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킬루스 세레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는 막대 모양의 그람 양성 세균으로, 젤라틴 배지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이 세균은 포자 형성 및 생물막 형성을 하며, 식품 산업에서 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통성 혐기성 세균으로 탄수화물, 단백질 등을 대사하며, PHB를 생성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 대체재로의 가능성도 보인다. B. cereus는 식중독을 유발하며, 구토 및 설사 증상을 일으킨다. 100℃ 이하의 조리 온도에서는 포자가 살아남을 수 있으며, 부적절한 냉장 보관 시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 진단은 역학적으로 관련된 음식에서 세균을 분리하여 이루어지며, 예방을 위해 적절한 조리 및 보관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놈 해독이 완료된 세균 - 탄저균
    탄저균은 바실러스속의 그람 양성 포자 형성 간균으로, 탄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포자를 형성하고 캡슐과 외독소를 통해 숙주를 공격하며, 백신과 항생제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 게놈 해독이 완료된 세균 - 나균
    나균(Mycobacterium leprae)은 나병을 유발하는 세포 내 기생 세균으로, 1873년 게르하르트 아르마우어 한센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인공 배양에는 성공하지 못했고, 다제요법(MDT)으로 치료한다.
  • 간균속 - 탄저균
    탄저균은 바실러스속의 그람 양성 포자 형성 간균으로, 탄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포자를 형성하고 캡슐과 외독소를 통해 숙주를 공격하며, 백신과 항생제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 간균속 - 고초균
    고초균은 극한 환경에서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호기성 그람 양성균으로, 유전자 조작이 용이하여 모델 생물로 사용되며, 낫토 제조, 효소 생산, 살균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안전성이 평가되어 식품 및 우주 비행 연구에도 사용된다.
바킬루스 세레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B. cereus 콜로니, 양 혈액 한천 배지 위
B. cereus 콜로니, 양 혈액 한천 배지 위
학명Bacillus cereus
명명자Frankland & Frankland 1887
아종Bacillus cereus bv. anthracis
생물학적 분류
도메인세균
후벽균문
바킬루스강
바킬루스목
바킬루스과
바킬루스속
특징
관련 질병음식물 쓰레기
학술
PMID33004259
36199032
19514852
20035003
22328607
36144322
PMCID9533521
DOI10.1016/j.aquaculture.2021.737156
10.1186/s12866-022-02652-5
10.1146/annurev.micro.091208.073255
10.1099/mic.0.034827-0
10.1099/ijs.0.030627-0
10.3390/microorganisms10091720
10.1016/j.tim.2020.09.003

2. 역사

1887년, 프랭클랜드 부부(Frankland)가 소 외양간의 공기에 노출된 젤라틴 배지에서 ''바실루스 세레우스(B. cereus)''의 집락을 처음 분리하였다.[10] 2010년대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이 제약 제조 시설에 발송한 FDA 경고 서한 검토 결과, 시설의 미생물 오염과 관련하여 가장 흔한 오염 물질이 ''B. cereus''인 것으로 밝혀졌다.[11] ''B. cereus''에서는 DNA 복구에 관여하는 AlkC 및 AlkD와 같은 새로운 효소가 발견되었다.[12]

3. 미생물학

''바실루스 세레우스'' 아포 염색


''바실루스 세레우스''는 막대 모양의 세균으로, 그람 양성 세포 외피를 가지고 있다. 균주에 따라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 세균일 수 있다. 대부분의 균주는 25°C에서 37°C 사이의 최적 온도를 가지는 중온성이며, 중성 pH를 선호하는 중성 친화적이지만, 일부는 훨씬 더 극한 환경에서도 생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3]

이 세균들은 포자 형성과 생물막 형성을 모두 하며, 오염 능력 때문에 식품 산업에 큰 어려움을 야기한다.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생물막은 공기-액체 계면이나 유리와 같은 단단한 표면에서 가장 흔하게 형성된다. ''바실루스 세레우스''는 편모 운동성을 나타내며, 이는 생물막 형성에 적합한 표면에 도달하는 능력을 높이고, 더 넓은 표면적으로 생물막을 확산시키며, 부유 상태 또는 단일 자유 생활 세균을 모집함으로써 생물막 형성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6] 포자가 다양한 부착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포자 형태에서도 생물막 형성이 발생할 수 있다.[14]

