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고 산타마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고 산타마리아는 쿠바 출신의 라틴 재즈 퍼커셔니스트로, 1922년 아바나에서 태어나 2003년 사망했다. 17세에 음악을 시작하여 트로피카나 클럽 등에서 활동했으며, 1950년 미국 뉴욕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1963년 허비 행콕의 "워터멜론 맨"을 취입하여 대히트를 기록했고, "아프로 블루" 등 여러 작품을 남겼다. 그는 라틴 재즈와 소울 음악을 결합한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으며, 사후 국제 라틴 음악 명예의 전당과 빌보드 라틴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음악가 - 파블로 밀라네스
    파블로 밀라네스는 쿠바 바야모 출신의 가수이자 기타리스트로, 누에바 트로바 운동의 중심 인물로서 쿠바 혁명 지지, 정치적 탄압 경험, 쿠바 정부 비판, 그리고 쿠바 전통 음악과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 구축 등의 활동을 펼쳤다.
  • 쿠바의 음악가 - 실비오 로드리게스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쿠바의 누에바 트로바 운동을 대표하는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 시인으로 혁명, 사랑, 사회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서정적인 가사와 독특한 음악 스타일로 라틴 아메리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스페인어권 좌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쿠바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글로리아 에스테판
    글로리아 에스테판은 쿠바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으로 데뷔, 솔로 가수로서도 성공하며 라틴 음악계의 대표적 인물이 되었고, 그래미상 수상, 슈퍼볼 공연, 버스 사고 극복 등 다채로운 경력과 사회 활동으로 영향력을 인정받는 쿠바계 미국인 가수, 배우, 작곡가, 사업가이다.
  • 쿠바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앤디 가르시아
    앤디 가르시아는 1956년 쿠바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한 쿠바계 미국인 배우로, 1980년대 중반부터 배우 활동을 시작하여 《언터처블》, 《대부 3》, 《오션스 일레븐》 등의 작품을 통해 성공을 거두며 아카데미상, 골든 글로브상 후보 지명 및 그래미상 수상 경력을 가진 다재다능한 연기자이다.
  • 2003년 사망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2003년 사망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몽고 산타마리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라몬 산타마리아 로드리게스
출생1917년 4월 7일
출생지하바나, 쿠바
사망2003년 2월 1일
사망지마이애미, 플로리다, 미국
몽고 산타마리아 1969년 사진
1969년의 산타마리아
직업음악가
밴드 리더
작곡가
악기콩가
봉고
활동 기간1950년–1998년
장르파창가
부갈루
살사
라틴 재즈
레이블Fantasy
Riverside
Columbia
Vaya
Concord Picante
관련 활동티토 푸엔테
칼 제이더
파니아 올스타즈

2. 생애

1922년 4월 7일,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콩고에서 끌려온 노예였다. 처음에는 바이올린을 연주했지만, 이윽고 타악기로 전향했다. 1950년 미국뉴욕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트로피카나 클럽 등에서 활동했다.

미국으로 이주한 후, 페레즈 프라도, 티토 푸엔테, 칼 제이더 등의 악단에서 활동하며 1963년 허비 행콕의 「워터멜론 맨」을 연주하여 크게 히트했다.[17] 그 외에도 「아프로 블루」 등을 발표했다.

2003년 2월 1일, 마이애미의 병원에서 사망했다.

2. 1. 쿠바 시절 (1922-1950)

1922년 4월 7일, 쿠바 아바나의 헤수스 마리아(Jesús María) 지역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는 콩고에서 끌려온 노예였다.[2] 어린 시절 룸바를 아바나 거리에서 배우며 음악적 재능을 키웠다.[2] 그는 아프리카계 쿠바 음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처음에는 바이올린을 연주했으나, 이후 타악기로 전향했다. 17세에 프로 뮤지션을 목표로 학교를 중퇴하고, 1937년 셉테토 벨로냐(Septeto Beloña)에서 봉고를 연주하기 시작했다.[3] 1940년대에는 아바나의 유명 나이트클럽인 트로피카나 하우스 밴드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4] 베니 모레 밴드에서 봉고와 콩가를 연주했던 클레멘테 "치초" 피케로(Clemente "Chicho" Piquero)에게 가르침을 받았다.[4]

