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용래는 1925년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나 1980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56년 《현대문학》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하여, 전원적이고 평화로운 서정 세계를 특징으로 하는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그는 과작의 시인으로, 어린 시절의 회상, 한국 농촌의 시정, 애절한 정과 한을 시로 표현했으며, 《싸락눈》, 《강아지풀》, 《먼 바다》 등의 시집을 냈다. 1961년 충청남도 문화상, 1969년 현대시학 작품상, 1980년 한국문학작가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경상업고등학교 동문 - 이재전
이재전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제6군단 군단장, 대통령 경호실 차장을 역임했으며, 예비군 제도 제안 및 군인 복무 규율 작성에 참여하고 퇴역 후 대한성업공사 사장과 한자교육진흥회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인, 한자 부활 운동가이다. - 강경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정렴
김정렴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은행과 정부 요직을 거쳐 박정희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최장수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일본 대사를 지냈다. - 논산시 출신 - 염홍철
염홍철은 경남대학교 교수, 청와대 정무비서관, 대전광역시장 3선, 한국공항공단 이사장, 한밭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수, 시인이며, 대전시장 재임 시절 대덕연구단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정책의 불균형성과 을지의과대학교 설립 청탁 관련 자금 수수 사건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논산시 출신 - 안희정
안희정은 1965년생으로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충청남도지사를 두 차례 역임했으나, 성폭력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교사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교사 - 육영수
육영수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자 퍼스트레이디로서 사회복지 사업과 민원 해결에 힘썼으며 육영재단 설립 등으로 아동 복지 증진에 기여했으나,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저격으로 사망했다.
박용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박용래 |
한자 | 朴龍來 |
로마자 표기 | Bak Yong-nae |
출생일 | 1925년 8월 14일 |
사망일 | 1980년 11월 21일 (향년 55세)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시인 |
학력 | |
모교 | 미확인 |
작품 활동 | |
장르 | 시 |
기타 | |
관련 정보 | 한국 현대 시 |
2. 생애
1925년 충청남도 논산 강경읍에서 태어났다. 1943년 강경상업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조선은행에 취직했다. 해방 후 1946년에 호서중학교 교사로 부임하면서 1973년 고혈압 때문에 사임하기까지 교사로 일했다. 1980년 7월에 교통사고로 3개월간 입원 치료를 받았다가, 그해 11월 21일 오후 1시, 심장마비로 자택에서 별세했다. 충남문인협회장으로 장례식이 치러졌고, 1984년 대전 보문산공원에 시비가 세워졌다. 평소 시인과 가까이 지내던 소설가 이문구는 시전집《먼 바다》에 실린 〈박용래 약전〉에서 시인을 '눈물의 시인', '정한의 시인'이라고 칭했다.[9] 이문구는 또한 박용래가 “해거름녘의 두 줄기 눈물을 석잔 술의 안주로 삼았다”고 표현했다.[10]
1955년 《현대문학》에 〈가을의 노래〉로 박두진의 추천을 받았고, 1956년에는 〈황토길〉, 〈땅〉으로 추천이 완료되어 문단에 등단했다. 《현대시학》 제정 제1회 작품상과 한국문학작가상 등을 수상하였다.[11]
1925년 8월 14일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나 1956년 "가을의 노래"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은행원과 중고등학교 교사로 일했으며, 1980년 11월 21일에 사망했다.[2][3][4]
1943년에 강경상업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조선은행에 입행했다. 광복 후 은행원을 그만두고,[5] 1946년 일본에서 귀국한 김소운을 찾아가 문학을 배웠다. 이후 문인들과 동백시인회를 조직하여 「동백」을 발간하면서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3. 작품 활동
3. 1. 작품 세계
그의 작품 세계는 전원적이고 평화로운 서정 세계를 심화, 확대시킨 것이 특징이다. 불필요한 것을 생략한 언어로, 응축된 묘미를 보여준다. 「저녁에 내리는 눈」은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 작품이며 그의 대표작이다.
박용래는 문단 생활 25년 동안 100편이라는 작품을 남긴, 과작(寡作)의 시인이다. 역사의 격동이나 시류에 관계없이 자신만의 세계와 서정 세계에 집착했다.[5] 등단 이래 어린 시절의 회상, 한국 농촌의 시정, 애절한 정과 한(恨) 등을 시로 표현했다. 사회 현실로부터 벗어난 한국적인 정과 한의 세계에 대한 편애, 감상적이고 현실 도피적인 면이 있는 반면, 현실 사회에서 사라져 가는 토착 문화와 전통에 생명을 불어넣었다는 찬사도 받고 있다.
3. 2. 비평
최동호는 박용래의 서정시가 김소월, 김영랑, 박목월로 이어지는 서정시의 계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신을 끝없이 소거시켰다는 점, 그리고 정지용, 김광균의 모더니즘적 기법도 자기 나름의 독자적인 시작법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현대적인 면을 갖고 있는 서정시인이라고 평가했다.[12]
최승호는 박용래가 근대에의 거부를 통해 궁핍의 미학과 제유의 수사학을 시작 방법으로 썼음을 밝히며 그런 염결의식으로 자존심을 지키고 근대와 타협하지 않으려는 것이 하나의 위대한 거부이자, 예술적 승리이기도 하다고 평했다. 그러나, 그것이 미약한 대안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제유의 수사학으로는 근대의 폭력에 적극적으로 맞설 수가 없으므로 뒷 시대인 1970년대의 민중적 서정시가 지니는 은유의 수사학에 길을 비켜주지 않을 수 없었다고 한계를 명확히 밝혔다.[13]
4. 작품 목록
5. 수상
참조
[1]
웹사이트
박용래(朴龍來)
http://encykorea.aks[...]
2018-06-19
[2]
웹사이트
박용래
https://people.searc[...]
2018-06-19
[3]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4]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5]
웹사이트
박용래(朴龍來)
http://encykorea.aks[...]
2022-09-25
[6]
웹사이트
박민규
http://people.search[...]
[7]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8]
뉴스
시인 박용래씨
서울신문
2017-01-24
[9]
서적
먼 바다
창작과비평사
1984-11-05
[10]
웹인용
이 세상에 없어서 아쉬운 사람, 이문구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7-01-24
[11]
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
[12]
서적
서정시가 있는 문학 강의실
유니스타
1998-03-05
[13]
서적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2-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