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실리 타시셰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리 타시셰프는 1686년에 태어나 1750년에 사망한 러시아의 정치가, 역사가, 지리학자이다. 그는 대북방 전쟁에 참전하고, 표트르 1세 치하에서 외무부 요직을 맡았으며, 우랄 지역의 페름과 예카테린부르크 건설을 감독했다. 또한, 우랄 산맥을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로 제안했으며, 러시아 역사학 발전에 기여하여 《가장 고대 시대부터의 러시아 역사》를 저술하고 러시아어 사전을 편찬했다. 그의 업적은 18세기부터 논란이 있었으며, 역사적 출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인류학자 - 바실리 바르톨트
    바실리 바르톨트는 러시아의 동양학자로, 중앙아시아, 투르키스탄, 이슬람 세계의 역사 연구, 특히 몽골 제국 시대 연구에 공헌했으며, 소비에트 동양학 확립에 기여한 중앙아시아사 연구의 선구자이다.
  • 러시아의 인류학자 - 니콜라이 다닐렙스키
    니콜라이 다닐렙스키는 러시아의 사상가이자 슬라브주의자로, 역사-문화 유형론을 제시하고 다윈주의를 비판하며, 생물학적 유추를 통해 문화와 국가의 고유성을 강조했다.
  • 1750년 사망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바로크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뛰어난 대위법 기법과 독창적인 화성으로 서양 음악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장르에 걸쳐 1000곡이 넘는 작품을 남긴 거장이다.
  • 1750년 사망 - 주앙 5세
    포르투갈의 국왕 주앙 5세는 브라질의 금과 다이아몬드를 바탕으로 절대 왕정을 확립하고 바로크 건축 부흥을 이끌었으며, 스페인과의 조약으로 브라질 영토를 확장했으나 말년에는 병고에 시달렸다.
  • 문화기술지학자 -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는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문화 진화론의 선구자로, 문화를 복합적인 전체로 정의하며 문화인류학의 기초를 세웠고,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문화의 진화적 발전을 연구했으며, 애니미즘을 종교의 초기 형태로 제시하고 잔존 개념을 통해 과거 문화의 흔적을 설명했다.
  • 문화기술지학자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바실리 타시셰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실리 니키티치 타티셰프, 1800년대 화가 미상 작품.
바실리 니키티치 타티셰프, 1800년대 화가 미상 작품.
본명바실리 니키티치 타티셰프
로마자 표기Vasiliy Nikitich Tatishchev
출생1686년 4월 19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프스코프 주 오스트로프스키 군 보레드키
사망1750년 7월 15일 (64세)
사망지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주 드미트로프스키 군 볼디노
국적러시아
직업역사학자
지리학자
민족지학자
언어학자
정치가
학력야코프 브루스 모스크바 포병 및 공병 학교
배우자안나 바실리예브나 안드레옙스카야
자녀예프락시야 타티셰바 (1715–1769)
예브그라프 타티셰프 (1717–1781)
부모아버지: 니키타 알렉세예비치 타티셰프 (1706년 사망)
어머니: 페티니야 안드레예브나 아르셰네프스카야
가족타티셰프 가문
업적
주요 업적러시아 역사 저술
러시아어 표기
러시아어 이름Васи́лий Ники́тич Тати́щев
로마자 표기Vasiliy Nikitich Tatishchev
주요 저서История Российская (러시아 역사)

2. 생애

1686년 4월 19일 프스코프 근처에서 태어나 1750년 7월 15일 모스크바 근처 볼디노 영지에서 사망했다. 모스크바의 공학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1700년부터 1721년까지 대북방 전쟁에 참전하며 군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표트르 대제와 안나 치하에서 관료로 활동하며 우랄 지역의 공장 관리 책임자로서 페름과 예카테린부르크 건설을 주도했고, 바슈키르 전쟁 진압 작전을 지휘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아스트라한 총독을 역임했다. 공직에서 은퇴한 후에는 러시아 역사학 연구에 몰두하여 《가장 고대 시대부터의 러시아 역사》를 저술하고 최초의 백과사전식 러시아어 사전 편찬을 시도하는 등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그의 역사 연구는 후대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지만, 사용된 사료의 진위 여부 등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2. 1. 초기 생애

1686년 4월 19일 프스코프 근처의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가정 교육을 받으며 독일어폴란드어를 익혔다. 성인이 된 후에는 프랑스어라틴어도 공부했지만, 이 두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는 못했다. 모스크바에 있는 포병 공병 학교를 졸업하고, 1700년부터 1721년까지 스웨덴을 상대로 한 대북방 전쟁에 참전하였다. 표트르 대제 치하에서 외무부의 중요한 직책을 맡기도 했으며, 이후 최고 비밀 위원회의 정책에 반대하고 1730년 안나가 러시아 왕위에 오르는 것을 지지했다.

