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산종은 다른 많은 종의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종이거나,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여 해당 종을 보호하면 동일한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들도 보호받을 수 있는 종을 의미한다. 이러한 우산종은 생태 통로를 만드는 데 활용되며, 북부 점박이올빼미, 자이언트 판다, 시베리아 호랑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우산종 접근법은 생태 공동체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지만, 다른 도구와 함께 사용하여 토지 관리 보호 구역에서 다른 종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논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전생물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보전생물학 -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단편화는 서식지 면적 감소, 내부 면적 감소 및 주변 효과 증가, 서식지 격리, 패치 분할, 평균 패치 크기 감소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생물종 이동 제한, 생물 다양성 감소, 개체군 유지 어려움 등 생태계 건강성을 위협하며, 주요 원인은 개발, 벌목, 농업 확장과 같은 인간 활동이다. - 생물 다양성 - 맹그로브
맹그로브는 열대 및 아열대 해안가 기수역 염성 습지에 형성되는 삼림 생태계를 이루는 나무와 관목 또는 서식지 전체를 뜻하며,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 제공, 탄소 저장, 극한 환경 적응, 태생 종자를 통한 번식 등의 특징을 갖지만, 숲 파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다양성 - 생물 다양성 핫스팟
생물다양성 핫스팟은 높은 고유종 비율과 심각한 서식지 파괴 위협에 놓인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으로, 보전 노력의 우선순위 설정에 중요한 기준이 되어 국제 기구들이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생태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태학 - 먹이 그물
먹이 그물은 생태계 내 생물 간의 복잡한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생태학자들은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에너지와 영양소 흐름을 추적하며, 먹이사슬과 영양 단계, 생태 피라미드 개념과 관련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산종 | |
---|---|
서론 | |
정의 | 특정 종을 보호함으로써 그 종의 서식지와 생태계를 공유하는 다른 많은 종들까지 함께 보호하는 효과를 내는 종 |
상세 정보 | |
개념 | 우산종은 다른 종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보존 개념이다. 우산종의 보존은 서식지 보존으로 이어진다. 서식지 보존은 많은 다른 종에게 이익을 준다. 따라서 우산종은 동시에 여러 종을 보존하는 데 사용된다. |
특징 | 우산종은 이동성이 높고, 넓은 서식 범위를 가지며, 다양한 자원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우산종의 보호가 다른 종들에게도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다. |
예시 | 시베리아 호랑이 말레이시아 곰 황새 매 바다거북 연어 두꺼비 박쥐 후투티 붉은배새매 맹꽁이 기생꽃 |
장점 | 보존 노력의 효율성을 높인다. 여러 종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 대중의 관심을 끌기 쉽다. |
단점 | 우산종의 선택이 어려울 수 있다. 우산종의 보호가 다른 종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서식지 보존만으로는 모든 종을 보호할 수 없다. |
추가 설명 | 우산종은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보호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 그러나 우산종의 선택과 보호에는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
참고 문헌 | Odum, Eugene P.; Barrett, Gary W. Fundamentals of Ecology. Thomson Brooks/Cole. 2005. ISBN 978-0-683-18051-0. Roberge, Jean-Michel; Angelstam, Per. "Usefulness of the Umbrella Species Concept as a Conservation Tool". Conservation Biology. 18 (1): 76–85. 2004. doi:10.1111/j.1523-1739.2004.00450.x. |
2. 정의
우산종은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며, 해당 종을 보호하면 동일한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들도 보호받을 수 있는 종을 의미한다.[4][5] 다른 많은 종들의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종을 의미하기도 한다.[3]
2. 1. 추가 설명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정의는 다음과 같다.다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전통적인 우산종, 비교적 몸집이 크고 광범위하게 이동하는 고등 척추동물 종"[6] 동물은 매력적인 경우에도 우산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 판다와 같이 대중에게 어필하는 종이 일반적인 서식지 보존에 대한 지지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7]
3. 육지 이용 관리
육지 이용 관리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작성하지 않는다.
