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쌍둥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쌍둥이는 하나의 자궁에서 동시에 자란 두 명의 태아를 의미하며, 다태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쌍둥이는 난자의 수정 방식에 따라 일란성, 이란성, 반쌍둥이 등으로 구분되며, 수정란 분열 시기에 따라 융모막과 양막의 종류가 달라진다. 쌍둥이 임신은 조산, 쌍태아 수혈 증후군, 태아 불균형 발육 등 단태 임신보다 합병증 위험이 높으며, 소실 쌍둥이, 기생 쌍둥이, 결합 쌍둥이 등 특수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쌍둥이 연구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특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언어 발달, 동물,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된다. 신화, 전설, 이야기 속에서 쌍둥이는 상징적인 의미로 자주 등장하며, 현실에서도 유명인, 사회적 현상과 관련되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육 - 불임
    불임은 피임 없이 1년 이상 정상적인 성생활을 했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생식계 질환으로, 남성, 여성, 복합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심리적 문제와 사회적 압박감을 유발하고, 배란 유도, 인공 수정, 시험관 아기 시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활용된다.
  • 쌍둥이 - 로물루스와 레무스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로마 건국 신화 속 쌍둥이 형제로,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 아물리우스를 죽이고 로마 건설 위치 다툼 중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살해한 후 로마의 초대 왕이 되었으며, 이 신화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야기로서 예술, 문학,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쌍둥이 - 에서
    창세기에 등장하는 야곱의 쌍둥이 형이자 장자인 에서는 붉은 죽으로 장자권을 팔아넘긴 일화로 유명하며, 에돔 족속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산과학 - 대리모
    대리모는 여성이 다른 사람을 위해 임신과 출산을 대행하는 방식으로, 난자 제공 여부에 따라 전통적 대리모와 임신 대리모로 나뉘며, 불임 부부 등 다양한 이유로 활용되지만 윤리적, 법적 논쟁을 야기한다.
  • 산과학 - 주산기 사망률
    주산기 사망률은 임신 22주 이후 사산과 조기 신생아 사망을 합한 값을 출산 수로 나눈 것으로, 출생 1,000명당 주산기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국가별 의료 서비스 질 평가에 활용되고 미숙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선천적 결함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개발도상국에서 높은 경향을 보인다.
쌍둥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복수 출산
관련 질병쌍태아 간 수혈 증후군
선택적 발육 지연
단일 융모막 쌍태아 동맥 문합
종류
접합 방식일란성 쌍둥이 (동일 유전자 쌍둥이)
이란성 쌍둥이 (이유전자 쌍둥이)
신체적 연결샴쌍둥이
통계
출생 빈도약 89분의 1
사회와 문화
사회적 인식쌍둥이의 날
쌍둥이 연구
다태아 임신

2. 정의

하나의 자궁에서 동시에 자란 두 명의 태아를 말한다. 자궁 안에 홀로 있는 태아는 단생아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세쌍둥이 이상을 포함하는 다태아도 쌍둥이라고 부른다.

쌍둥이는 수정 과정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 '''일란성 쌍둥이'''(영어: identical twins / monozygotic twins)는 하나의 수정란(난자)이 발생 초기에 둘로 나뉘어 각각의 개체로 자란 경우이다(다배 형성).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 '''이란성 쌍둥이'''(영어: fraternal twins / dizygotic twins)는 두 개의 난자가 각각 다른 정자와 수정되어 동시에 자란 경우이다(다배란). 유전적으로 일반 형제자매와 유사하다.


2007년 3월에는 일란성도 이란성도 아닌 준일란성 쌍둥이(영어: semi-identical twins)라는 매우 드문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97]

쌍둥이의 출생 빈도는 인종, 지역, 시대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 일란성 쌍둥이: 출생 빈도는 인종이나 지역에 관계없이 전체 출생의 약 0.4%로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난다.[142] 일반적으로 유전적 영향은 없는 우연적인 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13] 그러나 인도의 모하마드 푸르 움리 마을(약 10%의 일란성 쌍둥이 출생률)[151], 브라질 리냐 상페드로 지구(출생률 5%)[149][150], 요르단의 특정 가계[151] 등 일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사례들이 보고되어 유전적 요인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아홉띠아르마딜로는 기본적으로 일란성 네쌍둥이를 낳는 것으로 알려져, 우연에 의존하지 않고 생물이 일란성 다태아를 수태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152]
  • 이란성 쌍둥이: 출생 빈도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변동성이 크다.
  • 인종/지역: 요루바족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출생률(1,000건당 45~50쌍)을 보인다.[6][7][8] 중앙 아프리카는 1,000건당 18~30쌍,[11] 북미와 유럽은 9~16쌍,[11] 남아메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는 6~9쌍으로 가장 낮다.[11] 백인종은 80~120명당 1쌍, 흑인종은 50명당 1쌍 이상으로 보고된다.
  • 시대/사회적 요인: 미국에서는 1980년부터 2009년까지 쌍둥이 출산율이 76% 증가했다(1,000건당 9.4쌍 → 16.7쌍).[5] 일본에서는 과거 1,000건당 6쌍 미만이었으나, 1987년 이후 체외 수정 등 보조 생식술의 영향으로 출생 빈도가 크게 변동하여 2003년에는 10쌍을 넘어섰다.[143] 그러나 1996년부터 일본 산부인과학회가 태내로 되돌리는 수정란 수를 원칙적으로 하나로 제한하기 시작하면서[145], 일본의 쌍둥이 출생률은 2005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144]
  • 산모 요인: 이란성 쌍둥이는 어머니 쪽의 유전적 경향(과배란 체질)[13], 30~40세의 연령(특히 35세 이상)[14], 평균보다 큰 키와 체중[169], 출산 경험(경산 횟수가 많을수록, 이란성 쌍둥이 출산 경험자는 다음 임신 시 확률 3~4배 증가)[14], 특정 보조 생식술(체외 수정, 배란 유도제 등)[14], 높은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GF) 혈중 농도[172]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여성은 의도적으로 쌍둥이를 임신하기 위해 생식 보조제를 이용하기도 한다.[15][16]
  • 식생활 가설 (요루바족): 요루바족의 높은 이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주식인 참마에 함유된 천연 식물성 에스트로겐 유사 물질 때문이라는 연구가 있다. 이 물질이 난소를 자극하여 다배란을 유도한다는 것이다.[9][10] 그러나 과학적 근거는 아직 부족하며,[171] 에스트로겐은 오히려 고나도트로핀 수치를 낮춰 쌍둥이 출생률을 저하시킨다는 반론도 있다.


다태 임신은 단태 임신보다 만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으며, 쌍둥이 임신의 평균 임신 기간은 37주로 단태아보다 3주가량 짧다.[12]

일반적으로 출생 성비는 남아 106 대 여아 100으로 알려져 있지만, 쌍둥이와 같은 다태아의 성비는 남아의 비율이 낮아져 102 대 100 정도가 된다.[158] 특히 융모막 상태에 따라 성비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1980년 보고에 따르면, 이융모막성(주로 이란성) 쌍둥이는 남아 비율이 높고(남아 비율 0.571), 일융모막성(일란성) 쌍둥이는 남아 비율이 낮은(이양막 0.492, 일융모막 일양막 0.416) 경향이 관찰되었다.[160] 이는 일란성의 경우 X 염색체 비활성화와, 이란성의 경우 산모의 체격적 요인에 따른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161]

쌍둥이의 성별과 난성 조합 비율은 조사 시기나 인종·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다음은 네덜란드와 일본의 조사 결과이다.[163][164]

조합네덜란드 조사 (1986-1993)일본 조사 (표본 461쌍)
남녀 이란성 쌍둥이1032쌍 (33.6%)142쌍 (30.8%)
남자 이란성 쌍둥이651쌍 (21.2%)69쌍 (15.0%)
여자 이란성 쌍둥이594쌍 (19.4%)79쌍 (17.1%)
여자 일란성 쌍둥이421쌍 (13.7%)70쌍 (15.2%)
남자 일란성 쌍둥이371쌍 (12.1%)59쌍 (12.8%)



이란성 쌍둥이의 출생 비율뿐만 아니라 동성/이성 조합 비율도 지역차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의 이란성 쌍둥이는 동성 대 이성 비율이 약 6:4라는 보고가 있다.[165]

3. 통계

2006년 기준으로 전 세계 쌍둥이는 약 1억 2천 5백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는 세계 인구의 약 1.9%에 해당한다. 이 중 일란성 쌍둥이는 약 천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0.2%, 전체 쌍둥이의 약 8%를 차지한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에서는 1000번의 출산 중 32번이 쌍둥이였다.

나이지리아요루바족은 전 세계에서 쌍둥이 출산율이 가장 높은 민족으로 알려져 있으며, 출생 1,000건당 45~50쌍의 쌍둥이(90~100명의 쌍둥이)를 기록한다.[6][7][8] 일부 연구에서는 요루바족 여성이 특정 종류의 (학명: ''Dioscorea rotundata'', 흰색 얌)을 많이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 얌에는 난소를 자극하여 양쪽에서 난자를 배출하게 할 수 있는 천연 식물성 에스트로겐(피토에스테로겐)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9][10]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 박물관 영구 소장품인 여성 에레 이베지 쌍둥이 조각상 한 쌍(20세기 초). 요루바족은 세계에서 이란성 쌍둥이 출산율이 가장 높다.


지역별 쌍둥이 출산율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11]

지역출생 1,000건당 쌍둥이 수 (쌍)
요루바족 (나이지리아)45 ~ 50쌍
중앙 아프리카18 ~ 30쌍
북아메리카, 유럽9 ~ 16쌍
남아메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6 ~ 9쌍 (가장 낮음)



1980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의 인간 쌍둥이 출산율은 76% 증가하여, 출생 1,000건당 9.4쌍에서 16.7쌍으로 증가했다.[5] 이러한 증가는 불임 치료 약물 및 체외 수정(IVF)과 같은 보조 생식 기술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53] 이는 자연 수정보다 다태 출산을 더 자주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음식 내 성장 호르몬 사용 증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2] 2006년 연구에서는 유제품에 존재하는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GF)가 이란성 쌍둥이 출산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연구는 비건 식단을 따르는 여성이 유제품을 섭취하는 여성보다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5분의 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52] 미국에서는 2011년까지 쌍둥이 출산의 36%가 보조 생식 기술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66]

인간의 출산 약 90건 중 1건(1.1%)이 쌍둥이 임신으로 이어진다.[54] 이란성 쌍둥이의 출산율은 민족에 따라 크게 다르다. 브라질의 작은 정착지인 칸디두 고도이 시의 Linha São Pedro 지역은 출생률이 1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55][56] 이는 지역 사회 내 유전적 요인(TP53*P72 및 MDM4-T 등)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7][150] 아르헨티나 역사가 호르헤 카마라사는 나치 의사 요제프 멩겔레의 실험이 원인일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으나, 브라질 과학자들은 이를 반박했다.[57] 높은 쌍둥이 출산율은 다음 지역에서도 관찰된다.



일본에서의 쌍둥이 출생 빈도는 과거 1000쌍 중 6쌍 미만이었으나, 체외 수정 도입 등의 영향으로 2003년에는 10쌍을 넘어섰다.[142][143] 그러나 1996년 이후 일본 산부인과학회의 수정란 이식 수 제한 지침에 따라 2005년을 정점으로 하락 추세에 있다.[144][145]

일란성 쌍둥이의 출생률은 지역, 민족, 시대에 관계없이 전 세계적으로 출생 1,000건당 약 3~4쌍 (0.3%~0.4%)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쌍둥이 출생률의 지역적, 시대적 변화는 주로 이란성 쌍둥이 출생 빈도의 변화에 기인한다. 그러나 인도의 모하마드푸르 움리 마을처럼 일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은(약 10%) 지역이나, 요르단의 특정 가계 사례 등은 일란성 쌍둥이 출생에도 유전적 영향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51]

다태 임신은 단태 임신보다 만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적으며, 쌍둥이 임신 기간은 평균 37주로 만삭보다 3주 정도 짧다.[12] 이란성 쌍둥이의 가족력이 있는 여성은 과배란의 유전적 경향으로 인해 이란성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높지만, 일란성 쌍둥이의 유전적 연관성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3] 산모의 나이(특히 30~40세), 키와 몸무게(평균 이상), 이전 출산 경험 등도 이란성 쌍둥이 출산 확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4]

일반적으로 출생 성비는 남아가 여아보다 약간 높은 106:100으로 알려져 있지만, 쌍둥이와 같은 다태아의 경우 남아 비율이 낮아져 102:100 정도가 된다.[158] 특히 일융모막성(주로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남아 비율이 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159][160][161]

쌍둥이의 난성과 성별 조합 비율은 조사 시기나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네덜란드(1986-1993)와 일본(2013년 이전 데이터 기반)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163][164]

조합네덜란드 조사 (1993)일본 조사 (2013)
남녀 이란성 쌍둥이1032쌍 (33.6%)142쌍 (30.8%)
남자 이란성 쌍둥이651쌍 (21.2%)69쌍 (15.0%)
여자 이란성 쌍둥이594쌍 (19.4%)79쌍 (17.1%)
여자 일란성 쌍둥이421쌍 (13.7%)70쌍 (15.2%)
남자 일란성 쌍둥이371쌍 (12.1%)59쌍 (12.8%)


4. 난성

난성(卵性, Zygosity)은 쌍둥이의 게놈이 서로 어느 정도의 유전적 동질성을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크게 이란성 쌍둥이와 일란성 쌍둥이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매우 드문 유형이 존재한다.


  • '''이란성 쌍둥이''': 두 개의 다른 난자가 각각 다른 정자에 의해 수정되어 발생하는 경우이다. 유전적으로 일반적인 형제자매와 유사하며(평균 50% 유전자 공유), 성별이나 외모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인간의 경우 일란성 쌍둥이보다 이란성 쌍둥이가 더 흔하게 발생한다.[17]
  • '''일란성 쌍둥이''': 하나의 난자가 하나의 정자와 수정된 후, 발생 초기 단계에서 둘 이상의 배아로 나뉘어 발생하는 경우이다.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며, 성별도 같다 (매우 드문 예외 제외). 일란성 쌍둥이가 생기는 것은 기본적으로 우연의 산물로 여겨진다.[24]
  • '''기타 희귀 유형''': 매우 드물게 반일란성 쌍둥이[138]나 준일란성 쌍둥이[140]와 같이 특수한 형태로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 또한, 일란성 쌍둥이의 수정란 분열이 불완전할 경우 결합 쌍둥이가 태어나기도 한다.


