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녀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자녀세는 자녀가 없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 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소련, 폴란드, 루마니아 등에서 시행되었으며, 특정 연령의 미혼자 또는 자녀가 없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소득의 일정 비율을 세금으로 부과했다. 2014년 대한민국에서도 관련 논의가 있었으나, 보건복지부에서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현재는 러시아, 중국, 독일 등에서 무자녀세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지된 세금 - 지즈야
지즈야는 이슬람 국가에서 비무슬림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보호에 대한 대가, 보상, 조공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며, 역사적으로 징수 방식과 세율이 달랐으나 현대 이슬람 국가에서는 더 이상 부과되지 않지만 일부 극단주의 단체에 의해 강제 징수되기도 한다. - 폐지된 세금 - 지역 주민세
지역 주민세는 1980년대 영국 대처 정부가 지방 정부 지출 억제를 위해 도입한 세금 제도였으나, 징수 문제, 불공정성 논란, 시위 등으로 반대에 부딪혀 폐지되고 재산세로 대체되었다. - 출생주의 - 현모양처
현모양처는 훌륭한 어머니이자 어진 아내를 의미하는 단어로, 중국과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여성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담고 있다. - 출생주의 - 율리우스법
율리우스법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를 포함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황제들이 제정한 법률들을 총칭하며, 시민권 관련 법률, 농지법, 윤리 및 인구 증가를 위한 법률 등을 포함하여 로마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까지 그 영향력이 이어졌다. - 인세 - 상속세
상속세는 사망으로 인해 무상으로 이전되는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상속재산가액에서 각종 공제를 차감한 과세표준에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하며, 소득 재분배 및 조세 형평성을 제고하는 기능과 함께 이중과세, 기업 경영권 승계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도 제기된다. - 인세 - 소비세
소비세는 재화와 용역 소비 행위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판매세, 죄악세, 지출세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사회보장급여 재원 확보에 기여하지만 역진적인 영향과 노동 선택에 대한 영향 등 경제적 효과에 대한 논의가 존재한다.
무자녀세 | |
---|---|
세금 정보 | |
이름 | 무자녀세 |
다른 이름 | 자녀 없음 세금 |
시행 국가 | 과거 소련과 동유럽의 일부 국가 |
목적 | 출산 장려 및 인구 증가 |
대상 | 자녀가 없는 특정 연령 이상의 남녀 (국가별로 상이) |
비고 | 세금은 소득의 일정 비율로 부과됨 |
소련의 무자녀세 (나로그 나 베즈데트노스트) | |
시행 시기 | 1941년 ~ 1990년대 초 |
대상 | 20세에서 50세 사이의 남성, 20세에서 45세 사이의 기혼 여성 |
예외 | 전쟁 참전 용사 특정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 학생 특정 수의 자녀를 둔 사람 |
세율 | 소득의 약 6% |
폐지 이유 | 사회적 불평등 심화 낙태 증가 출산율 저하 |
루마니아의 무자녀세 | |
시행 시기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시기 |
목적 | 출산율 증가 |
내용 | 결혼 적령기의 미혼 남녀에게 세금 부과 자녀가 없는 기혼 부부에게 세금 부과 |
영향 | 불법 낙태 및 영아 유기 증가 |
2. 역사
무자녀세는 과거 일부 국가, 특히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인구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된 역사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소련, 폴란드, 루마니아 등이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는 특정 연령대의 자녀가 없는 시민에게 추가적인 세금을 부과했다. 각 국가별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는 출산율이 소련 시대보다 낮아지면서 일부 정치인들이 무자녀세 부활을 제안하기도 했다.[1] 러시아 보건부에 따르면, 총 출산율은 소련 붕괴 후 여성 1인당 2.19명에서 1.17명으로 급감했으며,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당시 러시아 지도자들은 이러한 인구 감소 문제를 심각한 '위기'로 인식했다. 무자녀세가 실제로 부활하지는 않았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둘째 아이를 출산하는 여성에게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다른 방식의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했다.[8]
2018년에는 중국에서도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무자녀세 도입이 제안된 바 있다.[9][10]
독일에서는 전 연방 보건부 장관이었던 옌스 슈판이 자녀가 없는 사람들이 자녀가 있는 사람들보다 간병 및 연금 보험료를 더 많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실상의 무자녀세 도입을 요구하기도 했다.[11]
2. 1. 소련
소련에서는 1941년부터 1990년까지 무자녀세를 시행했다. 이 세금은 자녀가 없는 25세에서 50세 사이의 남성과 20세에서 45세 사이의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부과되었으며, 세율은 임금의 6%였다. 하지만 몇 가지 예외 조항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자녀를 잃었거나, 특정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 그리고 의학적으로 출산이 불가능한 사람은 세금이 면제되었다. 또한, 많은 학생과 월 소득이 70RUB 미만인 사람들도 면제 대상이었다. 일부 독신 남성들은 불임을 주장하며 가짜 의료 서류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세금을 회피하기도 했다.[1]1946년 12월 3일, 소련 각료회의 결정 제2584호에 따라 독신 서약을 지켜야 하는 정교회 및 기타 종교의 수도자와 수녀에 대한 세금이 폐지되었다.[3]
1990년에는 소득 면제 기준이 150RUB로 상향 조정되어, 자녀가 없는 성인의 소득 중 첫 150RUB까지는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었다.[4] 1991년에는 여성에 대한 무자녀세 부과가 중단되었고, 1992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이 세금은 완전히 폐지되었다.
