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원 (비행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경원은 대한민국의 여성 비행사 1세대로, 1897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대구 신명여학교와 일본 요코하마 기예 여학교를 졸업하고 간호사로 일하다가 일본으로 건너가 비행 훈련을 받았다. 1926년 비행학교를 졸업하고 1928년 2등 비행사 면허를 취득했으며, 11시간 만에 단독 비행을 하는 기록을 세웠다. 1933년 일본-만주 간 비행을 계획하고,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푸른 제비'를 타고 이륙했으나, 가나가와현 하코네 근처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안 박씨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비안 박씨 - 병산정
병산정은 대한민국 누정 중 하나로, 조선 세종 때 문신 박서생을 기리기 위해 1935년 비안박씨 후손들이 건립했다. - 신명고등학교 동문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신명고등학교 동문 - 강연재
강연재는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방송 출연을 통해 인지도를 얻었으며 여러 정당을 거치며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정치적 스탠스 변화, 문재인 지지층 비난, 전광훈 관련 논란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도쿄 농공대학 동문 - 모리시타 모토하루
모리시타 모토하루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을 8선 역임하고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후생대신을 지냈으며, 정계 은퇴 후에는 가문 소유의 산림을 도쿠시마현에 기증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했다. - 도쿄 농공대학 동문 - 다케야마 유타로
농상무성 관료 출신 정치인 다케야마 유타로는 일본 협동당 소속 중의원 의원 9선, 건설대신, 시즈오카현 지사를 지냈으며, 다고노우라항 헤드로 공해 문제 해결에 노력하고 중일 국교 회복에 기여했다.
박경원 (비행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01년 6월 24일 |
출생지 | 대구, 경상도, 대한제국 (현재 대한민국) |
사망일 | 1933년 8월 7일 (32세) |
사망지 | 하코네, 가나가와, 대일본제국 (현재 일본) |
직업 | 비행사 |
이름 | |
한자 | 朴敬元 |
한글 | 박경원 |
로마자 표기 | Bak Gyeong-wo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ak Kyŏng'wŏn |
가족 관계 | |
형제 | 박상훈(오빠) |
2. 생애
권기옥, 이정희, 김경오 등과 함께 대한민국 여성 비행사 1세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박경원은 1897년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現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경상북도 경주와 경상남도 밀양에서 잠시 살았으며, 대구 신명여학교(現 신명고등학교 전신)와 일본 요코하마 기예 여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오빠 박상훈이 의사로 있던 대구 자혜의원(現 경북대학교병원)에서 2년간 간호사로 근무했다.[15]
1925년 가마다 자동차 학교와 가마다 일본 비행학교에서 비행 훈련을 받고 1928년 비행사 자격증을 취득했으며,[15] 11시간의 단독 비행 기록도 가지고 있다.[6]
1933년, 고이즈미 마타지로(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조부) 체신대신의 후원으로 일본에서 만주까지 비행하는 계획을 세웠고, 도코로자와 육군비행학교로부터 비행기를 받았다.[16] 이 비행은 여성 최초의 동해 횡단 비행[8] 도전이었으나, 하네다 공항에서 이륙 후 하코네 통과 시점에서 무선이 끊기고 시즈오카현다고군다가촌 (현 아타미시) 겐가쿠 서쪽 사면에 추락하여 사망했다.[16]
사고 당시 신문에 크게 보도되어 많은 사람들의 슬픔을 자아냈다. 추도록[10]에는 유고 2편이 실려 있으며, 여러 항공 관계자들이 추모글을 남겼다. 1974년에는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서 40주년 위령제가 열렸고,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여 박경원을 추모했다.
2. 1. 초기 생애
1897년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現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에서 4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으며, 경상북도 경주와 경상남도 밀양에서 각각 잠시 유년기를 보냈다.[15] 권기옥, 이정희, 김경오 등과 함께 대한민국 여성 비행사 1세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대구 신명여학교(現 신명고등학교 전신)와 일본 요코하마 기예 여학교를 졸업한 뒤, 오빠 박상훈(朴尙勳)이 의사로 근무하던 대구 자혜의원(現 경북대학교병원)에서 2년간 간호사로 일했다.[15] 가업은 가구점이었다.1912년부터 1916년까지 미국인들이 운영하는 장로교 선교 학교인 대구 명신여학교에 다녔다. 1917년 9월 13일 졸업 후 1년 만에 고향을 떠나 일본으로 갔다. 일본에 도착한 후 요코하마의 미나미요시다마치에 정착하여 카사하라 공업학교에 입학해 2년 반 동안 다녔다. 1919년부터 요코하마의 한국 기독교 교회에 다니기 시작했으며, 이후 개종하여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 1920년 2월, 대구로 돌아와 간호학교에 입학했다. 비행사가 되는 것이 그녀의 진정한 목표였지만, 학비를 먼저 벌어야 했다.[1][3]
2. 2. 비행 훈련과 자격 취득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가 가마다 자동차 학교와 가마다 일본 비행학교를 졸업하고, 1928년 2월에 비행사 자격증을 취득했다.[15] 1927년 1월 25일에 3등 비행사 면허 시험을 치렀고, 3일 후 면허를 취득했으며, 이듬해 7월 30일에는 2등 비행사 면허를 취득했다.[1][3] 비행 시간 11시간으로 단독 비행을 하기도 했다.[6] 권기옥, 이정희, 김경오 등과 함께 대한민국 여성 비행사 1세대 중 한 명으로 꼽힌다.2. 3. 일본-만주 간 비행과 추락
1933년 5월 4일, 박경원은 일본과 만주국 간의 새로운 노선 비행사로 선정되었다. 고이즈미 마타지로(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조부) 체신대신의 후원으로 친선 비행이 결정되었으며, 관동군, 만주국 협화회, 조선총독부 등의 조직으로부터 후원을 받은 대규모 사업이었다.[7]같은 해 8월 7일 오전 10시 35분, 박경원은 만주로 향하는 비행 중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자신의 살름손 2 A2 복엽기인 '푸른 제비'를 타고 이륙했다.[4] 그러나 이륙 42분 후 가나가와현 하코네 근처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3][5]
이 비행은 여성 최초의 동해 횡단 비행[8]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하네다 공항을 이륙했지만, 하코네를 통과한 시점에서 무선이 끊어지고, 시즈오카현다고군다가촌 (현 아타미시)에 있는 겐가쿠의 서쪽 사면, 산정상에서 50m 아래로 추락했다.

