절)이 올 경우에는 그 폐음절에 주강세가 놓인다.

4. 형태음운론

마웅어는 단어나 형태소가 결합할 때 다양한 음운 변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형태음운론적 과정은 마웅어의 발음과 문법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현상으로는 특정 자음들이 연쇄될 때 동화되거나 축약되는 변성 자음 현상, 특정 환경에서 동사 접두사의 자음이 뒤따르는 어간의 첫 자음에 따라 달라지는 자음 이화 현상, 단어를 반복하여 의미를 강조하거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첩어 형성 과정에서의 음운 변화, 그리고 단어 첫머리의 'g' 발음이 앞 단어 끝소리의 영향을 받아 변하는 어두 g 동화 등이 있다.

4. 1. 변성 자음

/w/, /m/, /j/, /l/, /n/, /ŋ/, /ɣ/, /b/는 변성 자음이다. 이 자음들은 자음 연쇄에서 동화 및 축소를 일으킨다.

  • 첫 번째 자음(C1)이 비음이 아닐 경우, 두 번째 자음(C2)이 파열음이 아닌 자음이면 파열음으로 변한다.
  • 설측음(/l/)과 치경 비음(/n/)은 첫 번째 자음(C1)으로 교체된다.
  • 단, 예외적으로 C1이 연구개 비음(/ŋ/)일 때, `ŋ+l`은 `nd`로, `ŋ+b`는 `ŋg`로 변한다.


변성 자음의 변화
bwmdrndjnjgŋ
wb--dbrbnbdjbnjbḍbgbŋb
mb--dbrbnmdjbnjmḍbgbŋm
jddj--ddjddjndj-njdj-djndj
ld--drgng-njdjgnd
nd-mndrg---g-
ŋg--rgrg-njŋ-gŋ
ɣg--rgrg---gŋ
bbwmb--nd-njdj--ŋg



다음은 변성 자음 변화의 예시이다.

변성 자음 변화 예시
어근어근 의미접사접미사결과의미
ŋad-'말하다, 하다, 있다'mi-nŋadbin우리가(듣는 사람 제외) 말한다, 한다, 있다 (1인칭 복수 배제형 + 현재 시제)
gar-'일하다'jama-∅gaddjama우리가(듣는 사람 포함) 일한다 (1인칭 복수 포함형 + 현재 시제)


4. 2. 자음 이화

마웅어의 제6부류 목적어 동사 접두사는 뒤따르는 어간의 첫 자음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자음 이화 현상을 보인다.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어간의 첫 자음이 무엇이냐에 따라 접두사의 자음이 달라진다.

  • 어간의 첫 자음이 r, ṙ, d, ḍ, n, ṇ, l 중 하나일 경우, 해당 접두사는 aw- 형태로 나타난다.
  • 어간의 첫 자음이 j, nj, g 중 하나일 경우, 해당 접두사는 aḍ- 형태로 나타난다.


아래는 이화 현상의 예시이다.

'''aw- 형태 예시'''

형태소의미결합 결과전체 의미
ŋ-1인칭 단수 주어ŋawadbi'내가 그것을 쥔다'
aw-3인칭 6류(무생물) 목적어 (이화 형태)
adbi쥐다 (어간)
-∅현재 시제



'''aḍ- 형태 예시'''

형태소의미결합 결과전체 의미
ŋ-1인칭 단수 주어ŋaḍajan'내가 그것을 본다'
aḍ-3인칭 6류(무생물) 목적어 (이화 형태)
aja보다 (어간)
-n현재 시제


4. 3. 첩어

b로 시작하는 어근이 첩어로 중첩되면 첫 자음은 w로 변화하고, 둘째 자음은 b로 남는다.

어근의미 (어근)첩어 형태의미 (첩어)
gimidbaṙ'그것이 미끄러진다'giminwaṙbaṙ'그것이 계속 미끄러진다'
ginidbiṙidj'그가 그것을 그리워한다'gininwiṙidjbiṙidj'그가 그것을 계속 그리워한다'



dj로 시작하는 어근이 중첩되면 첫 자음은 j로 변화하고, 둘째 자음은 dj로 남는다.

