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녀들의 수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녀들의 수다는 외국인 여성들이 출연하여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토론하는 KBS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방송되었으며, 16명의 외국인 여성 패널과 남희석, 남자 패널, 이후 여자 패널들이 출연했다. 프로그램은 앙케트, 릴레이 토크, 찬반 논쟁 등 다양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한국 사회와 문화를 다루는 주제들을 통해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방송 내용과 관련하여 출연진의 발언, 제작 방식 등에 대한 비판과 논쟁이 있었으며, "여대생 루저 발언" 논란으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징계를 받기도 했다. 프로그램의 인기에 힘입어 관련 서적, 모바일 게임 등이 출시되었으며, 2007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예능 작품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연개소문 (드라마)
2006년 SBS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연개소문은 유동근, 이태곤 등이 연개소문 역을 맡아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 독재를 펼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역사 왜곡 및 잔혹성 묘사 논란에도 불구하고 2006년 SBS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는 등 일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2006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기분 좋은 날 (텔레비전 프로그램)
MBC TV에서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기분 좋은 날》은 토크 쇼 형식을 빌려 스타들의 이야기와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2001년 《토크쇼 임성훈과 함께》로 시작하여 제목 변경을 거쳐 2006년부터 현재의 제목으로 방송되고 있다. - 201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제빵왕 김탁구
《제빵왕 김탁구》는 2010년 KBS 2TV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가난한 주인공 김탁구가 제빵 실력으로 경쟁하며 거성식품 후계자를 노리는 이야기이며, 복잡한 가족사와 제빵 열정을 다룬 이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과 수상, 해외 방영 및 리메이크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 - 201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성균관 스캔들
《성균관 스캔들》은 조선시대 성균관을 배경으로 여성이 남장하여 입학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역사적 배경 묘사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메시지로 인기를 얻었으나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에 대한 논란도 있으며, 한류 드라마로서 성공을 거두었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미녀들의 수다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Minyeodeului Suda |
약칭 | 미수다 |
다른 뜻 | KBS 1TV에서 방송되었던 교양 프로그램 쾌적한국 미수다 |
프로그램 정보 | |
장르 | 토크 쇼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사용 언어 | 한국어 |
시즌 수 | 2 |
제작사 | 한국방송공사 |
채널 | KBS 2TV |
방송 기간 | 2006년 11월 26일 ~ 2010년 5월 3일 |
방송 횟수 | 172부작 |
후속 프로그램 | 쾌적한국 미수다 |
제작진 | |
연출 | 유웅식 김필준 하태석 고민구 정희섭 전진학 |
각본 | 오경석 이현숙 백윤정 채우리 |
구성 | 배상옥 김아름 |
기획 | 박태호 (총괄 프로듀서) |
책임 프로듀서 | 이기원 (KBS 예능운영팀) |
진행자 | |
진행 | 남희석 엄지인 |
기술 정보 | |
음성 | 수도권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비 수도권 1채널 모노 사운드 (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화질 | HD 제작·방송 |
기타 정보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오프닝 곡 | S Club 7 - Bring It All Back (1회 ~ 64회, 87회 ~ 158회) 모노토닉 - Krazy (65회 ~ 86회) 다비나 - Fly Like an Angel (159회 ~ 172회) |
엔딩 곡 | Charlotte Perrelli - Take Me To Your Heaven |
외부 링크 | 미녀들의 수다 위키백과 |
2. 진행 방식
'미녀들의 수다'(약칭 '미수다')는 다양한 이름으로 번역되었다.[1][2][3]
이 프로그램은 남희석이 진행을 맡았고, 이후 엄지인 아나운서가 공동 진행자로 합류했으며, 이윤석과 서경석이 마지막 진행자가 되었다. 오프닝 인트로와 시청자 주의사항(15세 이상 시청가) 후, S 클럽 7의 "Bring It All Back"이 연주되며 스튜디오로 전환되었다. 대부분의 토크쇼와 달리 라이브 스튜디오 관객 없이 웃음소리와 박수 소리 트랙, 화면 텍스트 및 음향 효과를 사용했다.
