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리 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 리 대수는 주어진 집합 S로부터 생성되는 리 대수이며, 범주론적으로 리 대수의 범주에서 집합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의 왼쪽 수반 함자의 상으로 정의된다. 체 K 위의 자유 리 대수는 텐서 대수의 부분 집합으로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으며, 자연수 등급 리 대수를 이룬다. 자유 리 대수는 린든 기저와 같은 기저를 가지며, 차원, 부분 리 대수, 보편 포락 대수 등의 성질을 갖는다. 자유 리 대수는 반단순 리 대수의 세르 정리, 밀너 불변량, 리 오퍼라드의 구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리 대수 | |
|---|---|
| 기본 정보 | |
![]() | |
| 분야 | 수학, 추상대수학 |
| 하위 분야 | 리 대수, 대수적 조합론 |
| 정의 | |
| 정의 | 주어진 집합에서 생성된 "가장 일반적인" 리 대수 |
| 성질 | |
| 보편 성질 | 임의의 리 대수로의 사상 확장이 유일하게 존재 |
| 괄호 단어 | 괄호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 가능 |
| 예시 | |
| 예시 | 자유 리 대수의 보편 포락 대수는 자유 결합 대수 |
| 관련 개념 | |
| 관련 개념 | 리 대수, 텐서 대수, 자유 대수, 보편 포락 대수 |
2. 정의
가환환 위의 리 대수의 모임은 대수 구조 다양체이므로, 주어진 집합 위의 계수의 '''자유 리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X''에 의해 생성된 자유 리 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X''를 집합, 를 ''X''에서 리 대수 ''L''로의 사상 (함수)이라고 하자. 리 대수 ''L''은 가 보편 사상일 경우 '''''X''에 대해 자유'''라고 한다. 즉, 집합의 사상 를 갖는 임의의 리 대수 ''A''에 대해, 가 되도록 하는 고유한 리 대수 사상 가 존재한다.
집합 ''X''가 주어지면, ''X''에 의해 생성된 고유한 자유 리 대수 가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자유 리 대수는 자연스럽게 등급을 갖는다. 자유 리 대수의 1-등급 성분은 단순히 해당 집합에 대한 자유 벡터 공간이다.
2. 1. 범주론적 정의
범주론적으로, 가환환 위의 리 대수의 범주 에서 집합의 범주 로 가는 망각 함자:
의 왼쪽 수반 함자 이 존재하며,
:
집합 로부터 생성되는 자유 리 대수는 이 함자의 상 이다. 즉, 자유 리 대수는 망각 함자의 왼쪽 수반 함자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정의로는, 집합 를 에 의해 생성된 리 대수로 보내는 함자는 집합의 범주에서 리 대수의 범주로 가는 자유 함자이다. 이는 망각 함자에 대한 왼쪽 수반이다.[1]
또는, 체 ''K'' 위의 리 대수에서 체 ''K'' 위의 벡터 공간으로 가는 망각 함자, 즉 리 대수의 구조는 잊지만 벡터 공간의 구조는 기억하는 함자의 왼쪽 수반으로서 벡터 공간 ''V''에 대한 자유 리 대수를 정의할 수도 있다.[2]
2. 2. 구체적인 구성
체 위의 자유 리 대수는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다. 집합 위의 자유 리 대수를 라고 하고, 위의 자유 단위 결합 대수(=텐서 대수, 비가환 다항식 대수)를 라고 하자. 그러면 는 자연스럽게 의 부분 집합을 이루며, 는 의 보편 포락 대수이다. 는 속에서, 로 생성되는 부분 리 대수이다.체 위의 자유 리 대수는 자연스럽게 자연수 등급 리 대수를 이룬다. 여기서 등급은 린든 기저에 대응하는 린든 문자열의 길이(즉, 리 대수의 원소를 생성하기 위한 최소 항의 수)와 같다.
3. 성질
자유 리 대수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들을 갖는다.
- 시르쇼프-비트 정리: 아나톨리 쉬르쇼프와 에른스트 비트가 증명한 정리로, 자유 리 대수의 임의의 부분 리 대수는 그 자체로 자유 리 대수이다.[3][4]
- 기저: 자유 리 대수의 기저는 린든 단어나 마샬 홀이 제시한 '''홀 집합'''(Hall set)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1][2]
- 보편 포락 대수: 자유 집합 ''X''에 대한 자유 리 대수의 보편 포락 대수는 ''X''에 의해 생성된 자유 결합 대수이다.
3. 1. 차원
집합 에 의하여 생성되는 체 계수의 자유 리 대수를 생각하자. 가 공집합이라면, 는 0차원 리 대수이다. 가 한원소 집합이라면, 는 1차원 아벨 리 대수이다. 의 집합의 크기가 2 이상이라면, 는 무한 차원 리 대수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3. 2. 부분 리 대수
아나톨리 쉬르쇼프와 에른스트 비트는 자유 리 대수의 임의의 부분 리 대수는 그 자체로 자유 리 대수임을 보였다.[3][4] 이를 시르쇼프-비트 정리(Ширшов-Witt定理, Shirshov–Witt theorem영어)라고 한다.3. 3. 기저
체 위의 자유 리 대수의 기저는 린든 단어를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린든 단어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열로, 린든 기저를 형성한다.[1][2] 자유 리 대수의 기저는 '''홀 집합'''(Hall set)으로도 주어질 수 있다.3. 3. 1. 린든 단어
'''린든 단어'''(Lyndon word영어)는 체 위의 자유 리 대수의 기저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특별한 문자열이다. 크기가 인, 전순서가 주어진 알파벳 위의 길이 의 문자열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열을 린든 단어라고 정의한다.- 를 회전시켜 얻을 수 있는 모든 문자열 들을 생각했을 때, 는 이들 중 사전식 순서에서 유일하게 가장 작은 문자열이다.
