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걸이 (조합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걸이 (조합론)은 주어진 집합의 색깔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문자열의 순환적 배열인 목걸이, 그리고 이를 뒤집는 경우까지 고려한 팔찌에 대한 조합론적 개념을 다룬다. 목걸이와 팔찌는 순환군과 이항군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폴리아 열거 정리를 통해 그 수를 계산할 수 있다. 비주기적 목걸이는 안정자군이 자명군인 목걸이로, 모로의 목걸이 세기 함수와 뫼비우스 함수를 사용하여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목걸이 다항식은 린던 단어, 자유 리 대수, 유한체 위의 기약 다항식 등의 계산에 응용되며, 모로가 1872년에 이 문제를 처음 연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거조합론 - 카탈랑 수
카탈랑 수는 조합론에서 여러 개수 세기 문제의 해답으로 나타나는 수열로, 괄호 구조, 이진 트리, 다각형 분할 등 다양한 조합론적 대상의 개수를 나타내며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열거조합론 - 오일러 수 (조합론)
오일러 수는 조합론에서 집합의 순열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순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로, 주로 집합 의 순열에서 인 가 정확히 개 있는 순열의 개수를 나타내며, 오일러 다항식 및 관련 성질과 함께 1755년 레온하르트 오일러에 의해 소개되었다.
목걸이 (조합론) | |
---|---|
조합론적 목걸이 정보 | |
![]() | |
유형 | 조합론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드 브루인 시퀀스 홀 다항식 위트 벡터 순열 그룹 |
2. 정의
2. 1. 목걸이
임의의 집합 ''C''가 주어졌을 때, ''C'' 위의 길이 ''n''의 문자열 집합 ''C''n을 생각할 수 있다. ''C''n 위에는 ''n''차 순환군 Cyc(''n'') = ⟨''a''|''a''n = 1⟩은 다음과 같이 자연스럽게 작용한다.:''a''k: ''c''0''c''1 ⋯ ''c''n-1 ↦ ''c''k''c''k+1 ⋯ ''c''n-1''c''0 ⋯ ''c''k-1
집합 ''C'' 속의 색깔을 갖는, 길이 ''n''의 '''목걸이'''(necklace영어)는 ''C''n 위의, Cyc(''n'') 작용에 대한 궤도이다.
'''비주기적 목걸이'''(非週期的-, aperiodic necklace영어)는 안정자군이 자명군인 목걸이이다. 임의의 목걸이는 비주기적 목걸이의 반복으로 표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길이 ''n''의 목걸이는 ''n''의 어떤 약수 ''d''에 대하여, 길이 ''d''의 비주기적 목걸이의 ''n''/''d''번 반복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2. 팔찌
개의 색깔을 가질 수 있는, 길이가 인 팔찌의 수는 다음과 같은 다항식렬로 주어진다.:
:
목걸이와 비슷하지만, 뒤집기(reflection)를 통해 같은 모양이 되는 배열들도 동일한 팔찌로 간주한다. 정이면체군을 이용하여 팔찌를 정의한다.
2. 3. 비주기적 목걸이
임의의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속의 색깔을 갖는, 길이 의 '''목걸이'''는 위의, 순환군 작용에 대한 궤도이다.'''비주기적 목걸이'''(非週期的-, aperiodic necklace영어)는 안정자군이 자명군인 목걸이이다. 즉, 길이 ''n''의 비주기적 목걸이는 크기가 ''n''인 회전 동치류이며, 이러한 류의 목걸이를 회전시킨 두 개의 서로 다른 회전은 같지 않다. 임의의 목걸이는 비주기적 목걸이의 반복으로 표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길이 의 목걸이는 의 어떤 약수 에 대하여, 길이 의 비주기적 목걸이의 번 반복으로 나타낼 수 있다.
모로의 목걸이 세기 함수에 따르면, ''k''-진 비주기적 목걸이의 길이는 ''n''이고, 여기서 ''μ''는 뫼비우스 함수이다. 각 비주기적 목걸이는 단일 린든 워드를 포함하므로 린든 워드는 비주기적 목걸이의 동치류 대표를 형성한다.
3. 목걸이와 팔찌의 수
목걸이와 팔찌의 수는 포여 열거 정리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k''진 목걸이는 ''n''개의 구슬에 ''k''가지 색 중 하나를 칠하는 방법이다. 길이 ''n''의 ''k''진 목걸이의 수는 다음과 같다.[1]
:
여기서 는 오일러 피 함수이다.[1]
이 공식은 폴리아 열거 정리를 순환군 의 작용에 적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만약 모든 ''k''가지 색상을 반드시 전부 사용해야 한다면, 목걸이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제2종 스털링 수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과 는 이항 계수를 통해 서로 연관된다.
구슬이 특정 색상 멀티셋 로 제한될 때, 는 색상 의 구슬 수이고, 다음 식을 만족하는 서로 다른 목걸이가 존재한다.
:
n | |||
---|---|---|---|
1 | |||
2 | |||
3 | |||
4 | |||
5 | |||
6 |
5. 응용
목걸이 다항식 는 다음과 같은 수학 분야에서 등장한다.
- 개의 문자로 구성된 알파벳 위의 길이 의 린던 단어(Lyndon word)의 수
- 크기 의 집합으로 생성되는 자유 리 대수(Free Lie algebra)의, 차수 부분 공간의 차원
- 크기 의 유한체(Finite field) 위의 차 일계수 기약 다항식(Irreducible polynomial)의 수
- 목걸이 항등식은 원분 항등식(Cyclotomic identity)에서 지수로 등장한다.
6. 역사
샤를 폴 나르시스 모로(Charles Paul Narcisse Moreau프랑스어)가 1872년에 최초로 목걸이의 열거 문제를 연구하였다.[3]
참조
[1]
MathWorld
Necklace
[2]
웹사이트
Info on necklaces, Lyndon words, De Bruijn sequences
http://www.theory.cs[...]
2006-01-01
[3]
저널
Sur les permutations circulaires distinctes
http://www.numdam.or[...]
187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