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둥이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둥이박쥐(Eptesicus serotinus)는 짙은 갈색 털과 검은색 귀를 가진 박쥐의 일종으로, 구북구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분류학적으로는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동양긴수염박쥐 및 남부긴수염박쥐와 유전적 차이를 보여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세로틴박쥐는 다양한 서식지를 이용하며, 주로 건물에서 서식하고 곤충을 먹이로 한다. 유럽에서는 5월 말부터 출산 집단을 형성하며, 늦여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2023년에는 큰귀박쥐가 포유류 중 최초로 비관통적 생식 행위를 하는 종으로 보고되었다. 서식지 감소와 건설 작업으로 인한 교란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4년 기재된 포유류 - 관박쥐
관박쥐는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며 말굽 모양 코잎을 가진 말굽박쥐과의 박쥐로, 야행성이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동굴이나 민가에서 휴면 및 동면하며, 서식지 파괴와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고 한국에는 두 아종이 서식한다. - 1774년 기재된 포유류 - 북극곰
북극곰은 곰과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로, 북극 지역에 서식하며, 흰색 털과 검은 코를 가지고, 물범을 주로 사냥하며, 기후 변화로 인한 해빙 감소로 생존이 위협받는 종이다. - 문둥이박쥐속 - 큰갈색박쥐
큰갈색박쥐는 북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등지에 분포하며 곤충을 먹고 농업 해충을 잡아먹는 박쥐의 일종이다. - 문둥이박쥐속 - 고바야시박쥐
- 아제르바이잔의 포유류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 아제르바이잔의 포유류 - 긴가락박쥐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i*)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널리 분포하며 11개의 아종이 있고, 한반도에는 중국긴가락박쥐(*M. s. chinensis*) 아종이 서식하며, 동굴이나 폐광에서 곤충을 먹고,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서식지 파괴와 농약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문둥이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ptesicus serotinus |
명명자 | 슈레버, 1774 |
멸종위기등급 | 최소 관심 종 (LC) |
멸종위기등급_참조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85199559/195834153 |
![]() | |
참고 | http://www.planet-mammiferes.org/drupal/en/node/38?indice=Eptesicus+serotinus |
크기 | 37cm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아목 | 양박쥐아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애기박쥐아과 |
속 | 문둥이박쥐속 |
종 | 문둥이박쥐 (E. serotinus) |
2. 분류
- 평남졸망박쥐 또는 고려박쥐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 굵은가락졸망박쥐 또는 문둥이박쥐, 큰갈색박쥐 (''Eptesicus serotinus brachydigitus'') Mori
- ''Eptesicus serotinus boscai'': 남부 이베리아 반도와 모로코
- ''Eptesicus serotinus pashtonus'':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 ''Eptesicus serotinus serotinus'': 북부 및 동부 유럽, 서아시아
- ''Eptesicus serotinus turcomanus'': 중앙 아시아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양긴수염박쥐(''E. pachyomus'')와 그 구성 아종은 이전에 ''E. serotinus''의 아종으로 간주되어 동부 개체군을 구성했으며, 여전히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지지만, 계통 발생 증거는 ''E. serotinus''와 ''E. pachyomus'' 사이에 깊은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므로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남부긴수염박쥐(''E. isabellinus'')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으며, 이전에는 ''E. serotinus''의 최남단 개체군을 구성한다고 생각되었다.[5]
2. 1. 아종
다음 아종들이 확인되었다.[1][3][4]- 평남졸망박쥐 또는 고려박쥐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 굵은가락졸망박쥐 또는 문둥이박쥐, 큰갈색박쥐 (''Eptesicus serotinus brachydigitus'') Mori
- ''Eptesicus serotinus boscai'': 남부 이베리아 반도와 모로코
- ''Eptesicus serotinus pashtonus'':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 ''Eptesicus serotinus serotinus'': 북부 및 동부 유럽, 서아시아