쌍둥이가 아닌 단태아의 경우, 남아의 출생 비율이 여아보다 약 5% 정도 높다. 예를 들어, 미국의 단태아 출생 성비는 남성 1.05 대 여성 1[18]이고, 이탈리아는 남성 1.07 대 여성 1[19]이다. 그러나 남아는 여아보다 자궁 내 사망률이 높고, 이러한 사망률은 단태아보다 쌍둥이에게 더 높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여아 쌍둥이가 남아 쌍둥이보다 더 흔하게 태어난다.[20]

4. 1. 이란성 쌍둥이

이란성 쌍둥이(Dizygotic twins|이란성 쌍둥이eng, '''DZ''')는 두 개의 난자가 각각 다른 정자수정되어 동시에 자궁 벽에 착상했을 때 형성된다.[21] 두 개의 난자가 수정되므로 '이난성(異卵性)' 또는 '2난자 쌍둥이'라고도 한다. 이란성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일반적인 형제자매와 같아 평균 50%의 유전자를 공유하며, 외모나 성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성인 이란성 쌍둥이 자매


어린 시절의 이란성 쌍둥이 형제


오스트리아의 TV 진행자 미르얌 바이셸브라운 (오른쪽)과 그녀의 이란성 쌍둥이 멜라니 빈더. 외모는 비슷하지만 키 차이가 있다.


이란성 쌍둥이 제나 부시 헤이거(왼쪽)와 바버라 피어스 부시(오른쪽), 그리고 부모인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로라 부시 여사


이란성 쌍둥이는 감수 분열 중 염색체 교차로 인해 서로 다른 염색체 지도를 가지므로, 완전히 동일한 유전 정보를 가질 확률은 매우 낮다. 외모는 서로 비슷할 수도 있고 매우 다를 수도 있으며, 머리카락 색이나 피부색이 전혀 다른 경우도 많다.

이란성 쌍둥이 성별 조합 비율
조합비율
여성-여성 (자매 쌍둥이)25%
남성-남성 (형제 쌍둥이)25%
여성-남성 (이성 쌍생아)50%



단태아의 경우 남아가 여아보다 약 5% 더 많이 태어나지만(미국 1.05:1, 이탈리아 1.07:1)[18][19], 남아는 여아보다 자궁 내 사망률이 높고, 이 사망률은 쌍둥이에게 더 높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여아 쌍둥이가 남아 쌍둥이보다 더 흔하게 태어난다.[20]

이란성 쌍둥이는 일란성 쌍둥이보다 더 흔하게 발생한다.[17][21] 발생 빈도는 인종 및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일본에서는 출생 1,000건당 약 6건(일란성 쌍둥이와 비슷)[22]인 반면,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1,000건당 14건 이상[22], 특히 서아프리카요루바족은 2.8%에서 5%에 달하는 높은 출생률을 보인다.[147][148] 일본의 이란성 쌍둥이 출생률은 과거 0.2% 정도였으나, 최근 불임 치료 기술의 발달 등으로 0.6% 정도로 증가했다.

이란성 쌍둥이 임신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있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 '''어머니의 유전적 요인''': 다배란(多排卵, 여러 개의 난자를 배란하는 것) 경향은 임신부 자신이나 모계 가족의 이란성 쌍둥이 출산력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고나도트로핀이라는 호르몬 수치가 높은 것과 연관될 수 있다.[126][127] 이란성 쌍둥이 임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쪽 요인뿐이며, 아버지가 다배란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산모의 나이''': 나이가 많은 산모일수록 확률이 높으며, 특히 35세 이상이면 출생률이 두 배로 증가한다.[23]
  • '''인종''': 서아프리카계, 특히 요루바족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 '''신체 조건''': 평균 이상의 키와 몸무게를 가진 경우.
  • '''출산력''': 이전에 여러 번 임신한 경험이 있는 경우(경산부).
  • '''불임 치료''': IVF 시 여러 배아를 이식하거나, 배란 유도제(예: 클로미펜)를 사용하는 등 특정 불임 치료는 다태아 출산 가능성을 높인다. 미국에서는 2011년까지 쌍둥이 출산의 36%가 보조 생식 기술과 관련되었다고 추정된다.[66] 최근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이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 특수한 경우 ===

  • '''이성 쌍생아''': 성별이 다른 이란성 쌍둥이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비공식적으로 '믹스 트윈(mixed twin)'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영어권의 'mixed twins'는 혼혈 부모에게서 태어난 쌍둥이를 의미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성 쌍생아를 뜻하는 정확한 영어 표현은 'mixed-sex twins' 또는 'opposite-sex twins'이다.
  • '''과잉 임신과 과잉 수태''': 하나의 월경 주기 내에서 다른 시기의 성교로 각각의 난자가 수정되는 과잉 임신(Superfecundation)[129]이나, 드물게는 임신 중 다른 월경 주기에 또다시 배란이 일어나 수정되는 과잉 수태(Superfetation)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정 시기는 다르지만 태어난 아이들은 이란성 쌍둥이이다.[130] 과잉 임신은 비교적 흔하며, 이로 인해 이란성 쌍둥이의 재태 주수가 다를 수 있다.[131]
  • '''이부 이난성 쌍둥이''': 과잉 임신이나 과잉 수태 시, 각기 다른 남성의 정자에 의해 수정될 경우, 생물학적 아버지가 다른 이란성 쌍둥이(이부 과잉 임신/수태)가 태어날 수도 있다.[135] 1992년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친자 확인 소송 사례 중 약 2.4%가 이부 이난성 쌍둥이였다고 보고했다.[136]
  • '''혼혈 쌍생아''': 혼혈 부모에게서 태어난 이란성 쌍둥이가 부모의 인종적 특징을 각각 다르게 물려받아 외모상 다른 인종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백인흑인의 혼혈 부모 사이에서 한 명은 백인, 다른 한 명은 흑인의 특징을 가진 쌍둥이가 태어날 수 있다.[132][133]

4. 2. 일란성 쌍둥이

일란성 쌍둥이는 하나의 수정란난할 과정에서 우연히 둘 이상으로 나뉘어 형성된다.[24] 수정란이 분리되는 것은 유전적 특징이라기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인종에 상관없이 1,000번의 출생당 약 3~4건의 비율로 발생하는 일종의 변칙으로 간주된다.[24][100] 둘 이상으로 나뉜 수정란은 한 자궁 안에서 각각의 태아로 자라며, 대부분의 일란성 쌍둥이는 태반을 공유하지만 드물게 각자 태반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수정란 분열은 우연의 산물이며, 유전이나 호르몬 분비량 등의 외적 요인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만, 보조 생식 의료(불임 치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일란성 쌍둥이의 발생 확률을 높이는 경우도 있다.[98][99] 배아가 완전히 나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이론에 따르면 원종 세포가 반으로 분리되고 포배가 충돌한 후에 형성될 수 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같은 유전자를 가진 두 개의 배아가 만들어지고, 마침내 두 개의 태아로 성장한다. 이 이론은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유럽 인간 복제 및 발생학회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시험관 수정(IVF)으로 인해 쌍둥이가 더 많이 태어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시험관 수정은 1,000번의 출산 중 약 21쌍의 쌍둥이를 탄생시키는 반면, 자연 임신으로는 1,000번 중 오직 3번 정도만 쌍둥이가 출생된다. 보조 생식 기술, 특히 배반포 이식이나 난자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ICSI)의 일부 기술은 일란성 쌍둥이의 수태 확률을 자연 임신(0.4%)보다 2배 이상(0.8–0.9%) 높일 수 있다.[168] 그 외에 수정 시기가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있는데, 배란된 난모세포가 성숙 후기에 수정되거나, 여성의 호르몬 균형이 불안정한 젊은 시기 또는 중·장년기에 수태될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167] 극히 드물게 일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높은 가계도 있어 유전적 영향의 가능성도 제기된다.[166]

일란성 쌍둥이(왓슨 자매)


일란성 쌍둥이는 수정 및 분리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며, 성별이나 혈액형 등 유전적 형질이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외모가 매우 비슷하고, 일반적으로 신체 능력이나 학력의 유사성도 높다. 성장함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형질의 발현이 늘어나 쌍둥이 간의 유사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103] 그러나 동일한 DNA를 가졌더라도, DNA 정보가 개개인의 획득 형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므로, 신체 능력 등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학교에서의 특기 과목이나 스포츠 실력 등이 다른 경우도 많다. 실제로는 수정 배아가 불균등하게 분열하는 경우가 많아 약간 다른 유전 정보를 가질 수도 있으며,[104] 태아기부터 각자 독자적으로 성장하므로 뇌 발달 과정이나 출생 시 대뇌피질의 형태도 다르다.[105] 이유식 시기부터 음식 알레르기의 유무나 종류 등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일란성 쌍둥이는 거의 동일한 DNA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성장하면서 서로 다른 환경에 노출되고 다른 생활 습관을 가지면서 성격 등에서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를 후성학 변이라고 한다. 3세부터 74세 사이의 쌍둥이 80쌍을 연구한 결과, 어릴수록 후성학적 차이가 적고 나이가 들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쌍둥이는 3세 쌍둥이보다 3배 이상의 후성학적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서로 다른 부모에게 입양된 쌍둥이는 후성학적 차이가 매우 컸다. 이는 체중과 같은 신체적 특징에서도 환경 요인의 영향을 보여주는데, 함께 자란 일란성 쌍둥이(MZT)의 체중 상관계수는 0.87인 반면, 떨어져 자란 일란성 쌍둥이(MZA)는 0.69였다.[106] 또한 성장 과정에서 DNA 메틸화 등으로 인해 개별적인 표현형의 차이는 점차 커져 병에 대한 저항력 등에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흥미롭게도, IQ나 성격 등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오히려 더욱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인간의 성격과 행동이 유전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지만,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은 다르다.[107] 이는 지문 형성에 유전 외 요인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생체 인증(바이오메트릭스) 기술로 일란성 쌍둥이를 구별할 수 있다. , 반점의 위치, 홍채나 정맥 패턴 등은 유전 정보에 크게 좌우되지 않으므로, 정맥 인증 등을 이용한 개인 인증은 문제없이 가능하다. 아이폰 X 등의 Face ID는 일반적으로 일란성 쌍둥이의 얼굴을 구별하지 못하지만,[108] 고정밀 얼굴 인식 시스템으로는 식별이 가능할 수도 있다.[109] 그러나 DNA 인증으로는 일란성 쌍둥이를 구별할 수 없다.

일란성 쌍둥이 중에는 특별한 유형도 존재한다.

  • 거울상 쌍둥이 (Mirror twins): 수정 후 약 9-12일 정도로 늦게 분리되면 형성될 수 있다.[110] 이들은 마치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서로의 좌우 특징이 대칭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한 명이 오른손잡이면 다른 한 명은 왼손잡이이거나, 머리카락 가마 방향이 반대인 식이다. 외배엽 유래 형질의 불일치가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111] 극히 드물게 내장 역위(심장이 오른쪽에 있는 등)가 나타나기도 하는데,[112] 이는 내장 역위가 유전이나 발생 시점의 변이가 아닌, 발달 과정 중 독립적인 확률 사건으로 발생함을 시사한다.[113] 외모뿐 아니라 인격, 생활 기호, 수면 패턴 등에서도 거울상 차이를 보일 수 있다.[114]
  • 이성 일란성 쌍둥이: 매우 드물게 성별이 다른 일란성 쌍둥이가 태어날 수 있다.[115] 이는 수정란의 성염색체 이상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XY(남성) 수정란이 분열하면서 한쪽에서 Y 염색체가 소실되어 XY(남성)와 XO(여성, 터너 증후군)로 나뉘는 경우,[119] 또는 XXY(클라인펠터 증후군) 수정란이 분열하면서 XX(여성)와 XY(남성)로 나뉘는 경우이다.[116][117] 보고된 사례 대부분은 XY가 XY와 XO로 분열된 경우이다. 성염색체가 모자이크 형태로 혼재하는 비율에 따라 성별이 달라질 수도 있다.[118] 이성 일란성 쌍둥이는 핵형이 다르므로 유전 정보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으며,[122][123] 동성이라도 핵형이 다른 경우(예: 46,XX와 45,X) 외모나 성장 패턴이 다를 수 있다.[124][125]
  • 결합 쌍둥이 (샴 쌍둥이): 수정란의 분열이 불완전하여 몸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태어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출생 성비는 남아가 약간 더 많지만(106:100), 쌍둥이와 같은 다태아의 경우 남아 비율이 낮아져 약 102:100 정도가 된다.[158] 특히 일융모막성(대부분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남아 비율이 더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일융모막 일양막성 쌍둥이에서는 남아 쌍둥이의 출생률이 극히 낮다.[159] 이는 일란성 다배 형성 시 X 염색체 비활성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161] 1975년 문헌에 따르면, 출생 빈도는 여자 일란성 쌍둥이가 남자 일란성 쌍둥이보다 높다고 지적되었으나,[162] 이후 네덜란드(1993)와 일본(2013)의 조사에서는 약간 다른 결과가 나타나 지역 및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163][164]

4. 3. 반쌍둥이

반쌍둥이는 어머니에게서 동일한 유전자를 물려받지만, 아버지에게서는 서로 다른 유전자를 물려받은 쌍둥이를 말한다. 이는 매우 드문 경우로, "반일란성 쌍둥이" 또는 sesquizygotic|세스키자이고틱eng이라고도 불린다. 2019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단 두 건의 사례만 보고되었다.[89][85]

반일란성 쌍둥이는 하나의 난자가 두 개의 다른 정자에 의해 동시에 수정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6] 이렇게 형성된 수정란은 이후 분열 과정을 거치면서 어머니로부터는 동일한 유전 정보를, 아버지로부터는 서로 다른 유전 정보를 가진 두 개의 배아로 나뉘게 된다.[86] 일부 연구에서는 삼배수성 증후군 사례 중 일부가 이러한 반일란성 수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43][44]

2007년에 보고된 첫 사례에서는 쌍둥이가 어머니로부터는 동일한 염색체를 물려받았지만, 아버지로부터는 서로 다른 염색체 세트를 물려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 아버지는 동일인). 이 쌍둥이는 유전적으로 서로 다른 세포 집단이 섞인 키메라 상태였으며, 한 명은 간성 (XX), 다른 한 명은 남성 (XY)이었다.[87][88]

2019년 마이클 T. 개베트와 니콜라스 피스크 연구팀은 두 번째 반일란성 쌍둥이 사례를 보고하며 분자 유전학적 증거를 제시했다.[89] 이 쌍둥이는 모계 유전자는 100% 공유했지만, 부계 유전 정보는 약 78%만 공유했다. 연구팀은 두 개의 정자가 하나의 난자를 동시에 수정시킨 후, 세포 분열 과정에서 부계 유전자만 가진 세포는 게놈 각인 문제로 사멸하고, 모계 유전자는 동일하지만 부계 유전자는 절반씩 다른 두 종류의 세포가 남아 각각 배아로 발달하여 쌍둥이가 된 것으로 설명했다.[89][90]

4. 4. [[결합 쌍둥이|샴쌍둥이]]

결합 쌍둥이는 일란성 쌍둥이가 수정 후 분열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나뉘지 못하고 신체 일부가 붙거나 공유된 상태로 태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반드시 일란성 쌍둥이에게서만 발생하며, 그 확률은 매우 낮다. 생존율 또한 매우 희박하여, 약 70%는 산모의 자궁 내에서 사망하고, 출생하더라도 27%는 1일 이내에 사망하며, 생존한 2.5% 역시 장기 생존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법적으로는 독립된 두 명의 개인으로 인정받는다. 몸의 움직임 등은 서로 협력하여 조절해야 하며, 결합 형태는 머리, 상체, 하체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부 결합 쌍둥이는 심장, , 신장, , 식도, 기도, 폐, 등 주요 장기를 공유하거나 각자 가지고 있어 2~3배씩 존재하기도 한다.