그들의 편모는 주모성 편모로, 세포체 전체에 위치한 많은 편모가 세포의 단일 위치에서 뭉쳐 세포를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편모의 특성은 또한 편모 필라멘트가 운동을 생성하기 위해 세포의 어느 부분에서 함께 뭉치는지에 따라 세포의 이동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한다.[14][15]

일부 연구와 관찰에 따르면, 몇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카 입자가 ''바실루스 세레우스'' 포자의 세포외 영역의 포자 외피 층에 침전되었다. 이 층은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STEM)을 사용하여 처음 발견되었지만, 촬영된 이미지가 실리카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해상도를 갖지 못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층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가설을 세우고 있다. 또한 산성 환경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저항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카 외피는 포자의 내부 막의 투과성과 관련이 있다. 강한 무기산은 포자 투과 장벽을 파괴하고 포자를 죽일 수 있다. 그러나 포자가 실리카 코팅을 가지고 있을 경우, 막의 투과성을 줄여 많은 산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다.[16]

3. 1. 대사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는 유산소 호흡과 혐기성 호흡 메커니즘을 모두 가지고 있어 통성 혐기성 세균이다.[17] 유산소 호흡 경로는 사이토크롬 aa3, 사이토크롬 caa3, 사이토크롬 bd의 세 가지 말단 산화효소로 구성되며, 각각의 사용은 환경에 존재하는 산소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18] ''바실루스 세레우스'' 게놈은 NADH 탈수소 효소, 숙신산 탈수소 효소, 복합체 III, 사이토크롬 c 산화 효소 등 대사 효소에 대한 유전자를 암호화한다. ''바실루스 세레우스''는 탄수화물, 단백질, 펩타이드,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여러 다른 화합물을 대사하여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17]

포도당 대사의 방사성 호흡 측정법에 따르면, 엠덴-마이어호프 경로는 ''바실루스 세레우스''가 세포 발달의 모든 단계에서 포도당을 이화 작용하는 주요 경로이다. 이는 발아 단계뿐만 아니라 포자 형성 단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사상체, 과립, 전포자 및 전환 단계에서 엠덴-마이어호프 경로는 세포의 포도당의 98%를 이화 작용을 담당했다. 나머지 포도당은 헥소스 모노포스페이트 산화 경로에 의해 이화 작용되었다.[19]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핵심 게놈 분석 결과, 다당류 분해 효소는 제한적으로 존재하고, 프로테아제와 아미노산 분해 및 수송 경로는 우세하게 나타나, 이들의 선호하는 식단이 단백질과 그 분해 산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20]

PHB를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진 세균의 분리주는 16S rRNA 서열 분석과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의 유사성을 통해 ''바실루스 세레우스''로 확인되었다. PHB는 환경에 과도한 탄소가 있거나 필수 영양소가 제한적일 때 생성될 수 있으며, 나중에 기아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연료원으로 분해된다. 이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대체물을 생산하는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잠재적 역할을 시사한다. PHB 생산은 탄소원으로 포도당이 공급될 때 가장 높았다.[21]

4. 유전체학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게놈은 5백만 bp 이상의 DNA를 포함하며, 5500개 이상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가 확인되었다.[5] 알려진 기능을 가진 유전자 중에는 대사 과정, 단백질 처리, 독성 인자, 스트레스 반응 및 방어 기작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있다. 독성 인자, 스트레스 반응 및 방어 기작 관련 유전자 중 다수는 항생제 내성에 관여하는 인자를 암호화한다.[5] 판게놈의 모든 유전자 중 약 1%는 ''바실루스 세레우스'' 센수 라토(B. cereus sensu lato) 분류군 99%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약 600개의 유전자이다.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판게놈은 박테리아 간 수평 유전자 전달로 인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22] 모든 균주에서 DNA의 GC 함량은 약 35%이다.[23]

pH 5.4-5.5의 산성 환경에서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아르기닌 데이미나아제 유전자 ''arcA''는 상향 조절된다.[24] 이 유전자는 산성 환경에서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4]