3. 1. 우산종 보전 도구 사용 논쟁
우산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지 20년이 지난 후, 우산종을 보존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벌어졌다. 이 용어는 1984년 브루스 윌콕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8] 그는 우산종을 "보호 구역의 설정 및 관리를 통해 보호하려는 나머지 생물 군집에 비해 최소 요구 면적이 더 포괄적인 종"으로 정의했다.일부 과학자들은 우산종 접근법을 사용하면 생태 공동체를 보다 간소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9][10] 다른 연구자들은 우산종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다른 도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토지 관리 보호 구역에서 다른 종을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10][11] 개별 무척추 동물 종은 오래되고 독특한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우산종이 될 수 있다. 우산종이 광대한 지역을 보호하여 주변 종에게 유익했던 사례도 있었다. 덩크, 질린스키 및 웰시(2006)는 북부 점박이올빼미를 위해 지정된 북부 캘리포니아 (클래머스-시스키유 숲)의 보호 구역이 해당 서식지 내의 연체동물과 도롱뇽도 보호한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북부 점박이올빼미를 위해 지정된 보호 구역이 연체동물과 도롱뇽인 "평가된 분류군에 대한 합리적인 거친 필터 우산종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2]
길비와 동료들(2017)은 위협받는 종을 관리 목표의 우산 또는 "대리자"로 사용하면 연안 지역의 보존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3]
3. 2. 우산종 효과 사례
우산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지 20년이 지난 후, 우산종을 보존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벌어졌다. 이 용어는 1984년 브루스 윌콕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8] 그는 우산종을 "보호 구역의 설정 및 관리를 통해 보호하려는 나머지 생물 군집에 비해 최소 요구 면적이 더 포괄적인 종"으로 정의했다.일부 과학자들은 우산종 접근법을 사용하면 생태 공동체를 보다 간소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9][10] 다른 연구자들은 우산종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다른 도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토지 관리 보호 구역에서 다른 종을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10][11] 개별 무척추 동물 종은 오래되고 독특한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우산종이 될 수 있다. 우산종이 광대한 지역을 보호하여 주변 종에게 유익했던 사례도 있었다. 덩크, 질린스키 및 웰시(2006)는 북부 점박이올빼미를 위해 지정된 북부 캘리포니아 (클래머스-시스키유 숲)의 보호 구역이 해당 서식지 내의 연체동물과 도롱뇽도 보호한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북부 점박이올빼미를 위해 지정된 보호 구역이 연체동물과 도롱뇽인 "평가된 분류군에 대한 합리적인 거친 필터 우산종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2]
길비와 동료들(2017)은 위협받는 종을 관리 목표의 우산 또는 "대리자"로 사용하면 연안 지역의 보존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3]
4. 생태 통로
우산종 개념은 생태 통로를 만드는 데 활용되며, 핵심종이라고 불린다. 우산 효과는 다른 종에 미치는 종의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며, 보존 위치나 규모에 관계없이 접근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14]
4. 1. 핵심종 선정 기준
우산종 개념은 생태 통로를 만드는 데 더욱 활용되며, 이는 핵심종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핵심종은 여러 가지 이유로 선택되며, 일반적으로 우산 효과의 잠재력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기준에 따라 종을 신중하게 선택함으로써 단일 종 통로에서 연결되거나 네트워크화된 서식지를 만들 수 있다.[14] 이러한 기준은 더 큰 규모에서 지리 정보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결정된다. 보존 위치나 규모에 관계없이 우산 효과는 다른 종에 미치는 종의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며, 접근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5. 미국의 멸종 위기종 보호법
미국의 멸종 위기종 보호법은 우산종과 그 서식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지만, 주마다 시행 정도가 달라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와 같이 일부 주에서는 전체 생물 다양성 보호가 다른 주만큼 잘 시행되지 않는다.[6]
5. 1. 멸종 위기종 보호법의 한계
만체크 무늬 나비는 1987년부터 멸종 위기종 목록에 등재되었다. Launer와 Murphy(1994)는 이 나비가 서식하는 토종 초원을 보호하는 우산종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확인하려고 시도했다.[6] 그들은 멸종 위기종 보호법(US)에 개인 소유의 연방 보호 식물을 제외하는 허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환경 품질법은 주의 보존 규정을 강화한다.[6] 멸종 위기종 보호법을 사용하여 우산종으로 명명된 종과 그 서식지를 보호하는 것은 일부 주(캘리포니아 등)에서 전체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주만큼 잘 시행되지 않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6. 종류
크고 작은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를 포식한다.]]
