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듭무늬토기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듭무늬토기 문화는 기원전 3000년경부터 기원전 2200년경까지 중앙유럽에 존재했던 고고학적 문화로, 끈으로 눌러서 새긴 독특한 문양의 토기가 특징이다. 이 문화는 독일의 고고학자 프리드리히 클로플라이슈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단장무덤 문화, 전부 문화 등 하위 문화를 포함한다. 경제적으로는 농경과 목축에 기반했으며, 매장 풍습으로는 돌도끼, 토기, 마차 등을 부장품으로 사용했다. 언어학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의 확산과 관련되어, 이탈리아켈트어파, 발트슬라브어파, 게르만어파의 조상 문화로 추정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동기 문화 -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는 기원전 58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몰도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번성했던 신석기 시대 후기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의 문화로, 독특한 정착지와 정교한 도자기, 인형 조각상으로 특징지어지며, 자급자족 농경 사회를 이루었다. - 유럽의 동기 문화 - 사마라 문화
사마라 문화는 기원전 5천 년 초 볼가강 중류 지역에서 번성했으며, 독특한 도자기, 동물 희생 흔적, 말 매장 유적과 쿠르간 형태의 무덤, 다양한 부장품 등이 특징인 채석기 시대 문화이다. - 유럽의 신석기 문화 -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
쿠쿠테니-트리필랴 문화는 기원전 58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몰도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번성했던 신석기 시대 후기에서 초기 청동기 시대의 문화로, 독특한 정착지와 정교한 도자기, 인형 조각상으로 특징지어지며, 자급자족 농경 사회를 이루었다. - 유럽의 신석기 문화 - 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는 신석기 시대에 한반도와 유라시아 북부 지역에서 사용된 토기로, 수작업으로 제작되어 노천 가마에서 구워졌으며, 핀란드, 발트해, 러시아 지역의 문화와 관련이 있다. - 유럽의 청동기 문화 - 루사티아 문화
루사티아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트슈치니에츠 문화에서 기원하여 철기 시대 유럽 사회 정치적 네트워크에 통합되었으며, 폴란드, 독일, 체코 등 중앙 유럽에 걸쳐 화장 매장, 요새화된 정착지 건설, 경작 농업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유럽의 청동기 문화 - 빌라노바 문화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기원전 900년경부터 720년경까지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화장 후 유골을 담은 골호 매장, 기하학적 무늬의 도자기, 청동 유물 등의 특징을 가지며 에트루리아 문명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그리스 문명과 교류하였다.
매듭무늬토기 문화 | |
---|---|
문화 정보 | |
이름 | 매듭무늬토기 문화 |
원어 표기 | Corded Ware culture |
![]() | |
![]() | |
다른 이름 | 전부 문화 단장무덤 문화 |
지역 | 유럽 |
시대 | 동기 시대 |
연대 | 기원전 3100년경–기원전 2350년경 |
주요 유적 | 브로노치체 |
이전 | 얌나야 문화 나르바 문화 푼넬비커 문화 빗살무늬토기 문화 구상 암포라 문화 |
이후 | 비커 문화 신타시타 문화 안드로노보 문화 북유럽 청동기 시대 |
2. 명칭
Schnurkeramik-Kultur|슈누어케라미크 쿨투어de는 1883년 독일의 고고학자 프리드리히 클로플라이슈(Friedrich Klopfleisch)가 특징적인 끈 모양이 새겨진 도자기에서 이름을 따서 처음 명명했다. '''단장무덤 문화'''(Single Grave culture)라는 이름은 고분 아래에 웅크린 자세로 다양한 유물과 함께 사람을 묻은 매장 관습에서 유래했고, '''전부문화'''(戰斧文化, Battle Axe culture)는 매장지에서 발견되는 특유의 배 모양 석재 전투 도끼에서 유래했다.
