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밭에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밭에서"는 다양한 버전으로 존재하는 스코틀랜드 민요로,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 로버트 번스의 시로 알려져 있으며, 성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이 곡은 "고향의 하늘"이라는 제목으로 일본에서 번안되어 널리 불렸으며,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의 제목과 내용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영화, 드라마, 광고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활용되었으며, 한국 사회에서는 선정성 논란과 젠더 관점에서의 비판, 왜색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밭에서 | |
|---|---|
| 곡 정보 | |
| 제목 | 밀밭을 지나며 |
| 원제 | Comin' Thro' the Rye |
| 다른 제목 | Common Frae the Town |
| 작사 | 로버트 번스 (1782년) |
| 작곡 | 스코틀랜드 민요 |
| 발표 연도 | 1782년 |
| 관련 | 고향의 하늘 (후루사토노소라) Comin' Thro' the Rye (동음이의) |
| 한국어 제목 관련 | |
| 한국어 제목 | 밀밭에서 |
| 기타 | |
| 특징 | 스코틀랜드 민요로, 로버트 번스가 1782년에 작사하였다. |
2. 기원과 의미

"밀밭에서"의 정확한 기원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설이 전해진다. G. W. 네이피어는 1876년 ''노트 앤 쿼리즈''에서 원 가사를 확정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2] 이 노래는 여러 버전이 있는데, 현재 번즈의 ''작품''에 수록된 버전은 존슨의 ''박물관''에 실린 것을 번즈가 수정했지만, 노래 자체는 그 이전부터 알려졌다.
노래 속 "제니"가 누구인지는 불분명하나, 달리, 노스 에어셔 드라케미르 지역에는 이 노래가 여울을 건너 라이 워터를 지나는 모습을 묘사한다는 전설이 있다.[2][3]
멜로디는 올드 랭 사인 (「반짝반짝 작은 별」의 원곡)과 유사하며, 올드 랭 사인은 이 곡의 변형 중 하나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14]
멜로디와 리듬은 약간 다른 두 가지 버전이 있다. 번즈가 공동 편집한 ''The '' Vol.5 (1796)에서는 “”, “”(이하 “1st Sett”, “2nd Sett”로 표기)로 구분한다.[16] 원래 두 곡이 한 조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각각 단독으로 불리게 되었다.
“2nd Sett”와 "고향의 하늘"의 멜로디는 거의 같다. 반면 “1st Sett”는 4번째 음이 옥타브 낮고(6도 대신 3도 하강), 제2구가 제1구의 반복이며, 제3구 전반부가 크게 다르다. 또한 "고향의 하늘"에는 없는 꾸밈음과 짧은 음표가 약간 있다.
두 버전 모두 "단장"의 Lombard rhythm영어이 많이 사용되어, 4음 단위에서 "장단단장", "단장장단", "단장단장", "장단장단"으로 변화가 많다. 반면 "고향의 하늘"은 모두 "장단장단"이다. 19세기 후반 악보에서는 “2nd Sett” 리듬 일부가 "고향의 하늘"에 더 가까워졌으며[17][18], 현재는 이쪽이 일반적이다.[14]
2. 1. 가사 기원 논쟁
G. W. 네이피어는 1876년 ''노트 앤 쿼리즈''에서 "'밀밭에서'의 원래 가사는 확실하게 추적할 수 없다"고 썼다.[2] 이 노래에는 여러 다른 버전이 있으며, 현재 번즈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는 버전은 존슨의 ''박물관''에 실린 버전으로 번즈가 손을 보았지만, 노래 자체는 번즈 이전부터 알려져 있었다고 한다.주인공 "제니"는 더 이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달리, 노스 에어셔 타운의 드라케미르 교외 지역에는 "밀밭에서"가 타운 북쪽의 드라케미르에서 여울을 건너 라이 워터를 건너는 것을 묘사한다는 오랜 전설이 있다.[2][3] 1867년 ''글래스고 헤럴드''에 이 이야기가 실리자, 곧 "밀밭"은 이슬로 젖은 호밀 밭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밀"과 "곡물"을 "호밀"로 대체하는 다른 연과도 더 잘 어울린다.[4] 또 다른 제안은 "밀밭"이 물웅덩이가 생기기 쉬운 길고 좁은 자갈 포장 차선이었다는 것이다.[2]