크고 작은 다양한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를 포식한다.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대형 육식 포유류나 맹금류는 우산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지만, 모든 대형 동물이 우산종으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26]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연구에서는 대형 육식동물이 우산종이 될 수 없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27] 대형 동물의 서식지가 다른 중소형 동물에게도 적합한지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28]
- 독수리 · 매 류 ( 참매[29], 검독수리[26], 회면송골매 등)
- 올빼미 류[26]
- 딱따구리 류[26]
- 황새[30]
- 호랑이 류[26]
- 북점박이올빼미와 원시림: 연체동물과 도롱뇽은 북점박이올빼미의 보호 구역 내에 있다.
- 만체크어스나비와 초원
- 붉은머리오목눈이와 남동부 소나무 초원
- 아무르 호랑이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생태계의 사슴과 멧돼지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우산종/핵심종으로 간주된다.[15]
- 고래상어[16]
- 상어[17]
- 자이언트 판다와 중국의 산맥
- 재규어와 파충류[18]
- 케인브레이크방울뱀과 기타 종
킴벌리 앤드루스는 케인브레이크방울뱀과 같은 종을 보호하는 것은 광범위한 자연 환경적 가치를 지니는 우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한다. 즉, 방울뱀을 보호하면 동일한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야생 동물 종도 보호할 수 있다.[19]
6. 1. 보전생태학의 정의를 만족하는 종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며, 해당 종을 보호하면 동일한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들도 보호받을 수 있는 종이 우산종의 정의를 만족하는 종이다.[4][5]다른 설명으로는 "전통적인 우산종, 비교적 몸집이 크고 광범위하게 이동하는 고등 척추동물 종"이 있다.[6]

크고 작은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를 포식한다.
대형 육식 포유류나 맹금류처럼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생물 종이 우산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26]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육식 동물 연구에서 대형 육식동물은 우산종으로는 있을 수 없다는 연구도 있다.[27]
대형 동물은 아무리 다양 서식하며 대형 동물 서식지의 질이 서식지 전문 중소형 짐승 등에 바람직하다고 보장이 없으면 얼마나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생물 종이라 해도 우산종이라고는 일컫지 않게 된다.[28]
6. 2. 일반적으로 우산종으로 인정받는 종
크고 작은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를 포식한다.]]대형 육식 포유류나 맹금류처럼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생물 종이 우산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26].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육식 동물 연구 결과, 대형 육식동물은 우산종이 될 수 없다는 연구도 있다[27].
대형 동물은 아무리 다양하게 서식하며, 대형 동물 서식지의 질이 서식지 전문 중소형 짐승 등에게 바람직하다고 보장할 수 없다면, 아무리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생물 종이라 해도 우산종이라고 일컫지 않는다[28].
대형 짐승과 다른 중소형 짐승의 서식지 관련성이 밝혀지지 않은 것 등으로 인해 우산종인지에 대한 논쟁의 여지가 있다[31].
포유동물은 구체적으로 우산종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 연구 결과는 공표되지 않았다[35][36].
