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물나비고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물나비고기는 서아프리카의 정체 수역에 서식하는 소형 어류이다. 최대 13cm까지 자라며, 큰 가슴지느러미와 부레를 이용해 물 표면에서 공기 호흡을 하고 활공할 수 있다. 육식성이며, 수생 곤충과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진화적으로는 백악기 시대의 판토돈과에서 유래되었으며, 형태적 정체 현상을 보인다. 수족관에서 사육되기도 하며, 다른 물고기에게 공격적일 수 있어 단독으로 길러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기재된 물고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1877년 기재된 물고기 - 참조기
    참조기는 몸길이 30cm 정도의 황금색을 띤 바닷물고기로, 얕은 바다에 서식하며 새우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지만 굴비는 한국에서 고급 식재료로 여겨진다.
  • 골설어목 - 칼고기과
    칼고기과는 칼고기목에 속하며, 몸이 가늘고 길쭉하며 꼬리지느러미가 뒷지느러미와 융합된 물고기 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고 일부 종은 둥지를 짓고 알을 보호하며, 화석 기록은 백악기 후기 인도에서 발견된다.
  • 골설어목 - 칼고기아목
  • 아프리카의 물고기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 아프리카의 물고기 - 잉어과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는 무위 어류로 인두치를 이용해 먹이를 씹으며,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고, 독특한 번식 전략을 가진 종도 있으며, 식량, 스포츠,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는, 계통 발생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어류 분류군이다.
민물나비고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담수 나비고기 Pantodon buchholzi
담수 나비고기 Pantodon buchholzi
학명Pantodon buchholzi
명명자W. K. H. Peters, 1877
영명Freshwater butterflyfish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기어강
아강신기어아강
하강진골어하강
상목골설어상목
아로와나목
파토돈과 (Pantodontidae)
파토돈속 (Pantodon)
보존 상태
IUCNLC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83157/8057176
평가 연도2010

2. 진화

담수 나비고기는 후기 백악기 시대에 다양한 종을 이루었던 판토돈과의 마지막 생존 구성원이며, 레바논의 세노마기 시대 산닌 형성에서 많은 판토돈티드 속 화석이 발견되었다.[2][3] 초기 판토돈티드는 북아프리카 해안의 해양 환경에 서식했으며, 가장 초기의 해양 골설어목으로 알려져 있다.[2][3] ''판토돈''의 조상은 다른 골설어목과 독립적으로 담수 서식지를 식민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2][3] 백악기 해양 판토돈티드 중 ''판토돈''과 가장 가까운 친척은 ''고판토돈''으로 보인다.[3]

나이저강 유역과 콩고강 유역의 담수 나비고기 개체군은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mtDNA 분화 추정치는 후기 팔레오세 (5,700만 년 전) 또는 그 이전에 발생한 극심한 유전적 분화를 시사한다.[4] 이는 척추동물 분류군에서 알려진 가장 극적인 형태적 정체 현상 중 하나이며, 숨은 종분화 가능성을 시사한다.[4]

담수 나비고기는 ''Hox'' 유전자 클러스터에서 가장 큰 손실을 경험한 조기어류 중 하나이지만, 중복된 유전자로 인해 다른 조기어류와 유사한 전체 ''Hox'' 유전자 수를 유지한다.[5] 작은 크기, 비교적 작은 게놈, 사육 용이성 덕분에 담수 나비고기는 매력적인 모델 생물이 될 수 있다.[5]

3. 형태 및 습성

민물나비고기는 몸길이가 최대 13cm를 넘지 않는 소형 어류이다.[6] 매우 큰 가슴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크고 혈관이 잘 발달된 부레를 통해 물 표면에서 공기 호흡을 할 수 있다.[6] 육식성으로 주로 수생 곤충과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6] 곤충류, 절지동물, 갑각류등도 먹는다.[8]

