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데르발스 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 분자, 표면 간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을 모두 포함하는 힘으로, 전자들의 일시적인 극성화에 의해 발생하며 공유 결합이나 이온 결합과는 구별된다. 분자간 힘의 주요 원인으로는 정전기적 상호작용, 분극화, 파울리 배타 원리에 의한 반발력, 런던 분산력이 있으며, 이 힘은 짧은 거리에서는 척력, 특정 평형 거리에서는 0, 그 이상에서는 인력으로 작용한다. 반데르발스 힘은 결합하는 원자의 극성화가 높을수록 강해지며, 레너드-존스 퍼텐셜은 반데르발스 힘을 근사하는 모델로 사용된다. 반데르발스 힘은 기원에 따라 정전기적 상호 작용, 유도력, 분산력 등으로 분류되며, 런던 분산력은 무극성 분자 간의 약한 인력으로, 분극률에 비례한다. 또한, 반데르발스 힘은 반데르발스 상태 방정식, 반데르발스 착물, 소수성 결합, 물리 흡착 등 다양한 현상에 관여하며, 거시적 물체 사이의 반데르발스 힘은 하마커 상수와 리프시츠 이론으로 설명된다. 도마뱀붙이의 부착, 건식 접착제, 접착 테이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발스 - 분자간 힘
    분자간 힘은 분자들 사이의 인력으로, 이온 결합, 수소 결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반데르발스 힘 등이 있으며, 물질의 물리적 성질과 상전이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는 힘이다.
  •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발스 - 반데르발스 반지름
    반데르발스 반지름은 원자나 분자들이 반데르발스 힘으로 인해 서로 얼마나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유효 반지름으로, 기체의 역학적 성질, 결정 구조 분석, 분극률 측정 등에 사용되며 반 데르 발스 방정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분자간 힘 - 소수성
    소수성은 물을 기피하는 성질로,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미셀 형성, 단백질 구조 형성, 초소수성 현상 등과 관련되어 자가 세척, 랩온어칩, 제약 분야 등에 응용된다.
  • 분자간 힘 - 응집력
    응집력은 분자 간 인력으로 물질이 뭉쳐 있으려는 성질을 의미하며, 액체의 표면 장력, 모세관 현상, 식물의 수분 운반 등 다양한 물리적, 생명 현상 및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화학 결합 - 원자가 전자
    원자가 전자는 원자의 최외각 전자껍질에 존재하며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주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껍질의 전자로 정의되지만 전이 원소는 (n-1)d 궤도의 전자도 포함하며, 주기율표 족에 따라 예측 가능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화학 결합, 산화 상태, 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친다.
  • 화학 결합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데르발스 힘
반데르발스 힘
유형쌍극자-쌍극자 힘
쌍극자-유도 쌍극자 힘
런던 분산력
상호작용하는 원자 또는 분자 사이의 힘화학 결합에서 발생하지 않음
작용 범위원자 간 거리의 6승에 반비례
중요성물질의 응집력, 분자 결정 형성, 생물학적 시스템에 중요한 역할
발견요하네스 디데릭 반데르발스가 1873년에 제안
다른 이름반데르발스 상호작용, 반데르발스 힘
상세 설명
정의분자 또는 원자 사이의 짧은 범위의 약한 전기적 힘
원인분자 내 전자들의 일시적인 요동으로 인한 유도 쌍극자 발생
특징인력
반발력
비선택적
짧은 범위 작용
유형별 설명
쌍극자-쌍극자 힘극성 분자 간의 상호작용 (분자 내 부분적인 전하 차이로 발생)
쌍극자-유도 쌍극자 힘극성 분자와 비극성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 (극성 분자에 의해 유도되는 쌍극자)
런던 분산력모든 분자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 (전자 분포의 순간적인 불균형으로 발생)
중요성
물질의 응집력기체 액화, 액체의 표면 장력, 고체의 형성
생물학적 중요성단백질 접힘
효소-기질 결합
세포막 구조 안정화
DNA 이중 나선 안정화
기타접착제 작용
나노 기술
초분자 화학
참고 사항
반데르발스 반지름원자나 분자가 다른 원자나 분자와 얼마나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
척력매우 가까운 거리에서는 전자 구름의 중첩으로 인해 반발력이 발생

2. 정의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분자, 그리고 다른 분자간 힘 사이의 인력과 척력을 포함한다. 이는 공유 결합이나 이온 결합과 달리, 인접한 입자들의 변동하는 극성화의 상관관계(양자 역학의 결과)[6]에 의해 발생한다.