어근의미 (어근)첩어 형태의미 (첩어)
gimiddjab'그가 움직인다'gimin-jadjab'그가 계속 움직인다'



g로 시작하는 어근이 중첩되면 첫 자음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며, 둘째 자음은 g로 남는다.


  • a 앞에 올 경우: 탈락
  • i 앞에 올 경우: j로 변화
  • u 앞에 올 경우: w로 변화


어근의미 (어근)첩어 형태의미 (첩어)설명
jaradgaḷ'그가 기어갔다'jaranaḷgal'그가 계속 기어갔다'g가 a 앞에서 탈락
ŋiwugiṙg'내가 그것을 눌렀다'ŋiwuŋjiṙgiṙg'내가 계속 그것을 눌렀다'g가 i 앞에서 j로 변화
ŋeḷugbadgur'내가 그를 찼다'ŋeḷugbanwurgur'내가 계속 그를 찼다'g가 u 앞에서 w로 변화



d로 시작하는 어근은 설측음, 비음, w, j와 같이 중첩될 때는 변화하지 않는다. ḍ로 시작하는 어근은 중첩될 때 불규칙하게 변화한다.

4. 4. 어두 g

마웅어에서 단어의 첫소리(어두)에 자음 'g'가 올 경우, 앞에 오는 단어의 끝소리에 따라 발음이 변하는 동화 현상이 일어난다.
명사의 경우, 앞 단어의 끝소리가 모음, 설측음, 유음, 반모음 중 하나이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 'gi', 'gɛ', 'ga'로 시작하는 명사의 'g'는 'ɣ'로 발음된다.
  • 'gu'로 시작하는 명사의 'g'는 'w'로 발음된다.

동사의 경우, 'gi', 'gɛ', 'ga', 'gɔ', 'gu'로 시작하는 동사의 'g'는 앞 단어의 끝소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한다.

  • 앞 단어 끝소리가 설측음일 때: 'g' 그대로 발음된다.
  • 앞 단어 끝소리가 유음일 때: 'w'로 발음된다.
  • 앞 단어 끝소리가 반모음일 때: 'ɣ'로 발음된다.


만약 앞 단어의 끝소리가 파열음이나 비음이라면, 뒤따르는 명사나 동사의 어두 'g'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발음된다.

아래는 이러한 발음 변화의 예시이다.

원형변화형의미
mada gubunjmada wubunj'그 카누'


  • 'mada'(끝소리 'a', 모음) 뒤에 오는 명사 'gubunj'의 어두 'g'가 'w'로 변한 예시이다.


원형변화형의미
marig gubunjmarig gubunj'카누가 아님'


  • 'marig'(끝소리 'g', 파열음) 뒤에 오는 명사 'gubunj'의 어두 'g'는 변하지 않은 예시이다.

5. 형태론

마웅어의 형태론은 단어의 구조와 문법적 기능을 다룬다. 주요 특징으로는 성별, 생물/무생물, 용도 등에 따라 구분되는 복잡한 명사 부류 체계가 있으며[14], 이는 대명사관사 등 다른 문법 요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일치 현상을 보인다.[16] 또한, 문장 내에서 다른 요소와 일치하지 않는 불변화사도 존재한다. 일부 분석에서는 마웅어가 5가지 문법적 성을 가진다고 보기도 한다.[7] 마웅어의 구체적인 형태론적 요소들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5. 1. 명사 부류

마웅어에는 여섯 가지의 명사 부류가 존재하며, 각 부류에 속하는 단어들은 의미적 연관성을 가진다.[14] 명사 부류는 다음과 같다.

마웅어의 명사 부류
부류접두사주요 의미
제1부류(j)i-남성
제2부류ninj-여성
제3부류wi-제1부류와 제2부류의 복수
제4부류(w)u(ŋ)-땅과 관련한 것 (식물 제외)
제5부류ma-나무
제6부류aw-채소와 식물



각 부류의 특징과 예시는 다음과 같다.

'''제1부류'''는 주로 남성 생물과 관련된 명사들이 속한다.