2. 2. 뉴욕 활동과 전성기 (1950-1970년대)

1950년, 산타마리아는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기 위해 멕시코를 거쳐 미국 뉴욕으로 이주했다. 티토 푸엔테 오케스트라의 콩가 연주자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8] 1957년, 칼 제이더의 라틴 재즈 콤보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1959년, 산타마리아는 아프리카 3:2 교차 리듬 (헤미올라)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재즈 스탠더드 곡 중 하나인 "아프로 블루(Afro Blue)"를 작곡, 녹음했다.[8][9]

"아프로 블루" 베이스 라인


1962년 말, 허비 행콕이 작곡한 "Watermelon Man"을 녹음하여 이듬해 빌보드 싱글 차트 10위에 오르는 대히트를 기록했다. 이 곡은 산타마리아의 대표곡이 되었으며, 라틴 재즈와 소울 음악을 결합한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60년대에는 자신의 차랑가 오케스트라 라 사브로사(La Sabrosa)를 결성하여 활동했다.[10]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R&B모타운 히트곡들을 쿠바 스타일로 편곡하여 연주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2. 3. 후기 활동 및 사망 (1980년대-2003)

몽고 산타마리아는 198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음반을 발표하고 공연 활동을 이어갔다. 2003년 2월 1일, 뇌졸중으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그는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우드론 파크 묘지 및 영묘(현재 카바예로 리베로 우드론 파크 노스 묘지 및 영묘)에 안장되었다.

사후, 몽고 산타마리아는 국제 라틴 음악 명예의 전당과 빌보드 라틴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3][14]

3. 음악 스타일 및 영향

몽고 산타마리아는 어린 시절 하바나에서 룸바를 배우며 성장했다. 그는 종교와 대화를 다루는 음악을 만들었고, 드럼을 주요 도구로 사용했다.[2] 베니 모레 밴드에서 봉고콩가를 연주했던 클레멘테 "치초" 피케로에게 가르침을 받았다.[4]

산타마리아는 민속 룸바를 최초로 녹음한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의 앨범은 참여 연주자와 악기를 상세히 기록하여 아르만도 페라자, 프란시스코 아구아벨라 등 다른 쿠바 룸바 연주자들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1952년 11월 3일, ''아프로-쿠반 드럼스''를 녹음했고, 이후 ''창고''(1954), ''얌부''(1958), ''몽고''(1959), ''벰베''(1960) 등을 발매했다.

산타마리아는 자신의 연주 스타일에 대해 "내가 연주할 때, 내가 어떻게 하는지, 무엇을 하는지 모른다 ... 그냥 연주할 뿐이다"라고 말했다.[5] 그의 곡 "Mi guaguancó"(1959)에서 퀸토 연주는 반복을 통해 주요 모티프를 만들어내는 특징을 보여준다.[6][7]

1959년, 산타마리아는 아프리카 3:2 교차 리듬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재즈 스탠더드인 "아프로 블루(Afro Blue)"를 녹음했다.[8][9]

1962년, 허비 행콕이 임시 피아니스트로 참여하면서 산타마리아는 허비 행콕의 곡 "Watermelon Man"을 발견하고 녹음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1] 이 곡은 아프로-쿠반 음악과 아프리카계 미국 음악을 융합하는 그의 음악 스타일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산타마리아는 R&B모타운 노래의 쿠바풍 버전을 녹음하며 인기를 얻었다.