이 힘은 전자 밀도의 일시적인 변화에서 비롯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밀도는 일시적으로 원자핵의 한쪽에 더 많이 치우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시적인 전하를 생성하며, 근처의 원자는 이에 끌리거나 밀릴 수 있다. 이 힘은 매우 짧은 거리에서는 척력으로 작용하고, 각 원자 또는 분자에 특징적인 평형 거리에서 0이 되며, 평형 거리보다 큰 거리에서는 인력으로 작용한다. 개별 원자의 경우, 평형 거리는 원자 특유의 지름에 따라 0.3 nm에서 0.5 nm 사이이다.[7] 원자간 거리가 1.0 nm보다 클 때는 거리 ''r''의 약 7제곱(''r''−7)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힘이 약해져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8]

분자간 힘은 크게 여러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 강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원자의 근접 접촉이나 분자의 붕괴를 막는 파울리 배타 원리에서 비롯된 반발 성분.

2. 영구 전하(분자 이온의 경우), 쌍극자(반전 중심이 없는 분자의 경우), 사중극자(입방체보다 대칭성이 낮은 모든 분자), 그리고 일반적으로 영구 다극자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 정전기적 상호 작용. 이러한 상호 작용에는 수소 결합, 양이온-π 상호작용, 그리고 π-스태킹 상호작용이 포함된다. 정전기적 상호 작용의 배향 평균 기여는 때때로 케솜 상호작용 또는 케솜 힘이라고 한다.

3. 유도(또는 편극으로 알려짐), 이는 한 분자의 영구 다극자와 다른 분자의 유도 다극자 사이의 인력 상호 작용이다. 이 상호 작용은 때때로 데바이 힘이라고 하며, 피터 요하네스 위렴 데바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상호 작용 (2)와 (3)은 극성 상호 작용으로 분류된다.

4. 분산(일반적으로 런던 분산 상호 작용이라고 하며, 프리츠 런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이는 무극성 원자를 포함한 모든 분자 쌍 사이의 인력 상호 작용으로, 순간 다극자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한다.

반데르발스 힘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


  • 배향력(쌍극자와 쌍극자의 상호작용)
  • 유도력(쌍극자와 그것에 의한 유도 쌍극자의 상호작용)
  • 분산력(유도 쌍극자와 유도 쌍극자의 상호작용)


레너드-존스 퍼텐셜은 종종 거리의 함수로서 총(반발력 + 인력) 반데르발스 힘의 등방성 부분에 대한 근사 모델로 사용된다.

반데르발스 힘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19]

  • 일반적인 공유 결합 및 이온 결합보다 약하다.
  • 반데르발스 힘은 본질적으로 가산적이며, 여러 개별 상호 작용으로 구성되며, 포화될 수 없다.
  • 방향 특성이 없다.
  • 모두 단거리 힘이므로 가장 가까운 입자 사이의 상호 작용만 고려하면 된다(모든 입자 대신). 분자가 더 가까울수록 반데르발스 인력이 더 크다.
  • 쌍극자-쌍극자 상호 작용을 제외하고 반데르발스 힘은 온도에 무관하다.

3. 반데르발스 힘의 기원 및 종류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 분자, 그리고 표면 간의 인력을 포함한다. 이는 전자의 공유에 의한 공유결합이나 전자의 과부족에 의한 이온결합과는 다르다. 반데르발스 힘은 근처 입자에 의한 편극에 의해 발생한다.[6]

분자간 힘은 크게 네 가지 주요 원인으로 구성된다.

