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은 1895년 7월, 박영효가 명성황후를 암살하려다 실패한 사건이다. 당시 조선은 일본의 영향력 아래 있었고, 명성황후는 러시아와의 연계를 통해 이를 견제하려 했다. 박영효는 명성황후가 개화파를 제거하려 한다고 판단, 일본의 지원을 받아 암살을 계획했다. 그러나 유길준의 밀고로 계획이 발각되어 박영효는 도주하고, 고종은 관련자 체포령을 내렸다. 이 사건은 이후 발생한 을미사변의 배경이 되었으며, 조선의 정세 불안을 심화시켰다.
1895년 4월 왕비 민씨는 청나라와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어 요동 반도를 할양받고 조선에서의 우세를 확인한 일본은 대원군을 퇴진시키는 한편 사임했던 김홍집을 7월에 다시 총리대신으로 앞세워 연립 내각을 구성하는 한편, 의정부의 명칭도 내각으로 바꾸고 일본인 고문관을 두어 내정 간섭을 강화했다.[1] 그러나 일본은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압박으로 요동 반도를 다시 청나라에게 돌려주었는데, 정세를 탐지한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몰아내려하였다.[1] 명성황후는 김홍집 내각을 축출하고, 박정양을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하였다.[1][2]
1895년 7월 박영효는 명성황후를 암살할 계획을 세운다.[6] 개화 이후로 고종은 밖으로는 일본의 견제를 받고 안으로는 군국기무처가 마음대로 하여 한 가지 일도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었다.[6] 명성황후는 이를 분하게 여겨 점차로 군권(軍權)을 회복하기를 계획하여 러시아와 결탁하니, 박영효는 이를 우려하였다.[6] 명성황후는 군국기무처의 일부 급진개화파가 독단하는 것을 두려워하였고 이들의 정책을 뒤엎을 기회를 찾았다.[6] 이때 박영효는 단독으로 계략을 세워 왕비 암살을 계획하였다.[6]
2. 명성황후 암살의 배경
군국기무처 설치 이후 고종은 한 가지 일도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었다. 명성황후는 이를 분하게 여겨 점차로 군권(軍權)의 회복도 겸할 목적으로 러시아와 결탁[3] 하게 되었다.
명성황후는 1894년 여름부터 급진개화파를 사살할 계획을 세웠다. 유길준은 명성황후를 "세계에서 가장 나쁜 여성"이라고 혹평하였으며[4] 미국인 은사 모스에게 보내는 편지에 명성황후의 개화당 살해 계획을 폭로하였다. 편지 본문에서 유길준은 민비가 도움을 청하기 위해 러시아 공사와 비밀 접촉하고, 1894년 가을 개화당 모두를 살해하려는 계획을 꾸미다가 대원군에게 발각되었[4]다고 밝혔다. 왕비의 급진개화파 살해 기도를 접한 개화파는 개혁정책 외에도 자신의 신변을 걱정하게 되었다.
이에 유길준은 이후 흥선대원군은 일본공사 오카모토 류노스케와 협의 끝에 일본인들로부터 약간의 도움을 얻어 그녀를 죽이기로 결정하였다고 진술하였다.[4] 훗날 을미사변이 성공한 뒤에 유길준이 보낸 편지에 의하면 유길준은 명성황후 암살은 실행되었지만 흥선대원군이 명성황후 암살 문제를 일본공사와 협의하고 일본측에 약간의 도움을 요청한 것은 큰 실수였다고 지적하였다.[4] 그러나 유길준은 '도움을 얻기 위해서는 달리 방법이 없었다.'는 의견도 덧붙였다.[4]
2. 1. 갑오개혁과 열강의 각축
1895년 4월 왕비 민씨는 청나라와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어 요동 반도를 할양받고 조선에서의 우세를 확인한 일본은 대원군을 퇴진시키는 한편 사임했던 김홍집을 7월에 다시 총리대신으로 앞세워 연립 내각을 구성하는 한편, 의정부의 명칭도 내각으로 바꾸고 일본인 고문관을 두어 내정 간섭을 강화했다.[1] 그러나 일본은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압박으로 요동 반도를 다시 청나라에게 돌려주었는데, 정세를 탐지한 명성황후는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몰아내려하였다.[1] 명성황후는 김홍집 내각을 축출하고, 박정양을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하였다.[1][2]
군국기무처 설치 이후 고종은 한 가지 일도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었다. 명성황후는 이를 분하게 여겨 점차로 군권(軍權)의 회복도 겸할 목적으로 러시아와 결탁[3] 하게 되었다.
명성황후는 1894년 여름부터 급진개화파를 사살할 계획을 세웠다. 유길준은 명성황후를 "세계에서 가장 나쁜 여성"이라고 혹평하였으며[4] 미국인 은사 모스에게 보내는 편지에 명성황후의 개화당 살해 계획을 폭로하였다. 편지 본문에서 유길준은 민비가 도움을 청하기 위해 러시아 공사와 비밀 접촉하고, 1894년 가을 개화당 모두를 살해하려는 계획을 꾸미다가 대원군에게 발각되었[4]다고 밝혔다.
