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전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기업인, 한자 부활 운동가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육군 제6군단 군단장, 대통령 경호실 차장 등을 역임했다. 예비군 제도 제안, 군인 복무 규율 작성에 참여했고, 퇴역 후에는 대한성업공사 사장과 한자교육진흥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자 부활 운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군경리학교 동문 - 이영수 (목사)
이영수 목사는 경상북도 봉화군 출생으로 총회신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군목으로 복무했으며, 대구봉산교회 담임목사, 대전중앙교회 당회장을 역임하고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총회 서기, 부총회장, 총회장을 지냈다. - 육군경리학교 동문 - 이형석 (1909년)
이형석은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선천 출신으로 일본군 장교와 대한민국 육군 소장을 지낸 군인, 경찰, 헌병, 교육자, 저술가이다. - 강경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정렴
김정렴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은행과 정부 요직을 거쳐 박정희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최장수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일본 대사를 지냈다. - 강경상업고등학교 동문 - 박용래
서정적 감수성과 현실의 고통을 깊이 있게 표현한 시인 박용래는 1956년 등단하여 현대시학 작품상, 한국문학작가상 등을 수상했고, 자연을 통해 인간 내면을 성찰하는 시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 - 대한민국 대통령실 경호처
대한민국 대통령실 경호처는 헌법과 정부조직법에 따라 대통령실 소속으로 설치된 기관으로,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인사에 대한 경호 업무를 수행하며, 특히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안전 보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재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재전 |
한자 표기 | 李在田 |
로마자 표기 | I Jaejeon |
별명 | 강촌(江村) |
출생일 | 1927년 4월 29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 |
사망일 | 2004년 6월 12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본관 | 수안(遂安)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이냐시오) |
배우자 | 유정화(柳貞和) |
자녀 | 2남 2녀 |
군사 정보 | |
소속 | 육군 |
복무 기간 | 1949년 ~ 1979년 |
최종 계급 | 중장 |
참전 | 한국 전쟁 |
주요 지휘 | 육군 제7사단 사단장 한미 제1군단 부군단장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국 국장 합동참모본부 대간첩대책본부 본부장 육군 제6군단 군단장 합동참모본부 본부장 |
근무 | 육군 제7사단 육군 제6군단 육군 한미 연합 야전군 제1군단 육군본부 합동참모본부 |
서훈 | 충무무공훈장 |
경력 | |
대통령 경호실 | 차장 |
대통령 |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
국무총리 | 최규하 국무총리 |
대통령 경호실 실장 |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 실장 |
임기 | 1978년 10월 10일 ~ 1979년 10월 26일 |
퇴역 후 | 대한성업공사 사장 전쟁기념관 관장 |
2. 생애
육군사관학교 8기 졸업 후 미국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 한국 전쟁 당시 현장 지휘관으로서 북한과 싸우면서, 부대 병사들에게 읽고 쓰기 교육을 실시했다.
당시 교육 수준에서는 한자 교육이 거의 불가능했고 한글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한글 읽고 쓰기를 할 줄 아는 병사와 모르는 병사를 짝지어 3개월 후 학습 성과가 없으면 처벌했다.
- 1967년 -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 1968년 - 제1군 참모
- 1974년 - 합동참모본부장(대스파이대책본부장)
- 1990년 - 한자진흥회 회장
- 1994년 - 전쟁기념사업회 회장(~1998년)
- 1996년 - 전쟁기념관 관장
퇴역 후 성업공사(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과 제2대 전쟁기념관 관장을 역임했다. 한편으로는 한자 진흥회 회장으로서 한자 부활 운동을 시작하여, 1970년대에 도입했다가 곧 폐지되었던 고속도로 도로 표지판과 철도역(국철은 병기), 버스 정류장 간판에 한자를 병기하도록 하였다. 한글 전용파의 반발에도 육군사관학교 후배인 국방장관을 통해 징집된 젊은이들에게 군대 내 한자 학습과 사용을 강제하려 했지만, 대장암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2. 1. 생애 초기 및 학력
수안 이씨 본관(관향)이며, 아호(雅號)는 강촌(江村)이고, 충청남도 천안 출생이다.연도 | 학력 및 경력 |
---|---|
1946년 | 충청남도 논산 강경고등상업학교 졸업 |
1949년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8기 졸업 |
1951년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8년 | 단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1959년 |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졸업 |
1964년 | 미국 국방산업대학교 졸업 |
1978년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정책과정 수료 |
2. 2. 군 경력
1969년 육군 제7사단 사단장(육군 소장)을 역임하였다.[2] 1970년 육군 한미 연합 야전군 제1군단 부군단장을 역임하였다.[2] 1974년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국 국장을 역임하였다.[2] 1975년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국 국장 재직 중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였다.[2] 같은 해 육군 제6군단 군단장을 역임하였다.[2] 1978년 합동참모본부 본부장과 대통령 경호실 차장을 역임하였다.[2] 1979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2]1966년 준장으로 육군본부 작전부장에 취임하여 군인 복무 규율을 작성했다. 북한의 노농적위대 제도에 주목하여 박경석 중령 등과 함께 이스라엘과 스위스를 참고한 예비군 제도를 제안했지만, 당시 군 상층부에서는 별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 2년 후, 청와대 습격 미수 사건이 발생하자, 제1군 참모였던 그는 포로가 된 김신조에게 사살된 병사의 신원 확인을 시켰다.[2] 이를 중시 여긴 군부는 곧 대한민국 향토예비군의 설립을 결정했다.[3] 제6군단장, 대통령경호실 차장을 역임했지만, 박정희 대통령 암살을 막지 못한 책임을 지고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2]
2. 3. 군 퇴역 이후
1979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2] 박정희 대통령 암살을 막지 못한 책임을 지고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2]퇴역 후 1983년 대한성업공사 사장을 역임하였고, 1989년 퇴임하였다. 1991년부터 2001년까지 한자교육진흥회 회장을 맡아 한자 부활 운동을 하였다. 고속도로 표지판과 철도역, 버스 정류장 간판에 한자를 병기하도록 하였다.[2] 한글 전용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국방부를 통해 군대 내 한자 학습을 강제하려 했으나, 대장암으로 인해 계획은 실행되지 못했다.[2]
3. 저서 및 논문
4. 가족 관계
- 배우자: 유정화
5. 이재전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뉴스
【訃報】李在田戦争記念事業会長死去(【부고】이재전 전쟁기념사업회장 별세)
http://news.donga.co[...]
2004-06-13
[2]
뉴스
李在田回顧録:124軍部隊の地図(이재전회고록 : 124군부대 지도)
http://bemil.chosun.[...]
2003-10-28
[3]
웹사이트
테크노트 PHP
http://www.vietnamwa[...]
[4]
논문
귀여운 子女에게 漢字敎育을
http://dl.nanet.go.k[...]
한국재향군인회
1988-04-00
[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