관계가 원만한 경우, 피아노 연주나 운전 등을 함께 하기도 하며, 실제 자매 결합 쌍둥이가 초등학교 교사로 활동하는 사례도 있다.

5. 분리 정도

단일 수정란(일란성) 쌍둥이의 수정란 분할 시기에 따른 융모막성 및 양막성의 다양한 유형(아기의 양막 모양)


자궁 내 쌍둥이가 서로 얼마나 분리되어 있는지는 수정란이 언제 둘로 나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란성 쌍둥이는 처음부터 두 개의 별개 수정란에서 시작하지만, 일란성 쌍둥이는 임신 초기에 하나의 수정란이 둘로 나뉘면서 형성된다.

수정란이 나뉘는 시점은 임신의 융모막(chorionicity, 태반의 수)과 양막성(amnionicity, 아기를 직접 감싸는 양막의 수)을 결정한다.

  • 수정 후 첫 4일 이내에 분열이 일어나면 각자 별도의 융모막과 양막을 가지는 이융모막성-이양막성(DiDi) 쌍둥이가 된다. 이란성 쌍둥이는 항상 이 형태이며, 일란성 쌍둥이의 일부도 여기에 해당한다.
  • 수정 후 4일 이후에 분열하면 하나의 태반을 공유하는 단일융모막성 쌍둥이가 된다.
  • 수정 후 4일에서 8일 사이에 분열하면 각자 별도의 양막을 가지는 단일융모막성-이양막성(MoDi) 형태가 된다.
  • 수정 후 8일 이후(첫 주 이후)에 분열하면 하나의 양막까지 공유하는 단일융모막성-단일양막성(MoMo) 형태가 된다.


매우 드물게, 배아 발달 14일 이후에 분열이 일어나면 신체 일부가 붙은 결합 쌍둥이가 될 가능성이 있다.[45] 또한, 쌍둥이가 자궁 내 환경을 공유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흔히 두 개의 태반이 관찰되면 무조건 이란성 쌍둥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일란성 쌍둥이라도 충분히 일찍 분열하면 이란성 쌍둥이처럼 각자 별도의 태반과 양막을 가질 수 있어 외관상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5. 1. 이융모막성-이양막성 쌍둥이

두 개의 융모막과 두 개의 양막을 가지는 쌍둥이를 말한다. 각 쌍둥이가 별도의 융모막과 양막을 가지기 때문에 이융모막성-이양막성(Dichorionic-Diamniotic, 줄여서 DiDi)이라고 부른다.

이 유형은 거의 모든 이란성 쌍둥이[47]와 일란성 쌍둥이의 약 18~36%[46][47]에서 나타난다. 이융모막성-이양막성 쌍둥이는 수정 후 3일 이내에 수정란이 분열될 때 형성된다.[47]

DiDi 쌍둥이는 다른 유형의 쌍둥이에 비해 사망 위험이 약 9%로 가장 낮지만, 단태아보다는 여전히 상당히 높은 편이다.[48]

5. 2. 단일융모막성-이양막성 쌍둥이

단일융모막성-이양막성 쌍둥이는 동일한 태반을 공유하지만, 각각 별도의 양막을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줄여서 "MoDi"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유형은 일란성 쌍둥이 임신의 60~70%[46]를 차지하며, 전체 임신 중에서는 약 0.3%[49]의 빈도로 발생한다.

단일융모막성-이양막성 쌍둥이는 수정 후 4일에서 8일 사이에 수정란이 분열될 때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배반포가 융합되는 매우 드문 예외를 제외하면, 이 유형의 쌍둥이는 ''거의 항상'' 일란성 쌍둥이이다.[47]

하나의 태반을 공유하기 때문에, 두 태아 사이의 혈액 순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쌍태아 수혈 증후군(TTTS)의 위험이 있다.

5. 3. 단일융모막성-단일양막성 쌍둥이

단일융모막성-단일양막성 쌍둥이(Monochorionic-monoamniotic twins|eng, MCMA 또는 MoMo twins)는 하나의 태반과 하나의 양막을 공유하는 쌍둥이를 말한다. 이 유형은 일란성 쌍둥이 임신의 1~2%에서 발생하며,[46] ''항상'' 일란성이다.[50]

수정 후 8일[180] 또는 9일[47] 이후에 수정란이 분열될 때 형성된다.
1융모막 1양막성 쌍태아의 모습. 하나의 태반과 양막을 공유한다.
하나의 양막 안에 두 태아가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두 태아의 탯줄이 서로 얽힐 위험이 매우 높다. 이로 인해 유산의 가능성이 높아지거나, 태아에게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뇌성마비 등을 겪을 위험이 커진다.[50][51] 또한, 태반을 공유하므로 쌍태아 수혈 증후군의 위험도 있다.[50]

이러한 위험 때문에 단일융모막성-단일양막성 쌍둥이의 생존율은 50%[50]에서 60%[51] 사이로 다른 유형의 쌍둥이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 유형의 쌍둥이에서 남아 쌍둥이의 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보고도 있다.[160]

5. 4. 결합 쌍둥이

결합 쌍둥이샴쌍둥이라고도 불린다. 일란성 쌍둥이의 수정란이 발생 과정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고 신체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태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결합 쌍둥이는 반드시 일란성 쌍둥이에게서만 나타나며, 그 발생 확률은 매우 희박하다. 수정란의 분열이 수정 후 12일[47](혹은 14일[45]) 이후에 일어나면 결합 쌍둥이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합 쌍둥이는 생존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약 70%는 산모의 몸 안에서 사망하고, 태어나더라도 27%는 1일 이내에 사망하며, 생존하더라도 나머지 2.5% 정도만이 비교적 오래 생존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장기를 공유하면서 발생하는 여러 합병증 때문이다.[47]

신체적으로는 머리, 상체, 하체 등 다양한 부위가 결합된 형태로 태어날 수 있으며, 심장, 뇌, 폐, 간 등 주요 장기를 공유하거나 각자 가지고 있더라도 그 수가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2~3배 등)도 있다. 비록 몸은 하나로 붙어 있지만, 법적으로는 독립된 두 명의 인격체로 인정받는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는 서로 협력하며 몸의 주도권을 조절해야 한다. 결합 쌍둥이 중에는 서로의 협력을 통해 피아노 연주나 운전을 하기도 하며, 자매 결합 쌍둥이가 초등학교 교사로 활동하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

6. 임신 중 합병증

쌍둥이 임신은 단태 임신에 비해 조산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다양한 의학적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쌍둥이는 단태아보다 평균적으로 일찍 태어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저체중 출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저체중 출생은 신생아의 건강 문제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72][73] (자세한 내용은 #저체중 출생 참조)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특수한 합병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소실 쌍둥이 증후군''': 임신 초기에 두 태아 중 하나가 발달을 멈추고 자연적으로 흡수되어 사라지는 현상이다.[70] (자세한 내용은 #소실 쌍둥이 참조)
  • '''결합 쌍둥이''':
    1811년 태국에서 태어난 창 앤 엥 벙커는 "샴 쌍둥이"라는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일란성 쌍둥이가 수정 후 분리되는 과정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고 신체 일부가 붙은 상태로 태어나는 경우이다. 공유하는 장기나 신체 부위에 따라 분리 수술의 난이도가 달라진다.[47]
  • '''키메라''': 드물게 두 개의 수정란이 융합하거나, 태아 간 세포 교환을 통해 한 개체 내에 유전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세포 집단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이다. 이는 외모나 DNA 검사를 통해 발견될 수 있다.[71] 혈액 세포만 교환된 경우는 혈액 키메라라고 한다.[189]
  • '''기생 쌍둥이''': 쌍둥이 중 한쪽 태아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고 다른 건강한 태아에게 붙어 기생하는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이다. (자세한 내용은 #기생 쌍둥이 및 #부분 몰 쌍둥이 참조)
  • '''유산된 쌍둥이''': 임신 중 쌍둥이 중 한 명만 유산되고 다른 태아는 계속 성장하여 출생하는 경우이다. (자세한 내용은 #유산된 쌍둥이 참조)
  • '''쌍태아 수혈 증후군 (TTTS)''': 주로 하나의 태반을 공유하는 일란성 쌍둥이(1융모막성 쌍둥이)에게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태반 내 혈관을 통해 한 태아에서 다른 태아로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흘러가 양쪽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쌍태아 수혈 증후군 참조)
  • '''무심체 쌍태 (Acardiac Twin / TRAP sequence)''': 1융모막성 쌍둥이 임신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물고 심각한 합병증으로, 한쪽 태아의 심장이 발달하지 않거나 기능하지 않아 다른 태아에게 기생하는 형태이다. 이는 기생 쌍둥이의 일종이자 쌍태아 수혈 증후군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208][211]
  • '''사산''': 임신 20주 이후 태아가 사망하는 것으로, 쌍둥이 임신은 단태 임신보다 사산 위험이 높다. 특히 임신 후기에는 위험이 증가하여 38주 이후 제왕 절개나 유도 분만을 고려하기도 한다.[74] (자세한 내용은 #사산 참조)
  • '''이소성 임신''': 한 태아는 정상적으로 자궁에 착상하고 다른 태아는 자궁 외(주로 나팔관)에 착상하는 매우 드문 경우이다. 자궁 외 임신은 산모에게 위험하므로 치료가 필요하지만, 자궁 내 태아는 살릴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이소성 임신 참조)
  • '''태아 발육 부전 및 불균형 (Discordant twins / sIUGR)''': 쌍둥이 간의 체중 차이가 현저하게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는 출산 시기 결정 등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212]
  • '''모체 합병증 증가''': 쌍둥이 임신은 단태 임신에 비해 산모에게도 부담이 커서 임신 고혈압 증후군, 양수 과다증, 빈혈, 정맥 혈전 색전증 등의 발생 위험이 높다.
  • '''출산 난민 문제''': 쌍둥이 임신, 특히 1융모막성 쌍둥이와 같이 고위험으로 분류되는 경우, 진료 및 분만이 가능한 NICU를 갖춘 병원을 찾기 어려워 '출산 난민'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214]

6. 1. 소실 쌍둥이

연구자들은 전체 임신의 약 8분의 1 정도가 다태아로 시작하지만, 이 중 한 태아가 임신 초기에 사망하여 단일 태아만 만삭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고 추정한다.[70] 임신 초기에 시행하는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에서 추가적인 태아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이 태아는 더 이상 발달하지 못하고 자궁 내에서 소멸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사라지는' 태아는 다른 태아나 태반, 또는 모체에 흡수되는 등 여러 이유로 소실된다. 이러한 현상을 소실 쌍둥이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또한, 알려지지 않은 비율로 두 개의 수정란이 수정 직후 융합되어 단일 키메라 배아, 그리고 나중에는 태아가 될 수도 있다.

6. 2. 기생 쌍둥이

쌍둥이 태아 중 한쪽이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고 생존한 쌍둥이에게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불완전하게 발달한 태아는 다른 태아에게 기생하는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기생하는 쪽의 쌍둥이는 다른 쌍둥이 몸의 일부처럼 거의 구별할 수 없는 부분이 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 의학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6. 3. 부분 몰 쌍둥이

매우 희귀한 기생 쌍둥이 유형 중 하나로, 생존 가능한 한쪽 쌍둥이가 다른 접합자가 성, 즉 "부분 몰" 상태가 되어 위험에 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부분 몰 접합자의 세포 분열이 통제되지 않고 계속되어, 생존 가능한 태아를 압도하는 암성 종양으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황은 한쪽 쌍둥이가 삼배수성 또는 완전한 부계 단일 부모 염색체 이수성을 갖게 될 때 발생한다. 이 경우, 해당 접합자는 태아 발달이 거의 또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포도송이 모양을 닮은 암성의 과성장된 태반 조직이 형성된다.

6. 4. 유산된 쌍둥이

때로는 임신 초기에 쌍둥이 중 한 명이 유산되더라도 임신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즉, 한쪽 태아는 유산되었지만 다른 한쪽 태아는 만삭까지 성장하여 무사히 태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소실 쌍둥이 증후군과 비슷하지만, 유산된 태아가 흡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임신 후반기에 발생한다.

6. 5. 저체중 출생

쌍둥이는 저체중 출생으로 태어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자궁의 크기 한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은 쌍둥이는 평균적으로 일반 단생아에 비해 3주 정도 빨리 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조산이 저체중 출생의 주된 원인이 된다. 쌍둥이의 절반 이상이 약 2.49kg 미만으로 태어나며, 이는 건강한 아기의 평균 출생 체중인 약 2.72kg에서 약 3.63kg 사이와 비교된다.[72]

조산과 저체중 출생, 특히 약 1.59kg 미만으로 태어난 아기는 시력 및 청력 손실, 정신 지체, 뇌성마비와 같은 여러 건강 관련 문제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73] 아기의 출생 체중이 감소할수록 잠재적인 합병증의 가능성도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미숙아로 태어난 쌍둥이는 특별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출생 시점에는 인공 호흡이나 호흡 지원이 필요한 쌍둥이가 단태아보다 많다. 그러나 그 외 다른 처치가 필요한 증상에 대해서는 쌍둥이와 단태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조산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제외하면, 쌍둥이와 단태아의 생존 능력 자체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시사한다.