- ''Eptesicus serotinus turcomanus'': 중앙 아시아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양긴수염박쥐(''E. pachyomus'')와 그 구성 아종은 이전에 ''E. serotinus''의 아종으로 간주되어 동부 개체군을 구성했으며, 여전히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지지만, 계통 발생 증거는 ''E. serotinus''와 ''E. pachyomus'' 사이에 깊은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므로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다. 남부긴수염박쥐(''E. isabellinus'')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으며, 이전에는 ''E. serotinus''의 최남단 개체군을 구성한다고 생각되었다.[5]
2. 2. 계통
다음 아종들이 확인되었다.[1][3][4]- ''Eptesicus serotinus boscai'': 남부 이베리아 반도와 모로코
- ''Eptesicus serotinus pashtonus'':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 ''Eptesicus serotinus serotinus'': 북부 및 동부 유럽, 서아시아
- ''Eptesicus serotinus turcomanus'': 중앙 아시아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양긴수염박쥐(''E. pachyomus'')와 그 구성 아종은 이전에 ''E. serotinus''의 아종으로 간주되어 동부 개체군을 구성했으며, 여전히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지지만, 계통 발생 증거는 ''E. serotinus''와 ''E. pachyomus'' 사이에 깊은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므로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다.[5] 남부긴수염박쥐(''E. isabellinus'')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으며, 이전에는 ''E. serotinus''의 최남단 개체군을 구성한다고 생각되었다.[5]
3. 형태
세로틴박쥐는 등 쪽의 털이 짙은 갈색이고, 배 쪽은 더 옅은 황갈색이며, 코와 삼각형 모양의 귀는 검은색이고, 날개 막은 짙은 검은색 또는 갈색을 띤다.[6] 어린 개체는 성체보다 더 어둡다. 넓은 날개와 느리고, 매우 기동성이 뛰어나며, 잠깐의 활공이 번갈아 나타나는 날갯짓을 결합하여 비행 중에 쉽게 식별할 수 있다.[6] 이주는 비교적 얇고 뾰족한 모양이며, 곰쥐박쥐속과 같이 콩팥 모양이 아니다.[7]
4. 분포
세로틴 박쥐는 서쪽으로는 남부 영국과 스페인에서 약 58도에서 30도 사이, 동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 북동부 인도까지, 톈산 산맥을 따라 남부 몽골과 북부 중국까지, 남쪽으로는 터키와 이란까지 분포하는 구북구 지역에 분포한다.[4] 카나리아 제도의 란사로테에서는 방랑 개체로 기록되었다.[4]
5. 서식지
세로틴박쥐는 온대 및 아열대 건조림, 마키, 농지, 반사막 및 교외 지역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서식지를 이용한다.[4]
6. 생태
유럽에서 문둥이박쥐는 5월 말부터 암컷으로만 구성된 출산 집단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집단은 번식기 동안 보통 하나의 쉼터를 유지하지만, 때때로 더 큰 집단은 쉼터를 변경하기도 한다. 암컷 박쥐는 보통 7월 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8월 중순까지 출산 기록이 있다.[8]
암컷 박쥐는 일반적으로 늦여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새끼는 때때로 어미가 처음 며칠 동안 데리고 다닌다. 어린 박쥐는 보통 3주쯤에 처음 날고, 6주에는 스스로 먹이를 찾을 수 있다. 번식 집단은 보통 9월 초에 흩어지지만, 몇몇 박쥐는 10월 초까지 쉼터로 집단 서식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컷 박쥐는 아마도 단독으로 또는 소규모 집단으로 남아 있지만, 봄이나 가을에 암컷과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 짝짓기는 가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짝짓기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암컷과 수컷 모두 생후 1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4]
문둥이박쥐는 주로 여름 쉼터로 건물을 사용하며, 특히 높은 박공과 벽 공동이 있는 오래된 건물에서 자주 발견되며, 교회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현대식 건물은 드물게 사용된다. 쉼터는 보통 박공 꼭대기나 낮은 처마 근처에서 접근한다. 문둥이박쥐는 나무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이는 인간 이전의 가장 유력한 쉼터였으며, 이 종은 건물을 사용하는 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쉼터는 때때로 애기박쥐 또는 큰귀박쥐와 공유되며, 이 종은 낫토박쥐, 수염박쥐 및 황금박쥐와도 관련되어 기록되었다. 겨울에는 문둥이박쥐가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대부분은 벽 공동과 사용하지 않는 굴뚝의 건물에서 동면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굴의 가장 추운 부분, 즉 지붕 틈새나 바위 덩어리 쌓임에서 발견된 기록도 몇 건 있다.[4]