4. 주요 작품

몽고 산타마리아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아프로 블루(1959): 아프리카의 3:2 교차 리듬 (헤미올라)을 기반으로 한 초기 재즈 스탠더드 중 하나이다.[8][9]

  • 워터멜론 맨(1962): 허비 행콕이 작곡하고 몽고 산타마리아가 연주하여 팝 차트 정상을 차지한 곡이다.[11]


음반 목록 (일부)
발매 연도음반 제목비고
1952Afro-Cuban Drums
1954Changó (Drums and Chants)
1958Yambu: Mongo Santamaria y Sus Ritmos Afro Cubano
1959Mongo
1959Afro Roots[12] Prestige에서 재발매
1960Our Man in Havana
1960Sabroso!
1961¡Arriba! La Pachanga
1962Go, Mongo!
1963Watermelon Man!
1963Mongo at the Village Gate
1968Soul Bag
1969Stone Soul
1976Sofrito
1977Amanecer
1993Mambo Mongo
1995Conga Blue


4. 1. 대표곡

"아프로 블루(Afro Blue)" (1959)는 일반적인 아프리카 3:2 교차 리듬 또는 헤미올라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재즈 스탠더드 중 하나이다.[8][9] 이 곡은 베이스가 12/8 박자 또는 4개의 주요 박자당 6개의 교차 박자(6:4, 즉 3:2의 두 셀)로 반복적으로 연주하면서 시작한다. 다음은 원래의 오스티나토 "아프로 블루" 베이스 라인이다. 슬래시된 음표 머리는 주요 비트를 나타낸다.

"Watermelon Man" (1962)는 허비 행콕이 작곡하고 몽고 산타마리아가 연주하여 팝 차트 정상을 차지한 곡이다. 허비 행콕은 도널드 버드와의 대화 중 이 곡을 연주하게 되었고, 몽고 산타마리아가 즉석에서 콩가 연주를 더해 완벽하게 어울리는 것을 발견했다. 관객들은 춤을 추며 즐거워했고, 몽고 산타마리아는 이 곡을 녹음하여 큰 히트를 기록했다.[11]

4. 2. 음반 목록 (일부)

발매 연도음반 제목비고
1952Afro-Cuban Drums
1954Changó (Drums and Chants)
1958Yambu: Mongo Santamaria y Sus Ritmos Afro Cubano
1959Mongo
1959Afro Roots[12] Prestige에서 재발매
1960Our Man in Havana
1960Sabroso!
1961¡Arriba! La Pachanga
1962Go, Mongo!
1963Watermelon Man!
1963Mongo at the Village Gate
1968Soul Bag
1969Stone Soul
1976Sofrito
1977Amanecer
1993Mambo Mongo
1995Conga Blue


참조

[1] 서적 From Afro-Cuban Rhythms to Latin jazz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2] 간행물 "Mongo Santamaría, King of the Cuban Congas" 1977
[3] 서적 Music from Cuba: Mongo Santamaría, Chocolate Armenteros, and Cuban Musicians in the United States 2001
[4] 인터뷰 Mongo Santamaría interview 1996
[5] 인용 Mongo Santamaría quoted by Gerard (2001: 29)
[6] 음악 "Mi guaguancó," Fantasy CD 8032 1959
[7] 서적 Rumba Quinto Bembe Books 2010
[8] 음악 "Afro Blue," Prestige CD 24018-2 1959
[9] 서적 The Clave Matrix; Afro-Cuban Rhythm: Its Principles and African Origins Bembe 2010
[10] 서적 Caliente: Una historia del jazz latino
[11] 인용 Herbie Hancock quoted by Gerard (2001: 54)
[12] 뉴스 Mongo Santamaria, 85, Influential Jazz Percussionist, Dies https://www.nytimes.[...] 2003-02-03
[13] 뉴스 International Latin Music Hall of Fame Announces Year 2000 Inductees https://web.archive.[...] 2015-10-31
[14] 간행물 Billboard's Latin Music Hall of Fame: Mongo Santamaría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2001-04-28
[15] 서적 From Afro-Cuban rhythms to Latin Jazz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006
[16] 웹사이트 Mongo Santamaria https://www.allmusic[...] 2019-01-18
[17] 웹사이트 Watermelon Man by Herbie Hancock https://www.songfact[...] Songfacts 2021-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