''바실루스 세레우스''에서 독성 인자 활성화는 쿼럼 감지를 통해 조절된다. 분비되는 독성 인자 다수의 활성화는 전사 조절 인자인 포스포리파제 C 조절 인자(PlcR)의 활성에 의존하며, 이는 성장의 정지기 초기에 가장 활성화된다. PapR이라는 작은 펩타이드는 쿼럼 감지 경로에서 이펙터로 작용하여 PlcR과 상호작용, 독성 유전자 전사를 활성화한다.[5]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plcR 유전자 점 돌연변이 도입 실험 결과, 돌연변이된 박테리아는 용혈성 및 포스포리파제 활성을 잃는 것으로 관찰되었다.[25]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편모는 균주에 따라 2~5개의 ''fla''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6]

5. 동정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바킬루스 세레우스(''B. cereus'')의 분리 및 계수를 위한 표준화된 방법(ISO 7932, ISO 21871)을 제시한다. ''B. cereus''는 레시티나아제를 생성하고 만니톨을 발효시키지 못하는 특성이 있어, 만니톨-난황-폴리믹신(MYP), 폴리믹신-피루브산-난황-만니톨-브로모티몰 블루 한천 배지(PEMBA) 등의 선택 배지를 사용하여 분리 및 식별한다. MYP 배지에서 ''B. cereus'' 집락은 보라색-붉은색 배경을 가지며 난황 침전물이 둘러싸고 있다.

Brilliance Bacillus cereus 한천 배지에서 바실루스 세레우스 집락


혐기성 성장, Voges–Proskauer 반응, 산 생성, 전분 가수 분해, 질산염 환원, 티로신 분해, 시트르산염 사용 등 다양한 생화학적 특성을 통해 다른 세균 및 ''바실루스'' 종으로부터 ''B. cereus''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cereus''는 혐기성 성장이 가능하고, Voges–Proskauer 반응과 -글루코스로부터 산 생성에 양성 반응을 보이며, 전분 가수 분해, 질산염 환원, 티로신 분해가 가능하다. 반면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만니톨로부터는 산을 생성하지 못하며, 50 °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한다. 영국 중앙 공중 보건 연구소는 운동성, 용혈성, 뿌리 모양 성장, γ-파지에 대한 감수성, 암모늄 염 기반 글루코스 발효를 추가적으로 테스트한다.

6. 생장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최적 성장 온도 범위는 30~40°C이다.[28] 30°C에서 ''B. cereus''의 개체수는 식품에 따라 20분에서 3시간 사이에 배가될 수 있다. ''B. cereus''의 포자는 대사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지만, 적절한 성장 조건을 만나면 빠르게 활성화되어 복제를 시작할 수 있다.[29]

음식30°C에서 배가되는 시간(분)1,000,000배로 증식하는 시간(시간)
우유20–3611-20
조리된 쌀26–3114-17
유아용 조제분유5631


7. 생태

바실루스 세레우스의 가장 흔한 생태계는 토양이다.[30] 균근(균근)과 함께 특정 식물의 인, 질소, 칼륨 흡수를 증가시키고, 중금속 농도를 감소시켜 중금속 토양에서 식물 성장을 돕는다.[30] 또한, ''B. cereus''는 금속 기반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중금속 토양에서 지렁이의 생존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물 정화(bioremediation)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31] 과영양 호수를 오염시키는 유기 질소 및 인 폐기물은 ''B. cereus''에 의해 분해된다.[28]

닭 깃털에서 ''B. cereus''가 케라틴을 분해하는 능력을 통해, 가금류 산업에서 케라틴 폐기물을 분해하여 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32]