출생 후 운동 능력 발달을 보면, 저체중아로 태어난 쌍둥이와 표준 체중아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수정 월령(임신 기간을 고려한 나이)을 기준으로 쌍둥이 저체중아의 운동 발달을 조사한 결과, 저체중 단태아에 비해 걷기 시작하는 시기가 오히려 빠른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6. 6. 쌍태아 수혈 증후군

쌍태아 수혈 증후군(TTTS) 그림. 한 태아는 양수가 많아 보이고 다른 태아는 양막에 의해 몸이 압박된 모습이다.


단일 융모막성 쌍둥이는 하나의 태반을 공유하기 때문에 쌍태아 수혈 증후군(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TTTS)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태반에 있는 혈관을 통해 한쪽 태아의 혈액이 다른 쪽 태아에게 비정상적으로 많이 흘러 들어가는 상태를 말한다.

혈액을 주는 쪽 태아(공여자)는 혈액 부족으로 성장이 더디고 빈혈 상태에 빠지기 쉬우며 양수 과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혈액을 받는 쪽 태아(수혜자)는 혈액 과다로 몸이 붓고 심장에 부담이 커지며 적혈구 증가증, 양수 과다증 등을 보일 수 있다. 이 증후군은 치료하지 않으면 두 태아 모두에게 매우 위험하며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드물지만 이란성 쌍둥이이면서 태반을 공유하는 경우(이란성 일융모막성 쌍태)에도 쌍태아 수혈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188] 또한, 무심체 쌍태아는 쌍태아 수혈 증후군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211]

6. 7. 사산

사산임신 20주 이후 태아가 사망하는 경우를 말한다. 사산에는 자궁 내 사망과 분만 중 사망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자궁 내 사망은 임신 후기에 아기가 사망하는 경우이며, 분만 중 사망은 더 흔하게 발생하며 산모가 출산하는 동안 아기가 사망하는 경우이다. 사산의 원인은 종종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지만, 쌍둥이 및 다태아 출산에서 사산아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쌍둥이의 경우, 임신 38주 이후에는 사산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시점 이후 제왕 절개 또는 유도 분만을 권장하기도 한다.[74]

6. 8. 이소성 임신

이소성 임신은 매우 드문 형태의 이란성 쌍둥이 임신이다. 이 경우, 한쪽 쌍둥이는 정상적으로 자궁에 착상하지만, 다른 한쪽은 자궁외 임신으로 나팔관 등에 남아 있게 된다. 자궁외 임신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궁 내에 정상적으로 착상한 태아는 살릴 수 있다.

7. 출산 관리

쌍태 임신은 단태 임신에 비해 조산 가능성이 높다. 이는 모체의 자궁 용적이 태아들의 체중 및 체적 증가에 물리적인 제약이 되어 임신 지속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179] 개인차는 있지만, 보통 임신 34주에서 36주 사이에 출산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단태 임신보다 빠른 시기이다.[179] 조산은 신생아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쌍태 임신 시에는 신중한 관리가 요구된다. 대한민국의 근로기준법 제65조는 다태 임신의 경우, 단태 임신(출산 전 6주)보다 긴 출산 전 14주의 출산 휴가를 보장하고 있다.

쌍태 임신의 관리는 양막의 종류, 즉 막성(膜性)에 따라 달라진다. 막성은 임신 중 주의사항과 관리 방침에 영향을 미치며, 출생 전 태아의 난성(일란성/이란성)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막성은 융모막과 양막의 수에 따라 구분되며, 특히 태반 수를 결정하는 융모막의 차이가 중요하다. 정확한 막성 진단은 임신 초기(9주~11주경)에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성에 따른 쌍태 임신의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2융모막 2양막성 쌍태아''': 태반과 양막이 각각 두 개이다. 이란성 쌍둥이의 거의 대부분과 일란성 쌍둥이의 약 25%가 여기에 해당한다. 각 태아가 독립된 환경에 있으므로 합병증 위험이 비교적 낮다.

2융모막 2양막성 쌍태아

  • '''1융모막 2양막성 쌍태아''': 태반은 하나지만 양막은 두 개로 분리되어 있다. 일란성 쌍둥이의 약 75%가 해당한다. 태반을 공유하기 때문에 혈관 문합을 통해 한 태아에서 다른 태아로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쌍태아 수혈 증후군(TTTS)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세심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188] 드물게 이란성 쌍둥이도 1융모막성일 수 있다.[183][184][185][186]

1융모막 2양막성 쌍태아

  • '''1융모막 1양막성 쌍태아''': 태반과 양막을 모두 공유한다. 일란성 쌍둥이의 약 1%에서 나타난다. 같은 양막 안에 두 태아가 있어 탯줄이 서로 얽히는 등의 위험이 매우 높아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된다.


쌍둥이 임신에서는 사산의 위험을 고려하여 분만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38주 이후에는 사산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시점 이후에는 제왕 절개나 유도 분만을 권장하는 경우가 많다.[74] 건강한 쌍둥이 임신에서 두 태아 모두 머리가 아래를 향한(두위) 상태라면, 37주에서 38주 사이에 질식 분만을 시도하는 것이 권장된다.[76][75] 이 경우 질식 분만이 제왕 절개에 비해 신생아 예후를 악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6] 태반을 공유하는 쌍둥이(1융모막성 쌍태아)는 합병증 위험 때문에 36주경에 분만을 고려할 수 있다.[79]

분만 방법은 태아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첫째 태아가 두위가 아닌 경우(둔위 등)에는 제왕 절개를 권장하는 경우가 많다.[76] 첫째는 두위지만 둘째가 두위가 아닌 경우에는 최적의 분만 방법에 대해 논의가 있다.[76] 실제 분만에서는 제왕 절개 비율이 높은 편으로, 2008년 미국에서는 쌍둥이 임신의 75%가 제왕 절개로 분만되었다는 추정이 있다.[77] 이는 일반적인 단태 임신의 제왕 절개율(지역 및 병원에 따라 14%에서 40% 사이[78])과 비교할 때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쌍둥이 분만 시 두 아이 사이의 출생 간격도 관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독일에서 4,110건의 쌍둥이 질식 분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67]에 따르면, 평균 분만 간격은 13.5분이었고, 75.8%가 15분 이내에 태어났다.[68] 분만 간격이 길어질수록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68], 해당 연구는 합병증의 구체적인 원인이나 의료진의 숙련도 등 다른 요인을 통제하지는 않았다. 드물게는 며칠 간격을 두고 쌍둥이가 태어나는 경우도 있으며, 세계 기록은 97일 간격(독일, 2018년)이다.[69]

조산으로 태어난 쌍둥이의 경우, 안정된 상태에서 같은 침대나 인큐베이터에 함께 두는 것(코베딩, co-bedding)의 이점이나 위험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의학적 근거가 확립되지 않았다.[80]

8. 쌍둥이 연구

쌍둥이 연구(Twin study)는 특정 특성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어느 쪽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기 위해 활용된다. 이 연구는 주로 의학, 유전학, 심리학적 특성을 대상으로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를 비교하여, 유전적 영향과 후성유전적환경적 영향을 구분하고자 한다. 특히, 출생 직후 분리되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쌍둥이들은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고전적인 쌍둥이 연구는 최근 개별 유전자를 식별하는 분자 유전학 연구로 보완되고 있다.

쌍둥이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상가적 유전(A), 공유 환경(C), 비공유 환경(E) 요인을 분석하는 ACE 모델이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 상가적 유전(A)은 좁은 의미의 유전율을 의미하며, 모델에 따라 비상가적 유전(D) 요인이 포함되기도 한다.

쌍둥이 연구의 몇 가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출생 체중 차이: 출생 시 체중 차이가 있었던 쌍둥이(762쌍)를 2세에서 9세까지 추적 조사한 연구[224]에 따르면, 출생 시 체중 차이는 이후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20% 이상 체중 차이가 났던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약간의 발달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상당수에서 체중 차이가 역전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 후성유전학적 차이: 일란성 쌍둥이는 동일한 DNA를 가지지만, 각자 다른 환경적 영향을 받으며 살아간다. 이러한 환경적 영향은 유전적 소질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후성유전적(epigenetic) 변이라고 한다. 즉, 쌍둥이의 유전자형은 동일하더라도 표현형은 환경의 영향을 받아 후천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3세에서 74세 사이의 일란성 쌍둥이 80쌍을 대상으로 한 연구[260]에 따르면, 어린 쌍둥이일수록 후성유전적 차이가 적었지만, 나이가 들수록 그 차이는 증가하여 50세 쌍둥이는 3세 쌍둥이보다 3배 이상의 후성유전적 차이를 보였다. 특히 떨어져 자란 쌍둥이에게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2021년 아이슬란드 연구팀은 ''네이처 제네틱스''에 일란성 쌍둥이라도 배아 발달 초기 단계에서부터 유전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39][40]
  • 질적 형질의 일치율: 쌍둥이 간의 질적 형질 유사성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일치율이 사용된다. 조 일치율(pair concordance)은 형질이 일치한 쌍 (X)과 불일치한 쌍 (Y)을 기준으로 X/(X+Y)로 계산되며, 발단자 일치율(proband concordance)은 2X/(2X+Y)로 계산되어 개인 단위의 일치율을 나타낸다.
  • 기본적인 연구 기법: 서로 다른 환경에 놓인 일란성 쌍둥이를 관찰하여 다양한 효과를 조사한다. 예를 들어, NASA는 일란성 쌍둥이 우주비행사 마크와 스코트 켈리 중 한 명은 1년간 우주에, 다른 한 명은 지상에 머무르게 하여 우주 체류가 게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261] 역사적으로는 스웨덴구스타브 3세가 18세기 후반, 쌍둥이에게 각각 커피홍차만 마시게 하여 커피의 유해성을 조사하려 했다는 일화(구스타프 3세의 커피 실험)도 전해진다.
  • 식품 기호: 음식 기호에 대한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들에 따르면, 일란성 쌍둥이의 기호 일치성이 이란성 쌍둥이보다 높아 유전적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262] 특히 동물성 단백질 식품에 대한 유전적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상관계수 0.78), 디저트류에서는 약하게(0.20), 채소나 과일에서는 중간 정도(각각 0.37, 0.51)의 영향을 보였다.[263] 반면, 쌍둥이가 각자 겪는 비공유 환경 체험의 영향이 크다는 연구 결과[264][265]도 존재한다.
  • 왼손잡이: 쌍둥이는 단생아보다 왼손잡이 비율이 유의하게 높으며[266][267], 이는 주로 유전적 영향으로 추정된다.[268] 1996년 연구[269]에서는 쌍둥이의 오른손잡이 비율 자체는 단생아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첫째가 둘째보다 왼손잡이인 경우가 더 많았고, 남성 일란성 쌍둥이에서 왼손잡이 비율이 남성 이란성 쌍둥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여성 쌍둥이에서는 난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개별 인격: 영국에서 2세 쌍둥이 5,206쌍을 조사한 연구[270]에 따르면, 모방 능력 등 개별적인 능력 차이는 유전 30%, 공통 환경 40%, 개별 환경 30%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위험 선호: 경제적 위험 감수 성향(위험 선호 또는 회피)에 대한 2009년 연구[271]에서는 일란성 쌍둥이의 태도 유사성이 이란성 쌍둥이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장 환경의 영향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복제수 변이 (CNV): 19쌍의 일란성 쌍둥이를 조사한 연구[272][273]에서, 신경증 유무 등 표현형에 차이가 있는 9쌍 모두에게서 후천적인 DNA 배열 차이(염색체 결실)나 복제수 변이(CNV)가 확인되었다. 이는 동일한 유전자로 시작했더라도 성장 과정에서 CNV 차이가 발생하고 커지면서 질병 감수성 등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홍채 색깔: 극히 드물지만, 동일한 DNA 염기 서열을 가진 일란성 쌍둥이 사이에서도 눈의 홍채 색깔이 다른 경우가 보고되었다. 홍채 색 결정에는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학력과 유전: 스웨덴[274]과 영국[275]의 연구에서는 수학 능력 등 기초 학력에서 유전적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 도쿄 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조사[276]에서는 사회, 물리 과목에서 유전적 영향이 강했지만 국어, 수학 등 다른 과목에서는 공유 환경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각국의 교육 과정 차이 때문일 수 있다.
  • IQ: 다나카-비네 지능 검사를 이용한 연구[278]에서는 일란성 쌍둥이 간의 IQ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아래 표는 관계에 따른 IQ 상관 계수를 보여준다.


관계IQ 상관 계수
일란성 (동거)0.87
일란성 (별거)0.75
이란성0.53
형제 (동거)0.49
부모-자식0.50
양부모-자식0.20
무관계 (동거)0.23
무관계 (별거)-0.01


  • 민간 유전자 검사: 민간 유전자 검사 키트를 사용했을 때, 일란성 쌍둥이라도 결과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특히 조상 찾기 검사의 경우, 같은 회사 검사에서는 비교적 높은 일치율을 보이지만, 다른 회사 결과와의 일치율은 낮아질 수 있다(52.7%-84.1%).[277] 이는 검사 기관의 데이터베이스 및 분석 알고리즘 차이 때문이다.

9. 특이한 쌍둥이



일란성 쌍둥이는 배아 발달 과정에서 수정란이 분리되는 시점에 따라 자궁 내 환경이 달라진다. 대부분의 경우 수정 후 8일 이내에 분리가 일어나지만, 분리가 늦어질수록 특이한 형태의 쌍둥이가 나타날 수 있다.

매우 드문 경우로, 배아 발달 14일 이후에 수정란 분열이 일어나면 신체 일부가 결합된 결합 쌍둥이가 태어날 수 있다.[45] 결합 쌍둥이는 장기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생존에 여러 어려움을 겪으며 사망률이 높다.

