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방개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방개과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수생 곤충의 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물방개, 검정물방개, 애물방개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다양한 수생 환경에 서식하며, 유충과 성충 모두 포식자로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방개는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으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문화적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물방개과는 여러 아과와 속으로 분류되며, 멸종된 종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방개과 - 물방개붙이
    물방개붙이는 물방개속에 속하는 곤충의 한 종으로, 현재 두 개의 아종인 ''Dytiscus dauricus dauricus''와 ''Dytiscus dauricus zaitzevi''가 알려져 있다.
  • 물방개과 - 물방개붙이속
    물방개붙이속은 난형 또는 타원형 체형의 딱정벌레목 물방개과에 속하며 구북구와 신북구에 널리 분포하는 26종의 수생 곤충으로, 한국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된 물방개붙이와 배물방개붙이 등이 서식한다.
  • 수생곤충 - 모기
    모기는 파리목 모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 세계에 3,600종 이상이 있으며, 일부 종은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병과 같은 질병을 매개하여 인간에게 해로운 존재이지만, 다양한 생태계 역할을 수행한다.
  • 수생곤충 - 잠자리
    잠자리는 전 세계에 약 5,000종이 서식하는, 큰 날개와 긴 몸체를 가진 육식 곤충으로, 'Odonata'라는 학명을 가지며, 뛰어난 비행 능력과 수질 지표생물로서의 역할, 그리고 곤충 진화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 되는 오랜 역사와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 곤충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물방개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ybister lateralimarginalis
Cybister lateralimarginalis
학명Dytiscidae
명명자Leach, 1815
화석 범위쥐라기 후기 - 현세
분류
아목식육아목
하위 분류군Agabinae Thomson, 1867
Colymbetinae Erichson, 1837
Copelatinae Branden, 1885
Coptotominae Branden, 1885
Cybistrinae Sharp, 1880
Dytiscinae Leach, 1815
Hydrodytinae Miller, 2001
Hydroporinae Aubé, 1836
Laccophilinae Gistel, 1856
Lancetinae Branden, 1885
Matinae Branden, 1885
† Liadytiscinae Prokin & Ren, 2010
설명
크기1 ~ 2.5cm
몸길이4.5 ~ 4.75cm
몸 폭0.9mm

2. 종류

물방개과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물방개속과 기타 속으로 나뉜다.

물방개속
검정물방개
애물방개
동쪽애물방개
줄무늬물방개
줄물방개
꼬마줄물방개
꼬마물방개
깨알물방개
알물방개
아담스물방개
애기물방개
자색물방개
모래무지물방개
물방개



기타 속
물방개붙이
배물방개붙이
호랑물방개
땅콩물방개
큰땅콩물방개
알락물방개
애등줄물방개
노랑무늬물방개
혹외줄물방개
노랑테콩알물방개
노랑띠물방개
맵시등줄물방개
잿빛물방개
큰알락물방개
가는줄물방개



물방개속과 기타 속에 속하는 종들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물방개속 (Cybister)

물방개속(Cybister)에는 다음 종이 있다.

이름
검정물방개
애물방개
동쪽애물방개
줄무늬물방개
줄물방개
꼬마줄물방개
꼬마물방개
깨알물방개
알물방개
아담스물방개
애기물방개
자색물방개
모래무지물방개
물방개


2. 2. 기타 속

3. 생태

물방개는 딱정벌레의 한 종류로, 작은 물웅덩이부터 큰 호수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담수 환경에서 발견된다. 심지어 약간의 염분이 있는 기수에서도 발견되며,[5] 농촌이나 도시의 다양한 환경에서도 서식한다.[6][7][8] 특히 Agabus uliginosus[6]나 Acilius canaliculatus와 같은 종은 도시화에도 비교적 잘 적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방개의 서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물고기의 유무이다. 물고기는 물방개를 잡아먹거나 먹이 경쟁을 하고, 서식지 구조를 바꾸기 때문에 물방개의 서식지 선택에 영향을 준다.[9][10] Oreodytes sanmarkii와 같은 일부 종은 물이 드러난 곳에서 발견되기도 하며,[11] 많은 물방개는 사초나 골풀처럼 복잡한 구조를 가진 수생 식물이 있는 곳을 선호한다.[7][9][12]

물방개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치는 완전변태를 한다. 유충은 1cm에서 5cm 정도 크기로, 초승달 모양의 몸과 긴 꼬리, 집게발을 가지고 올챙이나 모기유충 같은 작은 수생 생물을 사냥한다. 성숙한 유충은 물 밖으로 나와 진흙 속에서 번데기가 되고, 약 1주일(일부 종은 더 오래) 후 성충으로 우화한다. 성충은 일시적인 서식지에 알을 낳으며, 알은 매우 빨리 부화하여 유충이 된다.