''B. cereus''는 창자에서 ''살모넬라'' 및 ''캄필로박터''와 같은 그람 음성 세균 종과 경쟁하며, 세린과 같은 효소를 통해 그람 음성 세균 수를 감소시킨다.[33][34] ,[35] 토끼[36]돼지[37]와 같은 식용 동물에서, 일부 무해한 ''B. cereus'' 균주는 프로바이오틱 사료 첨가제로 사용되어 동물의 성장 및 식품 안전을 향상시킨다. ''B. cereus''는 다른 유기체의 창자에서 목재 식물 물질과 같이 일반적으로 소화하기 어려운 물질의 소화를 돕는 효소를 생성하고 방출한다.[33]

''B. cereus'' B25 균주는 생물 살균제로,[38] ''Fusarium verticillioides''의 성장을 감소시키고, 곡물에서 마이코톡신 농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을 보여준다.[38]

8. 병원성

메스꺼움, 구토, 설사를 유발하는 식중독의 원인균 중 하나이다.[39] 바킬루스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이 제대로 조리되지 않거나 불충분하게 조리될 때 세균 포자가 살아남아 발생한다.[40] 100℃ 이하의 조리 온도는 일부 ''B. 세레우스'' 포자가 생존하도록 하며,[41] 음식을 부적절하게 냉장하면 포자가 발아하여 문제가 심화된다.[42]

''B. 세레우스''가 생성하는 장독소는 베타-용혈 활성을 가지며,[13] 열과 산(pH 2~11)에 매우 강하다.[45] 섭취 시 설사 및 구토 증후군을 유발한다.[46] 설사 증후군은 용혈소 BL(Hbl), 비용혈성 장독소(Nhe), 세포독소 K(CytK) 등의 독소에 의해 발생한다.[51] 이들 독소는 숙주의 소장에서 생성되어 세포의 막 전위 손실과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구토 증후군은 구토 균주에서만 발견되는 독소인 세레울라이드에 의해 발생한다. 세레울라이드는 비리보솜 펩타이드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고리형 폴리펩타이드로, 열, 단백질 분해, 산성 조건에 저항성이 있다.[55] 5-하이드록시트립타민 3(5-HT3) 세로토닌 수용체에 결합하여 구심성 신경 섬유의 미주 신경 자극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52]

''B. 세레우스''는 만성 피부 감염, 각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56] 전격성 세균 감염, 중추 신경계 관련성, 호흡기 감염, 안구내염 등과도 관련이 있다. 특히 안구내염은 영구적인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는 눈의 감염으로, 각막 링 농양, 통증, 안구 돌출, 망막 출혈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57]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59] 감염성 심내막염[60] 등의 사례도 보고되었다.

9. 진단

역학적으로 관련된 음식에서 그람당 100,000개 이상의 ''바실루스 세레우스''균이 분리되면 ''B. cereus'' 감염을 확진할 수 있다.[61] 그러나 식중독은 비교적 무해하고 대개 자연 치유되므로 이러한 검사는 자주 수행되지 않는다.[61]

10. 예후

대부분의 구토 환자는 6~24시간 이내에 회복되지만,[46] 일부의 경우, 독소로 인해 전격성 간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62][63][64][65][66] 2014년, 영국에서 총 정맥 영양법을 받고 있던 23명의 신생아가 ''B. cereus''에 오염되어 패혈증이 발생했으며, 이 중 3명의 영아가 감염으로 사망했다.[67][68]

11. 예방

일반적인 조리 과정에서 바킬루스 세레우스의 영양 세포는 죽지만, 포자는 저항력이 강하다.[69] 음식 속의 생존 가능한 포자는 장에서 영양 세포로 변하여 다양한 설사성 장독소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포자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9] 습열에서는 121°C에서 5분 이상, 건열에서는 120°C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해야 포자를 파괴할 수 있다.[69] ''바실루스 세레우스(B. cereus)''의 포자는 살균 처리나 감마선 노출 후에도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포자 제거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23]

바킬루스 세레우스 및 기타 바실루스 속 세균은 알코올에 의해 쉽게 죽지 않으며, 증류주와 알코올에 적신 면봉 및 패드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0][71]