원래 시는 이미 성적인 이미지가 가득했지만, 다른 버전은 이를 더욱 명확하게 만든다. 다른 버전에서는 "staun o' staunin' graith"(대략 "놀라운 크기의 발기")는 "키스"를 "섹스"로 대체하고, 제니의 4절에 나오는 "것"은 그녀의 "보지"로 확인된다.[5][6][7]
2. 2. 숨겨진 의미와 해석
G. W. 네이피어는 1876년 ''노트 앤 쿼리즈''에서 "밀밭에서"의 원래 가사는 확실하게 추적할 수 없다고 썼다. 이 노래에는 여러 다른 버전이 있는데, 현재 번즈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는 버전은 존슨의 ''박물관''에 실린 버전으로, 번즈가 손을 보았지만 노래 자체는 어떤 형태로든 번즈보다 훨씬 이전부터 알려져 있었다.[2]주인공 "제니"는 더 이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달리의 제니"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달리, 노스 에어셔 타운의 드라케미르 교외 지역에는 "밀밭에서"가 타운 북쪽의 드라케미르에서 여울을 건너 라이 워터를 건너는 것을 묘사한다는 오랜 전설이 있다. 이 이야기가 1867년 ''글래스고 헤럴드''에 실리자, 곧 "밀밭"은 이슬로 젖은 호밀 밭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밀"과 "곡물"을 "호밀"로 대체하는 다른 연과도 더 잘 어울린다.[4] 또 다른 제안은 "밀밭"이 물웅덩이가 생기기 쉬운 길고 좁은 자갈 포장 차선이었다는 것이다.[2]
원래 시는 이미 성적인 이미지가 가득했지만, 다른 버전은 이를 더욱 명확하게 만든다. 다른 후렴구는 음경을 언급하는데, "staun o' staunin' graith"(대략 "놀라운 크기의 발기")는 "키스"를 "섹스"로 대체하고, 제니의 4절에 나오는 "것"은 그녀의 "보지"로 확인된다.[5][6][7]
2. 3. 한국 사회에서의 수용
"고향의 하늘"은 원곡인 ""의 리듬을 "장단장단"으로 통일하고, 멜로디와 리듬을 단순화한 편곡 버전이다. 오쿠 요시요시가 편곡을 맡았는데, 그는 메이지 가창의 오리지널 곡을 다수 작곡한 인물이다.[16]멜로디는 대부분 요나누키 음계로 구성되어 있으며(마지막 부분에 한 군데 파(fa)가 있음), 기억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센티멘털한 가사와 어우러져 일본인의 감성을 자극하여 인기곡이 되었다.
과거 일본 횡단보도에 설치된 음향 장치 부착 신호등에서는 "고향의 하늘"을 "토랴세"와 함께 파란 신호등 멜로디로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03년 이후부터는 "삐약삐약", "뻐꾸기"와 같은 의성음으로 대체되고 있다.
3. 가사
로버트 번스의 시 "Comin' Thro' the Rye"는 여러 버전의 가사가 존재하며, 스코틀랜드 영어 방언이 많이 사용되었다.[15] 원본 가사와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22][23][24][25]
오, 제니는 온통 젖었네, 불쌍한 사람,
제니는 마를 날이 없네:
그녀는 속치마를 다 적셨네,
라이 밭을 지나오면서!
후렴:
라이 밭을 지나오면서, 불쌍한 사람,
라이 밭을 지나오면서,
그녀는 속치마를 다 적셨네,
라이 밭을 지나오면서!
만약 사람이 사람을 만난다면
라이 밭을 지나오면서,
만약 사람이 사람에게 키스한다면,
어찌 소리쳐야 할까?
(후렴)
만약 사람이 사람을 만난다면
골짜기를 지나오면서
만약 사람이 사람에게 키스한다면,
세상이 알 필요가 있을까?
(후렴)
만약 사람이 사람을 만난다면
곡식을 지나오면서;
만약 사람이 사람에게 키스한다면,
그것은 바로 그 사람의 것이네.
(후렴)
모든 소녀에게는 그녀의 남자가 있네,
사람들은 내가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호밀밭을 지날 때
모든 남자들은 내게 미소짓는다.