다음날 8일에는 다가촌과 아지로촌의 촌민들이 총출동하여 수색, 다비에 부쳐졌다. 추락 현장에는 위령비가, 또한 아타미매원 한국 정원[9]의 한 구석에도 모리 요시로 내각총리대신과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에 의한 한일 정상 회담을 계기로 "박 비행사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9]
3. 사후
1933년 8월 7일 10시경, 박경원은 여성 최초로 동해 횡단 비행[8]에 도전하기 위해 살무손 2A2형(복엽 단발기) "청연"을 타고 하네다 공항을 이륙했다. 그러나 하코네를 통과하던 중 무선이 끊기고 시즈오카현 다고군 다가촌(현 아타미시) 겐가쿠 서쪽 사면, 산 정상에서 50m 아래 지점에 추락하여 사망했다.[9]
3. 1. 추모 사업
1933년 8월 8일, 시즈오카현 다고군 다가촌과 아지로촌 주민들이 총동원되어 박경원의 시신을 수색하고 다비식을 거행했다.[9] 추락 현장에는 위령비가 세워졌으며, 아타미 매원 한국 정원[9] 한쪽에는 모리 요시로 내각총리대신과 김대중 대통령의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박 비행사 기념비"가 건립되었다.[9]당시 이 사고는 신문에 크게 보도되어 많은 사람들의 슬픔을 자아냈다. 추도록에는 유고 2편(우리 여성 비행가는 왜 발전하지 않는가일본어[10], 푸른 하늘 예찬일본어[10])이 실렸고,[10] 니시하라 고마쓰, 모리 리쓰코, 일본항공수송 도가와 마사하루 상무, 시오야 아마네, 구노 쓰카사 등 항공 관계자들도 추도 글을 남겼다.[10]
1974년 8월 7일,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의왕사에서 40주년 위령제가 열렸다. 한국여성항공협회 김환오 회장, 오이테 야에 일본 부인 항공 협회 회장 (현 일본 여성 항공 협회), 아타미 시장, 대한민국 대사관 소명옥 무관 등 많은 인원이 참석하여 한일 항공계의 가교 역할을 한 박경원을 기렸다. 사고 후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박경원을 기억하고 있으며,[11] 60년이 지나 다시 사고를 되돌아보며[12] 박경원을 조명하는 서적이 발행되기도 했다.[13]
참조
[1]
뉴스
映画『青燕』、韓国初の女性飛行士めぐり論争 (Movie 'Blue Swallow' and the debate about Korea's first female aviator)
http://www.chosunonl[...]
Chosun Online
2007-05-22
[2]
뉴스
'Blue Swallow' faces turbulence
https://www.hancinem[...]
HanCinema
2007-05-20
[3]
뉴스
우리나라 최초의 여류 비행사 박경원 (Our country's first female pilot, Park Kyung-won)
http://www.arirang21[...]
Arirang News
2007-05-23
[4]
서적
Women in Korean History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5]
뉴스
제국주의의 치어걸, 누가 미화하는가 (Who will try to glorify the cheerleader for imperialism?)
http://www.ohmynews.[...]
OhmyNews
2007-05-24
[6]
문서
熱海梅園の韓国庭園に建つ朴敬元記念碑の碑文より。
[7]
간행물
하늘을 꿈꾼 여자 박경원 - 최초의 여자 비행사, 다치가와의 하늘을 날다
https://crd.ndl.go.j[...]
하늘재
2016-12-06
[8]
문서
女性パイロットは大刀洗~京城間をまだ飛行していなかった。
[9]
웹사이트
熱海梅園
http://www.city.atam[...]
熱海市
2016-12-06
[10]
서적
故二等飛行機操縦士朴敬元嬢追悼録
日本飛行学校出版部
[11]
간행물
朴敬元さん熱海に散る
https://dl.ndl.go.jp[...]
田中繁
2016-12-06
[12]
간행물
越えられなかった海峡 朴敬元に思いをかさねて
インパクト出版会
[13]
서적
越えられなかった海峡—女性飛行士・朴敬元の生涯
時事通信社
[14]
뉴스
링크
https://news.naver.c[...]
[15]
뉴스
창공의 두 여걸 닮았지만 달랐던 삶
http://weekly.donga.[...]
동아일보
[16]
뉴스
제국주의의 치어걸, 누가 미화하는가
http://www.ohmy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