2. 2. 관료 경력

대북방 전쟁(1700년-1721년)에 참전한 후, 표트르 대제 치하에서 외무부의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그는 이 지위를 이용하여 최고 비밀 위원회의 정책에 반대하였고, 1730년 안나가 러시아 황제로 즉위하는 것을 지지했다.

안나는 그에게 보답으로 수익성이 좋은 우랄 지역 공장 관리직을 맡겼다. 이 자리에서 그는 페름과 예카테린부르크 건설을 주도했으며, 이 도시들은 이후 우랄 지역의 주요 중심지로 성장했다. 2003년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페름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1735년부터 1740년까지 이어진 바슈키르 전쟁 동안에는 1736년 겨울부터 시베리아 지역 작전을 지휘했고, 1737년 봄부터는 전쟁 전체 작전의 책임자가 되었다. 그러나 1739년 3월, 표면적으로는 부패 혐의로 지휘권을 박탈당했지만, 실제로는 정치적으로 너무 많은 적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있다. 타티셰프는 아스트라한 총독(1741년–1744년)을 마지막으로 공직 생활을 마감했다.

2. 3. 은퇴와 학문 연구

은퇴 후, 노련한 정치가였던 바실리 타시셰프는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 그는 러시아 역사학이 소홀히 다루어졌다고 생각하여, 루스카야 프라다와 1550년의 수데브니크 등 중요한 법률 자료들을 발굴하고 출판했다. 그의 주요 저서는 러시아 역사를 처음으로 개괄한 《가장 고대 시대부터의 러시아 역사》로, 사후 5권으로 출판되었다. 그는 또한 최초의 백과사전식 러시아어 사전 편찬을 시도했다.

타시셰프 업적의 학문적 가치는 18세기부터 논란의 대상이었다. 독일 역사가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폰 슐뢰처(1735–1809)는 타시셰프가 제대로 된 학문적 훈련을 받지 못했고 라틴어를 전혀 몰랐으며, 독일어 외의 현대 언어를 이해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미국 역사가 에드워드 C. 테이든(1986)은 타시셰프가 독일어와 폴란드어 지식을 갖추고 있었기에 슐뢰처의 비판이 다소 과장되었다고 보았다. 다만 프랑스어와 라틴어 이해는 부족했으나, 군사 및 행정 분야에서의 훈련과 경험이 그의 연구에 일정 부분 전문성을 더해주었다고 평가했다.

러시아 역사가 니콜라이 카람진(1766–1826)은 출처가 없거나 불분명한 타시셰프의 주장을 '허구' 또는 '환상'으로 치부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타시셰프가 현재는 소실된 일부 연대기를 활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가 사용한 자료 중 다수, 특히 논란이 많은 《요아킴 연대기》는 진위가 의심스럽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소련의 역사가 야코프 S. 루리예(1968)는 '타티셰프 정보(Tatishchev information)'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오직 타시셰프의 저술에서만 발견되는 자료를 뜻하며, 매우 회의적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타시셰프가 자료의 진위 여부를 제대로 판별하지 못했으며, 그의 역사 서술에 포함된 일부 내용은 상상에 기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도 있다.

3. 주요 업적

바실리 타시셰프는 지리학, 도시 건설, 역사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우랄산맥유럽아시아의 지리적 경계로 삼을 것을 처음으로 제안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여러 거주지가 생겨날 정도로 도시 건설에도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러시아 역사학 연구에 몰두하여 중요한 사료를 발굴하고 러시아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저술을 남겼으며, 최초의 러시아어 사전 편찬을 시도하기도 했다. 다만 그의 역사 연구 방법론과 사료 인용에 대해서는 후대 학자들의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3. 1. 지리학

바실리 타시셰프는 우랄산맥유럽아시아를 구분짓는 지리적 경계로 삼을 것을 최초로 제안하였다.

3. 2. 도시 건설

사라토프주, 사마라주, 오렌부르크주에 있는 여러 거주지는 타티셰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3. 역사학

은퇴 후, 노련한 정치가였던 바실리 타시셰프는 학문 연구에 전념했다. 그는 러시아 역사학이 소홀히 다루어졌다고 생각하여, 루스카야 프라다와 1550년의 수데브니크 등 중요한 법률 문서를 발굴하고 출판했다. 그의 주요 저서는 러시아 역사를 처음으로 개괄한 《가장 고대 시대부터의 러시아 역사》로, 사후 5권으로 출판되었다. 또한 최초의 백과사전식 러시아어 사전 편찬을 시도하기도 했다.