- weet영어 – 젖은
- draigl't영어 – 질퍽해진
- gin영어 – "~이라면", "만약"의 의미
- cry영어 – (도움을) 외치다
- warl영어 – 세상
- ken영어 – 알다
- ain영어 – 자기 자신의
번스에 의한 오리지널 가사를 특정하기는 어렵다.[21]
3. 1. 로버트 번스 가사
Robert Burns|로버트 번스영어가 쓴 원곡 가사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22][23][24][25]| 원문 | 한국어 번역 |
|---|---|
- weet영어 – 젖은
- draigl't영어 – 질퍽해진
- gin영어 – "~이라면", "만약"의 의미
- cry영어 – (도움을) 외치다
- warl영어 – 세상
- ken영어 – 알다
- ain영어 – 자기 자신의
이 가사는 스코틀랜드의 대시인 로버트 번스의 시로, 스코틀랜드 영어 방언이 많이 사용되었다.[15] 가사에는 몇 가지 버전 차이가 있으며, 번스에 의한 오리지널을 특정하기는 어렵다.[21]
가사의 내용은 "누군가와 누군가가 라이 밭에서 만났을 때, 둘은 분명히 키스할 것이다. 아무것도 슬퍼할 필요가 없다. 누구나 사랑을 하기 마련이니까..."라는 내용의 희롱조 노래이다. 라이는 풀의 키가 어른의 키만큼 크기 때문에, 밭 안에 들어가면 남녀가 애정행각을 벌여도 남에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번스의 원래 가사는 밀밭에서 남녀가 애정행각을 벌이는 모습을 묘사한 외설적인 노래, 즉 춘가에 해당하며, 영어권에서는 이러한 외설적인 노래라는 인식이 강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고 한다.
3. 2. "Ilka lassie" 가사
Ilka lassie영어 버전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16]:모든 소녀에게는 그녀의 남자가 있지만,
:사람들은 내가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호밀밭을 지날 때
:모든 남자들은 내게 미소짓는다.
번스 가사의 "더 깨끗한" 버전은 상당히 외설적이며, 이 버전 또는 "영문화된" 버전이 가장 흔하게 불린다.[15]
원곡은 영어권에서 장난스럽고 유쾌한 곡으로 평가받지만, 번스의 원래 가사는 밀밭에서 벌어지는 외설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고향의 하늘"과는 다른 분위기를 지닌다.[15]
3. 3. 한국어 가사
1947년 이와사 토이치로가 작사한 '가을 하늘'이 발표되었다. 가사 내용은 '고향의 하늘'과는 다르게, 단풍으로 물든 가을 산의 자연을 노래한다. 곡은 '고향의 하늘'과 같다.[16]전후, '고향의 하늘'을 번즈의 시와 비슷한 형태로 개작한 것이 시인 오오키 아츠오와 성악가 이토 타케오가 함께 만든 '누군가가 누군가와'이다. '밀밭'이라고도 불린다.[16]
도쿄예술대학 교수였던 이토는 당시 도쿄대학 음악부를 지도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외국 노래는 원어에 더 충실하게 번역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번즈의 시와 비슷한 형태로 되돌렸다. 곡도 리듬이 '고향의 하늘'의 것이 아닌 "Comin' Thro' the Rye"와 비슷하지만, "장단단장"이 더욱 많은 독자적인 리듬이 되었다.[16]
1963년 7월 1일, 에노모토 겐이치와 키노미 나나의 듀엣으로 싱글 "할아버지! 네!!"(동명의 텔레비전 드라마 주제가)의 B면 곡으로 발매되었다. 일본어 가사는 몬마 나오에, 편곡은 히로세 후미오가 담당했다. 내용은 번즈의 원래 가사에 가깝다. 영어 표기는 “COMIN' THRU' THE RYE”이다.[16]
1970년대에는 '누군가가 누군가를'을 더욱 발전시킨 노래가 인기를 끌었다. 나카니시 레이가 작사하고 이카리야 초스케가 이끄는 더 드리프터즈가 부른 '누군가 씨와 누군가 씨'이다. 곡은 원곡 "Comin' Thro' the Rye"와도 '고향의 하늘'과도 다른 리듬으로 되어 있다.
B면은 '드리프의 오코사 절'이다. 이쪽은 아키타현 민요 '오코사 절'이 원곡이다.