또한, 수정 후 9일 이후에 분열이 일어나면 하나의 양막 안에 두 태아가 함께 자라는 단융모막성-단양막성(MoMo) 쌍둥이가 된다.[47] 이는 전체 일란성 쌍둥이 임신의 1~2%에 불과하며, 항상 일란성이다.[46][50] 단양막성 쌍둥이는 같은 양막과 태반을 공유하기 때문에 쌍태아 수혈 증후군의 위험이 있으며, 두 태아의 탯줄이 서로 얽힐 가능성이 높아 생존율이 50~60% 정도로 낮다.[50][51] 탯줄 얽힘은 태아에게 산소 공급을 방해하여 뇌성마비와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거나 유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출생 성비는 남아의 비율이 약간 높지만(106:100), 쌍둥이의 경우 남아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102:100)을 보인다.[158] 특히 단융모막성-단양막성 쌍둥이의 경우 남아 쌍둥이의 출생률이 더욱 낮아지는 특이한 현상이 보고되기도 했다.[159][160] 이는 일란성 쌍둥이 형성 과정에서의 X 염색체 비활성화 등 복잡한 생물학적 요인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61]

9. 1. 이부 이란성 쌍둥이

이부 이란성 수정은 아버지가 다른 이란성 쌍둥이가 태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1992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친자 확인 소송에 연루된 부모를 둔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이부 이란성 수정의 빈도는 약 2.4%로 추정된다.

9. 2. 혼혈 쌍둥이

혼혈 부부에게서 태어난 이란성 쌍둥이는 때때로 서로 다른 민족적, 인종적 특징을 가지고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쌍둥이를 혼혈 쌍둥이라고 부른다. 1993년 런던에서 백인 어머니와 카리브해 출신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가 대표적인 사례이다.[81]

9. 3. 이성 일란성 쌍둥이

일란성 쌍둥이 중에서는 극히 드문 경우로 성별이 다른 쌍둥이(남아 1명, 여아 1명)가 태어나기도 한다.[82] 일란성 쌍둥이의 성별이 다른 것은 염색체 결함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성별이 다른 다태아는 일반적으로 산모의 자궁 내 임상적 판단에서 이들이 일란성 쌍둥이가 아니라는 확실한 근거로 받아들여진다.

성별이 다른 일란성 쌍둥이가 태어날 수 있는 또 다른 기형으로는, 난자가 남성 정자에 의해 수정되었으나 세포 분열 과정에서 X 염색체만 복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상적인 남성(XY) 1명과 터너 증후군을 가진 여성(45,X) 1명이 태어나게 된다.[83] 이 경우 쌍둥이는 동일한 수정란에서 형성되었지만, 서로 다른 핵형을 가지므로 유전적으로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9. 4. 반일란성 (세스키자이고틱) 쌍둥이

일란성 쌍둥이와 달리 유전자가 다르게 활성화되어 다르게 발달하는 경우도 있다.[84] 더 드문 경우로는 "반일란성 쌍둥이"가 있으며, "세스키자이고틱(sesquizygotic)"이라고도 불린다. 2019년 기준으로 현재까지 단 두 건의 사례만 보고되었다.[89][85]

마일스 시티, 몬태나에 있는 헤리퍼드 품종의 쌍둥이 송아지


반일란성 쌍둥이는 하나의 난자가 두 개의 정자에 의해 동시에 수정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정된 세포는 이형성생식이라는 과정을 통해 염색체를 정렬하고, 두 개의 세포로 분열된다. 이 과정을 거치면 각 딸세포는 정상적인 수의 염색체를 갖게 된다. 이후 세포는 계속 분열하여 상실배 단계로 발달한다. 만약 이 상실배가 쌍둥이 형성 과정을 거치게 되면, 모계 유전자는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부계 유전자를 가진 두 개의 배아가 만들어진다.[86]

2007년 연구에서는 이러한 반일란성 쌍둥이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 쌍둥이는 동일한 모계 염색체 세트를 공유했지만, 부계 염색체 세트는 서로 달랐다. 다만, 두 부계 염색체 세트 모두 같은 남성에게서 유래했으므로, 아버지의 유전적 구성 중 절반을 공유할 가능성이 높았다. 쌍둥이는 모두 키메라 현상을 보였는데, 한 명은 간성으로 XX 염색체를 가졌고, 다른 한 명은 XY 남성이었다. 수정이 정확히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구진은 극체 쌍둥이의 경우는 아닐 것이라고 결론지었다.[87][88]

반일란성 쌍둥이의 유력한 유전적 기반은 2019년 마이클 T. 개베트와 니콜라스 피스크에 의해 보고되었다. 이들의 연구는 반일란성 쌍둥이의 두 번째 사례를 기록하고, 그 현상에 대한 분자적 증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었다.[89] 보고된 쌍둥이는 모계 염색체를 100% 공유했고, 부계 유전 정보는 78%를 공유했다. 연구자들은 같은 남성에게서 나온 두 개의 정자가 동시에 하나의 난자를 수정시켰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수정 후 염색체는 이형성생식을 통해 정렬되어 세 종류의 세포 계통을 형성했다. 이 중 순수한 부계 세포 계통은 게놈 각인 문제로 인해 생존하지 못하고 사멸했다. 남은 두 세포 계통은 동일한 모계 DNA를 가졌지만 부계 DNA는 50%만 동일하게 가진 채로 상실배를 형성했고, 이 상실배가 이후 분열하여 쌍둥이가 되었다.[89][90]

9. 5. 거울상 쌍둥이

수정란이 정상적인 시점보다 늦은, 대략 수정 후 9~12일 사이에 분리될 때 거울상 쌍둥이가 발생한다.[91] 이 시기는 일란성 쌍둥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수정란 분리가 다소 늦게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한다.

거울상 쌍둥이는 이름 그대로 서로 거울에 비춘 것처럼 신체의 비대칭적인 특징들이 반대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한 명이 오른손잡이라면 다른 한 명은 왼손잡이일 수 있으며, 치아의 배열이나 머리카락의 가마 방향 등이 반대일 수 있다. 드물게는 심장이나 다른 내부 장기의 위치가 좌우 반전되는 내장 역위증과 같은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91] "거울 이미지"라는 용어는 쌍둥이가 서로 마주볼 때 마치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보이기 때문에 사용된다.[93]

수정란의 분리가 12일보다 더 늦어지면, 신체가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고 일부가 붙은 상태로 태어나는 결합 쌍둥이가 될 위험이 있다.[91] 현재로서는 특정 쌍둥이가 거울상 쌍둥이인지 여부를 유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DNA 기반 검사 방법은 없다.[92]

10. 언어 발달

쌍둥이와 외둥이의 언어 발달을 비교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들은 쌍둥이가 외둥이보다 언어 발달 지연을 더 많이 겪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지었다.[94] 이러한 현상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잠어(idioglossia)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했다.[95] 개별 언어(cryptophasia)는 어린아이들, 특히 쌍둥이가 만들어 사용하는 사적인 언어로 정의된다. 사람들이 흔히 '쌍둥이 말'이라고 부르는 것은 쌍둥이끼리만 통하는 언어인 잠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쌍둥이 사이의 긴밀한 의사소통은 때때로 주변 사회 환경과의 교류를 줄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개별 언어는 드물게 나타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잠어나 개별 언어가 드문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최근 연구는 쌍둥이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더 풍부한 사회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의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96]

유아기 쌍둥이는 단태아(외둥이)에 비해 언어 발달이 늦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남자 쌍둥이에게서 이러한 지연이 더 뚜렷하게 관찰된다. 여자 쌍둥이의 경우 언어 발달 지연이 명확하지 않거나, 있더라도 그 정도가 크지 않다.[228] 한 연구에 따르면, 생후 30개월 된 남자 쌍둥이는 단태아나 여자 쌍둥이에 비해 표현 언어에서 약 8개월, 언어 이해에서 약 6개월, 역할 놀이에서 약 5개월 정도의 발달 지연을 보였다.[229] 흔히 쌍둥이끼리만 통하는 '비밀 언어' 또는 '쌍둥이 언어'[230](예: 쌍둥이 사이에서 특정 언어가 변형되어 사용되는 경우, 크리올 언어와 유사한 형태)가 언어 발달 지연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하지만, 설령 이러한 의사소통 수단이 존재하더라도 실제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231]

4세 쌍둥이 34쌍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여자 쌍둥이가 언어 및 운동 능력에서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러한 성별 차이보다는 출생 시 체중 차이가 능력 차이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출생 시 체중 차이에 따른 영향도 절대적으로 큰 것은 아니었다. 또한,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 여부에 따른 언어 및 운동 능력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232]

11. 동물

사람 외 동물의 이란성 쌍둥이는 고양이, , , 박쥐, 침팬지, 사슴 등 여러 동물 종에서 흔히 나타난다. 이는 동물이 한배 새끼를 낳는 현상과는 구분되는데, 한 배 새끼는 배란 주기 동안 여러 개의 난자가 배출되어 두 마리 이상의 새끼를 낳는 경우를 말한다. , 염소, 사슴과 같은 종은 이란성 쌍둥이를 낳는 경향이 더 높은데, 이는 한 배에 여러 마리를 낳는 능력과는 별개로, 쌍둥이 발생에 영향을 주는 특정 대립 유전자를 가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동물계의 일란성 쌍둥이 사례는 드물지만 여러 차례 기록되었다. 2016년, 아이리시 울프하운드의 제왕절개 수술 중 단일 태반을 공유하는 일란성 강아지 쌍둥이가 발견되었다. 남아프리카의 과학자들은 이것이 DNA 프로파일링을 통해 확인된 개에서의 첫 일란성 쌍둥이 보고라고 밝혔다. 또한, 아르마딜로는 일란성 네 쌍둥이를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때로는 한 번의 번식 주기 동안 두 쌍의 일란성 쌍둥이를 낳기도 한다. 아르마딜로의 이러한 현상은 근친교배를 방지하는 진화적 적응으로 여겨진다. 아르마딜로 새끼는 번식기가 되면 형제자매와의 짝짓기를 피해 짝을 찾아 둥지를 떠나야 하는데, 일란성 쌍둥이는 이러한 근친교배를 막고 새끼들이 둥지를 떠나도록 유도하여 종의 유전적 변이를 늘리고 서식 범위를 넓히는 데 기여한다.

새끼에게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수명이 긴 대형 포유류는 번식 주기가 길고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만 낳는 경향이 있다. 기린, 코끼리, 하마와 같은 종에서 쌍둥이를 낳는 경우가 드문 것은 이러한 자연 선택을 통해 진화한 적응 행동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 카르나타카주의 반디푸르 호랑이 보호 구역에서 코끼리가 일란성 쌍둥이를 낳은 드문 사례가 기록되었다. 전문가들은 새끼를 키우는 데 많은 투자가 필요한 종에게 쌍둥이 양육은 어렵기 때문에 쌍둥이 발생률이 낮다고 설명한다. 이는 자연 상태에서 대형 포유류의 쌍둥이가 드문 이유를 보여주는 동시에, 인간의 보살핌을 받는 동물들 사이에서는 쌍둥이 출산 경향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경향 증가는 유전자 부동에 의한 무작위적 돌연변이나, 인간이 관리하는 환경에서 쌍둥이를 낳는 특성이 유리하게 작용하여 선택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인간이 제공하는 먹이와 의료 혜택으로 자연적 위협이 줄어들면서, 보호 구역이나 동물원 등에서 사는 동물들은 오랜 세대에 걸쳐 자연 선택된 특성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쌍둥이를 잘 낳지 않는 대형 포유류도 인간이 관리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쌍둥이를 낳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종에서 쌍둥이를 낳는 경향이 높은 것은 해당 종의 새끼 사망률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새끼 사망률이 낮은 통제된 환경에 사는 종은 "쌍둥이 특성"의 빈도가 증가하여 쌍둥이를 낳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인도 코끼리 쌍둥이 사례 역시 인간의 관리 하에서 쌍둥이 특성이 새롭게 선택된 결과일 수 있다.

몸집이 작고 번식 주기가 빠른 동물들은 포식자의 위협이 크고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쌍둥이를 낳는 경향이 높다. 과학자들은 진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강한 자연 선택 압력을 받은 시기에 쌍둥이 출산율이 높아진 종들에 주목한다. 애기박쥐과(Vespertilionidae)와 꼬리감는원숭이과(Cebidae) 동물 연구를 통해, 나이가 많아 번식력이 떨어지거나, 포식자 증가 또는 인간의 간섭 등으로 강한 자연 선택 압력을 받는 작은 동물일수록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음이 밝혀졌다. 박쥐 연구에 따르면, 애기박쥐과 박쥐들은 높은 곳에 둥지를 트는 습성 때문에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높다. 계통 발생학적 추적 결과, 이 박쥐들의 공통 조상은 쌍둥이를 낳는 경향이 높았으며, 이 특성은 진화 과정에서 여러 번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박쥐 분류군은 쌍둥이 특성을 잃었지만, 애기박쥐과는 특정 환경 조건으로 인한 돌연변이와 자연 선택 덕분에 쌍둥이를 낳는 특성을 높은 빈도로 유지했다. 애기박쥐과의 둥지는 높고 노출된 곳에 있어 사망률이 높았는데, 자연 선택은 높은 쌍둥이 출산율을 선호하여 이러한 위험을 상쇄했고, 결과적으로 애기박쥐과는 쌍둥이를 낳는 능력이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번식 성공률도 높아졌다. 이는 애기박쥐과가 높은 사망률 위험에도 불구하고 이란성 쌍둥이라는 진화적 적응을 통해 환경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원숭이의 이란성 쌍둥이는 번식기 후반에 있는 어미에게 일종의 '보험'과 같은 진화적 적응으로 여겨진다. 고릴라침팬지 같은 종에서도 이란성 쌍둥이가 관찰되지만, 꼬리감는원숭이과 원숭이들은 작은 몸집과 곤충 위주의 식단 때문에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더 높다. 작은 몸집은 임신 기간이 짧고 새끼가 빨리 성장함을 의미하며, 이는 세대 교체가 빠른 짧은 수명으로 이어진다. 또한, 작은 몸집은 포식자에게 더 취약하게 만들어 출생, 성장, 번식, 죽음의 속도를 빠르게 한다. 한편, 곤충 식성은 풍부한 먹이 자원을 활용하여 번식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 따라서 꼬리감는원숭이과처럼 몸집이 작고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원숭이는 더 빠른 속도로 더 많은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꼬리감는원숭이과에서는 나이 든 어미가 번식 초기의 어미보다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먹이 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꼬리감는원숭이과는 작은 몸집 때문에 사망률이 높아, 빠른 생애 주기를 유지하고 다음 세대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수의 새끼를 낳아야 한다. 쌍둥이를 낳는 적응은 나이 든 어미가 한 번에 여러 새끼를 낳을 기회를 제공하여 높은 사망률을 상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새끼 중 최소 한 마리 이상이 번식 가능한 성체로 자랄 확률을 높이고, 어미가 나이가 들어도 최소 한 마리의 생존 가능한 새끼를 남길 가능성을 높여준다. 짧은 생애 주기 때문에 꼬리감는원숭이과는 번식기 후반에 이란성 쌍둥이를 낳는 경향이 더 강하며, 이는 쌍둥이를 낳는 특성이 이 과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유전됨을 시사한다.