3. 1. 서식지

물방개는 수생 환경에서 가장 다양한 딱정벌레이며 작은 물웅덩이에서 큰 호수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담수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일부 물방개과 종은 기수에서도 발견된다.[5] 농업 및 도시 경관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의 수역에서도 서식한다.[6][7][8] Agabus uliginosus[6] 및 Acilius canaliculatus와 같은 일부 종은 최근 도시화에 비교적 내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방개 발생에 가장 중요한 제한 요인 중 하나는 물방개를 포식하고(대부분 유충), 먹이를 놓고 경쟁하며, 서식지 구조를 변화시키는 물고기의 존재이다. 물고기의 존재 또는 부재는 물방개의 서식지 이용 및 서식지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9][10] Oreodytes sanmarkii와 같은 일부 종은 물이 노출된 지역에서 발생하며,[11] 많은 물방개 종은 수생 식물, 특히 사초 및 골풀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식물이 있는 서식지를 선호한다.[7][9][12]

3. 2. 생애 주기

물방개는 유충,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치는 완전변태 곤충이다. 유충은 1cm에서 5cm 정도 크기로, 초승달 모양 몸과 긴 꼬리, 집게발을 가지고 올챙이, 모기유충 등 작은 수생 생물을 사냥한다. 유충은 성숙하면 물 밖으로 나와 진흙 속에 들어가 번데기가 되며, 약 1주일(일부 종은 더 오래) 후 성충으로 우화한다. 성충은 일시적인 서식지에 산란하며, 알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부화하여 유충이 된다.

3. 2. 1. 유충

유럽물방개 ''Dytiscus marginalis''의 유충


물방개 유충은 크기가 약 1cm에서 5cm 정도이다. 몸은 초승달 모양이며, 꼬리는 길고 가는 털로 덮여 있다. 가슴에서 6개의 다리가 뻗어 있으며, 가슴에도 가는 털이 있다. 머리는 평평하고 사각형이며, 길고 큰 한 쌍의 집게발이 있다. 사냥할 때는 바닥을 따라 풀이나 나무 조각에 매달려 먹이가 지나갈 때까지 완벽하게 움직이지 않고 기다리다가 먹이가 가까이 오면 덮쳐 앞다리 사이에 먹이를 가두고 집게발로 물어뜯는다. 유충은 먹이를 부분적으로 먹고 다른 잠재적 먹이가 근처에서 헤엄쳐 오면 시체를 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챙이, 모기유충, 기타 작은 수생 생물이 일반적인 먹이이다. 유충이 성숙하면 튼튼한 다리로 물 밖으로 기어 나와 진흙 속에 몸을 묻고 번데기가 된다. 약 1주일 (일부 종에서는 더 오래) 후 진흙에서 성충으로 나타난다. 성충 물방개는 매우 일시적인 서식지에서 개구리 알 덩어리에 알을 낳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알은 개구리가 부화한 후 24시간 이내에 부화하고 유충은 부화한 지 얼마 안 된 올챙이를 탐욕스럽게 잡아먹는다.

3. 2. 2. 번데기



유충이 성숙하면 튼튼한 다리로 물 밖으로 기어나와 진흙 속에 몸을 묻고 번데기가 된다. 약 1주일, 또는 일부 종에서는 그보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진흙에서 성충으로 나타난다.

3. 2. 3. 성충

성충 물방개는 매우 일시적인 서식지에 개구리 알 덩어리에 알을 낳는데, 알은 개구리가 부화한 후 24시간 이내에 부화하며 유충은 갓 부화한 올챙이를 잡아먹는다.[1]

4. 인간과의 관계

물방개과 곤충, 특히 *Cybister* 속은 식용으로 사용된다. 네바다 주 동굴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인간의 분변(coprolite)에서 *C. explanatus*의 잔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훔볼트 싱크에서 채취된 것으로 보인다.[13] 멕시코에서는 *C. explanatus*를 구워서 소금에 절여 타코와 함께 먹는다. 일본에서는 *C. japonicus*가 나가노 현 등 특정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었다. 중국 광둥성에서는 *C. japonicus*, *C. bengalensis*, *C. guerini*, *C. limbatus*, *C. sugillatus*, *C. tripunctatus* 및 물방개 (*D. marginalis*)를 식용으로 사육하지만, 육식성 습성으로 인해 사육이 번거롭고 맛이 밍밍하며 (불쾌하지는 않다고 알려짐) 살이 거의 없어 그 양은 줄어들고 있다. 물방개과는 대만, 태국, 뉴기니에서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물방개과(Dytiscidae) sp.


