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의 단위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얀마는 전통적으로 고유의 길이, 질량, 부피 단위계를 사용해 왔으며, 화폐 단위로는 짯(kyat)과 뺘(pya)를 사용한다. 길이 단위는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질량 단위는 곡물이나 씨앗의 무게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2013년 미얀마 상무부는 국제 표준을 따르고 국제 무역 및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제단위계를 공식 채택할 준비를 발표했으며, 현재 기상, 연료 판매, 도로 속도 제한 등에서 미터법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경제 - 미얀마 중앙은행
미얀마 중앙은행은 1948년 설립되어 화폐 발행 독점 권한을 가진 미얀마의 중앙은행으로, 2013년 법 개정으로 독립적인 규제 기관이 되었으나 2021년 쿠데타 이후 군부 임명 지도부가 운영 중이다. - 미얀마의 경제 - 동서경제회랑
동서 경제 회랑은 국가 간 경제 협력 증진과 지역 발전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로, 대한민국은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주변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미얀마의 문화 - 미얀마의 공휴일
미얀마의 공휴일은 역사, 문화, 종교적 다양성을 반영하며 독립기념일, 연방의 날, 띤잔, 농민의 날, 노동절, 순교자의 날, 소수민족 신년, 이슬람교 축제일 등이 포함된다. - 미얀마의 문화 - 미얀마 이름
미얀마 이름은 서구 문화 영향과 왕조 붕괴 후 복잡해졌으며, 팔리어와 버마어 단어 결합, 부모나 친척 이름 따오기, 성씨 제도 부재, 존칭 사용, 점성술에 따른 작명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버마어 - 미얀마 언어 위원회
미얀마 언어 위원회는 미얀마어의 발전, 보존, 표준화를 목표로 설립된 기관으로, 사전 편찬, 용어 및 번역 자료 출판, 교육 자료 개발 등의 사업을 통해 미얀마어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버마어 - 버마어 대명사
버마어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 경어법을 사용하며, 주격 조사가 붙는 주어 대명사와 목적격 조사가 붙는 목적어 대명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인칭 대명사, 특수한 상황의 대명사, 지시 대명사, 재귀 대명사 등을 사용한다.
미얀마의 단위계 | |
---|---|
단위계 | |
국가 | 미얀마 |
비고 | 현재는 미터법으로 대체 중 |
길이 | |
틸 | 0.02032 센티미터 |
뼘 | 22.86 센티미터 |
마운 | 45.7 센티미터 |
람 | 1.8288 미터 |
타운 | 3.6576 미터 |
가웃 | 7.3152 킬로미터 |
따 | 32 킬로미터 |
무게 | |
얄웨 | 0.0377 그램 |
믓 | 0.3779 그램 |
므 | 1.5115 그램 |
뻬 | 6.046 그램 |
므맛 | 15.115 그램 |
응아믓 | 30.23 그램 |
뻬타 | 60.46 그램 |
짜 | 120.92 그램 |
뻬타 | 500 그램 |
비싸 | 1.614 킬로그램 |
면적 | |
람 | 3.34 에이커 |
따잉 | 10 에이커 |
부피 | |
라메 | 0.84 리터 |
쟛 | 2.52 리터 |
쉐 | 10.08 리터 |
툉 | 20.16 리터 |
뻬 | 40.32 리터 |
틴 | 403.2 리터 |
2. 미얀마의 전통 단위계
미얀마는 역사적으로 길이, 질량, 부피, 화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유한 전통 단위계를 사용해 왔다. 이러한 단위들은 미얀마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했으며, 일부는 영국의 식민 통치와 현대화 과정에서도 그 명맥을 유지하며 사용되었다. 전통 단위계는 종종 사람의 신체 일부나 일상 도구를 기준으로 삼는 등 자연 발생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각 단위들은 서로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대의 미터법이나 야드파운드법과는 다른 독자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는 미얀마의 전통적인 길이, 질량, 부피, 화폐 단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2. 1. 길이
비율(팔리어 usabha에서 유래)
(팔리어 kosa에서 유래)
(팔리어 gāvuta에서 유래)
약 1 리그
(팔리어 yūjanā에서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