양의 위에서 분리된 바킬루스 세레우스 균주(GW-01)는 사이퍼메트린(β-CY)을 분해할 수 있으며, 적절한 농도에서 β-CY가 바킬루스 세레우스에 대한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72]

12. 수생 동물 질병

''바실루스 세레우스'' 그룹 박테리아, 특히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와 ''바실루스 튜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는 중화자라(Pelodiscus sinensis)를 포함한 여러 수생 생물에 병원성이 있으며, 간 울혈 및 비장 비대와 같은 육안적 병변과 높은 사망률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을 유발한다.[73]

13. 박테리오파지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그룹의 세균은 테크티바이러스과(Tectiviridae)에 속하는 박테리오파지에 감염된다. 테크티바이러스과는 꼬리가 없는 파지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이십면체 단백질 껍질 아래에 지질 막 또는 소포를 가지고 있다. 이 막은 바이러스가 암호화한 단백질과 숙주 세포의 세포막에서 파생된 지질이 거의 같은 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염되면 지질 막은 게놈 전달에 사용되는 꼬리 모양 구조가 된다. 게놈은 약 15-킬로베이스의 선형, 이중 가닥 DNA(dsDNA)로 구성되며, 긴 역방향 말단 반복 서열(100 염기쌍)을 갖는다. GIL01, Bam35, GIL16, AP50 및 Wip1은 ''B. cereus'' 그룹에 감염되는 온화한 테크티바이러스의 예이다.

14. 한국 내 발생 사례 및 관련 법규

14. 1. 한국 내 발생 사례

2006년 자치 의과대학 부속 병원(토치기현)에서 수액 주사 시 시트 등 린넨류를 감염원으로 추정되는 균혈증의 원내 감염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2명이 패혈증으로 사망했고, 다른 1명은 한쪽 눈의 시력을 잃었다. 이후, 크리닝 공장의 세탁기가 오염되었음이 밝혀졌다.

14. 2. 관련 법규

감염성 위장염은 5류 감염증 정점 파악 질환이다. 식품위생법에 따라 B. cereus 식중독 발생 시 보건소에 신고가 의무화되어 있다.