외국인 미녀 16명이 출연하여 각국의 문화와 한국에 대해 설문 조사와 토크를 진행했다. 2009년에는 한 출연자가 키 작은 남성(180cm 미만)을 "루저"라고 칭해 인터넷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3]
2. 1. 프로그램 기본 구성
외국인 여성 16명과 진행자인 남희석, 그리고 남자 패널 다섯 명이 출연하여 방송이 진행되었으며, 2008년 100회 특집부터 남자 패널에서 여자 패널 6명으로 변경되었다.[11]방송 초기(첫 방송~51회 방송)에는 정해진 주제에 따라 앙케트를 통한 토크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42회 방송(2007년 9월 3일 방송)부터는 릴레이 토크, "줄줄이 말해요"라는 제목 아래 출연자 전원이 주제에 맞춰 빈 칸에 자신의 체험이나 생각을 말하면서 발언에 따른 대화 방법이 도입되었고, 52회 방송(2007년 11월 19일 방송)부터는 처음부터 이 방법에 따라 대화가 진행되었다.
74회 방송(2008년 4월 28일 방송)부터는 "공통분모 토크 - 순위 대 순위"라는 제목 아래 출연자 40명과 서울의 각 대학 어학당 학생 100명이 16명 토크 중 가장 공감하는 패널들의 토크를 선정해 1위부터 10위까지의 순위를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만 진행 순서는 10위부터 1위까지이다.
137회 방송(2009년 7월 27일 방송)부터는 "글로벌 찬반 논쟁 쇼 - 뜨거운 감자[12] Yes No"라는 제목 아래 지구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 중 대립이 심한 주제로 논쟁을 해보는 쇼다. 미녀들 각자의 앞에 있는 버튼[13]으로 Yes나 No로 입장을 표현하고 그에 뒷받침 할 수 있는 의견을 토로한다. "라이벌 열전! 세계 각국의 자랑거리는?" 코너에서는 자랑거리와 그 자랑거리에 해당하는 라이벌 되는 국가를 주제로 해서 수다를 한다.
138회 방송(2009년 8월 3일 방송)부터는 "미녀詩대"라는 제목 아래 미녀들의 한국어 실력으로 시를 지어본다.
그 외에도 한 회분의 방송을 재치있는 입담을 과시한 외국인 패널 한 명을 선정하기도 한다. 중간중간 쉬어가기 코너로는 60초 발언대, 장기자랑(개인기), 음식문화체험, 문화유물퀴즈 등이 있으며, 이 부분은 비정규적으로 방송했다. 2010년 1월 4일 이후 공동 MC는 엄지인 아나운서다.
2. 2. 토크 주제 및 형식 변화
'미녀들의 수다'는 초기에는 정해진 주제에 대한 앙케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2회(2007년 9월 3일 방송)부터는 '줄줄이 말해요'라는 릴레이 토크 방식이 도입되었고, 52회(2007년 11월 19일 방송)부터는 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1]74회(2008년 4월 28일 방송)부터는 '공통분모 토크 - 순위 대 순위'라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출연자 40명과 서울 소재 어학당 학생 100명이 가장 공감하는 패널의 이야기를 선정하여 10위부터 1위까지 순위를 매기는 방식이었다.
137회(2009년 7월 27일 방송)부터는 '글로벌 찬반 논쟁 쇼 - 뜨거운 감자[12] Yes No'라는 코너가 신설되었다. 지구촌의 다양한 문화 중 대립이 심한 주제에 대해 미녀들이 Yes나 No로 입장을 밝히고 토론하는 방식이었다. '라이벌 열전! 세계 각국의 자랑거리는?' 코너에서는 각국의 자랑거리와 라이벌 국가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13]
138회(2009년 8월 3일 방송)부터는 '미녀詩대'라는 코너를 통해 미녀들이 한국어로 시를 짓는 시간을 가졌다.