정착지의 흔적이 드물다는 점에서, 얌나야 문화와 유사하게 (언어학적으로 추정되는) 고대 인도유럽인의 유목·목축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문화를 반영한다는 전통적인 관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정착 농업의 일부 증거가 발견되면서 이러한 관점은 수정되고 있다. 폴란드 남동부 브로노치체(Bronocice)의 매듭무늬토기 문화 유적지에서 엠머밀, 보통밀, 보리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아마도 소가 끄는) 바퀴 달린 차가 남아 있는데 이는 퍼넬비커 시대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진 것이다.
무덤은 평탄하거나 작은 둔덕이다. 남성의 무덤에는 돌도끼가 널리 부장품으로 사용되었으며, 비커형이나 여러 유형의 토기도 흔하게 부장되었다. 이 토기들은 전형적인 끈 문양 외에 간혹 절개(切開)를 포함한 다양한 무늬로 장식되었다. 다른 부장품으로는 마차나 동물 제물도 발견되었다.
매듭무늬토기 문화는 다음과 같은 여러 하위 문화로 나뉜다.
3. 경제
4. 매장 풍습
거의 같은 시기에 서유럽에 있던 종형 비커 문화는 유사한 매장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이 문화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시작하여 유럽 대륙으로 확장되었다고 여겨지며, 중부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매듭무늬토기 문화와 공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하위 문화
5. 1. 중앙드네프르 문화
중앙드네프르 문화(Middle Dnieper culture)는 매듭무늬토기 문화 형성 초기의 모습이다.[1] 유물은 드물지만, 그 분포를 통해 대초원에서 기원했음을 알 수 있다.
중앙드네프르 문화는 볼가강 상류에서 파냐노보-발라노보 문화(Fatyanovo–Balanovo culture)로 이어졌고,[1] 이는 다시 아바셰보 문화(원시 인도이란인과 관련된 신타시타 문화(Sintashta)의 전신)에 영향을 주었다. 파탸노보-발라노보 문화는 우랄어족과 인도유럽어족의 초기 차용을 설명할 수 있지만, Häkkinen은 이 문화의 기층 언어가 우랄어족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2]
5. 2. 파탸노보-발라노보 문화
중앙드네프르 문화에서 파생된 파탸노보-발라노보 문화는 볼가강 상류에 위치하며,[1] 아바셰보 문화를 거쳐 신타시타 문화 (원시 인도이란인과 관련)의 전신이 되었다. 이 문화는 우랄어족과 인도유럽어족 간 초기 차용을 설명할 수 있지만, Häkkinen은 기층 언어가 우랄어족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2]
5. 3. 전형적 매듭무늬토기 문화
전형적인 매듭무늬토기 문화(Schnurkeramikkulturde)는 중앙유럽(주로 독일과 폴란드)에서 발견되며, 이 문화를 정의하는 특징적인 도자기들을 가리킨다. 꼬인 끈이 젖은 점토에 인각되어 다양한 장식 무늬와 모티프를 이루고 있다.[1] 유물은 주로 매장지에서 찾아지며 남녀 모두에게 특징적인 매듭무늬토기가 주어져 있다. 이들은 아마나 대마로 짠 줄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5. 4. 단장무덤 문화
단장무덤 문화(Single Grave culture)는 스칸디나비아 남부, 독일 북부, 저지대 국가 지역에서 발견되는 기원전 3천년기 후반의 신석기시대 고고문화이다. 단장(單葬) 풍습을 공유하며, 일반적으로 전투용 도끼, 호박 구슬, 도자기 그릇 등을 죽은 이와 함께 매장하였다.[1] 이 문화는 더 이른 시기에 토착 푼넬비커 문화에서 강조하던 음용 도구와 새로 도입된 매듭무늬토기 전통이 합성된 것이다.
5. 5. 전부 문화 (스칸디나비아)
기원전 2800년경부터 스칸디나비아에 나타난 전부 문화는 약 3천 개의 무덤에서 발견되는 유물을 통해 알려져 있다. 이 문화의 특징적인 전투용 도끼는 주로 지위의 상징으로 쓰였다.[1] 석기 공예 전통은 강한 연속성을 보이며, 대규모 이주나 폭력적인 이주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 이 문화는 이후 이 지역에서 게르만 민족 형성에 기여했다.