문둥이박쥐의 먹이 활동은 황혼에 최고조에 달하며, 새벽 무렵에도 두 번째 활동 기간이 있다. 이들은 밤에 평균 6.5 km를 이동하여 먹이 지역으로 이동하며, 밤에 최대 5개의 별개의 지역에서 먹이를 찾는다. 이 종은 짧은 비행, 지상 먹이 찾기 및 공중 매사냥 등 세 가지 주요 먹이 전략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0 - 5 m 높이의 비교적 낮은 곳에서 먹이를 찾는다.[4]
6. 1. 번식
2023년에 큰귀박쥐가 포유류 중 최초로 비관통적 생식 행위를 하는 종으로 보고되었다.[12][13][14][15] 수컷의 음경 길이가 몸길이의 약 22%에 달할 정도로 매우 커서 관통이 어렵기 때문에 음경을 암컷의 외음부에 단단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교미 형태는 포유류 중에서는 독특하지만, 조류에서 발견되는 총배설강 키스와 더 유사하다.[12][13][14][15]6. 2. 특이 생식
2023년에 큰귀박쥐가 포유류 중 최초로 비관통적 생식 행위를 하는 종으로 보고되었다.[12][13][14][15] 이는 수컷의 음경 길이가 몸길이의 약 22%에 달할 정도로 매우 커서 관통이 어렵기 때문이다. 음경을 암컷의 외음부에 단단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이들의 교미 형태는 포유류 중에서는 독특하지만, 조류에서 발견되는 총배설강 키스와 더 유사하다.[12][13][14][15]6. 3. 먹이
세로틴박쥐는 주로 공중에서 먹이를 잡아먹으며 나는 곤충을 사냥하는 데 집중한다.[9][10][11] 밤나방이 또는 긴꼬리박쥐 종과 마찬가지로 사냥을 한다.6. 4. 반향정위
문둥이박쥐가 반향정위에 사용하는 주파수는 25~55 kHz 사이이며, 31 kHz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평균 8.8ms의 지속 시간을 갖는다.7. 보존
유럽 서식지 대부분에서 문둥이박쥐 개체수가 감소했다.[4] 먹이 서식지 감소가 이러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4] 또한 이 박쥐는 거의 건물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건설 작업 및 독성 목재 처리로 인한 교란에 매우 취약하다.[4] 영국에서는 유럽 대부분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문둥이박쥐가 매우 포괄적인 수준의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4]
참조
[1]
간행물
"''Eptesicus serotinus''"
2021-04-18
[2]
웹사이트
Serotine, Serotine Bat, Common Serotine Bat, Big Brown Bat, Silky Bat
http://www.planet-ma[...]
Ch Boudet - Mammals' Planet
2016-10-18
[3]
웹사이트
"''Eptesicus serotinus'' (Schreber, 1774)"
https://www.itis.gov[...]
itis.gov
2016-10-18
[4]
서적
South Asian Mammals: Their Diversity, Distribution, and Status
Springer
[5]
논문
Phylogeny and systematics of Old World serotine bats (genus ''Eptesicus'', Vespertilionidae, Chiroptera): an integrative approach
http://www.nm.cz/adm[...]
[6]
웹사이트
Serotine bat (''Eptesicus serotinus'')
http://www.arkive.or[...]
Wildscreen Arkive
2016-10-18
[7]
웹사이트
Common serotine
http://www.bio.bris.[...]
University of Bristol
2016-10-17
[8]
웹사이트
Serotine
http://www.envtech.c[...]
Bat Conservation Trust
2016-10-17
[9]
문서
GAJDOŠÍK M. & GAISLER J., 2004: Diet of two Eptesicus bat species in Moravia (Czech Republic). Folia Zoologica, 53: 7–16.
[10]
문서
ANDĚRA M. & HORÁČEK I., 2005: Poznáváme naše savce [We Identify Our Mammals]. Sobotáles, Praha, 328 pp. [in Czech]
[11]
문서
MIKULA, P., & ČMOKOVÁ, A. Lepidopterans in the summer diet of Eptesicus serotinus in Central Bohemia. Vespertilio 16: 197-201.
[12]
논문
Mating without intromission in a bat
2023-11
[13]
논문
These bats are the first mammals found to have non-penetrative mating
https://www.nature.c[...]
2023-11-20
[14]
보고서
How big is too big? Bat's enormous penis makes penetration impossible
https://www.science.[...]
2023-11-20
[15]
뉴스
You Know About the Birds and the Bees, but Guess What These Bats Do
https://www.nytimes.[...]
2023-11-26
[16]
논문
Acoustic identification of twelve species of echolocating bat by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https://eprints.qut.[...]
[17]
논문
Variability in echolocation call design of 26 Swiss bat species: Consequences, limits and options for automated field identification with a synergic pattern recognition approach
http://doc.rero.ch/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