그 외에도 '60초 발언대', '장기자랑(개인기)', '음식문화체험', '문화유물퀴즈' 등 비정규적인 코너가 있었다. 2010년 1월 4일 이후 공동 MC는 엄지인 아나운서였다.[1]
2. 2. 1. 앙케트 토크
-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연말 모습은?〉
- 〈한국의 출산문화, 이것이 충격이다!〉
- 〈한국의 모임, 이것이 충격이다!〉
- 〈한국의 운전문화! 이래서 충격이다!〉
- 〈한국의 휴대전화, 이것이 놀랍다!〉
2. 2. 2. 릴레이 토크
- 〈한국에서 돈 아끼려고 '땡땡땡'까지 해봤다〉
- 〈한국에 살다보니 '땡땡땡' 걱정이 생겼다!〉
- 〈내가 한국의 대통령이 된다면 '땡땡땡'만은 바꾸겠다〉
- 〈2007 나의 최고의 순간은 '땡땡땡'이다!〉
2. 2. 3. 공통분모 토크
- 〈한국과 우리나라 '이것'이 똑같다〉
- 〈한국이 나를 변화시킨 것은?〉
- 〈한국에 살면서 새롭게 생긴 고민은?〉
- 〈한국에 와서 중독된 것〉
2. 2. 4. 글로벌 찬반 논쟁 쇼 - 뜨거운 감자 Yes No
- 〈개고기 먹어도 된다〉
- 〈미녀들의 수다 출연자들은 모두 미녀다?〉
- 〈내 남자의 외도! 한번은 용서 할 수 있다〉
- 〈한국에서 4살부터 영어를 가르쳐야 한다?〉
- 〈연인 사이에 비밀은 필요하다?!〉
- 〈엘리베이터 안에서 방귀를 뀌면 사과해야 한다?!〉
- 〈성형미인도 미스코리아가 될 수 있다!?〉
- 〈애완동물은 인간의 친구!?〉
- 〈친구의 애인이 다른 여자와 데이트 하는 모습을 봤다면, 친구에게 얘기해 줘야 할까?〉
- 〈연예인 사생활은 보호 받아야 한다?〉
2. 2. 5. 라이벌 열전! 세계 각국의 자랑거리는?
2. 2. 6. 미녀詩대
외국인 여성들이 한국어로 시를 짓는 코너를 통해 한국어 학습 능력과 문학적 감수성을 보여주었다.2. 2. 7. 둘 중 하나
미녀들의 한국 생활 중 문화 차이로 갈등에 놓이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프라이드치킨 vs 양념치킨
- 삼겹살 vs 양념갈비
- 족발 vs 보쌈
- 버스 앞자리 vs 버스 뒷자리
- 구식 변기 vs 양변기
- 엉덩이 춤 vs 시건방 춤
- 축의금 30000KRW vs 50000KRW
- 얼굴 vs 몸매
- 명품백 1개 vs 짝퉁 가방 10개
- 팝콘 vs 오징어
- 속옷 세트 vs 속옷 단품
- 발라드 vs 댄스
- 라면 먼저 vs 스프 먼저
- 나쁜 남자 vs 착한 남자
- 요가 vs 헬스
- 연상남 vs 연하남
- 진실게임 vs 야자타임
- 삼겹살 vs 양념갈비
- (다시 태어난다면) 남자 vs 여자
- (연애의 순서) 키스 vs "사랑해"[1]
2. 3. 기타 코너
- 60초 발언대
- 장기자랑
- 음식문화체험
- 문화유물 퀴즈
3. 출연 패널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등 각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이나 대학, 외국인 모델 에이전시 등에서 섭외하기도 하며, 시청자들이 외국인 여성 패널을 추천[14]하기도 하고, 외국인 여성이 자진하여 출연을 희망한다고 제작진에게 밝혀오는 경우도 있었다.
모든 패널은 대한민국 정부에 합법적인 외국인 등록이나 대한민국 국적 취득을 해야만 출연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았을 경우, 텔레비전 방송 출연을 위한 별도의 비자를 발급받은 상태에서 출연했다.
