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상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상훈은 명문가 출신으로, 조선 후기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이다. 1874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당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대한제국 수립 후 초대 탁지부 대신을 역임했으며,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자결을 시도하기도 했다. 1907년 궁내부 특진관으로 있다가 사망했으며, 대광보국숭록대부 영돈녕원사에 추증되고 충숙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강원도관찰사 - 이규완
    이규완은 조선 말기 개화파로 갑신정변에 가담하고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고등관을 지냈으며, 갑신정변 실패 후 일본 망명, 갑오경장 이후 관직 복귀, 친일 행적, 만년의 농업 및 자선 사업, 해방 후 이승만 지지 활동을 했으나, 친일인명사전에 선정된 인물이다.
심상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심상훈
한글심상훈
한자沈相薫
가타카나시무・산훈
로마자 표기Sim Sang-hun
인물 정보
이름 (한자)沈相薫
출생일1854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907년
사망지대한제국
국적
직업이조판서
탁지부 대신
군부대신
내부대신
참정대신
중추원 의장
소속수구당
배우자안동 김씨
부모아버지: 심응택(沈應澤) - 공조판서
어머니여흥 민씨(驪興 閔氏) - 흥선대원군의 장인이자 고종의 외조부 공조판서 민치구(閔致久)의 딸
자녀양자: 심이섭(沈理燮, 승지) - 심상엽(沈相燁)의 아들
수상
훈장대한제국 건국 공신 훈1등 태극장 (1902년)
대훈위 이화대수장 (1908년)

2. 가계

심상훈은 명문가 출신으로, 동지돈녕부사 심의현(沈宜絢)의 손자이자 공조판서 심응택(沈應澤)의 아들이다. 흥선대원군의 처가인 민치구(閔致久)의 외손자로, 흥선대원군이 이모부이고 고종 황제의 이종사촌이며 명성황후의 친족이다.

7대조심속(沈涑) - 증영의정
6대조심득현(沈得賢) - 청풍부사
5대조심둔(沈鈍) - 증이조참의
고조부심뇌지(沈뇌之) - 증이조참판
증조부심능목(沈能穆) - 증이조판서
조부심의현(沈宜絢) - 능주목사 · 동지돈녕부사
조모파평 윤씨(坡平 尹氏)
아버지심응택(沈應澤) - 공조판서
어머니여흥 민씨(驪興 閔氏) - 흥선대원군의 장인이자 고종의 외조부 공조판서 민치구(閔致久)의 딸
이모여흥 민씨(驪興 閔氏) - 공조판서 민치구(閔致久)의 딸
이모부흥선대원군
이종사촌고종황제
본인심상훈(沈相薰) - 참정대신(대한제국 수석 부총리) · 중추원 의장(대한제국 국회의장) · 원수부 군무국 총장(대한제국 합참의장) · 중앙은행 총재(대한제국 한국은행 총재)
부인안동 김씨(安東 金氏)
양자심이섭(沈理燮, 승지) - 심상엽(沈相燁)의 아들
며느리우봉 이씨(牛峰 李氏) · 파평 윤씨(坡平 尹氏)
아들심영섭(沈瑛燮, 강릉부사)
아들심장섭(沈璋燮, 내부 참서관)
며느리광산 김씨(光山 金氏) - 이조판서 김영철(金永哲)의 딸
아들심경섭(沈瓊燮)
며느리한산 이씨(韓山 李氏) - 형조판서 이승순(李承純)의 딸
아들심규섭(沈珪燮, 섭통례)
며느리청주 한씨(淸州 韓氏) - 참정대신 한규설(韓圭卨)의 딸
손녀심재순(沈載谆)
손녀사위유치진(柳致眞) - 서울예술대학교 설립자


3. 생애

심상훈은 1874년(고종 11년) 과거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1882년 임오군란1884년 갑신정변 당시 청나라 군대를 끌어들여 사태를 진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붕당 정치에서는 노론에 속했다.[1]

고종의 외사촌이자 민승호의 외조카인 그는, 1878년 정3품 당상에 승진하여 평안도성천부사, 녕변부사, 충청도청주목사, 이조참의 등을 역임했으며, 1884년 종2품으로 승진하여 도승지,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1885년부터 충청도 관찰사, 이조·호조의 참판, 의정부 유사당상, 협판(차석) 내무부사 등을 역임했으며, 1892년 정2품으로 승진, 이조판서, 선혜청 당상을 역임했다. 1895년 갑오개혁 이후, 탁지부·군부·내부의 각 대신, 의정부 찬정 등을 역임했으며, 1897년 종1품으로 승진했다.[2]