# 원자의 근접 접촉이나 분자의 붕괴를 막는 파울리 배타 원리에서 비롯된 반발 성분.

# 영구 전하(분자 이온의 경우), 쌍극자(반전 중심이 없는 분자의 경우), 사중극자(입방체보다 대칭성이 낮은 모든 분자), 그리고 일반적으로 영구 다극자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 정전기적 상호 작용. 이러한 상호 작용에는 수소 결합, 양이온-π 상호작용, 그리고 π-스태킹 상호작용이 포함된다. 정전기적 상호 작용의 배향 평균 기여는 때때로 케솜 상호작용 또는 빌렘 헨드릭 케솜 힘이라고 한다.

# 유도(또는 편극으로 알려짐)는 한 분자의 영구 다극자와 다른 분자의 유도 다극자 사이의 인력 상호 작용이다. 이 상호 작용은 때때로 데바이 힘이라고 하며, 피터 요하네스 위렴 데바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런던 분산력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분자, 그리고 다른 분자간 힘 사이의 인력과 척력을 포함하며, 공유 결합이온 결합과 달리, 인접한 입자들의 변동하는 극성화의 상관관계(양자 역학의 결과)에 의해 발생한다.[6]

이 힘은 전자 밀도의 일시적인 변화에서 비롯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밀도는 일시적으로 원자핵의 한쪽에 더 많이 치우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시적인 전하를 생성하며, 근처의 원자는 이에 끌리거나 밀릴 수 있다. 이 힘은 매우 짧은 거리에서는 척력으로 작용하고, 각 원자 또는 분자에 특징적인 평형 거리에서 0이 되며, 평형 거리보다 큰 거리에서는 인력으로 작용한다. 개별 원자의 경우, 평형 거리는 원자 특유의 지름에 따라 0.3 nm에서 0.5 nm 사이이다.[7] 원자간 거리가 1.0 nm보다 클 때는 거리 ''r''의 약 7제곱(~''r''−7)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힘이 약해져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8]

반데르발스 힘은 종종 가장 약한 화학적 힘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H2 분자의 H(수소) 원자 사이의 쌍으로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인력 에너지는 0.06 kJ/mol (0.6 meV)이고, 서로 다른 O2 분자의 O(산소) 원자 사이의 쌍으로 작용하는 인력 에너지는 0.44 kJ/mol (4.6 meV)이다.[9]

반데르발스 결합의 강도는 참여하는 원자의 극성화가 높을수록 증가한다.[10] 예를 들어, H2S와 황화물의 S() 원자와 같이 더 극성화된 원자에 대한 쌍으로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 에너지는 1 kJ/mol (10 meV)을 초과하고, 더 크고 극성화된 Xe(크세논) 원자 사이의 쌍으로 작용하는 상호작용 에너지는 2.35 kJ/mol (24.3 meV)이다.[11]

반데르발스 힘은 그 기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배향력 (쌍극자와 쌍극자의 상호작용)
  • 유도력 (쌍극자와 그것에 의한 유도 쌍극자의 상호작용)
  • 분산력 (유도 쌍극자와 유도 쌍극자의 상호작용)


결합에 의한 인력 및 전하를 가진 이온 간 또는 전하를 가진 이온과 전하를 가지지 않는 중성 분자 간의 정전기력은 포함되지 않는다.

3. 1. 런던 분산력

런던 분산력은 독일계 미국 물리학자 프리츠 런던의 이름을 딴, 영구적인 다극 모멘트가 없는 분자 내 순간적인 다극자 사이의 상호 작용력에서 비롯되는 약한 분자간 힘이다. 유기 분자 내부 및 유기 분자 사이에서 다수의 접촉은 특히 헤테로 원자가 존재할 때 분산 인력의 더 큰 기여로 이어질 수 있다. 런던 분산력은 '분산력', '런던 힘' 또는 '순간 쌍극자-유도 쌍극자 힘'으로도 알려져 있다.[20] 런던 분산력의 세기는 분자의 분극률에 비례하며, 이는 다시 전자의 총 수와 전자가 퍼져 있는 면적에 따라 달라진다. 탄화수소는 작은 분산 기여를 나타내며, 헤테로 원자의 존재는 분극률의 함수로 런던 분산력(LD 힘)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RI>RBr>RCl>RF 순서이다.[20] 용매가 없는 경우 약하게 분극화되는 탄화수소는 분산력으로 인해 결정을 형성한다. 그들의 승화열은 분산 상호 작용의 척도이다.