다음은 방송에 출연한 국적별 외국인 패널 명단이다. 같은 국적일 경우 첫 출연일 순서로 배열되었으며, 지명도나 출연 횟수가 다른 패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패널의 이름은 회색으로 표시되었다. 이름의 굵은 글씨는 방송에서 공식적으로 부르는 통칭이며, 전체 이름이 알려진 경우에는 방송에서 이름을 줄여 쓰더라도 전체 이름으로 표기한다. 방송 진행 도중 귀국한 것으로 알려진 패널의 경우는 이름 옆에 "귀국" 문구가 표시된다. 또한 직위는 학생·회사원 등이 아닌 종영 당시 공직에 종사하는 패널만 수록하였다.
3. 1. 아시아
국가 | 이름 | 비고 |
---|---|---|
손요 | ||
상팡 | 만주족 | |
채리나 | 조선족 혼혈 | |
장산산 | 한국으로 귀화 | |
은동령 | ||
종설 | ||
송상 | ||
정슈앙 | 결혼 | |
방샤샤 | ||
앙레 | ||
리빙루 | ||
장샤오샤오 | 한국인 남성과 결혼 후 출연 | |
허이령 | 친할머니가 일본인, 종영 후 중국 문화 대학 한국어학부 교수로 임용 | |
진언문 | 귀국 | |
맥신 쿠 | ||
장사오리 | 재일한국인 3세 | |
사가와 준코 | ||
아키바 리에 | 아이돌 시절 예명: 스기모토 히토미 | |
후지타 사유리 | 고바시 메구미의 친구 | |
아사다 에미 | 귀국 | |
우메무라 가즈코 | 코미디언 출신 | |
도키와 후사코 | ||
야마다 치히로 | ||
나르망다흐 체웨그메드 | 귀국 | |
투르바트 졸자야 | ||
자르갈사이항 테무울렝 | ||
원 시 투 흐엉 | ||
하 황 하이옌 | 한국으로 귀화 (한국명: 하지은) | |
부 티 흐엉 | 위의 흐엉과 같은 이름 | |
원(阮) 홍 하잉 | ||
응우엔 딘 냣 칸 | ||
소피아 수라야 빈티 리자 압둘 | 귀국 | |
포 케인 | 징 치에 포의 여동생 | |
비비안 호 | 화교 | |
샨텔 탠 | ||
사팃찰라라이 펫라다 | ||
수리야몽콜 차녹난 | ||
와자삿 타차폰 | ||
아만다 카심 | 신현준의 친조카, 어머니가 한국인 | |
모니카 사멀 | 귀국 | |
푸남 네우파네 | 결혼 | |
디나 레베데바 | ||
옐레나 트로예글라조바 | 귀국 | |
나타샤 코스티나 | ||
안나 쉴레포바 | 결혼 | |
자밀라 압둘레바 | 어머니가 러시아인 | |
구잘 투르수노바 | 출연 후 한국으로 귀화 | |
타티아 마나가제 | ||
슈샨 하콥얀 | 처음으로 기혼 상태에서 출연한 패널 | |
아첼야 야부즈 | 어머니가 한국인 | |
아슬르 사르이펙 | 할아버지는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
노프 모하마드 알 메플리흐 | ||
짜바릿 에즈라 | 이스라엘 방위군 부사관 복무 경력자. 최종 복무계급은 상사, 귀국 |
3. 2. 아프리카
Meaza Pendau Eshetu|메자 펜다우 이쉬투영어는 에티오피아 출신으로, 종영 당시 그리스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교수였다.[10] Euphracia Ndinda|유프레시아 은딘다영어는 케냐 출신이다.[10] Bronwyn Margaret Mullen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이다.[10]3. 3. 유럽
국가 | 이름 | 기타 |
---|---|---|
미르야 말레츠키(Mirja Maletzkide) | ||
베라 나탈리 홀라이터(Vera Natalie Hohleiterde) | 결혼 | |
마리연 스트뤼커 (Marie-Yon Strückerde) | 어머니가 한국인. 미녀들의 수다 패널 중 최연소자. | |
베르나데트 플라이샨데를(Bernadette Fleischanderlde) | 귀국(취업) | |
에바 사치코 포피엘(Eva Sachiko Popiel영어) | 폴란드계 영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 도쿄 출생. | |
애나벨 엘렌 앰브로스(Annabelle Ellen Ambrose영어) | 밴쿠버 출생. | |