참조

[1] 논문 Identification of marine sponge-associated bacteria of the Saint Martin's island of the Bay of Bengal emphasizing on the prevention of motile Aeromonas septicemia in Labeo rohita 2021-12-15
[2]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3] 서적 Prebiotics and Probiotics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 논문 Bacillus cereus: Epidemiology, Virulence Factors, and Host-Pathogen Interactions 2021-05
[5] 논문 Genomic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sensu stricto 3A ES isolated from eye shadow cosmetic products 2022-10
[6] 논문 Involvement of motility and flagella in Bacillus cereus biofilm formation 2010-04
[7] 논문 Bacillus cytotoxicus sp. nov. is a novel thermotolerant species of the Bacillus cereus group occasionally associated with food poisoning 2013-01
[8] 논문 What sets Bacillus anthracis apart from other Bacillus species? Annual Reviews
[9]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e Proteomes within and among the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cereus'' Evolutionary Groups Reveals the Patterns of Lineage- and Species-Specific Adaptations 2022-08
[10] 논문 Studies on some new micro-organisms obtained from air 1887-01-01
[11] 논문 The risk of ''Bacillus cereus'' to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https://www.american[...] 2014-11-28
[12] 논문 A new protein superfamily includes two novel 3-methyladenine DNA glycosylases from Bacillus cereus, AlkC and AlkD 2006-03
[13] 논문 Bacillus cereus and Related Species 1993-10
[14] 논문 Biology and taxonomy of Bacillus cereus, Bacillus anthracis, and Bacillus thuringiensis 2007-06
[15] 논문 Swimming of peritrichous bacteria is enabled by an elastohydrodynamic instability 2018-07
[16] 논문 The Silicon Layer Supports Acid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Spores 2010-01
[17] 웹사이트 Bacillus cereus - microbewiki https://microbewiki.[...] 2022-11-16
[18] 논문 Heme A Synthase Deficiency Affects the Ability of Bacillus cereus to Adapt to a Nutrient-Limited Environment 2022-01-18
[19] 논문 Pathways of Glucose Catabolism in Bacillus Cereus 1964-02
[20] 논문 Genome sequence of Bacillus cereus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Bacillus anthracis 2003-05
[21] 논문 Production and optimization of bioplastic (Polyhydroxybutyrate) from Bacillus cereus strain SH-02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2022-07
[22] 논문 Pan-genome and phylogeny of Bacillus cereus sensu lato 2017-08
[23] 논문 Whole-Genome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Associated with Specific Disease Manifestations 2018-02
[24] 논문 Adaptation in ''Bacillus cereus'': From Stress to Disease 2016-10-04
[25] 논문 Highly Efficient Genome Engineering in ''Bacillus anthracis'' and ''Bacillus cereus'' Using the CRISPR/Cas9 System 2019
[26] 서적 Foodborne Diseases Elsevier 2017
[27] 서적 Bacillus Springer Science
[28] 논문 Proteolytic activity, growth and nutrient release by Bacillus cereus LW-17 https://www.banglajo[...] 2013
[29] 간행물 Food and indoor air isolated ''Bacillus'' non-protein toxins: structur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chanisms of effects on eukaryotic cells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2015-10-24
[30] 논문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Bacillus cereus, and Candida parapsilosis from a multicontaminated soil alleviate metal toxicity in plants 2010-05
[31] 논문 Effect of Bacillus cereus on the ecotoxicity of metal-based fungicide spiked soils: Earthworm bioassay 2019-01
[32] 논문 Keratinolytic Potential of Feather-Degrading Bacillus polymyxa and Bacillus cereus http://www.pjoes.com[...]
[33] 논문 Natural occurrence of Bacillus thuringiensis and Bacillus cereus in eukaryotic organisms: a case for symbiosis https://doi.org/10.1[...] 2008-01
[34] 논문 Antimicrobial activity of a newly identified bacteriocin of Bacillus cereus 1993-12
[35] 논문 Reduction of Salmonella enterica var. Enteritidis colonization and invasion by Bacillus cereus var. toyoi inclusion in poultry feeds 2009-05
[36] 간행물 Safety and efficacy of the product Toyocerin (''Bacillus cereus'' var. ''toyoi'') as feed additive for rabbit breeding does http://www.efsa.euro[...] 2009-05-14
[37] 간행물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Additives and Products or Substances used in Animal Feed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product Toyocerin (''Bacillus cereus'' var. Toyoi) as a feed additive for sows from service to weaning,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EC) No 1831/2003 http://www.efsa.euro[...] 2009-05-14
[38] 서적 Environmental Biotechnology: For Sustainable Future Springer Singapore 2019
[38] 논문 Mycotoxin management in a developing country context: A critical review of strategies aimed at decreasing dietary exposure to mycotoxins in Zimbabwe Taylor & Francis