7. 우산종 예시
대형 육식 포유류나 맹금류처럼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생물 종이 우산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26].[20]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육식 동물 연구 결과, 대형 육식동물은 우산종이 될 수 없다는 연구도 있다[27] .[21]
대형 동물은 아무리 다양하게 서식하며 대형 동물 서식지의 질이 서식지 전문 중소형 짐승 등에게 바람직하다고 보장이 없으면, 아무리 넓은 서식지를 필요로 하는 생물 종이라 해도 우산종이라고는 일컫지 않게 된다[28] .[22]
참조
[1]
서적
Tending animals in the global village: A guide to international veterinary medicine
Blackwell Publishing
[2]
논문
Usefulness of the Umbrella Species Concept as a Conservation Tool
[3]
서적
Principles of conservation biology
Sinauer Associates
[4]
논문
A Mechanistic Approach to Evaluation of Umbrella Species as Conservation Surrogates
[5]
웹사이트
Glossary
http://www8.nos.noaa[...]
NOAA
2018-04-22
[6]
논문
Umbrella species and the conservation of habitat fragments: A case of a threatened butterfly and a vanishing grassland ecosystem
[7]
뉴스
For Shielding Endangered Neighbors, Pandas Make Flimsy Umbrellas
https://www.nytimes.[...]
2021-02-25
[8]
간행물
"In situ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Determinants of minimum area requirement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9]
논문
Umbrella species: critique and lessons from East Africa
2003
[10]
논문
Empirical Validation of a Method for Umbrella Species Selection
2001
[11]
논문
Ecological neighborhoods as a framework for umbrella species selection
https://doi.org/10.1[...]
2018
[12]
간행물
"Evaluating reserves for species richness and representation in northern California."
[13]
논문
Umbrellas can work under water: Using threatened species as indicator and management surrogates can improve coastal conservation
https://doi.org/10.1[...]
2017
[14]
웹사이트
Selecting focal species
http://www.corridord[...]
2007-09-18
[15]
웹사이트
Russia's Tough Tigers - National Zoo
http://nationalzoo.s[...]
2016-02-03
[16]
pdf
On the Right Way to Right Whale: Protections in the Gulf of Maine—Case Study
http://www.phys.ocea[...]
[17]
뉴스
The surprising ways sharks keep the ocean healthy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21-07-27
[18]
논문
Threatened amphibians sheltered under the big cat’s umbrella: conservation of jaguars Panthera onca (Carnivora: Felidae) and endemic herpetofauna in Central America
[19]
웹사이트
Preserve wildlife before it is lost to us forever
http://www.tuscaloos[...]
2007-03-04
[20]
서적
生態学入門
東京化学同人
2004-08-26
[21]
논문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s://doi.org/10.1[...]
日本生態学会
[22]
논문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 2.「細かいフィルター、粗いフィルター」アプローチ
https://doi.org/10.1[...]
日本生態学会
[23]
논문
On the Right Way to Right Whale: Protections in the Gulf of Maine-Case Study.
https://doi.org/10.1[...]
[24]
논문
谷津環境におけるカエル類の個体数密度と環境要因の関係
https://doi.org/10.5[...]
[25]
서적
野生動物と共存できるか-保全生態学入門-
岩波書店
2006-06-20
[26]
서적
生態学入門
東京化学同人
2004-08-26
[27]
문서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ci.nii.ac.jp/[...]
[28]
문서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ci.nii.ac.jp/[...]
[29]
서적
生態学入門
東京化学同人
2004-08-26
[30]
서적
野生動物と共存できるか-保全生態学入門-
岩波書店
2006-06-20
[31]
문서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ci.nii.ac.jp/[...]
[32]
문서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ci.nii.ac.jp/[...]
[33]
문서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ci.nii.ac.jp/[...]
[34]
서적
生態学入門
東京化学同人
2004-08-26
[35]
문서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ci.nii.ac.jp/[...]
[36]
링크
クマは本当にアンブレラ種か?
http://ci.nii.ac.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