3. 1. 관료 생활

1874년(고종 11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 규장각 직각, 사헌부 장령 등을 역임했다.[1]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장호원에 피신하고 있던 명성황후의 밀명을 궁중에 전달하여 청군을 끌어들여 흥선대원군을 청나라로 납치하게 함으로써 임오군란을 진정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1]

1884년 갑신정변 때는 경기도 관찰사로서 청군을 다시 끌어들여 김옥균, 박영효 등의 개화파 정권을 전복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 갑신정변 이후 충청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동학 농민 운동을 탄압하는 데 앞장섰다.[1]

이후 이조참판, 협판내무부사, 홍문관 부제학, 규장각 직제학, 공조판서, 이조판서, 형조판서, 우참찬, 선혜청 제조, 교정청 당상, 장례원경, 탁지부 대신, 의정부 찬정, 궁내부 대신 서리, 군부대신 서리, 육군 부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1]

3. 2. 대한제국 시기

1897년 대한제국이 건국되자 초대 탁지부 대신이 되었다.[1] 이후 궁내부 특진관, 양지아문(토지측량관청) 총재관, 군부대신(병조판서) 겸 내부대신 서리 겸 탁지부 대신 서리 겸 호위총관 서리 겸 특명 전권공사를 거쳐, 내부대신(이조판서), 의정부 찬정을 지냈다.[1]

1899년 의정부 참정대신, 법규 교정소 의정관, 양지아문 총재 겸 전환국 관리관 겸 표훈원 의정관, 육군 부장 겸 원수부 군무국 총장, 태의원경을 지냈다.[1]

1901년 의정부 참정대신, 탁지부 대신 겸 철도원 총재 겸 혜민원 총재, 원수부 군무국 총장 겸 탁지부 대신 겸 군부 대신 서리 겸 충청북도 관찰사 겸 중앙은행 총재 겸 지계 감독을 지냈다.[1]

1902년부터 이듬해까지 원수부 군무총장을 지내며 오랫동안 정권의 중추에 있었다.[2]

1904년 러일전쟁 당시 의정부 참정대신을 지냈다.[1]

1905년 일본 특파 대사,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예식원 예식경, 의정부 참정대신 겸 찬모관, 관제 이정소 의정관, 군부대신을 거쳐,[1] 경리원경으로 있을 때 을사조약이 체결되려고 하자, 민영환, 조병세 등과 함께 경복궁에 들어가 고종 앞에서 을사조약 체결 반대 상소를 올렸으나, 끝내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민영환과 조병세의 뒤를 이어 자결하려 하였으나, 고종의 만류로 자결을 포기하였다.[1] 같은 해 의정부 찬정 대신으로서 일본의 침략에 저항했으나 사직했다.[2]

3. 3. 을사조약 반대와 죽음

1905년 경리원경으로 재직 중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하여 민영환, 조병세 등과 함께 경복궁에서 고종에게 조약 체결 반대 상소를 올렸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민영환과 조병세의 뒤를 이어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고종의 만류로 중단하였다.[1] 1906년 표훈원 총재, 강원도 관찰사, 시종무관장, 제실 재정 회의 의원(황실 예산 회의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1907년 궁내부 대신, 궁내부 특진관, 경리원경 겸 배종무관장 서리를 지내다 8월 7일 별세하였다. 사후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 영돈녕원사에 추증되고, 충숙(忠肅)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2]

4. 심상훈의 입각과 심상희 의병대장의 귀순

아관파천 이후 친러 개화파 정권이 의병을 진압하게 되면서, 심상훈은 유인석 의병부대에서 이탈하였다. 1896년 4월 22일 심상훈은 탁지부 대신에 임명되었고, 그의 아들 심리섭은 선유위원이 되어 의병 해산을 종용하였다.[3]

심상훈의 조카이자 여주 의병대장이었던 심상희는 심상훈이 탁지부 대신에 임명된 시기와 비슷한 4월 중순경에 귀순하여 관포군(官砲軍)이 되었다. 심상희는 1903년(광무 7년) 6품 중추원 의관(대한제국 국회의원)에 임명되었다.[3]

5. 평가

(참조할 원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기타

심상훈은 고종의 외사촌이자, 민승호의 외조카였다.[1] 붕당 정치에서 노론에 속했다.[1]

7. 수훈

1902년 대한제국 건국 1등 공신에 책록되고, 1908년 대훈위를 받았다.

참조

[1] 뉴스 고종실록 - 고종 42년 12월 16일 양력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뉴스 순종실록 - 순종 즉위년 8월 7일 양력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여주시 여주시사 https://www.yeoju.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