제1부류 예시
분류마웅어 단어한국어 의미
인간 남성arargbi남자
bunji아버지
marijun어린 남자아이
동물luludj
wundarug주머니쥐
jinjaḷɣan거북
새 (소수)ŋugŋug올빼미
guṙagag까마귀
marwadi수리매
해양 생물gjab물고기
muḍidj(가오리의 일종)
곤충mundamunda검정파리
jinjin흰개미
miŋiwururu애벌레
물건manburwa
marwi머리띠
jaŋali허리에 메는 가방
특정 신체부위umbuṇuri눈썹
madjar
mɔlirg어깨



이 외에도 'gurana'(달), 'maraṙawg'(번개), 'duṙuj'(천둥), 'walmad'(비), 'inmig'(이슬) 등이 제1부류에 속한다. 'gurana'(달)가 남성 부류인 것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문화에서 달을 남성으로, 해를 여성으로 여기는 보편적인 경향과 관련이 있다.[15] 'maraṙawg'(번개)의 경우, 천둥번개를 만드는 남성적 정령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제1부류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자연 현상 관련 단어들도 남성성을 가진 존재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제2부류'''는 주로 여성성을 가진 명사들이 속한다. 제1부류와 달리 신체부위 명사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2부류 예시
분류마웅어 단어한국어 의미
인간 여성waramuŋbig여자
ŋinjalgbanj나의 어머니
ŋawinj
새 (대부분)munurur비둘기
magagagur펠리칸
nawariju오리
동물 (소수)mularig개구리
maḷadjag새우
munjŋan말벌



이 외에 'muwan'(해), 'wiḷamurg'(별) 등이 제2부류에 속한다. 성별 구분이 있는 동물의 경우 암컷이 제2부류에 속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새는 실제 성별과 관계없이 제2부류로 분류된다. 'muwan'(해)이 여성 부류인 것은 앞서 언급한 오스트레일리아 문화적 배경과 일치한다.

'''제3부류'''는 제1부류와 제2부류 명사들의 복수 형태를 나타낸다.

'''제4부류'''는 주로 땅과 관련된 명사들이 속하지만, 시간 관련 명사나 특정 신체부위, 추상적인 개념도 포함한다.

제4부류 예시
분류마웅어 단어한국어 의미
땅 관련gunag
murɣu언덕
wumawur
시간 관련ŋuridj하루
ŋamuri건기
ŋulamŋulam아침
wuburg
특정 신체부위ŋaṙalg
walmugbug
waɣaṙi팔꿈치



제4부류는 중성적인 개념이나 추상명사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 악한 것'은 제4부류 관사 'da'를 사용하여 'da jaliwijud'로, '유혹'은 'da gaŋarigbagda'로 표현한다. 관계절을 만들 때에도 제4부류 형태가 사용된다.

'''제5부류'''는 나무와 관련된 명사들이 주로 속한다.

제5부류 예시
분류마웅어 단어한국어 의미
나무waḷg나무
maṙijawu(하얀 껍질의 유칼립투스)
maḷaŋganj통나무
나무의 부분mɛrg나뭇잎
mawirijag뿌리
mamawur나뭇가지
기타 식물miḷag
maŋgŋlɛeoskan
ŋaṇḍawl풀씨
나무 도구windjila
gubunj카누
wirɣala부메랑
나무 사용 대상wuŋanj연기
muŋnanjbuḍ하얀 재
wiḷŋugu
특정 신체부위wun
jirga콧수염
gɔrag



제5부류에 속하는 신체부위 명사들은 소유격 접두사를 취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제6부류'''는 채소 이름과 기타 다양한 명사들이 속하며, 다른 부류에 비해 속하는 단어 수가 적다.

제6부류 예시
분류마웅어 단어한국어 의미
채소walidj일반적인 채소
mijuba(참마)
자연maḷu바람
gɔjinu구름
특정 신체부위niyi엄지
alɣidj



한편, 다른 분석에서는 마웅어가 남성, 여성, 식물, 토지, 그리고 식용의 5가지 문법적 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7]

5. 2. 대명사

마웅어의 대명사는 주어, 목적어, 형용사, 소유격으로 구분된다. 3인칭 대명사는 명사 부류를 따른다.[16]

1인칭/2인칭 대명사
주어목적어형용사소유격
1단수ŋ-ŋan-ŋ-ŋ-
1복수.청자포함ar-arun-arg-arg-
1복수.청자배제ŋar-ŋarun-ŋar-(ŋar-)
2단수an-gun(i)-nuw-(nuw-)
2복수gur-gurun(i)-gur-(nud-)



미래 시제일 때에 1인칭 청자포함 복수 주어형은 /arg-/이다.

