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며느리밑씻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며느리밑씻개는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며느리가 이 풀로 뒤를 닦았다는 설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잎과 줄기에 가시가 있고, 7~8월에 연분홍색 꽃이 피며, 9월에 검은색 열매를 맺는다.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디풀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마디풀과 - 싱아
    싱아는 6~8월에 흰색 꽃을 피우는 높이 1m 내외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고 어린 대는 신맛이 있어 생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수렴제, 폐렴, 기침 치료제로 사용되고 소설에도 등장한다.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며느리밑씻개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Persicaria senticosa
Persicaria senticosa (2009년 7월, 서울특별시)
학명Persicaria senticosa
학명 명명자(Meisn.) H.Gross
이명Polygonum senticosum
(Meisn.) Franch. et Sav.
Truellum japonicum
Houtt.
한국어 이름며느리밑씻개
일본어 이름마마코노시리누구이 (継子の尻拭い)
토게소바 (棘蕎麦)
분류 체계
식물계
문 (계급 없음)피자식물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
아강 (계급 없음)코어 진정쌍떡잎식물
석죽목
마디풀과
여뀌속
며느리밑씻개

2. 이름

며느리밑씻개라는 이름은 화장지가 귀하던 시절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미워하여 부드러운 풀잎 대신 가시가 있는 이 풀로 뒤를 닦도록 했다는 설[2]과, 치질 예방에 쓰인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일본 꽃이름 '의붓자식의 밑씻개'(ママコノシリヌグイ|마마코노시리누구이일본어)[3][4]에서 왔다는 것이 정설이다. 며누리밑씻개, 가시덩굴여뀌라고도 부른다. 일제 강점기 이전에는 '사광이아재비'로 불렸는데, 여기서 '사광이'는 살쾡이를 의미한다.[5]

3. 생태

길가나 빈터와 같이 습한 곳에서 덩굴져 자란다. 며느리배꼽과 달리 며느리밑씻개는 삼각형 잎몸의 밑변에 잎자루가 붙어 구별된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삼각형 모양이다. 꽃은 7~8월에 줄기 끝에 모여 피며,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은 연분홍색이고 꽃잎은 없다. 열매는 9월경에 맺으며 둥글고 끝이 뾰족한데, 며느리배꼽과 달리 광택이 나지 않으며 검게 익는다.

3. 1. 형태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다른 초목에 의지하며 덩굴성 가지를 뻗고, 잘 분기되어 덤불 모양이 되기도 한다. 줄기는 붉은 기를 띠는 부분이 많고, 사릉(四稜)이 있으며, 능선을 따라 거꾸로 향한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1] 덩굴의 길이는 1-2m이다.

자루가 있는 삼각형 잎이 어긋나기하며, 턱잎이 줄기를 감싼다. 잎자루와 잎 뒷면에도 가시가 있다.[1]

5-10월경, 가지 끝에 10개 정도의 꽃이 모여 핀다. 꽃잎으로 보이는 것은 꽃받침 조각으로 깊게 5갈래로 갈라지며, 화피의 기부가 백색이고, 끝부분이 복숭아색이다. 꽃이 진 후에는 검은색 수과가 맺힌다.[1]

4. 분포

동아시아중국, 한반도, 일본 전역에 분포한다.

다소 습한 숲 가장자리나 길가 등에서 자란다.

5. 관리 및 번식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며 날카로운 가시에 찔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따라서 사람의 왕래가 적은 곳에 심고 물은 3~4일 간격으로 준다.[1]

9월에 종자를 받아 종이에 싸서 보관 후 이듬해 봄에 뿌려 번식한다.[1]

6. 쓰임새

어린잎을 살짝 데치거나 생채로 나물로 무쳐 먹는다. 된장국 따위의 국거리로 쓰거나 가루를 묻혀 튀김을 해 먹는다.[2] 한방에서는 땅 위에 나온 식물체를 낭인(廊茵)이라 하며, 약으로 쓴다.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며, 피를 소통시켜 주고 어혈(瘀血)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치질, 습진 등의 증상에 쓴다.[6]

참조

[1] 서적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ylist.info/ 2011-12-03
[2] 서적 느긋하게 친해져도 괜찮아 환크리에이티브컴퍼니 2009-03-18
[3] 웹사이트 일본말 '의붓자식밑씻개'에서 온 '며느리밑씻개' http://www.egreennew[...]
[4] 웹사이트 "[야생초 이야기 | 며느리밑씻개·며느리배꼽] 이름만큼 재미있는 고부간 갈등" http://www.seoul.co.[...]
[5] 뉴스 “광복70년, 우리 꽃에 붙은 일본식 꽃 이름들을 바로 잡자” http://www.newswire.[...] 뉴스와이어 2015-08-13
[6] 웹인용 낭인(廊茵) http://www.koreantk.[...] 특허청 2007-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