체로키족의 창조 신화에서 물방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물방개는 "액체 혼돈" 속에서 쉴 곳을 찾지 못하고 바닥에서 부드러운 흙을 퍼 올렸다고 한다. 이 흙이 퍼져나가 지구의 모든 땅을 형성했다.[13]

4. 1. 식용

물방개과(Dytiscidae) 곤충, 특히 ''Cybister'' 속은 식용으로 사용된다. 네바다 주 동굴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인간의 분변(coprolite)에서 ''C. explanatus''의 잔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훔볼트 싱크에서 채취된 것으로 보인다.[13] 멕시코에서는 ''C. explanatus''를 구워서 소금에 절여 타코와 함께 먹는다. 일본에서는 ''C. japonicus''가 나가노 현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었다. 중국광둥성에서는 ''C. japonicus''뿐만 아니라 ''C. bengalensis'', ''C. guerini'', ''C. limbatus'', ''C. sugillatus'', ''C. tripunctatus''와 잘 알려진 물방개 (''D. marginalis'')도 인간의 소비를 위해 사육되지만, 육식성 습성으로 인해 사육이 번거롭고 맛이 밍밍하며 (불쾌하지는 않다고 알려짐) 살이 거의 없어 그 양은 줄어들고 있다. 물방개과(Dytiscidae)는 대만, 태국 및 뉴기니에서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4. 2. 문화적 의의

체로키족의 창조 신화에서 물방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물방개는 "액체 혼돈" 속에서 쉴 곳을 찾지 못하고 바닥에서 부드러운 흙을 퍼 올렸다고 한다. 이 흙이 퍼져나가 지구의 모든 땅을 형성했다.[13]

5. 보존

물방개는 수생 환경에서 가장 다양한 딱정벌레이며 작은 물웅덩이에서 큰 호수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담수 서식지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일부 물방개과 종은 기수에서도 발견된다.[5] 물방개는 농업 및 도시 경관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의 수역에 서식한다.[6][7][8] Agabus uliginosus[6] 및 Acilius canaliculatus와 같은 일부 종은 최근 도시화에 비교적 내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방개 발생에 가장 중요한 제한 요인 중 하나는 물방개를 포식하고(대부분 유충), 먹이를 놓고 경쟁하며, 서식지 구조를 변화시키는 물고기의 존재이다. 물고기의 존재 또는 부재는 물방개의 서식지 이용 및 서식지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9][10] Oreodytes sanmarkii와 같은 일부 종은 물이 노출된 지역에서 발생하며,[11] 많은 물방개 종은 수생 식물, 특히 사초 및 골풀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식물이 있는 서식지를 선호한다.[7][9][12]

물방개과의 가장 큰 위협은 인위적인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소멸이다.[1] 예를 들어, 도시화는 물방개과 서식지의 양과 질을 감소시켰으며,[8] 결과적으로 서식지 간의 거리를 증가시켰다.[15] 따라서 물방개과 곤충은 분산 과정에서 높은 포식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화는 물방개과 곤충 형질의 종간 및 종내 변이에 복잡한 영향을 미친다. ''Acilius canaliculatus''와 ''Hydaticus seminiger''의 비행 관련 형질 중 일부(예: 몸 길이, 뒷날개 형질)는 도시화 정도에 따라 다르게 변화했지만, ''Ilybius ater''의 형질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16] 최근의 기후 변화와 토지 이용 변화로 인해 표면 수의 색상이 황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인 갈변화는 물방개과 군집의 변화를 유발할 수도 있다.[17] ''Dytiscus marginalis''와 같은 일부 종은 갈색 물에 대한 내성이 있는 반면, ''Hyphydrus ovatus''와 같은 일부 종은 맑은 물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갈변화는 색이 진한 물에 대한 내성이 없는 물방개과 종을 위협할 수 있다.[17]

물방개과 성충은 화학적 방어 수단에도 불구하고 많은 조류, 포유류, 파충류 및 기타 척추 포식자의 먹이가 된다.[18] 그러나 물방개의 가장 중요한 포식자는 물고기이며, 물고기는 대부분의 물방개과 종이 물고기가 없는 연못이나 수생 서식지의 가장자리에서만 서식하도록 제한한다. 몇몇 물방개과 종의 유충은 작은 연못에서 최상위 포식자가 될 수 있지만, 유충의 존재 또한 물고기와 양립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물방개 보존의 주요 초점은 자연적이고 물고기가 없는 서식지를 보호하는 것이다.