3인칭 대명사
주어목적어형용사소유격
제1부류i--i-i-, j-i-
제2부류inj--nj-niŋ-, niŋi-niŋ-, niŋi-
제3부류aw--wun-wi-, du-wi-
제4부류aŋ--uŋ-u(ŋ)-(w)u-
제5부류ma--ma-m(a)-ma-
제6부류aw--awa-aw-aw-


5. 3. 관사

마웅어의 관사는 명사 부류에 따라 일치하며, 불변화사를 제외한 다른 품사들처럼 일치의 대상이 된다. 각 명사 부류에 따른 관사는 다음과 같다.

  • 제1부류: dja
  • 제2부류: djida
  • 제3부류: bada
  • 제4부류: da
  • 제5부류: mada
  • 제6부류: da


관사는 명사 앞이나 형용사 앞에서 사용된다. 아래는 관사 사용의 예시이다.

madagargbinmadawaḷg
5류 관사5류 관사나무
하나의 큰 나무 혹은 '그 큰 나무'


5. 4. 불변화사

마웅어의 여러 품사불변화사는 문장 내 다른 요소와의 일치(agreement) 대상이 되지 않는 유일한 품사이다. 마웅어의 불변화사에는 부사, 강조사, 전치사, 후치사, 감탄사 등이 있다.

5. 4. 1. 부사

형용사동사를 수식하는 단어 혹은 구를 의미한다. 단어로는 miɣa|미가mna '매우'나 dil|딜mna '함께' 등이 있다. 전치사와 명사가 하나의 부사구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duga jurŋ|두가 유룽mna '위에', duga gabal|두가 가발mna '중간에' 등이 그 예이다.

뒤에 붙는 요소(후치사 등)에 따라 때로는 본래 의미와 다른 부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원형 단어의미파생 부사의미
gajirg|가이르그mna오늘gajirgaba|가이르가바mna당장
gajirg|가이르그mna오늘gajirg budar|가이르그 부다르mna곧, 잠깐 사이에
malanj|말란mna내일malanjbi|말란비mna금방


6. 기타 명칭


  • 쿤마룽(Kunmarung) (쿤윈구어 이칭)[8]

참조

[1] 웹사이트 SBS Australian Census Explorer https://www.sbs.com.[...] 2023-01-09
[2] 서적 Maung grammar; texts and vocabulary / A. Capell and H.E. Hinch Mouton, The Hague 1970
[3] 웹사이트 SBS Australian Census Explorer https://www.sbs.com.[...] 2023-01-09
[4] 웹사이트 Maung https://web.archive.[...]
[5] 문서 Agreement in Mawng: Productive and lexicalised uses of agreement in an Australian language The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2006
[6] 문서 Breaking up is hard to do: teasing apart morphological complexity in Iwaidja and Maung 2007
[7] 서적 Non-Canonical Gender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8] 웹사이트 kunmarung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19-06-16
[9] 문서 접두사만을 이용하는 언어는 없다.
[10] 문서 Capell & Hinch (1970), 15쪽
[11] 문서 Capell & Hinch (1970), 25쪽
[12] 문서 각각 wdj, wd, wḍ, wg, wn, wŋ, wl
[13] 문서 Capell & Hinch (1970), 26쪽
[14] 문서 킴벌리의 언어와 같은 몇 언어들의 경우 부류가 축소되었거나 큰 규모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명사 부류에 대한 규칙을 찾아내기 힘들다. 그러나 마웅어를 비롯한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의 언어들은 구분이 더 명확하다.
[15] 문서 이는 원주민 신앙에서 기인한다. 소수의 새만이 제1부류에 속하고, 대부분의 새가 제2부류에 속하는 것 역시 전통 신앙과 관련이 깊다.
[16] 문서 단,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지 않는 제1부류와 제2부류의 명사는 복수라고 할지라도 제3부류로 이동할 수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