- 를 두 개의 문자열 로 분해했을 때 (), 사전식 순서에서 항상 가 보다 작다.
린든 단어 는 더 짧은 두 린든 단어 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다. 이때, 가 가장 긴 경우를 '''표준 분해'''(standard factorization영어)라고 한다.
유한 집합 위의, 길이가 1 이상인 린든 단어들은 자유 리 대수 의 '''린든 기저'''(Lyndon basis영어)와 일대일 대응한다. 린든 단어 에 대응하는 린든 기저 벡터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의 길이가 1이면, 이다.
- 의 길이가 2 이상이고 표준 분해가 라면, 이다.
예를 들어, 알파벳 위의 린든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0, 1, 01, 001, 011, 0001, 0011, 0111, 00001, 00011, 00101, 00111, 01011, 01111, ...
크기 인 알파벳 위에서 길이 인 린든 단어의 개수는 목걸이 다항식
:
로 주어지며, 여기서 는 뫼비우스 함수이다. 이는 개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 리 대수의 차원 부분 공간의 차원과 같다.
린든 단어는 홀 단어의 특수한 경우이며, 린든 단어에 해당하는 자유 리 대수의 기저가 있다. 이것은 로저 린던의 이름을 따서 '''린든 기저'''라고 불린다.[1][2]
3. 3. 2. 린든 기저
체 위의 자유 리 대수의 기저는 '''린든 단어'''(Lyndon word영어)로 주어진다. 린든 단어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열로, 자유 리 대수의 린든 기저와 일대일 대응한다.[1]유한 집합 위의, 길이가 1 이상인 린든 단어의 집합은 자유 리 대수 의 린든 기저와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한다. 린든 단어 에 대응하는 린든 기저 벡터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의 길이가 1이라면,
- 의 길이가 2 이상이고, 표준 분해가 라면,
여기서 표준 분해는 린든 단어 를 더 짧은 두 린든 단어 로 분해했을 때, 가 가장 긴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알파벳 위의 린든 단어들은 다음과 같다.
:0, 1, 01, 001, 011, 0001, 0011, 0111, 00001, 00011, 00101, 00111, 01011, 01111, ...
크기 위의 알파벳에서 길이 인 린던 단어의 수는 목걸이 다항식
:
로 주어지며, 여기서 는 뫼비우스 함수이다. 이는 개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 리 대수의 등급 부분 공간의 차원과 같다.
린든 기저는 로저 린던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으며, 첸-폭스-린던 기저 또는 린던-쉬르쇼프 기저라고도 불린다. 이는 본질적으로 쉬르쇼프 기저와 동일하다.
3. 3. 3. 홀 집합
자유 리 대수의 명시적인 기저는 홀 집합의 관점에서 주어질 수 있는데, 이는 ''X'' 위의 자유 마그마 내의 특정 종류의 부분 집합이다. 자유 마그마의 원소는 ''X''의 원소로 레이블된 잎을 가진 이진 트리이다. 홀 집합은 필립 홀의 그룹 연구에 기반하여 마샬 홀[1]이 1950년에 소개하였다. 그 후, 빌헬름 마그누스는 홀 집합이 자유군 위의 하위 중심 열에 의해 주어진 여과와 관련된 등급 리 대수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대응은 필립 홀과 에른스트 비트의 군론에서의 교환자 항등식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었다.3. 4. 보편 포락 대수
자유 집합 ''X''에 대한 자유 리 대수의 보편 포락 대수는 ''X''에 의해 생성된 자유 결합 대수이다. 푸앵카레-비르코프-비트 정리에 의해 이는 자유 리 대수의 대칭 대수와 "크기가 같다". (즉, 양변 모두 ''X''의 원소에 차수 1을 부여하여 등급을 매기면 등급 동형인 벡터 공간이다.) 이는 주어진 차수의 자유 리 대수의 부분 공간의 차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 응용
자유 리 대수는 여러 분야에서 응용된다. 반단순 리 대수에 대한 세르 정리는 생성자와 관계로부터 반단순 대수를 구성하기 위해 자유 리 대수를 사용한다. 밀너 불변량은 링크 군의 구성 요소와 관련이 있다. 오퍼라드의 구성에 자유 리 대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리 오퍼라드를 참조하라.
4. 1. 반단순 리 대수
반단순 리 대수의 세르 정리는 자유 리 대수를 사용하여 생성자와 관계로부터 반단순 대수를 구성한다.[1] 밀너 불변량은 링크 군의 구성 요소에 대한 자유 리 대수와 관련이 있다.[2] 오퍼라드의 구성에 자유 리 대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리 오퍼라드를 참조하라.[3]4. 2. 밀너 불변량
밀너 불변량은 링크 군의 구성 요소에 대한 자유 리 대수와 관련이 있다.[1]4. 3. 리 오퍼라드
오퍼라드의 구성에는 자유 리 대수가 사용될 수 있다.참조
[1]
논문
The origins of combinatorics on words
http://www-igm.univ-[...]
[2]
논문
The origins of combinatorics on words
http://www-igm.univ-[...]
[3]
저널
Подалгебры свободных лиевых алгебр
http://mi.mathnet.ru[...]
[4]
저널
Die Unterringe der freien Lieschen Rin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