4. 물리화학적 특성

반데르발스 힘은 실제 기체의 상태 방정식을 공식화할 때 도입된 응축력이다. 요하네스 디데릭 판데르발스가 실제 기체의 상태 방정식을 공식화할 때 도입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서 '반데르발스 힘'이라고 부른다. 무극성 분자라도 분자 내의 전자 분포는 양자 요동에 의해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쌍극자가 주위 분자의 전기 쌍극자끼리 상호 작용함으로써 응집력을 생성한다.

반데르발스 결합은 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의 원자 또는 분자가 주로 반데르발스 힘으로 응집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반데르발스 힘은 이방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결정다형의 요인 중 하나가 된다.

반데르발스 힘은 원자분자, 그리고 다른 분자간 힘 사이의 인력과 척력을 포함한다. 이는 공유 결합이온 결합과 달리, 인접한 입자들의 변동하는 극성화의 상관관계(양자 역학의 결과)[6]에 의해 발생한다. 이 힘은 전자 밀도의 일시적인 변화에서 비롯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밀도는 일시적으로 원자핵의 한쪽에 더 많이 치우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시적인 전하를 생성하며, 근처의 원자는 이에 끌리거나 밀릴 수 있다.

반데르발스 힘은 매우 짧은 거리에서는 척력으로 작용하고, 각 원자 또는 분자에 특징적인 평형 거리에서 0이 되며, 평형 거리보다 큰 거리에서는 인력으로 작용한다. 개별 원자의 경우, 평형 거리는 원자 특유의 지름에 따라 0.3 nm에서 0.5 nm 사이이다.[7] 원자간 거리가 1.0 nm보다 클 때는 거리 ''r''의 약 7제곱(''r''-7)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힘이 약해져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8]

반데르발스 힘은 종종 가장 약한 화학적 힘 중 하나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H2 분자의 H(수소) 원자 사이의 쌍으로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인력 에너지는 0.06 kJ/mol이고, 서로 다른 O2 분자의 O(산소) 원자 사이의 쌍으로 작용하는 인력 에너지는 0.44 kJ/mol이다.[9] 그러나 반데르발스 결합의 강도는 참여하는 원자의 극성화가 높을수록 증가한다.[10] 예를 들어, H2S와 황화물의 S() 원자와 같이 더 극성화된 원자에 대한 쌍으로 작용하는 반데르발스 상호작용 에너지는 1 kJ/mol을 초과하고, 더 크고 극성화된 Xe(크세논) 원자 사이의 쌍으로 작용하는 상호작용 에너지는 2.35 kJ/mol이다.[11]

분자간 힘은 크게 여러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 강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원자의 근접 접촉이나 분자의 붕괴를 막는 파울리 배타 원리에서 비롯된 반발 성분.

# 영구 전하(분자 이온의 경우), 쌍극자(반전 중심이 없는 분자의 경우), 사중극자(입방체보다 대칭성이 낮은 모든 분자), 그리고 일반적으로 영구 다극자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 정전기적 상호 작용. 이러한 상호 작용에는 수소 결합, 양이온-π 상호작용, 그리고 π-스태킹 상호작용이 포함된다. 정전기적 상호 작용의 배향 평균 기여는 때때로 케솜 상호작용 또는 케솜 힘이라고 한다.

# 유도(또는 편극으로 알려짐), 이는 한 분자의 영구 다극자와 다른 분자의 유도 다극자 사이의 인력 상호 작용이다. 이 상호 작용은 때때로 데바이 힘이라고 하며, 피터 요하네스 위렴 데바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분산(일반적으로 런던 분산 상호 작용이라고 하며, 프리츠 런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이는 무극성 원자를 포함한 모든 분자 쌍 사이의 인력 상호 작용으로, 순간 다극자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한다.