12. 쌍둥이와 관련된 문화 및 사회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출산 약 90건 중 1건(1.1%) 정도가 쌍둥이 임신으로 이어진다.[54] 이란성 쌍둥이의 출산율은 민족과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55] 반면, 일란성 쌍둥이의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약 333명 중 1명 수준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아프리카계 인종에게서 쌍둥이 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65]

현대에 들어서는 배란 유도제와 같은 보조생식술의 발달로 다태 임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일부에서는 "다태 임신 유행"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2001년에 쌍둥이 출산율이 전체 출산의 3%를 넘어서기도 했다.

쌍둥이에 대한 문화적 인식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쌍둥이 출생률이 높은 일부 문화권에서는 쌍둥이를 특별하거나 신성하게 여기기도 하지만[254], 다른 문화권에서는 미신적인 이유로 기피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쌍둥이에 대한 인식은 특정 지역 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259]

한편, 쌍둥이 연구는 의학, 유전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방법으로 활용된다. 특히 일란성 쌍둥이를 대상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인간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발달과 행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태어나자마자 다른 환경에서 자란 일란성 쌍둥이(별거 쌍둥이)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사례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후생유전학적 변화, 즉 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졌더라도 환경의 영향으로 표현형이 달라지는 현상을 밝히는 데도 도움을 준다.[260]

12. 1. 신화 및 전설 속 쌍둥이

신화나 전설 속에는 수많은 쌍둥이가 등장한다. 신화에 등장하는 쌍둥이 신들은 선과 악처럼 서로 대립하는 이원적인 존재로 그려지거나, 로물루스와 레무스처럼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 경쟁하는 상극의 대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79] 때로는 쌍둥이 사이에 능력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남녀(프레이프레이야), 태양과 달(아폴론아르테미스), 인간과 신(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처럼 서로를 보완하는 존재나, 하나의 통일된 존재가 가진 양면성 또는 양극성을 상징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280]

다음은 신화 및 전설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쌍둥이들이다.

  • 프레이프레이야: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쌍둥이 남매이다.
  • 아폴론아르테미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쌍둥이 남매이다.
  • 디오스쿠로이(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복형제 쌍둥이이다. 이들은 쌍둥이자리알파(α)별베타(β)별이 되었다. 이들의 자매인 헬레네클리타임네스트라 역시 쌍둥이이다. (카스토르와 클리타임네스트라, 폴리데우케스와 헬레네가 각각 같은 아버지를 둔 쌍둥이라는 설도 있다.)
  • 로물루스와 레무스: 로마의 건국 전설에 등장하는 쌍둥이 형제이다.
  • 메타트론과 산달폰: 유대교 전승에 등장하는 쌍둥이 천사이다.
  • 오오우스노미코토와 야마토 타케루: 일본의 고지키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황족 쌍둥이이다. 동생인 야마토 타케루(오우스노미코토)는 용감하고 형 오오우스노미코토는 겁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오오우스노미코토를 모시는 사루나게 신사에는 그가 왼손잡이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2. 2. 이야기 속 쌍둥이

신화나 전승에는 수많은 쌍둥이가 등장한다. 신화 속 쌍둥이는 선과 악처럼 서로 대립하는 이원적인 존재나, 로물루스와 레무스처럼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 다투는 상극의 대상으로 그려지기도 한다.[279] 쌍둥이 사이에 능력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프레이프레이야처럼 남녀로, 아폴론아르테미스처럼 태양과 달로, 혹은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처럼 인간과 신으로 설정되어 서로를 보완하는 존재나 양극단의 대립, 또는 하나의 통일된 존재가 지닌 양면성을 상징하기도 한다.[280]

  • 프레이프레이야: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쌍둥이 남매이다.
  • 아폴론아르테미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쌍둥이이다.
  • 디오스쿠로이(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복형제 쌍둥이이다. 이들은 쌍둥이자리α별β별이 되었다. 이들의 자매인 헬레네클리타임네스트라 역시 쌍둥이이다. (카스토르와 클리타임네스트라, 폴리데우케스와 헬레네가 각각 같은 아버지를 둔 쌍둥이라는 설도 있다.)
  • 로물루스와 레무스: 고대 로마 건국 전설에 등장하는 쌍둥이이다.
  • 메타트론과 산달폰: 유대교 전승에 등장하는 천사로, 쌍둥이이다.
  • 오오우스노미코토와 오우스노미코토: 일본 신화의 고지키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황족이다. 쌍둥이 형제로, 동생 오우스노미코토는 용감하고 형 오오우스노미코토는 겁이 많다고 묘사된다. 오오우스노미코토를 모시는 사루나게 신사에는 그가 왼손잡이였다는 전승이 있다.

12. 3. 현실의 유명인 쌍둥이

쌍둥이 유명인 목록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12. 4. 다태 육아에 대한 사회적 계몽, 기념일, 기념 주간 등

; 트윈스 데이즈 페스티벌(The Twins Days Festivaleng)

: 매년 8월 첫 번째 주말에 미국 오하이오주 서밋 카운티의 트윈스버그에서 열리는 쌍둥이 및 다태아와 그 가족들을 위한 축제이다.[240] 이 행사에서는 다양한 기업과 연구 기관이 쌍둥이에 관한 연구 조사 부스를 설치하기도 한다.[241]

; 국제 다태아 인식 주간

: 국제 다태아 조직 협의회(ICOMBO)가 격년으로 11월 중 특정 1주일을 지정하여 개최하는 국제적인 계몽 주간이다. 다태아 출산 및 육아와 관련된 과제와 노력, 다태아 가정의 문제와 권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242] 일본에서는 이 주간을 참고하여 매년 11월 중에 다태아 관련 사업을 여는 경우가 많으며, 오사카 대학 트윈 리서치 센터의 "후타고 페스티벌"[243]을 비롯한 다양한 행사가 각지에서 개최된다.

; 트윈스 위크(Twins Weekeng)

: 일본 다태아 지원 협회(JAMBA)가 매년 11월 첫째 주를 "TWINS WEEK"로 정하여 운영하는 주간이다. 이는 2010년 11월 첫째 주에 시작된 국제 다태아 인식 주간을 바탕으로 하며[244], 이 기간 동안 JAMBA 주관으로 다양한 계몽 활동과 행사가 이루어진다.

; 트윈스 데이

: 매년 2월 22일이다. 일본 다태아 지원 협회(JAMBA)가 2010년 2월 22일에 설립되었는데, 이는 '2'가 다섯 번 겹치는 날이라는 점(일본어로 쌍둥이를 뜻하는 '후타고(ふたご)'와 숫자 2, 5의 발음 연관성)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선택한 날짜이다. 이후 JAMBA는 2월 22일을 "트윈스 데이"로 지정했다.[236] 이 날은 일본의 지방 공공 단체 등에서도 다태 육아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중점적으로 알리는 날로 활용되고 있다.[245] 다만, 지역 보건소나 육아 지원 센터 등에서 쌍둥이 등 다태아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행사를 '트윈스 데이' 또는 '쌍둥이의 날' 등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아, 반드시 2월 22일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 쌍둥이의 날

: 매년 12월 13일이다. 1874년 12월 13일, 일본 태정관의 지령에 따라 다태아의 형제자매 순서가 정해진 것을 기념하여 이 날을 "쌍둥이의 날"로 부른다.[246]

; 후타고의 날

: 매년 2월 5일이다. 다태아 관련 상품을 취급하는 일본의 한 민간 기업이 '후타고(ふたご, 쌍둥이)'와 숫자 2, 5의 일본어 발음 유사성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일본 기념일 협회에 "후타고의 날" 등록을 신청하여 공식 기념일로 인정받았다.

12. 5. 쌍둥이의 집중 거주와 사회

쌍둥이의 출생은 단태아보다 드물지만, 우연히 또는 특정 원인에 의해 쌍둥이가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은 사회적인 관심을 끌거나 그 원인에 대한 학술 조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 일본 오키나와현 하에바루정의 하에바루 정립 하에바루 중학교에서는 2002년 4월, 두 개의 초등학교(하에바루 초등학교 5쌍, 키타오카 초등학교 4쌍)에서 총 9쌍(남 4쌍, 여 4쌍, 남녀 1쌍)의 쌍둥이가 동시에 입학하는 드문 일이 있었다. 이 사실은 정청 홍보지에 소개되기도 했으며, 이들은 2005년 3월에 졸업했다.[247]
  • 나이지리아 오요주의 이보오라 마을(yo)은 이란성 쌍둥이를 중심으로 다태아 출생률이 높은 것으로 국제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높은 쌍둥이 출생률은 인종적인 다배란 체질과 더불어 현지 식습관이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248]
  • 인도 케랄라주의 코딘히 마을(ml)에는 약 300쌍으로 추정되는 쌍둥이가 거주하고 있다. 코딘히 마을의 쌍둥이 출생률은 세계 평균의 약 6배에 달하며, 2008년에는 마을 내 총 출산 300건 중 15건이 쌍둥이 출산이었다. 1950년대부터 마을 내 쌍둥이 출생률이 급격히 상승했지만,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여러 연구 기관과 현지 의사들이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있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249]
  • 브라질 히우그란데두술주의 칸디두 고도이 마을(pt)은 인구 약 6,700명의 작은 마을이지만 '쌍둥이 마을'(Twins' Town)로 알려져 있다. 브라질 전체의 쌍둥이 출생률은 약 1%인데 반해, 칸디두 고도이 마을은 1.8%로 유의미하게 높다.[250] 특히 이 마을 내 리냐 상 페드루 지구는 쌍둥이 출생률이 약 10%에 달하는데, 이는 칸디두 고도이 마을의 일부 세대가 이주하여 개척한 지역이다.
  • 인도 타밀나두주의 시르카지시(ta)에는 2019년 기준으로 약 150쌍의 학령기 쌍둥이가 거주하고 있으며, 시내의 한 학교에는 52쌍의 쌍둥이가 동시에 재학하기도 했다.[251]

12. 6. 쌍둥이끼리의 결혼

쌍둥이 (특히 일란성 쌍둥이) 간의 결혼은 quaternary marriage|쿼터너리 메리지eng[252](4인 1조 결혼)라고 불린다. 이러한 부부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법적으로는 사촌이지만, 유전적으로는 형제자매이다. quaternary marriage|쿼터너리 메리지eng 부부에게서 태어난 아이의 친자 감별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253].

12. 7. 쌍둥이에 대한 인식과 출생률

쌍둥이의 출생 빈도는 인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백인종은 80~120명당 1명꼴, 흑인종은 50명당 1명 이상꼴로 쌍둥이가 태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일본의 경우 과거에는 150~160명당 1명꼴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1987년 이후 큰 변동을 보이며 2003년에는 1000쌍의 출생 중 10쌍 이상이 쌍둥이였다. 이러한 출생 빈도의 변화는 주로 이란성 쌍둥이의 출생 빈도 변화에 기인한다. 일란성 쌍둥이의 출생률은 지역, 민족, 시대에 관계없이 약 0.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142].

일본에서 이란성 쌍둥이 출생 빈도가 증가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체외 수정 시술의 도입이다. 체외 수정 도입 이후 쌍둥이 출생률이 이전보다 60%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다[143]. 하지만 1996년부터 일본 산부인과학회에서 체내로 이식하는 수정란 수를 제한하기 시작하면서, 일본의 쌍둥이 출생률은 2005년을 기점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144]. 현재 학회 지침은 원칙적으로 단일 수정란 이식을 권고하고 있다[145]. 그럼에도 수정 배아 이식 자체가 다태 임신 빈도를 높일 수 있는데, 이는 이식된 배아가 분열하여 일란성 쌍둥이가 되거나, 이식 후 자연 임신이 동시에 일어나 이란성 쌍둥이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146].

이란성 쌍둥이의 출생 빈도는 지역 및 민족 간에도 큰 차이를 보인다. 서아프리카의 요루바족은 이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2.8%[147]에서 약 5%[148]에 달하며, 브라질의 작은 마을 리냐 상페드로 지구에서는 쌍둥이 출생률이 10%에 이른다는 보고도 있다[149]. 이는 일본의 이란성 쌍둥이 출생 빈도의 10배에서 20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리냐 상페드로 지구의 높은 쌍둥이 출생률(특히 일란성 쌍둥이 출생률도 5%에 달함)은 지역 주민의 특정 유전자 다형성(TP53*P72, MDM4-T 등)이 수정 배아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12년에 발표되었다[150].

일반적으로 일란성 쌍둥이의 임신은 우연적인 현상으로 유전적 영향이 없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인도의 모하마드 푸르 움리(Mohammad Pur Umri) 마을에서 일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약 10%에 달하거나, 요르단에 일란성 쌍둥이 출생률이 매우 높은 가족이 존재하는 사례 등이 보고되면서, 일란성 쌍둥이 출생에도 유전적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51].

쌍둥이에 대한 인식은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해당 지역의 쌍둥이 출생률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의 낸시 L. 시걸(Nancy L. Segal)은 쌍둥이 출생률이 높은 나이지리아의 이그보 오라 지역에서는 쌍둥이를 호의적으로 받아들이는 반면, 과거 일본과 같이 다태 출생률이 낮았던 지역에서는 미신적인 이유로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대 일본 사회에서는 쌍둥이 출생률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배척은 일반적으로 사라졌다[254].

같은 나라 안에서도 지역에 따라 쌍둥이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나이지리아 남서부(이그보 오라 지역)에서는 쌍둥이를 숭배의 대상으로 여기며, 조상의 영혼을 기리고 쌍둥이를 존경하는 의미로 이베지 인형(ere ibeji|에레 이베지yo)을 만든다[255]. 인접한 가나의 에베족 거주 지역에서도 쌍둥이 인형을 순산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아이처럼 돌보는 풍습이 있다[257]. 반면, 나이지리아 중부(수도 아부자 지역)에서는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쌍둥이를 불길한 징조로 여기기도 했다[258]. 이처럼 특정 지역의 쌍둥이에 대한 미신적 호의나 배척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259].

