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은 윗입술과 아랫입술, 혀의 뒷부분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파열음의 일종이다. 성대의 진동 없이 입을 통해 공기가 나오며,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힘을 이용한다. 이중 조음음의 대표적인 예시로, 서아프리카, 북부 중앙 아프리카, 뉴기니의 일부 언어에서 발견된다. 언어별로 다양한 단어에서 나타나며, 베트남어 하노이 방언에서는 조건 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중 조음 - 양순 연구개 비음
    양순 연구개 비음은 입술과 연구개를 동시에 사용하여 내는 유성 콧소리로, 비음, 양순음, 연구개음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 이중 조음 -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두 입술과 혀의 뒷부분 및 연구개 사이에서 동시에 조음되는 유성 폐쇄음인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은 국제 음성 기호로 ɡ͡b로 표기되며 요루바어, 이보어 등 아프리카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고 'gb'로 표기되기도 한다.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파열음 - 성문 파열음
    성문 파열음은 조음기관 내 공기 흐름을 막아 성문을 닫은 상태에서 발음되며, 무성음으로 분류되고, 아랍어 등 여러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난다.
  • 파열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음성학적 정보
IPA 기호k͡p
십진수107, 865, 112
설명
관련 음성k, p
참고 문헌Catford
인용문... 가장 흔한 이중 조음은 두 위치에서 동시에 정지음을 조음하는 것으로, 가장 빈번하게는 순치-연구개 [kp] [gb]이며, 조음이 전사에서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할 때 [k͡p] [ɡ͡b]로 표기된다. 이러한 특정 유형의 이중 조음은 종종 '순연구개'라고 불리며, 이러한 복합 용어의 전반부는 하위 조음기관을 지칭하는 엄격하게 체계적인 음성 분류법에서는 피해야 할 용어이다.
영어 표기angbr IPA|k͡p, angbr|p
IPA 정보number: "109+101"
text: "107"
text2: "865"
text3: "112"
jisx0213: "1-3-75 + 1-3-80"
xsampa: k_p
ascii: t

2. 특징


양순 연구개 파열음(k͡p)과 같은 이중 조음음은 대표적인 이중 조음이며, 서아프리카 및 북부 중앙 아프리카 언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뉴기니의 몇몇 언어에서도 발견된다.[11] 자음 결합과 달리 파열은 거의 동시에 한 번만 일어난다. 나이지리아의 Eggon language|에곤어영어에서는 자음 결합과의 대립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12]

  • "죽다"
  • "무릎을 꿇다"


하지만 실제로는 k와 p가 완전히 동시에 일어나지는 않으며, 폐쇄의 시작과 종료 모두 k가 p보다 약간 빠르다.[13]

또한, 혀 뒤쪽이 조금 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종종 흡착음과 유사한 내향성 기류가 발생한다.[14]

3. 언어별 예시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은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베트남어하노이 방언에서는, /k/가 원순 후설 모음 /u, o, ɔ/ 뒤에서 [k͡p]로 나타난다. 이는 조건 이음이다.[19]

3. 1. 아프리카

언어단어IPA의미비고
당메어[2]kpà[k͡pà]'돌아다니다'
에가어[3][k͡pá]'밭을 둘러싸는 울타리를 만들다'
이비비오어[4]'kp'a[k͡pɐ́]'죽다'
이보어[5]'kp'ọ́ [k͡pɔ́]'부르다'
칼라바리어[6]kp[àk͡pà]'가방'
모노어[7]'kp'a[k͡pa]'도망가다'
나이지리아 피진어|음소 /k͡p/는 나이지리아 토착 언어에서 유래된 단어와 후기 차용어에서 발견됨.
요루바어'páp[k͡pák͡pá]'밭'

3. 2. 오세아니아

사라막칸어에서 a'''kp'''ó([ak͡pó])는 '화살 유형'을 의미한다. 이는 /kʷ/와 이음일 수 있지만 음소일 수도 있다.[8] 티아프어에서 '''kp'''a([k͡pa])는 '절구'를 의미한다.[8] 파푸아뉴기니바누아투의 일부 언어에서는 순음화된 k͡pʷ 음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Mwotlap어(뱅크스 제도, 북 바누아투)에는 k͡pʷɪlɣɛk|moe('장인')가 있다.[10]

이 소리를 가진 뱅크스 제도 언어에서는 음소 가 현지 정자법에서 로 표기된다. 바누아투의 다른 남부 언어(예: 남 에파테어, 또는 레나켈어)에서는 동일한 분절음을 로 표기한다.

3. 3. 아시아

베트남어 하노이 방언에서는, /k/가 원순 후설 모음 /u, o, ɔ/ 뒤에서 [k͡p]로 나타난다. 이는 조건 이음이다.[19] 예를 들어, 'lú'''c''' ([luk͡p˧˥])는 '시간'을 의미한다.[9]

4. 변이음

요루바어에서는 /p/에서 변이음으로 ak͡páyo "팔"이 나타난다.[18] 이보어에서는 /kp/에서 변이음으로 àk͡pàig "가방"이 나타난다.[15] 이보어에는 무성 와 유성 가 있는데, 전자는 방언에 따라 무성 내파음 로 나타나기도 한다.[15] 베트남어에서는 /u, o, ɔ/ 뒤에 오는 /k/에서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베트남어하노이 방언에서는, 가 원순 후설 모음 뒤에서 로 나타나는 조건 이음이다.[19] 베트남어 하노이 방언 khóc "울다"[20]

5. 이중 조음

양순 연구개 파열음(k͡p)과 같은 이중 조음은 대표적인 이중 조음이며, 서아프리카 및 북부 중앙 아프리카 언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뉴기니의 몇몇 언어에서도 발견된다.[11] 자음 결합과 달리 파열은 거의 동시에 한 번만 일어난다. k와 p가 완전히 동시에 일어나지는 않으며, 폐쇄의 시작과 종료 모두 k가 p보다 약간 빠르다.[13]

또한, 혀 뒤쪽이 조금 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종종 흡착음과 유사한 내향성 기류가 발생한다.[14]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간행물 Ewe Basic Course http://www.iu.edu/~c[...] Indiana University
[17] 인용
[18] 인용
[19] 인용
[20]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