유길준은 이후 흥선대원군은 일본공사 오카모토 류노스케와 협의 끝에 일본인들로부터 약간의 도움을 얻어 그녀를 죽이기로 결정하였다고 진술하였다.[4] 을미사변이 성공한 뒤에 유길준이 보낸 편지에 의하면 유길준은 명성황후 암살은 실행되었지만 흥선대원군이 명성황후 암살 문제를 일본공사와 협의하고 일본측에 약간의 도움을 요청한 것은 큰 실수였다고 지적하였다.[4] 그러나 유길준은 '도움을 얻기 위해서는 달리 방법이 없었다.'는 의견도 덧붙였다.[4]
2. 2. 명성황후와 개화파의 갈등
김홍집 일파는 1894년 6월 소위 개혁을 주창하는 일본당이라는 사람들과 같이 갑오개혁 이래 조정에 뿌리내리고 있었으며, 박영효 일파는 박영효를 일본당의 영수로 세워 조정을 장악하려 했다.[5] 박영효는 일본과 거리를 두었지만 박영효의 측근들은 그를 일본파의 지도자로 세우려 계획한다.
그러나 조정 전체의 각 정파들이 김홍집 일파의 세에 미치지 못하고, 이노우에 가오루 공사가 잠시 일본으로 귀국한 참이어서 지원 세력을 얻지 못했다.[5] 명성황후는 이 틈을 타 개화파 제거를 획책한다.
윤효정에 의하면 "이때 민비는 박영효를 이용해 민씨 일파를 반대하는 일본당을 동시에 쓸어 버리고 러시아의 세력을 확실하게 끌어들인 후에 박영효까지 제거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5]" 한다. 이는 그대로 박영효의 귀에 들어갔고 박영효는 왕비 암살을 계획한다.
2. 3. 박영효의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1894년 6월 김홍집 일파는 소위 개혁을 주창하는 일본당이라는 사람들과 같이 갑오개혁 이래 조정에 뿌리내리고 있었으며, 박영효 일파는 박영효를 일본당의 영수로 세워 조정을 장악하려 했다.[5] 박영효는 일본과 거리를 두었지만 박영효의 측근들은 그를 일본파의 지도자로 세우려 계획한다. 그러나 조정 전체의 각 정파들이 김홍집 일파의 세에 미치지 못하고, 이노우에 가오루 공사가 잠시 일본으로 귀국한 참이어서 지원 세력을 얻지 못했다.[5] 명성황후는 이 틈을 타 개화파 제거를 획책한다. 윤효정에 의하면 "이때 민비는 박영효를 이용해 민씨 일파를 반대하는 일본당을 동시에 쓸어 버리고 러시아의 세력을 확실하게 끌어들인 후에 박영효까지 제거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5]" 한다. 이는 그대로 박영효의 귀에 들어갔고 박영효는 왕비 암살을 계획한다.
1895년(고종 32년) 7월 박영효는 왕후의 권모와 계략을 두려워 하여 암살을 감행하지 않으면 화근을 근절 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일본에 병력을 요청하였다. 그는 유길준이 자기 와 친근 하다고 여겨 가만히 뜻을 알렸다.[3] 흥선대원군 일파가 왕비 암살을 기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접하고 당황했던 박영효는 유길준 등도 가담했다는 사실을 알고 자신을 지지해줄 것으로 확신하였다. 그런데 유길준은 바로 박영효의 왕비암살 계획을 임금에게 밀고했다.[3] 고종은 궁궐의 방비를 강화하였고 흥선대원군 계열 외에도 급진개화파에 대한 경계심을 강화한다.