모든 분자간/반데르발스 힘은 이방성이다(두 비활성 기체 원자 사이의 힘을 제외하고). 즉, 분자의 상대적인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4. 1. 반데르발스 방정식

이상기체방정식을 보정한 반데르발스 상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

:\left(P + a \frac{n^2}{V^2} \right) \left( V-nb \right) = nRT

여기서 a는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의 세기를, b는 유체를 이루는 입자가 차지하는 부피를 나타낸다.[1]

: P= \frac{nRT}{(V-nb)} - a \left(\frac{n}{v}\right)^2

여기서 P는 유체의 압력, V는 유체의 부피, n는 유체에서 분자나 원자 단위의 , T는 유체의 절대 온도, R기체 상수이다.[1]

4. 2. 반데르발스 상수들

}O|물영어 || 5.464 || 0.0305

|}

4. 3. 반데르발스 착물 (클러스터)

반데르발스 결합에 의해 형성된 집합체는 '''반데르발스 착물'''(van der Waals complex) 또는 '''반데르발스 클러스터'''라고 불린다. 반데르발스 착물은 다수의 분자로 구성되는 반데르발스 결정보다 간단한 모델로 설명할 수 있어, 반데르발스 결정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으로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4. 4. 소수성 결합

고분자 화합물이나 분자 클러스터에서는 개개 원자의 반데르발스 결합은 작더라도, 분자량이 막대하기 때문에 결합 에너지에서 반데르발스 결합이 차지하는 부분이 크고 지배적이 된다. 그 결과, 수소 결합이나 이온 결합 등 다른 결합의 화학 포텐셜과 같은 영향력을 가지고, 소수성 결합처럼 행동하게 된다. 즉, 소수성 결합에는 반데르발스 힘이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4. 5. 반데르발스 흡착 (물리 흡착)

물체 표면에 분자가 흡착하는 방식 중 하나인 물리흡착은 주로 반데르발스 힘으로 흡착하기 때문에 '''반데르발스 흡착'''(van der Waals adsorption)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물리흡착은 반데르발스 결합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반데르발스 흡착은 고체 표면과의 반데르발스 힘과 흡착 분자 간의 반데르발스 힘의 균형에 따라 흡착 거동이 다양하게 변하지만, 분자의 열운동과 비슷한 정도의 에너지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면 흡착량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도마뱀붙이가 다리로 벽이나 천장을 걸어 다닐 수 있는 것은, 그 다리에 있는 독특한 구조가 물리흡착력(즉, 이 반데르발스 힘)을 강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이 검토되었고[43], 2000년 캘리포니아 대학의 Full 등에 의해, 각 발바닥에 있는 약 50만 개의 강모가 벽면의 분자와 반데르발스 힘을 발생시켜 접착하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5. 거시적 물체 사이의 반데르발스 힘

거시적 크기의 물체 사이의 반데르발스 힘은 미시적 이론을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1937년 하마커(H. C. Hamaker)는 반지름이 R1 및 R2이고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 물체 사이의 반데르발스 상호작용 에너지를 다음과 같이 근사했다.[21]

:\begin{align}

&U(z;R_{1},R_{2}) = -\frac{A}{6}\left(\frac{2R_{1}R_{2}}{z^2 - (R_{1} + R_{2})^2} + \frac{2R_{1}R_{2}}{z^2 - (R_{1} - R_{2})^2} + \ln\left[\frac{z^2-(R_{1}+ R_{2})^2}{z^2-(R_{1}- R_{2})^2}\right]\right)

\end{align}

여기서 A는 하마커 계수로, 물질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10-20 − 10-19)이다. 개입 매질에 따라 양수 또는 음수가 될 수 있다. ''z''는 중심 간 거리, 즉 ''R''1, ''R''2 및 ''r''(표면 간 거리)의 합이다. (\ z = R_{1} + R_{2} + r).

두 구 사이의 반데르발스 은 퍼텐셜 에너지 함수의 도함수의 음수(\ F_{\rm VdW}(z) = -\frac{d}{dz}U(z))이므로 다음과 같다.