참조

[1] 웹사이트 MedicineNet > Definition of Twin https://www.medterms[...] 2000-06-19
[2] 서적 Human Heredity Principles and issues
[3] 웹사이트 Twins, Triplets, Multiple Births: MedlinePlus https://www.nlm.nih.[...] Nlm.nih.gov 2016-06-16
[4] 논문 Heterogeneous learning in the Doppelgänger user modeling system.
[5] 간행물 Three Decades of Twin Births in the United States, 1980–2009 https://www.cdc.gov/[...]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Data Brief 2012-01
[6] 웹사이트 Multiple Births https://www.emedicin[...] 2008-09-29
[7] 뉴스 Genetics or yams in the Land of Twins? https://www.iol.co.z[...] 2008-09-29
[8] 뉴스 The Land of Twins https://www.bbc.co.u[...] BBC World Service 2008-09-29
[9] 서적 Multiple Pregnancy: Epidemiology, Gestation & Perinatal Outcome Taylor and Francis
[10] 웹사이트 What's in a yam? Clues to fertility, a student discovers https://medicine.yal[...] 2022-04-07
[11] 논문 Twinning across the Developing World
[12] 논문 Preterm labor in twins and high-order multiples 2008-12
[13] 웹사이트 Probability of having twins hereditary? https://goaskalice.c[...] Columbia University 2022-04-07
[14] 웹사이트 My father is an identical twin and my husband's grandfather is a fraternal twin. Does this increase our changes of having twins, or is the genetic trait only on the mother's side and only for fraternal twins? https://www.thetech.[...] The Tech Interactive 2022-04-07
[15] 뉴스 China: Drug bid to beat child ban https://www.chinadai[...] 2008-11-11
[16] 웹사이트 Chinese Women Try to Bypass One-Child Policy With Pills for Twins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08-03
[17] 논문 The Factors That Influence Twinning Rates 1981-07
[18] 웹사이트 United States: Peopl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8-10-02
[19] 웹사이트 Italy: Peopl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8-10-02
[20] 웹사이트 Are there more male twins or female twins? https://wstwinregist[...] Washington State Twin Registry 2018-07-24
[21] 웹사이트 Identical and Fraternal Twins – Determining Zygosity in Twins https://multiples.ab[...] Multiples.about.com 2013-09-16
[22] 서적 Multiple Pregnancy: Epidemiology, Gestation & Perinatal Outcome Taylor and Francis
[23] 논문 The epidemiology of multiple births
[24] 웹사이트 Is the probability of having twins determined by genetics? https://medlineplus.[...] Medline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3-07-09
[25] 뉴스 Study: Time-lapse recordings reveal why IVF embryos are more likely to develop into twins https://www.eurekale[...] 2019-08-05
[26] 논문 Human embryo twinning with applications in reproductive medicine 2009-02
[27] 웹사이트 What triggers twinning? https://www.wonderqu[...] 2007-03-22
[28] 논문 Projections of population-based twinning rates through the year 2100 https://www.reproduc[...] 2008-10-02
[29] 간행물 Time-lapse recordings reveal why IVF embryos are more likely to develop into twins. Researchers believe the laboratory culture could be the cause https://www.eshre.co[...] 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2008-09-30
[30] 논문 Mechanical control of tissue morphogenesis 2008-08-01
[31] 논문 Monozygotic twins of different sex 1966-06
[32] 논문 Some causes of genotypic and phenotypic discordance in monozygotic twin pairs 1996-01
[33] 논문 Prenatal diagnosis of heterokaryotypic mosaic twins discordant for fetal sex 2000-12
[34] 논문 Somatic point mutations occurring early in development: a monozygotic twin study 2014-01
[35] 논문 Epigenetic differences arise during the lifetime of monozygotic twins 2005-07
[36] 서적 Entwined lives: twins and what they tell us about human behavior https://archive.org/[...] Dutton
[37] 서적 Behavioral genetics Worth Pubs
[38] 논문 Apart from genetics: What makes monozygotic twins similar?
[39] 논문 Differences between germline genomes of monozygotic twins 2021-01-07
[40] 웹사이트 Identical twins aren't always genetically identical, new study finds https://www.cnn.com/[...] 2021-01-08
[41] 논문 Genetic Studies of an Acardiac Monster: Evidence of Polar Body Twinning in Man 1981-08-14
[42] 논문 Delivery of a chromosomally normal child from an oocyte with reciprocal aneuploid polar bodies 2012-06
[43] 논문 Postzygotic diploidization of triploids as a source of unusual cases of mosaicism, chimerism and twinning 2003-02
[43] 논문 'Semi-identical' twins discovered https://www.nature.c[...] 2022-02-07
[44] 웹사이트 Semi-identical twins are rare, and doctors say they've identified the second case ever https://amp.cnn.com/[...]
[45] 논문 Twinning https://static.sdu.d[...] 2016-05-03
[46] 웹사이트 Twinning https://www.obfocus.[...] Focus Information Technology 2005-11-02
[47] 서적 Prenatal medicine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48] 서적 Maternal-Fetal Medicine: Principles and Practice W. B. Saunders Company
[49] 논문 Monochorionic diamniotic infants without 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2005-12
[50] 웹사이트 Pregnancy-Info -- > Monoamniotic Twins https://www.pregnanc[...] 2009-07-09
[51] 웹사이트 MoMo Twins; Monochorionic Monoamniotic Twins https://multiples.ab[...] 2009-07-09
[52] 논문 Mechanisms of twinning: VII. Effect of diet and heredity on the human twinning rate https://www.reproduc[...] 2008-09-29
[53] 논문 Trends in Twin and Triplet Births: 1980–97 https://www.cdc.gov/[...]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08-09-29
[54] 서적 Progress in Reproductive Medicine Volume II Informa
[55] 논문 Study on possible increase in twinning rate at a small village in south Brazil
[56] 뉴스 Nazi Angel of death Josef Mengel created twin town in Brazil https://www.telegrap[...] 2018-04-05
[57] 뉴스 Nazi 'Angel of Death' not responsible for town of twins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9-01-27
[58] 뉴스 The Land Of Twins https://www.bbc.co.u[...] BBC World News 2009-08-06
[59] 뉴스 Seeing double: the village in deepest Kerala where twins have taken over https://www.independ[...] 2009-08-06
[60] 뉴스 A village of twins https://timesofindia[...] Bennett, Coleman & Co. Ltd. 2014-10-23
[61] 웹사이트 Twin Capital Of The World https://www.littlein[...] 4Skylark.com 2014-10-23
[62] 웹사이트 Mohammadpur Umri, THE VILLAGE OF TWINS !! https://himsamachar.[...] Business Directory Plugin 2014-10-23
[63] 논문 Multiple births in Hausa women 1980-11
[64] 논문 Yoruba Customs and Beliefs Pertaining to Twins https://www.randafri[...] 2013-08-10
[65] 간행물 Overview of Multiple Pregnancy https://www.urmc.roc[...]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2021-07-09
[66] 논문 Fertility Treatments and Multiple Births in the United States
[67] 논문 Twin-to-twin delivery time interval: influencing factors and effect on short-term outcome of the second twin 2008
[68] 문서
[69] 뉴스 I'll do it my way: twin is born three months after her sister https://www.thetimes[...] 2021-07-09
[70] 서적 Multiple Pregnancy: Epidemiology, Gestation & Perinatal Outcome Taylor and Francis
[71] 웹사이트 The stranger within https://www.newscien[...] 2003-11-15
[72] 웹사이트 Risks Linked With Twin Births https://www.webmd.co[...] 2015-10-23
[73] 웹사이트 Very Low Birthweight – Online Medical Encyclopedia –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https://www.urmc.roc[...] 2015-10-23
[74] 웹사이트 Pregnant with twins: potential complications https://www.babycent[...] 2015-10-26
[75] 웹사이트 Caesarean section https://www.nice.org[...]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aecologist 2014-06-12
[76] 논문 Caesarean section for preterm birth and, breech presentation and twin pregnancies 2013-04
[77] 논문 Trends in caesarean delivery for twin births in the United States: 1995-2008
[78] 웹사이트 Women can choose Caesarean birth https://www.bbc.co.u[...] 2011-11-23
[79] 논문 Prospective risk of stillbirth and neonatal complications in twin pregnanci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9
[80] 논문 Co-bedding in neonatal nursery for promoting growth and neurodevelopment in stable preterm twins 2016-04-14
[81] 뉴스 Black and white twins https://www.theguard[...] 2012-04-07
[82] 논문 Monozygotic twins discordant for sex 1976-02
[83] 웹사이트 The Zygosity Puzzle https://www.twinsmag[...] 2015-04-18
[84] 서적 Developmental biology Sinauer Associates 2008-09-30
[85] 웹사이트 Rare new kind of twins: boy and girl are semi-identical https://www.cbc.ca/n[...] Thomson Reuters 2019-02-28
[86] Youtube Sesquizygotic Twinning https://www.youtube.[...] 2023-04-29
[87] 논문 A case of true hermaphroditism reveals an unusual mechanism of twinning 2007
[88] 웹사이트 Study describes new type of "semi-identical" twins https://www.reuters.[...] Thomson Reuters Trust 2007-03-26
[89] 논문 Molecular Support for Heterogonesis Resulting in Sesquizygotic Twinning Massachusetts Medical Society 2019-02-28
[90] 뉴스 Doctors say they have identified rare set of semi-identical twins in Australia https://www.freep.co[...] Gannett 2019-02-28
[91] 논문 Situs viscerum specularis in monozygotic twins
[92] 웹사이트 Twins genetics, details of environmental impacts https://www.proactiv[...] 2013-08-10
[93] 뉴스 What are mirror image twins? https://wstwinregist[...] 2018-09-05
[94] 논문 Twi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2006-06
[95] 논문 Idioglossia 2000-10-13
[96] 논문 Relationship between Twin Language, Twins' Bond, and Social Competence
[97] 뉴스 Semi-identical twins discovered http://news.bbc.co.u[...] BBC NEWS
[98] 논문 Monozygotic twin birth after the transfer of a cleavage stage embryo resulting from a single pronucleated oocyte 2004-12
[99] 논문 Risk factors for monozygotic twinning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2
[100] 논문 Use of dizygotic to monozygotic twinning ratio as a measure of fertility.
[101] 웹사이트 一卵性双子の作出 http://www.nlbc.go.j[...] 独立行政法人家畜改良センター
[102] 논문 二分割胚による黒毛和種牛の一卵性双子作出技術の改善 https://agriknowledg[...] 鹿児島県農業開発総合センター 2017-03
[102] 논문 ウシICSIを活用した一卵性双子,及び凍結未受精卵子へのICSIによる子牛の生産 https://doi.org/10.1[...] 日本繁殖生物学会 2019
[103] 서적 BEHAVIORAL GENETICS 6th editon Worth Publisher
[104] 논문 Differences between germline genomes of monozygotic twins. 2021-01
[105] 논문 Emergence of individuality in genetically identical mice.
[106] 서적 Born Together-Reared Apart;the Landmark Minnesota twin study Harvard University Press
[107] 논문 個人同定に関わる四つの今日的試み https://glim-re.repo[...] 学習院女子大学 2015-03
[108] 웹사이트 先進の Face ID テクノロジーについて https://support.appl[...]
[109] 웹사이트 肌チェックで双子も見分ける──ニブンビジョンの顔認証ソフト http://bizmakoto.jp/[...]
[110] 간행물 Twin Matters Volume XIII http://www.matr.vcu.[...] The Mid-Atlantic Twin Registry(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111] 서적 すぐに役立つ双子・三つ子の保健指導BOOK 診断と治療社
[112] 논문 Situs viscerum specularis in monozygotic twins
[113] 논문 Discordant organ laterality in monozygotic twins with primary ciliary dyskinesia
[114] 논문 Mirror imaging in twins: biological polarization--an evolving hypothesis.
[115] 논문 Monozygotic twins of opposite sex
[116] 서적 一絨毛膜双胎 基本からUpdateまで メジカルビュー社
[117] 논문 Monochorionic‐diamniotic twins discordant in gender from a naturally conceived pregnancy through postzygotic sex chromosome loss in a 47,XXY zygote.
[118] 논문 Monozygotic twins with discordant sexual phenotypes due to different ratios of mosaicism of 47,X,idic (Y),idic (Y) /46,X, idic (Y) /45,X 2002-08
[119] 논문 Monozygotic twins of discordant sex both with 45,X/46,X,idic(Y) mosaicism 1991-11-01
[120] 논문 Monozygotic twins discordant for sex
[121] 논문 Discordant sex in one of three monozygotic triplets 1985-02
[122] 논문 'Identical' twins with discordant karyotypes
[123] 논문 45,X/46,XX mosaicism in a mother and one of her discordant monozygotic twin daughters: report of one case
[124] 논문 Growth of heterokaryotic monozygotic twins discordant for Ullrich-Turner syndrome during the first years of life. 2004-08
[125] 논문 Monozygotic twins discordant for Ullrich-Turner syndrome. 1991-10
[126] 논문 Screening for twin pregnancy
[127] 논문 Serum HCG and HPL in twin pregnancies
[128] 논문 Twin mythconseptions
[129] 논문 Superfecundation in etiology of twin pregnancy 2006-10
[130] 논문 Indisputable double paternity in dizygous twins
[131] 논문 Gestational age in twins 1980-04
[132] 뉴스 One Twin's White, The Other's Black http://abcnews.go.co[...] ABC's ''Good Morning America''
[133] 웹사이트 http://icnewcastle.i[...]
[134] 웹사이트 Couple defy odds with second pair of black and white twins https://arbroath.blo[...]