[38] 서적 Role of Rhizospheric Microbes in Soil Springer Singapore
[38] 서적 Microbial Strategies for Vegetable Produc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38] 논문 Rhizospheric bacteria of maize with potential for biocontrol of Fusarium verticillioides 2016
[39] 논문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of Bacillus cereus infections 2000-02
[40] 서적 Baron's Medical Microbiology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41] 서적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Pathogens https://books.google[...]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2010-11-25
[42] 논문 Prevalence and expression of enterotoxins in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a literature review 2000-05
[43] 서적 The Food Safety Hazard Guidebook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0-11-25
[44] 논문 Bacillus cytotoxicus-A potentially virulent food-associated microbe 2022-01
[45] 웹사이트 Bacillus cereus http://textbookofbac[...] 2009-09-19
[46] 논문 Bacillus cereus, the causative agent of an emetic type of food-borne illness 2004-12
[47] 서적 Natural Toxicants in Food CRC Press 1998
[48] 웹사이트 Bacillus Cereus: The Bacterium That Causes 'Fried Rice Sydrome' https://www.livescie[...] 2023-08-19
[49] 웹사이트 Fried Rice Syndrome: A common cause of food poisoning https://www.nnc.gov.[...] 2023-08-19
[50] 웹사이트 SFA {{!}} Fried Rice Syndrome https://www.sfa.gov.[...] 2023-08-19
[51] 논문 Enterotoxigenic profiles of food-poisoning and food-borne Bacillus cereus strains 2002-08
[52] 논문 A novel dodecadepsipeptide, cereulide, is an emetic toxin of Bacillus cereus 1995-06
[53] 논문 The cereulide genetic determinants of emetic Bacillus cereus are plasmid-borne 2005-07
[54] 논문 Cereulide synthetase gene cluster from emetic Bacillus cereus: structure and location on a mega virulence plasmid related to Bacillus anthracis toxin plasmid pXO1 2006-03
[55] 논문 From soil to gut: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2008-07
[56] 논문 Bacillus cereus keratitis associated with contact lens wear 2001-10
[57] 웹사이트 Bacillus Cereus https://www.ncbi.nlm[...] 2022-10-27
[58] 논문 Bacillus cereus, a volatile human pathogen 2010-04
[59] 논문 Infected aneurysm of the thoracic aorta probably caused by Bacillus cereus: a case report 2019-11
[60] 논문 Subacute infective endocarditis caused by Bacillus cereus in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2022-04
[61] 간행물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fried rice at two child day care center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4-03-18
[62] 논문 An autopsy case of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Bacillus cereus 1976-03
[63] 논문 Fulminant liver failure in association with the emetic toxin of Bacillus cereus 1997-04
[64] 논문 Fatal family outbreak of Bacillus cereus-associated food poisoning 2005-08
[65] 논문 Rapid detoxification of cereulide in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2010-04
[66] 논문 Sudden death of a young adult associated with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2011-12
[67] 웹사이트 Medical safety alert: Lipid Phase only of Parenteral Nutrition – potential contamination with ''Bacillus cereus'' https://www.gov.uk/d[...] UK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2014-06-04
[68] 뉴스 Third baby dies from contaminated 'Total Parenteral Nutrition' drip feed https://www.independ[...] 2014-07-01
[69] 논문 Bacillus Spores in the Food Industry: A Review on Resistance and Response to Novel Inactivation Technologies 2016-11
[70] 웹사이트 Notes from the Field: Contamination of alcohol prep pads with ''Bacillus cereus'' group and ''Bacillus'' species — Colorado, 2010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03-25
[71] 논문 Nosocomial pseudoepidemic caused by Bacillus cereus traced to contaminated ethyl alcohol from a liquor factory 1999-07
[72] 논문 Mechanism of β-cypermethrin metabolism by Bacillus cereus GW-01 https://www.scienced[...] 2022-02-15
[73] 논문 Genotype and virulence gene analyses of Bacillus cereus group clinical isolates from the Chinese softshell turtle (Pelodiscus sinensis) in Taiwan 2021-10
[74] 논문 Prevalence, genetic diversity, and host range of tectiviruses among members of the Bacillus cereus group 2014-07
[75] 웹사이트 バチルス セレウス https://institute.ya[...] ヤクルト 2024-07-28
[76] 웹사이트 セレウス菌による食中毒について http://www.city.yoko[...] 横浜市衛生研究所横浜市感染症情報センター(感染症・疫学情報課)
[77] 웹사이트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July 1999, p. 2280-2284, Vol. 37, No. 7 http://jcm.asm.org/c[...]
[78] 논문 速乾性擦式消毒剤による手指消毒後のセレウス菌などのグラム陽性有芽胞桿菌の残存 https://doi.org/10.7[...] 2006
[79] 서적 『スタンダード栄養・食物シリーズ8 食品衛生学(第3版)』 東京化学同人 2010
[80] 웹사이트 食品衛生基礎講座 セレウス菌とその食中毒 http://www.asama-che[...] アサマ化成
[81] PDF 自治医科大学 2006-09-15
[82] 논문 【原著】クリーニングによるセレウス菌除菌効果の検討 https://doi.org/10.1[...]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