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리시타 모토하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시타 모토하루는 1922년 도쿠시마현에서 태어나 임업에 종사하다가 1963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어 정치에 입문했다.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고노 이치로, 나카소네 야스히로 파벌에 속했으며, 1981년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후생 대신을 역임했다. 이후 자민당 국대위원장과 나카소네파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1990년 정계를 은퇴했다. 2008년에는 도쿠시마현에 산림을 기부했고, 201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농공대학 동문 - 박경원 (비행사)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 중 한 명인 박경원은 일본에서 비행 기술을 습득하여 조종사로 활동했으나, 일제강점기 활동으로 친일 논란이 있다.
  • 도쿄 농공대학 동문 - 다케야마 유타로
    농상무성 관료 출신 정치인 다케야마 유타로는 일본 협동당 소속 중의원 의원 9선, 건설대신, 시즈오카현 지사를 지냈으며, 다고노우라항 헤드로 공해 문제 해결에 노력하고 중일 국교 회복에 기여했다.
  • 일본의 후생대신 - 스즈키 젠코
    스즈키 젠코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12선 중의원을 지냈으며 총리(1980년-1982년)를 역임하면서 미일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나 교과서 문제로 한국과 중국의 반발을 샀다.
  • 일본의 후생대신 - 하시모토 류타로
    하시모토 류타로는 1963년 중의원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후생대신, 운수대신, 자민당 사무총장 등을 거쳐 1996년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에 취임, 미군 푸텐마 비행장 반환 합의를 이끌어냈고 행정 및 재정 구조 개혁을 추진했으나 소비세 인상 등의 경제 정책으로 논란을 겪다 1998년 참의원 선거 참패 후 총리직에서 물러난 정치인이다.
  • 도쿠시마현 출신 - 미키 다케오
    미키 다케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제66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록히드 사건 조사와 정치 개혁을 시도했으나, 정치적 이상과 현실 간 괴리, 강직한 성격 등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도쿠시마현 출신 - 세토우치 자쿠초
    세토우치 자쿠초는 불륜과 이혼 후 소설가로 데뷔, 여류문학상과 다니자키 준이치로 상을 수상하고 겐지 이야기 번역으로도 알려진 일본의 소설가이자 비구니로, 출가 후에도 사회 참여 활동을 하다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모리시타 모토하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922년 4월 12일
출생지도쿠시마현 가이후군 가이요정
사망일2014년 3월 11일
학력도쿄고등농림학교 (현 도쿄농공대학)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고노파나카소네파)
칭호/훈장종3위 (종7위에서 진계)
경력
직책제61대 후생대신
내각스즈키 젠코 개조 내각
임기 시작1981년 11월 30일
임기 종료1982년 11월 27일
퇴임 사유내각 총사직
직책중의원 의원
선거구도쿠시마현 전현구
당선 횟수8회
임기 시작1963년 11월 22일
임기 종료1990년 1월 24일
퇴임 사유정계 은퇴
가족
기타 정보
일본어 표기}}

2. 생애

1922년 4월 12일, 도쿠시마현 가이후군 가이요정에서 태어났다.[1] 모리시타 가문은 대대로 임업에 종사했으며, 모리시타 역시 도쿄 고등 농림학교 (현 도쿄 농공대학)를 졸업하고 임업 경영에 종사했다.[1]

1963년 총선에서 옛 도쿠시마현 전현구에 출마하여 처음 당선되면서 정치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1] 당시 당선 동기로는 오부치 게이조, 하시모토 류타로, 코미야마 시게시로, 이토 마사요시, 타나카 로쿠스케, 와타나베 미치오, 사토 타카유키, 후지오 마사유키, 나카가와 이치로, 미하라 아사오, 쿠지라오카 헤이스케, 니시오카 타케오, 오쿠노 세이스케 등이 있다.[1] 이후 통산 8회 당선되었다.

소속 정당은 자유민주당이었으며, 당내에서는 고노 이치로춘추회에 속했다가 이후 나카소네 야스히로정책과학연구소로 옮겼다.[1] 1981년 11월부터 1년간 스즈키 젠코 내각 (개조)에서 후생대신으로 임명되어 처음 입각했다.[1] 이후 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나카소네파 사무총장 등을 역임했다.[1]

1990년에 정계를 은퇴했다.[1] 은퇴 후인 2008년에는 "숲의 생명과 자연의 섭리를 많은 사람들이 알길 바란다"는 뜻을 밝히며 모리시타 가문이 소유한 삼림을 도쿠시마현에 기증했다.[1]

2014년 3월 11일, 노쇠로 사망했다.[2] 향년 91세였다. 사후 종7위에서 종3위로 추서되었다.[3]

3. 역대 선거 기록

모리시타 모토하루는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총 9회 출마하여 8회 당선되었다. 1963년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도쿠시마현 전현구에 무소속으로 처음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1967년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1969년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1986년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까지 같은 선거구에서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7회 연속 당선되었다.

3. 1. 1963년 제30회 총선거

1963년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도쿠시마현 전현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52,698표(득표율 13.4%)를 얻어 3위로 당선되었다.

3. 2. 1967년 제31회 총선거

1967년에 치러진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도쿠시마현 전현구에서 자유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이 선거에서 40,725표를 얻어 득표율 10%를 기록했으나, 6위에 그쳐 낙선하였다.

3. 3. 1969년 제32회 총선거

1969년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 후보로 도쿠시마현 전현구에 출마하여 66,883표(득표율 16.5%)를 얻어 2위로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3. 4. 이후 선거

연도선거 종류회차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결과
1972년총선거33회중의원 의원도쿠시마현 전현구자유민주당62,70914.83위당선
1976년총선거34회중의원 의원도쿠시마현 전현구자유민주당61,46413.13위당선
1979년총선거35회중의원 의원도쿠시마현 전현구자유민주당71,93515.94위당선
1980년총선거36회중의원 의원도쿠시마현 전현구자유민주당67,409154위당선
1983년총선거37회중의원 의원도쿠시마현 전현구자유민주당56,85512.64위당선
1986년총선거38회중의원 의원도쿠시마현 전현구자유민주당60,21214.124위당선


4. 평가

대대로 임업에 종사한 집안 출신으로, 도쿄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임업 경영에 종사한 배경은[1] 그가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963년 정계에 입문하여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8선 중의원 의원을 지냈으며, 1981년 스즈키 젠코 내각 (개조)에서 후생대신을 맡고 자민당 국회대책위원장, 나카소네파 사무총장 등 당내 요직을 역임했다.

1990년 정계를 은퇴한 후인 2008년, "숲의 생명, 자연의 섭리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다"는 뜻을 밝히며 자신이 소유한 산림을 도쿠시마현에 기증한 것은[1] 환경에 대한 그의 오랜 관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뉴스 杜の恩恵伝えたい - 樹齢100年以上の森林を県に寄贈した元厚生大臣 森下元晴さん86 https://web.archive.[...] 読売新聞徳島県版『人ひと徳島』 2008-04-26
[2] 뉴스 訃報:森下元晴さん91歳=元自民党衆院議員、元厚相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4-03-12
[3] 간행물 『官報』第6265号 2014-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