2. 2. 폴란드
폴란드에서는 1946년부터 1973년까지 독신이면서 자녀가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세금을 부과했다. 이 세금은 폴란드어로 '비코베'(bykowe|비코베pol, "황소의 세"라는 뜻)라고 불렸는데, 여기서 '황소'는 결혼하지 않은 남성을 가리키는 은유로 사용되었다.'비코베'라는 단어는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다. 16세기에는 수소를 가진 사람이 암소와의 교미를 위해 지불하는 수수료를 의미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사생아를 낳은 것에 대한 벌금을 뜻하기도 했다. 20세기 초의 사전에는 '비코베'가 "암소를 키운 대가로 목동에게 주는 선물" 또는 "신부와 춤추고 싶어하는 사람이 결혼식에서 음악가에게 지불하는 수수료"라는 의미로 기록되어 있다.
1946년, 공산주의 정권 하의 폴란드는 기본 소득세율을 인상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무자녀세를 도입했다. 처음에는 21세 이상의 자녀 없는 미혼자가 대상이었으나(1946년 1월 1일 ~ 1956년 11월 29일), 이후에는 25세 이상으로 대상 연령이 조정되었다(1956년 11월 30일 ~ 1973년 1월 1일).[5]
2. 3. 루마니아
무자녀세는 1967년부터 1989년까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하의 공산주의 루마니아에서 시행된 출산 장려 정책의 일부였다. 1967년의 낙태 및 피임 금지, 의무적 부인과 검사 등의 조치와 함께, 이 세금은 1977년과 1986년에 다양한 형태로 도입되었다. 자녀가 없는 시민들, 심지어 미혼인 경우에도 벌금 성격의 이 세금을 납부해야 했으며, 결과적으로 세금 소득률은 8-10% 증가했다.[6][7]3. 대한민국
(내용 없음)
3. 1. 세부담 논란
2014년 11월 12일자 매일경제신문 기사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관계자가 매일경제신문 기자와의 대화에서 "앞으로 몇 년 후에는 '싱글세(1인가구 과세)'를 매겨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라며 "장기적으로는 (싱글세와 같은) 페널티 정책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해 독신세와 무자녀세 도입 가능성을 시사했다.[14] 이 발언이 논란이 되자 보건복지부는 같은 날 "'싱글세' 등과 같이 페널티를 부과하는 방안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싱글세는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표현한 말이 잘못 전달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라고 공식적으로 해명했다.[15]현재 독신자와 다자녀 가구 간 세금 부담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과 국세청은 2009년 최저생계비와 면세점 비율을 근거로 독신 가구에 비해 다자녀 가구의 세금 부담이 더 높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16] 반면, 월 소득이 동일한 독신 가장과 4인 가구 가장의 소득세액을 비교할 때 독신 가구의 세금 부담이 더 높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4. 기타 국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출산율은 소련 시대보다 낮아졌고, 일부 러시아 지도자들은 무자녀세 부활을 제안했다.[1] 러시아 보건부에 따르면, 총 출산율은 소련 붕괴 이후 여성 1인당 2.19명에서 1.17명으로 감소했다. 인구통계학 센터 소장 아나톨리 비슈네프스키는 이 출산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이며, 러시아 지도자들이 러시아의 인구 문제를 "위기"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무자녀세가 부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형태의 출산 장려 정책이 시행되었다. 예를 들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둘째 아이를 출산하는 여성에게 현금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정책을 도입했다.[8]
4. 1. 중국
2018년, 중국에서는 자체적인 출산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자녀세가 제안되었다.[9][10]4. 2. 독일
독일에서는 전 독일 연방 보건부 장관 옌스 슈판이 자녀가 없는 사람들은 가정을 이룬 사람들보다 간병 및 연금 보험에 훨씬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무자녀세 도입을 요구했다.[11]5. 비판 및 논란