타시셰프의 연구에 대한 학문적 평가는 18세기부터 논란이 있었다. 독일 역사가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폰 슐뢰처 (1735–1809)는 타시셰프가 "훈련받지 않았고, 라틴어를 한 단어도 몰랐으며, 독일어 외에는 어떤 현대 언어도 이해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미국 역사가 에드워드 C. 테이든 (1986)은 타시셰프가 독일어와 폴란드어를 구사했다는 점을 들어 슐뢰처의 비판이 다소 과장되었다고 지적하면서도, 프랑스어와 라틴어 이해는 부족했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테이든은 그의 군사 및 행정 경험이 역사 연구에 어느 정도 전문성을 부여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 역사가 니콜라이 카람진 (1766–1826)은 출처가 없거나 불분명한 타시셰프의 주장을 "허구"와 "환상"이라고 일축했다. 타시셰프가 현재는 소실된 일부 연대기를 참고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중 악명 높은 《요아킴 연대기》를 포함한 다수는 진위가 의심스럽거나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소련 역사가 야코프 S. 루리예 (1968)는 "타티셰프 정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는 "오직 타시셰프의 저술에서만 발견되는 자료"를 의미하며 매우 신중하고 회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루리예는 타시셰프가 자료의 진위 여부를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했으며, 그의 역사 서술에 포함된 일부 사건들은 상상력에 기반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4. 유산 및 평가


  • 1978년 9월 27일, 소련 천문학자 류드밀라 체르니흐가 크리미아 천체 물리 관측소에서 발견한 소행성에 타시셰프의 이름이 붙여졌다 ((4235) 타티셰프).
  • 1985년, 타시셰프를 기념하는 우편 봉투가 발행되었다.[5]
  • 1991년, 소련에서 "러시아 역사학자 우표 시리즈"의 일환으로 바실리 타시셰프를 묘사한 우표가 발행되었다.[6]
  • 1998년, 톨리야티에 타시셰프의 기마상이 세워졌다.
  • 1998년, 예카테린부르크의 플로틴카(이세트강의 도시 연못 댐)에 예카테린부르크 창립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기념비에는 "Славным сынам России В. Н. Татищеву и В. И. де Геннину Екатеринбург благодарный 1998 год|슬라브님 시남 로시이 V. N. 타티셰부 이 V. I. 데 게니누 예카테린부르크 블라고다르니 1998 고트ru" (러시아의 영광스러운 아들들, V.N. 타티셰프와 게오르크 빌헬름 데 게닌, 예카테린부르크가 감사하며, 1998년)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조각가는 표트르 추소비틴이다.
  • 타시셰프와 게오르크 빌헬름 데 게닌의 이름을 딴 상이 예카테린부르크에 제정되었다.[3]
  • 현대 예카테린부르크 영토 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타티셰프 산으로 불린다.[4]

5. 비판

타시셰프의 학문적 업적에 대한 과학적 가치는 이미 18세기부터 논란의 대상이었다. 독일 역사가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폰 슐뢰처는 타시셰프가 제대로 된 학문적 훈련을 받지 못했고, 라틴어는 전혀 몰랐으며, 독일어 외에는 어떤 현대 언어도 이해하지 못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미국 역사가 에드워드 C. 테이든은 타시셰프가 독일어와 폴란드어를 구사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비판이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물론 프랑스어와 라틴어에 대한 이해는 부족했지만, 그의 군사 및 행정 분야에서의 경험이 어느 정도 전문성을 부여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러시아의 저명한 역사가 니콜라이 카람진은 타시셰프의 주장 중 출처가 없거나 불분명한 부분들을 "허구"이자 "환상"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타시셰프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몇몇 연대기를 사용한 것은 사실로 보이지만, 그중 상당수, 특히 악명 높은 《요아킴 연대기》는 그 진위가 매우 의심스러우며,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소련의 역사가 야코프 S. 루리예는 "타티셰프 정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오직 타시셰프의 저술에서만 발견되는 자료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루리예는 이러한 정보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 나아가 그는 타시셰프가 자료의 진품과 가짜를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했으며, 그의 역사 서술에 포함된 일부 사건들은 단순히 그의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de Gennin got a hat or why sculptors were not paid for their work https://www.e1.ru/ne[...] E1, Yekaterinburg online 2019-06-25
[2] 웹사이트 Monument to Tatishchev and de Gennin in Yekaterinburg, Russia https://www.dreamsti[...] 2019-12-30
[3] 웹사이트 Provisions, a commemorative medal and the procedure for submitting works for the V.N. Tatishchev and G.V. de Gennin Prize http://docs.cntd.ru/[...] docs.cntd.ru 2019-12-30
[4] 웹사이트 Mount Tatishchev https://chrontime.co[...] chrontime.com 2019-12-30
[5] 웹사이트 Tatishchev Vasily Nikitich on a 1985 envelope http://filpersona.ru[...] 2019-12-30
[6] 웹사이트 Russian historian V. N. Tatishchev https://colnect.com/[...] Colnect 2019-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