7월 5일 신응희, 이규완, 우범선 세 사람은 박영효와 상의하여 왕궁 수비 교체를 구실삼아 실력 행사로 대세를 만회하려 했다.[7] 그들은 7월 5일 한강에서 뱃놀이를 하며 은밀히 계획을 짜고, 그 다음 날인 7월 6일 거사를 실행에 옮기기로 했다. 그런데 일본인 사사키(佐佐木某)가 그 내용을 상세히 탐지해 한재익(韓在翼)에게 필담으로 누설시켰다.[5] 한재익은 사사키와의 필담을 적은 종이 수첩을 가지고 특진관 심상훈에게 급히 보고했고, 심상훈은 7월 6일 입궐해 고종에게 이 사실을 아뢰었다.[5] 고종은 그날 밤 전 총리대신 김홍집을 대궐로 불러들여 지시를 내렸다.[5]
7월 6일 고종은 김홍집에게 박영효 일파 체포령을 내린다. 고종은 즉시 "법부는 실상을 철저하게 조사하여 엄히 죄를 다스리도록 하라.[8]"고 지시했다. 이때 경무사는 이윤용이었다. 고종은 박영효를 비밀리에 잡아들이라고 이윤용에게 명했다. 경무사 이윤용의 집은 지난 날 안경수가 살던 재동의 소위 왜송박이 집이었고, 내부대신 박영효의 집은 소안동이었다. 두 집의 대문은 재동과 안동으로 났으나, 뒤로는 두 집안의 정자가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이웃해 있었다.[8] 이윤용은 박영효를 잡아들이라는 임금의 명령을 받고 즉시 대궐을 물러 나와 집으로 돌아와서 몰래 뒷담 쪽으로 이웃인 박영효를 물러냈다. 그리고는 오늘 밤으로 그를 잡아들일 것이라는 사실을 말해 주고, 빨리 도망쳐 큰 화를 면하라고 재촉했다.[8]
3. 을미사변의 전개
3. 1. 일본의 개입과 암살 실행
1895년 7월 박영효는 명성황후를 암살할 계획을 세운다.[6] 개화 이후로 고종은 밖으로는 일본의 견제를 받고 안으로는 군국기무처가 마음대로 하여 한 가지 일도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었다.[6] 명성황후는 이를 분하게 여겨 점차로 군권(軍權)을 회복하기를 계획하여 러시아와 결탁하니, 박영효는 이를 우려하였다.[6] 명성황후는 군국기무처의 일부 급진개화파가 독단하는 것을 두려워하였고 이들의 정책을 뒤엎을 기회를 찾았다.[6] 이때 박영효는 단독으로 계략을 세워 왕비 암살을 계획하였다.[6]
3. 2. 조선 정부의 대응과 혼란
4. 을미사변의 결과와 영향
이미 흥선대원군과 이준용 등은 사전에 일본공사관과 모의하여 왕비 암살계획을 진행하였고, 그 다음달 일본 낭인이 제물포항에 도착하자 유길준, 이준용 등의 협력과 우범선, 이두황, 이주회, 이진호, 구연수 등이 이끄는 조선인 병력이 일본 낭인들의 길안내를 하여 왕궁까지 잠입한다. 이들은 왕비를 찾았고, 상궁복장으로 변장하고 숨어있던 왕비는 왕비를 곁에서 모시던 일본인 여자들 혹은 조선인 병사들이 지목하여 정체가 탄로남으로써 암살된다. 이를 을미사변이라 한다.[3]
4. 1. 반일 감정의 고조와 의병 운동
흥선대원군과 이준용 등은 사전에 일본공사관과 모의하여 왕비 암살계획을 진행하였고, 일본 낭인이 제물포항에 도착하자 유길준 등의 협력과 우범선 등이 이끄는 조선인 병력이 일본 낭인들의 길 안내를 하여 왕궁까지 잠입했다.[3][8] 이들은 왕비를 찾았고, 상궁 복장으로 변장하고 숨어있던 왕비는 왕비를 곁에서 모시던 이들이 지목하여 정체가 탄로남으로써 암살된다. 이를 을미사변이라 한다.[3][8]4. 2. 아관파천과 대한제국 수립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친일 내각이 들어섰다.[8][3] 흥선대원군과 이준용 등은 일본공사관과 모의하여 왕비 암살계획을 진행하였고, 일본 낭인이 제물포항에 도착하자 유길준 등의 협력과 우범선 등이 이끄는 조선인 병력이 일본 낭인들의 길안내를 하여 왕궁까지 잠입했다.[3] 박영효는 유길준에 의해 일이 누설된 것을 알고 양복으로 바꿔 입고 일본인의 호위를 받아 도성을 빠져 나와 용산에서 기선을 타고 도주하였다.[3]4. 3. 국제 사회의 반응과 일본의 책임론
을미사변은 국제 사회의 비난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일본의 개입과 책임론에 대한 논란이 거셌다. 일본 정부는 사건 초기에는 개입을 부인했으나, 이후 관련자들을 재판에 회부했지만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하였다.[8][3] 흥선대원군과 이준용 등은 사전에 일본공사관과 모의하여 왕비 암살계획을 진행하였고, 일본 낭인이 제물포항에 도착하자 유길준등의 협력과 우범선등이 이끄는 조선인 병력이 일본 낭인들의 길안내를 하여 왕궁까지 잠입했다.[3]5. 을미사변에 대한 평가와 논란
5. 1. 명성황후에 대한 평가
5. 2. 사건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
참조
[1]
서적
새롭게 꾸민 왕비열전
김영사
2003
[2]
역사기록
박정양을 내각 총리대신에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1895-05-08
[3]
서적
역주 매천야록 (상)
문학과 지성사
2005
[4]
서적
문명의 정치사상: 유길준과 근대한국
문학과지성사
2004
[5]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2010
[6]
서적
역주 매천야록 (상)
문학과 지성사
2005
[7]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2010
[8]
서적
대한제국아 망해라
다산초당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