2014년 11월 12일 매일경제신문은 보건복지부 관계자가 해당 매체 기자와의 대화 중 "앞으로 몇 년 후에는 '싱글세(1인가구 과세)'를 매겨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라며 "장기적으로는 (싱글세와 같은) 페널티 정책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언급한 내용이 보도되었다. 이는 사실상 독신세와 무자녀세 도입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되어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14] 저출산 문제 해결의 부담을 개인에게 전가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같은 날 "'싱글세' 등과 같이 페널티를 부과하는 방안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싱글세는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표현한 말이 잘못 전달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라고 공식적으로 해명하며 논란 진화에 나섰다.[15]
해외에서도 저출산 문제 해결 방안으로 무자녀세 도입이 거론된 바 있다. 소련 붕괴 이후 출산율이 급감한 러시아에서는 일부 지도자들이 무자녀세 부활을 제안했다.[1] 당시 러시아의 총 출산율은 여성 1인당 2.19명에서 1.17명으로 감소했으며, 인구통계학자 아나톨리 비슈네프스키는 이를 세계 최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 지도자들은 이러한 인구 문제를 '위기' 상황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무자녀세는 실제로 부활하지 않았고, 대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둘째 아이를 출산하는 여성에게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을 시행했다.[8]
2018년 중국에서도 출산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무자녀세 도입이 제안되었다.[9][10]
독일에서는 전 연방 보건부 장관 옌스 슈판이 자녀가 없는 사람들이 가정을 이룬 사람들보다 간병 및 연금 보험료를 더 많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무자녀세 도입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Tax on childlessness, which existed in the Soviet Union, proposed to be restored
http://www.finiz.ru/[...]
2010-01-03
[2]
웹사이트
Childless Russian families to pay taxes for their social inaction
https://english.prav[...]
2006-09-15
[3]
서적
Ислам и мусульмане Южного Урала в историко-правов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России: Сборник законодательных актов, постановлений и распоряжений центральных и региональных органов власти и управления XX—XXI веках
ГУП РБ УПК
2009
[4]
웹사이트
О ПОЭТАПНОЙ ОТМЕНЕ НАЛОГА НА ХОЛОСТЯКОВ, ОДИНОКИХ И МАЛОСЕМЕЙНЫХ ГРАЖДАН СССР. Закон. 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СССР. 23.04.90 1445-I
http://www.businessp[...]
[5]
간행물
Art. 20 Personal Income Tax Decree of 26 Oct 1950
Dz.U. No. 7 of 1957 r., Item 26
1950-10-26
[6]
논문
Political Demography: The Banning of Abortion in Ceausescu's Roma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7]
웹사이트
Romanian Pro-Natalism by Max Rudert on Prezi
http://prezi.com/pxf[...]
prezi.com
2014-09-14
[8]
학술지
A second baby? Russia's mothers aren't persuaded.
https://www.csmonito[...]
2006-05-19
[9]
웹사이트
To Encourage More Births, Chinese Specialists Propose Birth Fund, Childless Tax
https://thediplomat.[...]
[10]
뉴스
No children? Pay up: Chinese academics float 'maternity fund' tax for childless people
https://www.telegrap[...]
2018-08-17
[11]
웹사이트
German minister says childless people should pay more tax | DW | 09.11.2018
https://www.dw.com/e[...]
2018-11-09
[12]
웹사이트
Tax on childlessness, which existed in the Soviet Union, proposed to be restored
http://www.finiz.ru/[...]
2010-01-03
[13]
웹사이트
Childless Russian families to pay taxes for their social inaction
http://english.pravd[...]
2010-01-03
[14]
뉴스
싱글稅라도 매겨야 하나…출산율 10년째 제자리
http://news.mk.co.kr[...]
[15]
웹사이트
11월 12일자 매일경제 '싱글세라도 매겨야 하나' 보도 관련 해명자료
http://www.mw.go.kr/[...]
[16]
뉴스
면세점 수준 아직 독신가구가 유리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