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다사자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사자속(Zalophus)은 바다사자과에 속하는 속으로, 캘리포니아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 멸종된 일본바다사자를 포함한다. 이들은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 갈라파고스 제도, 일본과 한국 등지에 분포하며, 수컷은 암컷보다 크고 짙은 갈색을 띤다. 바다사자는 해안에서 휴식을 취하고 물고기와 문어를 먹으며, 사교적인 동물로서 번식기에는 수컷이 영역을 설정하고 하렘을 형성한다. 분류학적으로는 세 종이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캘리포니아바다사자와 갈라파고스바다사자는 약 230만 년 전에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2. 하위 종

다음 종이 속한다.[6] 이 중 일본바다사자는 최근 멸종했다.

종명학명분포상태
캘리포니아바다사자Zalophus californianus북아메리카 서부 해안 (알래스카 ~ 멕시코)현존
갈라파고스바다사자Zalophus wollebaeki갈라파고스 제도현존
일본바다사자Zalophus japonicus동해 (일본 근해)† 멸종


2. 1. 캘리포니아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anus'')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캘리포니아바다사자(''Zalophus californianus'')는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 및 섬에 서식한다.[2] 분포 범위는 동남 알래스카에서 멕시코 중부까지 이른다.

2. 2. 갈라파고스바다사자 (''Zalophus wollebaeki'')

갈라파고스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Zalophus wollebaeki'')는 주로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에콰도르 해안과 콜롬비아의 고르고나 섬 북부까지 분포한다.[3]

2. 3. 일본바다사자 (''Zalophus japonicus'') †

일본바다사자


일본바다사자(학명: ''Zalophus japonicus'')는 바다사자속에 속했던 기각류의 한 종으로, 현재는 멸종했다 (†).[4] 과거 일본한국의 근해에 주로 서식했으며, 때때로 러시아의 남부 캄차카 반도와 사할린 섬까지 이동했던 것으로 추정된다.[4]

3. 형태

바다사자속(''Zalophus'')의 동물들은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나타낸다. 특히 수컷 성체는 머리에 튀어나온 시상 능선을 가지고 있다. 모든 귀 물개류와 마찬가지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고 무겁다. 수컷은 짙은 갈색 털을 가지는 반면, 암컷은 더 밝은 색을 띤다. 다른 귀 물개류와 달리 수컷에게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갈기가 없다. 종별 크기와 무게는 다음과 같다.

종별/성별 크기 및 무게 비교
성별몸무게길이
캘리포니아바다사자수컷300kg ~ 380kg240cm
암컷80kg ~ 120kg180cm ~ 200cm
갈라파고스바다사자수컷약 250kg250cm ~ 270cm
암컷60kg ~ 100kg150cm ~ 170cm



바다사자속 동물들은 물속 생활에 적합한 유선형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 아래에는 체온 유지와 부력 확보에 도움을 주는 두꺼운 지방층이 있다. 털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띤다. 눈은 비교적 커서 빛이 적은 수중 환경에서도 잘 볼 수 있도록 도와주며, 얼굴의 수염은 촉각 기능을 담당한다. 물속에 들어가면 콧구멍은 자동으로 닫힌다. 앞지느러미는 길고, 육지에서는 몸을 지탱하고 이동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릴 수 있으며, 물속에서는 몸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추진력을 만든다. 이들은 가능한 한 오랫동안 물속에 머무를 수 있다.

4. 생태

바다사자는 주로 해안가에서 휴식을 취한다. 매우 사교적인 동물로, 절벽이나 해안가뿐만 아니라 부두나 항해용 그릇과 같은 인공 구조물에서도 큰 무리를 이루어 발견되기도 한다. 먹이를 찾을 때는 최대 40m 깊이까지 잠수하여 물고기나 문어, 그 외 연체동물을 잡아먹는다.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해안에 자신만의 영역을 확보하고 이를 엄격하게 지키며, 여러 암컷으로 이루어진 하렘을 만들려고 시도한다.

5. 번식

털물개속과 달리, 바다사자속 종은 조직화되지 않은 다양한 집단을 형성한다. 수컷 역시 영역을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각각 약 15마리의 암컷으로 구성된 하렘을 형성한다. 수컷은 영역 표시를 위해 큰 소리를 낸다. 이들은 종에 따라 일반적으로 5월에서 1월 사이에 교미한다. 암컷은 342일에서 365일 사이의 임신 기간을 거쳐 육지나 물에서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이들은 젖에 젖당이 없는 유일한 포유류이다. 암컷은 11개월에서 12개월 후에 새끼를 젖뗀다. 하지만 어떤 암컷들은 신생아와 함께 1년 된 새끼에게도 젖을 먹인다.

6. 분류

오랫동안 전문가들은 이 을 구성하는 3개의 분류군이 3개의 완전한 단형종인지, 아니면 3개의 아종을 가진 단일 종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 만약 후자의 경우라면, 우선권 원칙에 따라 이 종의 학명은 ''Zalophus californianus''가 된다.

1953년, 동물학자 얼링 시버트센(Erling Sivertsen)은 1928년과 1929년 사이에 노르웨이 탐험선 MK 노르베기아(MK Norvegia)가 수집하여 오슬로 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던 두개골과 고고학적 유물을 바탕으로 새로운 분류 기준을 제시했다. 전통적으로 이 세 집단은 하나의 공통된 종에 속하는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윌슨 & 리더(Wilson & Reeder)는 세 집단을 각각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였다. 2007년 울프 외(Wolf et al.)의 분자유전학 연구 역시 미토콘드리아 DNA와 세포핵 DNA SNP 분석을 통해 동일한 결론, 즉 세 집단이 별개의 종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한, 분자 시계 분석 결과 캘리포니아바다사자갈라파고스바다사자는 약 230만 년 전(± 50만 년)에 서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www.bucknel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2007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www.iucnredlist.org 2008-03-07
[3] 웹사이트 2007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www.iucnredlist.org 2008-03-07
[4] 웹사이트 2007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www.iucnredlist.org 2008-03-07
[5]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6]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www.bucknel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웹인용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https://www.nibr.go.[...] 2017-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