:\ F_{\rm VdW}(z)= -\frac{A}{6}\frac{64R_{1}^3R_{2}^3z}{[z^2-(R_{1}+R_{2})^2]^2[z^2-(R_{1}-R_{2})^2]^2}

근접 접근의 한계에서, 구는 그들 사이의 거리보다 충분히 크다. 즉, \ r \ll R_{1} 또는 R_{2}이면, 퍼텐셜 에너지 함수는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

:\ U(r;R_{1},R_{2})= -\frac{AR_{1}R_{2}}{(R_{1}+R_{2})6r}

힘은 다음과 같다.

:\ F_{\rm VdW}(r)= -\frac{AR_{1}R_{2}}{(R_{1}+R_{2})6r^2}

하마커 모델을 사용하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의 물체 사이의 반데르발스 힘은 문헌에 발표되었다.[23][24][25]

위의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반데르발스 힘은 물체의 크기(R)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중력항력/양력과 같은 관성력의 세기는 더 크게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매우 미세한 건조 분말(모세관력이 없는 경우)과 같은 매우 작은 입자의 집합체에 대해 반데르발스 힘이 지배적이 된다. 이러한 분말은 응집성이 있다고 하며, 이는 더 거친 입자의 대응 물질보다 유동화되거나 공압적으로 운반되기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입자가 약 250μm보다 클 때 자유 유동이 발생한다.

반데르발스 부착력은 표면 지형에 따라 달라진다. 두 입자 사이 또는 입자와 벽 사이의 총 접촉 면적이 더 커지는 표면 거칠기 또는 돌출부가 있는 경우, 이는 반데르발스 인력과 기계적 맞물림 경향을 증가시킨다.

미시적 이론은 쌍으로 더하는 것을 가정하며, 다체 상호작용과 지연을 무시한다. 이러한 효과를 고려하는 더 엄격한 접근 방식인 "거시적 이론"은 1956년 리프시츠(Evgeny Lifshitz)에 의해 개발되었다.[26] 1934년 초 데르야긴에 의해 더 간단한 거시적 모델 근사가 이루어졌다.[28] 리프시츠 이론을 사용하는 여러 다른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반데르발스 힘에 대한 표현도 발표되었다.

6. 응용

반데르발스 힘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6. 1. 도마뱀붙이의 부착

도마뱀이 수직 표면에 발가락 하나만으로도 매달릴 수 있는 능력은 오랫동안 표면과 도마뱀 발바닥의 털 모양 강모 속 미세 돌기(첨단) 사이의 반데르발스 힘 때문이라고 여겨졌다.[29][30]

2000년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Full 등은 도마뱀붙이 발바닥에 있는 약 50만 개의 강모가 벽면 분자와 반데르발스 힘을 발생시켜 접착한다는 것을 증명했다.[43]

2008년에는 이 효과를 이용한 건식 접착제 개발 시도가 있었고,[31] 2011년에는 반데르발스 힘 기반 접착 테이프 제작에 성공했다.[32] 같은 해, 이 효과가 벨크로 같은 털과 도마뱀 발자국의 지질 존재와 관련 있다는 논문도 발표되었다.[33]

이후 모세관 부착 역할에 대한 연구가 제안되었으나,[34] 최근 연구에서 이 가설은 기각되었다.[35][36][37]

2014년 연구에서는 매끄러운 테플론과 폴리디메틸실록산 표면에 대한 도마뱀 부착이 반데르발스 힘이나 모세관 힘이 아닌 접촉 대전에 의한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결정된다고 한다.[38]

일부 절지동물 거미는 발바닥에 유사한 강모가 있어 유리나 도자기 같은 매끄러운 표면에서도 기어오르거나 거꾸로 매달릴 수 있다.[39][40]