로라 앰브로스(Laura Ambrose영어) | ||
로라 필킹턴(Laura Pilkington영어) | 어머니가 한국인 | |
아나이스 크리스틴 줄리엔(Anaïs Christine Julienne프랑스어) | 친할머니가 인 | |
마리안 파스케(Marie-Anne Pasquet프랑스어) | ||
알리스 바르텔레미(Alice Barthélemy프랑스어) | ||
크리스티나 콘팔로니에리(Cristina Confalonieriit) | 2007년 12월 1일 결혼.[15] 종영 당시 역삼글로벌빌리지센터 소장·가톨릭대학교 법학부 겸임교수 | |
라리사(La Risa, La Risa|Ла Рисаru) | 한국으로 귀화 | |
이나 마슬로바(Inna Maslova|Инна Масловаru) | 2008년 4월 12일 결혼[17] | |
다리아 바스키나(Daria Baskina|Дарья Баскинаru) | 귀국(결혼) | |
마리아 민키나(Maria Minkina|Мария Минкинаru) | ||
엘리자베타 비알로바(Elyzaveta Vialova|Елізавета Віаловаru) | ||
이반나 호떼예바(Ivanna Khodyeyeva|Іванна Ходееваru) | ||
따루 살미넨(Taru Salminen) | 출연 당시 직장(주한 핀란드 대사관)의 출연 허가가 나오지 않아 출연 중단[16]되었으나, 110회 방송(2009년 1월 12일 방송)부터 정식 복귀. |
3. 4. 아메리카
{국적 | 이름 | 비고 |
---|---|---|
레슬리 벤필드(Leslie Benfield) | 미녀들의 수다 출연 패널 중 최연장자, 귀국(개인사정)[15] | |
윈터 린 레이먼드(Winter Lynn Raymond) | ||
비앙카 모블리(Bianca Mobley) | 어머니가 한국인, 한국명 허슬기[15] | |
제시카 애브리고(Jessica Abrego) | 귀국(학업)[15] | |
빅토리아 아이젠스타인(Victoria Eisenstein) | 방송에서는 비키로 통칭[15] | |
소냐 헨슬리(Sonia Hensley) | ||
도미니크 노엘(Dominique Noël) | ||
루베이다 던포드(Lu-vada Dunford) | 리포터, 방송 연예인 활동, 토론토 대학 철학과 교수[15] | |
다라 맥켄지(Dara McKenzie) | ||
제니퍼 맥캔(Jennifer McCann) | ||
지젤 루나 아라우주 에 실바(Gisele Luna Araujo E Silva) | ||
프란시니 루이지 다 실바(Francini Louizi da Silva) | ||
안젤라 마리아 아라우호 레스트레포(Angela Maria Araujo Restrepo) | 마르가리타와 이란성 쌍둥이 자매(동생)[15] | |
나탈리아 산체스(Natalia Sanchez) | ||
라우라 크루스(Laura Cruz) | ||
디아나 권(Diana Kwon) | 한국명 권다희, 아버지가 한국인[15] | |
아비가일 아이노암 알데레테 칸시안(Abigail Ahinoam Alderete Cancian) | [15] |
3. 5. 오세아니아
국가 | 이름 | 비고 |
---|---|---|
커스티 엘리자 레이놀즈(Kirsty Eliza Reynolds) | 2008년 2월 23일 결혼·귀국(개인사정) | |
앨리슨 하이앰(Alison Higham) | ||
캐서린 디워 베일리(Catherine Dewar Baillie) | 잠비아에서 출생,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성장. | |
폴리나 리피나(Paulina Lipina) | ||
헬렌 케이브(Helen Cave) | ||
지니 에버만(Jeannie Aevermann) | 독일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에게서 출생, 2007년 미스 관광 괌 |
4. 미남들의 수다
미남을 찾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