; 수록곡
| # | 제목 | 작곡 | 비고 |
|---|---|---|---|
| 1 | 누군가 씨와 누군가 씨 | 스코틀랜드 민요 | 영화 『누군가 씨와 누군가 씨가 전원 집합!!』 주제가 |
| 2 | 드리프의 오코사 절 | 아키타현 민요 |
- 전체 작사: 나카니시 레이/편곡: 가와구치 마코토
4. 문화적 영향
"밀밭에서"는 J. D. 샐린저의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 제목에 영감을 주었으며,[9] 이 외에도 다양한 문화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 1906년 루스 빈센트가 최초로 녹음했다.[9]
- 1912년 마르첼라 셈브리치가 커버했다.[10]
- 1953년 존 포드 감독의 영화 ''모감보''에서 에바 가드너가 불렀다.[11]
- 조 스태포드는 앨범 ''스코틀랜드의 노래''에서 이 곡을 커버했다.[12]
- 2020년 존 C. 라일리는 밥 딜런의 ''테마 타임 라디오 아워'' 특별 위스키 테마 에피소드에서 이 곡을 불렀다.[13]
4. 1. 호밀밭의 파수꾼
J. D. 샐린저의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1951) 제목은 이 시의 제목에서 따왔다. 주인공 홀든 콜필드는 시의 구절을 "if a body meet a body" 대신 "if a body catch a body"로 잘못 기억한다. 그는 절벽 근처의 호밀밭에서 노는 아이들을 상상하며, 아이들이 떨어지려고 할 때 자신이 그들을 붙잡는 모습을 떠올린다.원작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에서는 “Comin' Thro' the Rye”영어가 불려지며(소설이므로 가사만 사용), 원제 ''The Catcher in the Rye영어''도 가사를 비튼 것이다.
4. 2. 영화 및 드라마
영화 《타오르는 하늘》(1940)에서는 전투기, 폭격기 조종사들이 극중에서 "고향의 하늘"을 흥얼거리는 장면이 자주 나오며, 전사한 동료를 생각하며 흥얼거리는 감동적인 장면에서 사용된다.[1] 드라마 《귀여운 악마》(1982)에서는 살인범인 8살 소녀가 죽은 아버지의 추억의 곡으로 노래하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온다.[1] 영화 《해난 1890》(2015)에서는 에르투루호호의 침몰에서 생환한 터키인 승무원 중 한 명이 이 곡("고향의 하늘")을 트럼펫으로 연주하고, 이에 맞춰 오시마 마을 주민들이 노래하는 장면이 있다.[1]4. 3. 음악
이 곡은 여러 음악가들에 의해 커버되었는데, 최초의 녹음은 1906년 루스 빈센트에 의해 이루어졌다.[9] 1912년에는 마르첼라 셈브리치가 이 곡을 커버했다.[10] 조 스태포드는 자신의 앨범 ''스코틀랜드의 노래''에서 이 곡을 커버했다.[12]원곡은 영어권에서 장난스럽고 유쾌한 곡으로 평가받는다.[15] 멜로디는 Auld Lang Syne영어(올드 랭 사인, 작은 별의 원곡)과 유사하며, Auld Lang Syne영어은 이 곡의 변형 중 하나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14]
크게 나누어, 멜로디나 리듬이 약간 다른 두 가지 변형이 있다. 최초 악보이자 번즈가 공동 편집한 The Scots Musical Museum|스코츠 뮤지컬 뮤지엄영어 Vol.5 (1796)에서는 이를 “1.st Sett영어”, “2.d Sett영어”(이하 “1st Sett영어”, “2nd Sett영어”로 표기)로 하고 있다.[16]
"고향의 하늘"은 원곡인 "2nd Sett영어"의 리듬을 "장단장단"으로 통일하고, 멜로디나 리듬의 세부를 단순화하는 등의 편곡을 거쳤다. 이 편곡은 오쿠 요시요시에 의한 것이다. 멜로디가 요나누키 음계와 유사하여(마지막 부분에 한 군데만 파(fa)가 있다) 매우 기억하기 쉽고, 센티멘털한 가사와 함께 일본인의 감성을 자극하여 인기곡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나카니시 레이가 작사하고 이카리야 초스케가 이끄는 더 드리프터즈가 부른 "누군가 씨와 누군가 씨"가 인기를 끌었다. 이 곡은 원곡 "Comin' Thro' the Rye"와도 "고향의 하늘"과도 다른 리듬으로 되어 있다.