눈은 항상 표면을 주시하고 있으며, 위로 향한 입은 물 표면의 작은 먹이를 잡도록 적응되어 있다.[7] 물 속에서 충분한 속도를 낼 수 있다면 점프하여 물 표면 위를 활공하여 포식자를 피할 수 있다.[7] 활공할 때 가슴지느러미를 흔드는 능력이 있으며, 이는 특화된 확대된 가슴 근육 덕분이다.[7] 부레는 크고, 발달한 혈관망이 있어 공기 호흡이 가능하다.[9]

산란 시 표면에 큰 부유성 알 덩어리를 낳으며, 수정은 체내 수정으로 여겨진다.[8] 알은 약 7일 만에 부화한다. 수컷은 뒷지느러미 앞부분의 지느러미 줄기가 길게 뻗어 있어 암컷과 구별된다.

4. 분포

민물나비고기는 서아프리카의 약산성 정체 수역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연중 23-30℃의 온도를 필요로 한다. 은신처가 될 수 있는 표면 식물이 많은, 유속이 느리거나 없는 지역에서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차드호, 콩고강 분지, 하류 나이저강, 카메룬, 오고우에강, 상류 잠베지강에서 발견된다. 나이저 삼각주, 하류 오고우에강, 하류 크로스강에서도 관찰되었다. 오군강 하류에도 서식한다.

5. 인간과의 관계

민물나비고기는 대형 수족관에서 단독으로 길러야 한다. 동족 및 수면 근처의 다른 물고기(예: 날도끼고기)에게 공격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점프하는 습성이 있어 수조 뚜껑을 꽉 닫아야 하며, 살아있는 수초, 특히 수면 가까이에 떠 있는 수초가 있는 수조에서 더 잘 지내는데, 이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은신처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pH는 6.9–7.1, KH는 1–10을 유지해야 한다. 수족관에서 민물나비고기는 최대 12.7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75L 롱 타입 수조(77.5cm 길이) 이상에서 사육해야 한다.

지느러미를 갉아먹거나 공격적인 물고기와 함께 사육해서는 안 되며, 이는 민물나비고기의 길고 늘어진 지느러미를 뜯어먹을 수 있다. 입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물고기는 모두 잡아먹기 때문에, 바닥에 사는 물고기나, 민물나비고기가 신경 쓰지 못할 만큼 큰 크기의 상층 및 중층 물고기와 함께 사육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공된 먹이는 먹지 않으며, 살아있는 귀뚜라미나 캔에 든 귀뚜라미, 기타 곤충, 그리고 장에 먹이를 먹인 살아있는 먹이 물고기(금붕어는 피해야 한다)를 먹는 것이 가장 좋다. 민물나비고기는 정지된 물을 선호하므로 여과기는 너무 강력하지 않아야 한다.

애완동물로 길러지기도 하며, 대한민국에도 수입되고 있다. 주로 야생 개체가 유통된다. 암수 구별이 용이하며 사육 하에서의 번식 예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번식 방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참조

[1] 논문 "''Pantodon buchholzi''" https://www.iucnredl[...] IUCN 2020-05-23
[2] 논문 "The Pantodontidae (Teleostei, Osteoglossomorpha) from the marine Cenomanian (Upper Cretaceous) of Lebanon. 3°. ''Palaeopantodon vandersypeni'' gen. and sp. nov." http://www.geoecotro[...] 2021
[3] 논문 "Osteology and relationships of ''Prognathoglossum kalassyi'' gen. and sp. nov. (Teleostei, Osteoglossiformes, Pantodontidae) from the marine Cenomanian (Upper Cretaceous) of En Nammoura (Lebanon)" https://www.vliz.be/[...] 2012
[4] 논문 Remarkable morphological stasis in an extant vertebrate despite tens of millions of years of divergence 2011-04-07
[5] 논문 Enigmatic Orthology Relationships between Hox Clusters of the African Butterfly Fish and Other Teleosts Following Ancient Whole-Genome Duplication https://academic.oup[...] 2014
[6]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7] 서적 Freshwater Fish Distribution Academic Press 2001
[8]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9] 서적 Freshwater Fish Distribution Academic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