참조

[1] 웹사이트 How do microfiber cloths work? The science of cleaning http://www.explainth[...] 2022-02-11
[2] 문서 van der Waals forces
[3] 서적 Biochemistry University of Virginia 2016
[4] 서적 Reviews in Computation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2008-10-20
[5] 서적 Quantum mechanics in a nutshell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6] 서적 Methods of Quantum Field Theory in Statistical Physics Dover Publications
[7] 논문 Van der Waals Radii of Elements http://link.springer[...] 2001
[8] 서적 Molecular theory of gases and liquids https://www.worldcat[...] Wiley 1954
[9] 논문 Accurate and Compatible Force Fields for Molecular Oxygen, Nitrogen, and Hydrogen to Simulate Gases, Electrolytes, and Heterogeneous Interfaces 2021-08-10
[10] 논문 Thermodynamically Consistent Force Fields for the Assembly of Inorganic, Organic, and Biological Nanostructures: The INTERFACE Force Field https://pubs.acs.org[...] 2013-02-12
[11] 논문 The representation of van der Waals (vdW) interactions in molecular mechanics force fields: potential form, combination rules, and vdW parameters https://pubs.acs.org[...] 1992-09
[12] 논문 Accurate Simulation of Surfaces and Interfaces of Face-Centered Cubic Metals Using 12−6 and 9−6 Lennard-Jones Potentials https://pubs.acs.org[...] 2008-11-06
[13] 웹사이트 Intermolecular Van der Waals force https://www.ntmdt-si[...] NT-MDT 2024-05-30
[14] 논문 Long range Van der Waals interaction https://www.sas.upen[...]
[15] 뉴스 New way to levitate objects discovered https://www.scienced[...] 2007-08-06
[16] 논문 Quantum levitation by left-handed metamaterials
[17] 논문 General theory of van der Waals forces
[18] 논문 Lifshitz Theory of van der Waals Pressure in Dissipative Media
[19] 서적 Chemical bonding Discovery Publishing House
[20] 논문 Dispersive Interactions in Solution Complexes
[21] 논문 Physica
[22] 논문 Transactions of the Faraday Society
[23] 논문 The London–Van der Waals interaction energy between objects of various geometries 2001-03
[24] 서적 Intermolecular and Surface Forces Academic Press 1985–2004
[25] 서적 Van der Waals Forces: A Handbook for Biologists, Chemists, Engineers, and Physic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6] 논문 Soviet Physics—JETP
[27] 논문 Physical Review B
[28] 논문 Kolloid-Zeitschrift
[29] 논문 A new angle on clinging in geckos: incline, not substrate, triggers the deployment of the adhesive system 2009
[30] 논문 Evidence for van der Waals adhesion in gecko setae
[31] 뉴스 Gecko-like glue is said to be stickiest yet https://www.reuters.[...] 2008-10-08
[32] 웹사이트 Biologically inspired adhesive tape can be reused thousands of times http://newatlas.com/[...] 2016-10-05
[33] 논문 Direct evidence of phospholipids in gecko footprints and spatula-substrate contact interface detected using surface-sensitive spectroscopy 2011-08-24
[34] 논문 Evidence for capillarity contributions to gecko adhesion from single spatula nanomechanical measurements 2005
[35] 논문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the effect of humidity in gecko adhesion: stiffness reduction enhances adhesion on a rough surface 2010
[36] 논문 Changes in materials properties explain the effects of humidity on gecko adhesion
[37] 논문 Effects of humidit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ecko setae 2011-02-01
[38] 논문 Role of contact electrification and electrostatic interactions in gecko adhesion 2014-07-09
[39] 논문 Getting a grip on spider attachment: an AFM approach to microstructure adhesion in arthropods 2004-04-19
[40] 논문 The influence of humidity on the attachment ability of the spider ''Philodromus dispar'' (Araneae, Philodromidae) 2012-01-07
[41] 백과사전 van der Waals forces
[42] 웹사이트 ファン・デル・ワールス力とは https://kotobank.jp/[...] 2020-11-02
[43] 논문 Sticky Gecko Feet: The Rol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44] 백과사전 van der Waals for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예시a 값 (L2⋅bar/mol2)b값 (L/mol)
H|2|수소영어0.2440.0265
O|2|산소영어1.3610.0318
{{lang|en|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