6. 언어와의 관계
매듭무늬토기 문화는 인도유럽어족 언어가 유럽으로 확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맬로리(Mallory, 1999)는 매듭무늬토기 문화가 이탈리아켈트어파, 발트슬라브어파, 게르만어파의 선사시대 공통 조상이었다고 제안한다.[3] 앤서니(Anthony, 2007)는 매듭무늬토기 문화권이 게르만어, 발트어, 슬라브어를 북유럽 지역에 도입하였을 것으로 생각한다.[4]
6. 1. 마리야 김부타스의 가설
마리야 김부타스의 원래 이론에 따르면 매듭무늬토기 문화의 "인도유럽화"는 본질적으로 유전적 변화가 아닌 문화적 변화였다. 김부타스는 동유럽에서 중·서유럽으로의 얌나야 집단의 이주를 군사적 승리로 이해하고 이들이 토착 집단에 새로운 행정체계, 언어, 종교를 강요했다고 보았다.[5] 김부타스는 이 이론의 일환으로 스칸디나비아로 침입한 매듭무늬토기 문화가 누두형 비커 문화의 토착민과 혼합을 이룸으로써 게르만조어가 탄생했다고 추론했다.[2] 에드거 폴로메는 현대 독일어에서 발견되는 비인도유럽어 기층의 30%가 누두형 비커 문화의 비인도유럽 언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6]6. 2. 기타 가설
맬로리(Mallory, 1999)는 매듭무늬토기 문화가 이탈리아켈트어파, 발트슬라브어파, 게르만어파의 선사시대 공통 조상이었다고 제안한다.[3] 앤서니(Anthony, 2007)는 매듭무늬토기 문화권이 게르만어, 발트어, 슬라브어를 북유럽 지역에 도입하였을 것으로 생각하며, 초기 게르만어가 기원전 3100년에서 2800년 사이 우사토보 문화에서 발전하여 매듭무늬토기 문화와 함께 확산되었다는 가설을 세웠다.[4] 그의 가설에 의하면, 동시기 얌나야 문화에서 도래한 인도유럽조어 화자들의 실제 인구 이동이 다뉴브강 유역을 따라 헝가리 지역까지 도달하여 이곳에서 초기 켈트어와 초기 이탈리아어가 발달했고, 슬라브어와 발트어는 드네프르강 중류(현재 우크라이나)에서 발달했다.[2]마리야 김부타스의 원래 이론에 따르면 매듭무늬토기 문화의 "인도유럽화"는 본질적으로 유전적 변화가 아닌 문화적 변화였다. 김부타스는 동유럽에서 중·서유럽으로의 얌나야 집단의 이주를 군사적 승리로 이해하고 이들이 토착 집단에 새로운 행정 체계, 언어, 종교를 강요했다고 보았다.[5] 또한 김부타스는 이 이론의 일환으로 스칸디나비아로 침입한 매듭무늬토기 문화가 누두형 비커 문화의 토착민과 혼합을 이룸으로써 게르만조어가 탄생했다고 추론한 바 있다.[2] 에드거 폴로메는 현대 독일어에서 발견되는 비인도유럽어 기층의 30%가 누두형 비커 문화의 비인도유럽 언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6]
참조
[1]
간행물
'The Forgotten Child of the Wider Corded Ware Family: Russian Fatyanovo Culture in Context'
https://www.cambridg[...]
Proceedings of the Prehistoric Society
2020-11-12
[2]
저널
Early contacts between Uralic and Yukaghir
http://www.sgr.fi/su[...]
Finno-Ugric Society
2013-07-13
[3]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Thames and Hudson
[4]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Kurgan culture and the Indo-Europeanization of Europe: Selected articles from 1952 to 1993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the Study of Man
[6]
서적
The Indo-Europeanization of northern Europe: paper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at the University of Vilnius, Vilnius, Lithuania, September 1-7, 1994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the Study of Man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