5. 한국 사회에서의 논쟁과 비판
"밀밭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왜색 논란, 선정성 논란 등 여러 논쟁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5. 1. 왜색 논란과 비판
원곡은 영어권에서 장난스럽고 유쾌한 곡으로 평가받고 있다.[15] 멜로디는 Auld Lang Syne|올드 랭 사인영어 (반짝반짝 작은 별의 원곡)과 유사하며, Auld Lang Syne|올드 랭 사인영어은 이 곡의 변형 중 하나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14]"고향의 하늘"은 원곡의 리듬을 "장단장단"의 뿅뿅절로 통일하고, 멜로디나 리듬의 세부를 단순화하는 편곡을 거쳤다. 이 편곡은 메이지 창가의 오리지널 곡을 많이 작곡한 오쿠 요시요시가 맡았다.
멜로디가 거의 요나누키 음계(마지막 부분에 한 군데만 파(fa)가 있다)여서 기억하기 쉽고, 감성적인 가사와 함께 일본인의 감성을 자극하여 인기곡이었다.
일본 횡단보도의 음향 장치 부착 신호등에는 "고향의 하늘"이 "토랴세"와 함께 파란 신호등 멜로디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03년부터는 "삐약삐약", "뻐꾸기" 의성어로 대체되고 있다.
국어학자 긴다이치 하루히코는 수필에서 "어렸을 때 '귀뚜라미'가 우는 것이 아니라, 토호쿠 방언으로 지무시(지렁이)가 우는 것으로 생각했다"라고 썼다.
5. 2. 선정성 논란과 젠더 관점
"밀밭에서"의 가사가 선정적이라는 비판은 주로 여성에게 성적 대상화를 조장한다는 주장에 기반한다. 이러한 주장은 여성을 수동적인 존재로 묘사하고 남성의 시각에서 성적 판타지를 투영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5]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밀밭에서"의 원곡이 영어권에서 장난스럽고 유쾌한 곡으로 평가받는다는 점을 간과한다는 반론도 제기된다.[15] 미투 운동 이후 "밀밭에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가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Notes and Queries
https://books.google[...]
1876-02-19
[2]
서적
The Luath Burns Companion
https://books.google[...]
Luath Press Ltd.
2011-01-01
[3]
웹사이트
Burns and the Folksinger
http://www.arts.gla.[...]
STELLA
2014-10-28
[4]
서적
The complete poetical works of Robert Burn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ir earliest publication: (With New Annotations, Biographical Notices &c., by Scott Douglas)
https://books.google[...]
James M'Kie
[5]
서적
What is worl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Comin' thro' the rye
http://www.bbc.co.uk[...]
BBC
2011-11-30
[7]
서적
The Merry Muses of Caledonia
https://archive.org/[...]
[8]
간행물
An Analysis of the Adolescent Problems in ''The Catcher in the Rye''
http://www.ccsenet.o[...]
2011-11-02
[9]
웹사이트
Original versions of Comin' Thro' the Rye by Miss Ruth Vincent
https://secondhandso[...]
[10]
웹사이트
Victor matrix C-12474. Comin' thro' the rye / Marcella Sembrich - Discography of American Historical Recordings
https://adp.library.[...]
2021-10-19
[11]
웹사이트
Mogambo-- comin thro the rye.
https://www.youtube.[...]
2021-10-19
[12]
웹사이트
Songs of Scotland - Jo Stafford | Songs, Reviews, Credit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10-19
[13]
뉴스
Episode 102: Whiskey
https://www.themetim[...]
2021-10-19
[14]
서적
The Book of World-famous Music: Classical, Popular, and Folk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5]
allmusic
Comin' Thro' the Rye - Scottish Traditional | Details, Parts / Movements and Recordings
http://www.allmusic.[...]
[16]
도서
The Scots Musical Museum(Folk Songs, Scottish) - IMSLP/ペトルッチ楽譜ライブラリー:パブリックドメインの無料楽譜
https://imslp.org/wi[...]
[17]
도서
Comin' thro' the rye; Scotch ballad
http://library.duke.[...]
[18]
도서
Comin' thro' the rye, Scotch ballad
http://www.loc.gov/r[...]
[19]
보고서
視覚障害者用付加装置に関する設置・運用指針の制定について(通達)
https://www.npa.go.j[...]
警察庁
2003-10-22
[20]
뉴스
横断歩道、減る「通りゃんせ」 音響信号「ピヨピヨ」化
http://www.asahi.com[...]
2016-10-07
[21]
간행물
https://books.google[...]
1876-02-19
[22]
문서
weet - wet
[23]
문서
draigl't - dragged
[24]
문서
warl - world
[25]
문서
ken - kno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