[135] 논문 Indisputable double paternity in dizygous twins
[136] 논문 How frequent is heteropaternal superfecundation?
[137] Facebook brittany-and-briana-salyers-announced-on-instagram-this-week-that-theyre-both-ex https://www.facebook[...] International Council of Multiple Birth Organisations (ICOMBO) 2020-08-15
[138] 웹사이트 Rare Forms of Twinning http://www.bellaonli[...] bellaonline.com 2007-03-22
[139] 웹사이트 Zygosity Facts https://matr.vcu.edu[...] The Mid-Atlantic Twin Registry(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140] 논문 'Semi-identical' twins discovered http://www.nature.co[...]
[141] 논문 A case of true hermaphroditism reveals an unusual mechanism of twinning
[142] 서적 双子&三つ子ママの妊娠・出産・育児 Benesse 2006
[143] 뉴스 体外受精卵:子宮に戻す数、1個と正式に決定--産科婦人科学会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08-04-13
[144] 서적 双子&多胎の本 Benesse 2000
[145] 웹사이트 "生殖補助医療における多胎妊娠防止に関する見解" http://www.jsog.or.j[...] 2009-02-28
[146] 서적 多胎妊娠−妊娠・分娩・新生児管理のすべて−改訂第2版 メジカルビュー社 2024
[147] 논문 Perinatal factors in twin mortality in Nigeria 1986-08
[148] 논문 The twinning incidence of Nigeria
[149] 논문 Study on possible increase in twinning rate at a small village in south Brazil
[150] 논문 High twinning rate in Cândido Godói: a new role for p53 in human fertility.
[151] 논문 Developmental biology: Two by two http://www.nature.co[...] 2009-04
[152] 논문 Implantation in the nine-banded armadillo: how does a single blastocyst form four embryos? 2002-01
[153] 논문 An observational analysis of relevant factors on twin rate of giant panda.(大熊猫双胞胎发生相关因素的分析研究)
[154] 논문 Diagnosing Zygosity in Giant Panda Twins Using Short Tandem Repeats
[155]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CAPTIVE POLAR BEARS
[156] 논문 Evidence of adoption, monozygotic twinning, and low inbreeding rates in a large genetic pedigree of polar bears https://doi.org/10.1[...] Springer
[157] 논문 Maternal condition determines birth date and growth of newborn bear cubs
[158] 웹사이트 多胎児の男女比率 https://jamba.or.jp/[...] 一般社団法人日本多胎支援協会
[159] 논문 Timing of Twinning, X-Inactivation and Sex Proportion at Birth
[160] 논문 Sex ratio and placentation in twins 1980-10
[161] 논문 The Sex Ratios of Monozygotic and Dizygotic Twins 1975-10
[162] 논문 Sex ratio in twin births 2010-08
[163] 논문 Birth weight in opposite sex twins as compared to same sex dizygotic twins.
[164] 논문 Japanese database of families with twins and higher-order multiples.
[165] 논문 Why are there more same-sex than opposite-sex dizygotic twins?
[166] 논문 The risk of monozygotic twins aft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67] 웹사이트 Causes of Twinning http://www.nomotc.or[...]
[168] 논문 Four-Generation Pedigree of Monozygotic Female Twins Reveals Genetic Factors in Twinning Process by Whole-Genome Sequencing.
[169] 논문 Maternal height and twinning 1979-07
[170] 서적 ふたごの話、五つ子の秘密 1998
[171] 뉴스 Twins poser for fertility boffs http://www.sciencein[...] Science in Africa 2008-12-16
[172] 논문 Mechanisms of twinning: VII. Effect of diet and heredity on the human twinning rate
[173] 논문 Vegan Women Much Less Likely To Have Twins Than Women Who Eat Animal Products, Especially Diary http://www.medicalne[...]
[174] 논문 A diet of milk could bring twins https://www.nature.c[...]
[175] 간행물 京都大学霊長類研究所年報Vol.40 2009年度の活動 ナショナルバイオリソースプロジェクト(GAIN)の活動 122ページ27行目 http://pri.ehub.kyot[...] 京都大学霊長類研究所
[176] 논문 Twinning and heteropaternity in chimpanzees (Pan troglodytes)
[177] 논문 A rare case of heteropaternal twin calves after natural mating in Brazil
[178] 논문 An observational analysis of relevant factors on twin rate of giant panda (In Chinese)
[179] 논문 Matern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risk factors for preterm birth in twins versus singletons
[180] 논문 今月の臨床 産科超音波診断─正診への道筋 妊娠初期 2.多胎妊娠の膜性診断を正確に https://doi.org/10.1[...] 株式会社医学書院 2007-08
[181] 논문 双胎妊娠と胎児異常 https://jsog-k.jp/jo[...]
[182] 논문 Do monochorionic dizygotic twins increase after pregnancy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183] 논문 Monochorionic dizygotic twins in a spontaneous pregnancy: a rare case report.
[184] 논문 外性器の表現形が異なった一絨毛膜二羊膜性双胎 https://jsog-k.jp/jo[...]
[185] 논문 外性器の表現型が異なった一絨毛膜二羊膜性双胎例 https://search.jamas[...] 2003
[186] 논문 症例 外性器の表現型が異なる一絨毛膜二羊膜双胎の1例 https://doi.org/10.2[...] (株)東京医学社 2019-03
[187] 논문 Trizygotic dichorionic triplets with 46,XX/46,XY chimerism in both fetuses of the monochorionic pair. https://jsog-k.jp/jo[...]
[188] 논문 Dizygotic monochorionic twin pregnancy conceived following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treatment and complicated by twin-twin transfusion syndrome and blood chimerism
[189] 논문 Confined blood chimerism in monochorionic dizygous (MCDZ) twins.
[190] 논문 The Incidence of Dichorionic Diamniotic Twin Pregnancy After Single Blastocyst Embryo Transfer and Zygosity: 8 Years of Single-Center Experience
[191] 블로그 私、こんな子です☆マナ http://blog.qlep.com[...]
[192] 논문 Zygosity Assessment by Self-Report; Research Reports; Human Interest https://doi.org/10.1[...]
[193] 논문 Infant mortality among singletons and twins in Japan during 1999-2008 on the basis of risk factors
[194] 논문 Estimation of optimal birth weights and gestational ages for twin births in Japan
[195] 서적 多胎妊娠-妊娠・分娩・新生児管理のすべて メジカルビュー社
[196] 논문 Perinatal outcome of twins compared to singletons of the same gestational age: a case-control study
[197] 논문 Multiple births and preterm delivery https://www.academia[...] PARTHENON PUBLISHING
[198] 논문 Effect of twin-to-twin delivery interval on umbilical cord blood gas in the second twins. 2002-01
[199] 뉴스 Girl Born 95 Days After Twin Brother https://www.apnews.c[...] APNEWS
[200] 논문 Genetic expectations of polar body twinning
[201] 서적 Developmental biology Sinauer Associates 2008-09-30
[202] 논문 Prenatal diagnosis, sonographic findings and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a 46,XX/46,XY true hermaphrodite chimera 2005-06
[203] 서적 図説ARTマニュアル 永井書店
[204] 논문 Blood group chimerism in human multiple births is not rare.
[205] 논문 Dual identities
[206] 웹사이트 二者同一性 http://www.synapse.n[...]
[207] 웹사이트 フリーマーチンの判定(異性双子の雌牛) http://liaj.or.jp/gi[...]
[208] 논문 Genetic studies of an acardiac monster: evidence of polar body twinning in man https://doi.org/10.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9] 웹사이트 TRAP sequenceとは? https://fetusjapan.j[...]
[210] 논문 Special forms in twin pregnancy-ACARDIAC TWIN/Twin reversed arterial perfusion (TRAP) sequence https://www.ncbi.nlm[...] SC Jurnalul pentru Medicina si Viata SRL
[211] 논문 Acardiac twin fetus with severe hydrops fetalis and bilateral talipes varus deformity https://pubmed.ncbi.[...] Taylor & Francis
[212] 논문 Birthweight discordance in multiple pregnancy. 2003-12
[213] 문서 自然発生の子宮内外同時妊娠の 1 例 http://jsog-k.jp/jou[...]
[214] 웹사이트 双子の妊娠と産院決め http://futa5.net/pos[...] 2007-06-06
[215] 논문 子宮内外同時妊娠の一例 https://twinkle.repo[...] 東京女子医科大学学会 1959-05
[216] 논문 Combined pregnancy: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1993-07
[217] 논문 Combined pregnancy--a case report 1991-09
[218] 문서 双子又ハ三子等分娩ノ際兄弟姉妹順次ノ儀内務省伺 https://dl.ndl.go.jp[...] 日本法令索引〔明治前期編〕
[219] 문서 太政官指令第四十八明治7年12月13日 http://dajokan.ndl.g[...] 明治前期編 法令詳細情報
[220] 문서 指令 https://dl.ndl.go.jp[...] 明治前期編 法令詳細情報
[221] 웹사이트 出生届 http://www.moj.go.jp[...] 法務省
[222] 웹사이트 出生証明書の様式等を定める省令(昭和二十七年法務省・厚生省令第一号)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5-07
[223] 웹사이트 出生届、及び出生証明書 http://www.moj.go.jp[...] 法務省 2007-12-13
[224] 논문 Birth weight discordance of twin pairs and their subsequent growth patterns. 2010-11-01
[225] 서적 ふたごの子育て 母子保健事業団 2013
[226] 논문 Growth and development of twins compared with singletons at ages one and four years.
[227] 논문 Comparison of motor development between twins and singletons in Japan: a population-based study.
[228] 논문 The expectation and parentage of twins. A study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win infants
[229] 논문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 twins
[230] 뉴스 言語の変化 自然の法則 読売新聞 2008-02-22
[231] 논문 Twi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2006-06
[232] 논문 Four-year follow-up of locomotor and language development in 34 twin pairs
[233] 웹사이트 双生児等多胎児家庭・産前産後休業時育児支援事業 http://www.kodomomir[...] 一般財団法人こども未来財団 2015-02-23
[234] 웹사이트 ベビーシッター育児支援事業」の平成27年度の取扱い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35] 웹사이트 ベビーシッター派遣事業」の平成28年度の取扱いについて https://www8.cao.go.[...]
[236] 간행물 Council of Multiple Birth Organizations (COMBO) の総会に出席して http://www.ishikawa-[...] 石川看護雑誌 Ishikawa Journal of Nursing Vol.8, 2011
[237] 웹사이트 JAMBA公式サイト・私たちについて http://jamba.or.jp/?[...]
[238] 웹사이트 多胎児サークル・双子の会一覧 http://www.twins-mam[...] twins-mam.jp
[239] 웹사이트 多胎育児支援地域ネットワーク構築事業 http://www.tatai-iku[...] 多胎育児サポートネットワーク 2007-06-28
[240] 웹사이트 The Twins Days Festival in Twinsburg, Ohio http://www.twinsdays[...] Twins Days Festival Committee
[241] 간행물 NATIONAL GWOGRAPHIC(日本版)双子の不思議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2-01
[242] 웹사이트 International Multiple Births Awareness Week http://icombo.org/in[...] ICOMBO
[243] 웹사이트 ツインリサーチセンター http://www.twin.med.[...] 大阪大学大学院医学系研究科
[244] 웹사이트 Twins Week https://web.archive.[...] 一般社団法人 日本多胎支援協会
[245] 웹사이트 2月22日はツインズデー https://web.archive.[...] 埼玉県吉川市プレスリリース
[246] 서적 この日何の日―1億人のための366日使える話のネタ本 秀和システム 2009
[247] 웹사이트 南風原中学校 双子が9組 http://futa5.net/pos[...] 2007-06-06
[248] 뉴스 The Land Of Twins http://www.bbc.co.uk[...] BBC World Service
[249] 뉴스 Twin town: The Indian village where there are 220 sets of twins has doctors baffled http://www.dailymail[...]
[250] 논문 Twin Town in South Brazil: A Nazi's Experiment or a Genetic Founder Effect?
[251] 뉴스 A School In India Has 52 Pairs Of Twins Who Have Made Pranking Their Teachers A Hobby https://says.com/my/[...]
[252] 뉴스 TWINS IN THE NEWS https://matr.vcu.edu[...]
[253] 뉴스 DNA Testing for Twins and Their Children https://testmedna.co[...]
[254] 서적 Twin Mythconceptions: False Beliefs, Fables, and Facts about Twins Academic Press 2017
[255] 문서 X87.1599a Ere ibeji doll https://fowler.ucla.[...] Fowler MUSEUM at UCLA
[256] 논문 Twinning rates in Ghana
[257] 문서 「エベ族の人形」 https://japan-toy-mu[...] 日本玩具博物館
[258] 문서 Igbo-Ora: Where twins are worshiped – and murdered https://str8talkmaga[...] CNN 2019-01-31
[259] 문서 なぜか双子が多い町 かつては「悪魔」、いま幸運の象徴 https://str8talkmaga[...] 朝日新聞Globe+ 2019-10-12
[260] 논문 Epigenetic differences arise during the lifetime of monozygotic twins
[261] 문서 NASA’s Twins Study Results Published in Science Journal https://www.nasa.gov[...] NASA, Human Research Program 2019-04-12
[262] 논문 Comparative study of the consumption of cariogenic food in monozygotic and same-sex dizygotic twins 1989-03-05
[263] 논문 Heritability of food preferences in young children 2006-07
[264]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eating patterns of twins aged >/=50 y 1999-10
[265]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eating behavior: the Swedish Young Male Twins Study 2005-03
[266] 논문 Twinning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left-handedness and inverted writing hand posture. 1994-12
[267] 논문 Laterality in twins(in German) 1996-09
[268] 논문 Handedness in twins according to zygosity and chorion type: a preliminary report. 1996-07
[269] 논문 Left-handedness in twins: genes or environment? 1996-09
[270] 논문 Origi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mitation: links with language, pretend play, and socially insightful behavior in two-year-old twins
[271] 논문 The heritability of attitude toward economic risk 2009-02
[272] 논문 Phenotypically concordant and discordant monozygotic twins display different DNA copy-number-variation profiles 2008-03
[273] 뉴스 あなたのゲノムも変化する 一卵性双生児でさえ「遺伝的に同一」ではない https://www.nikkei-s[...] 日経サイエンス NEWS SCAN 2008-07
[274] 논문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 MZ and DZ twins.
[275] 논문 Nature, nurture and academic achievement: a twin study of teacher assessments of 7-year-olds. 2004-09
[276] 서적 ふたごと教育 東京大学出版会 2013
[277] 논문 Consistency of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ing Results Among Identical Twins.
[278] 간행물 現代の科学『人間にとって個性とは何か・ふたごの個性』 NHK 1979-09-19
[279] 논문 文学における双子・多胎児 https://kanazawa-u.r[...] 金沢大学大学教育開放センター 2001-10
[280] 서적 双生児の内的世界 文芸社 20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