유럽 연합에서는 두 종의 물방개과 곤충(''Dytiscus latissimus''와 ''Graphoderus bilineatus'')이 유럽 야생 생물 및 자연 서식지 보존에 관한 베른 협약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며, 따라서 자연 수생 서식지 보호를 위한 우산종 역할을 한다.

6. 분류

물방개과에는 다양한 종류의 물방개들이 속해 있다. 다음은 그 목록의 일부이다.

참조

[1] 서적 Ecology, Systematics, and the Natural History of Predaceous Diving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Springer
[2] 웹사이트 Dytiscidae - Hurdan, the answer engine http://www.hurdan.co[...] 2015-05-19
[3] 서적 Insects Dorling Kindersley
[4] 웹사이트 A World Catalogue of the Family Dytiscidae, or the Diving Beetles (Coleoptera, Adephaga) http://www2.emg.umu.[...] University of Umeå 2018-04-10
[5] 서적 Ecology, Systematics, and the Natural History of Predaceous Diving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6] 간행물 Dispersing diving beetles (Dytiscidae) in agricultural and urban landscapes in south-eastern Sweden
[7] 간행물 The effectiveness of aquatic plants as surrogates for wider biodiversity in standing fresh waters https://research.tee[...]
[8] 간행물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diving beetle assemblages (Coleoptera: Dytiscidae) in an urban landscape
[9] 간행물 Predation risk modifies habitat use and habitat selection of diving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in an Urban Pondscape
[10] 간행물 Predator related oviposition site selection of aquatic beetles (Hydroporus spp.) and effects on offspring life-history
[11] 서적 The Aquatic Adephaga (Coleoptera) of the Fennoscandia and Denmark. II. Dytiscidae Brill. 1995
[12] 간행물 Microhabitats with emergent plants counterbalance the negative effects of fish presence on diving beetle (Coleoptera: Dytiscidae) diversity in urban ponds
[13] 서적 Diving Beetle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Biology of the Dytiscida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6-10-03
[14] 문서 De Foliart (2002), Jäch (2003), CSIRO (2004)
[15] 간행물 Diving beetle (Coleoptera: Dytiscidae) community dissimilarity reveals how low landscape connectivity restricts the ecological value of urban ponds
[16] 간행물 Urbanisation drives inter- and intraspecific variation in flight-related morphological traits of aquatic insects at different landscape scales
[17] 간행물 Water Colour Shapes Diving Beetle (Coleoptera: Dytiscidae) Assemblages in Urban Ponds
[18] 서적 Ecology, Systematics, and the Natural History of Predaceous Diving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Springer
[19] 간행물 A new family of mites (Acari: Prostigmata: Raphignathina), highly specialized subelytral parasites of dytiscid water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Dytiscinae) https://doi.org/10.1[...] 2018-10-20
[20] 간행물 Attachment sites, phenology, and growth of larvae of Eylais sp. (Acari) on Dytiscus alaskanus J. Balfour-Browne (Coleoptera: Dytiscidae) http://www.nrcresear[...] 1985-02-01
[21] 간행물 New host-parasite association of Acherontacarus rutilans (Acari, Hydrachnidia, Acherontacaridae) on Scarodytes halensis (Coleoptera: Dytiscidae) http://www.tandfonli[...] 2016-07-03
[22] 간행물 New record of a parasitising species of Hydrachna (Acari, Hydrachnidia) on water beetles Eretes griseus (Fabricius, 1781) (Coleoptera, Dytiscidae, Dytiscinae, Eretini) https://zookeys.pens[...] 2019-07-22
[23] 간행물 New fossil taxa and notes on the Mesozoic evolution of Liadytidae and Dytiscidae (Coleoptera) https://www.zin.ru/a[...]
[24] 문서 왕바퀴과(Blattidae)에 속한 곤충인 지별(地鱉, ''Eupolyphaga sinensis''. 자충蟅蟲으로도 불림)을 의미하기도 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