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디즈 (알래스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밸디즈는 알래스카 프린스 윌리엄 만 끝에 위치한 도시로, 1898년 클론다이크 골드러시 당시 금광으로 가는 관문으로 개발되었으나, 사기로 밝혀졌다. 1907년 철도 건설 계획이 무산된 후, 리처드슨 고속도로 개통으로 알래스카 내륙으로 향하는 주요 보급로가 되었다. 1964년 알래스카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었으나, 3년 후 재건되었다. 밸디즈는 알래스카 송유관의 종착지이자 엑손 발데즈호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한 곳이며, 주요 산업은 석유, 어업, 관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의 도시 - 주노 (알래스카주)
주노는 알래스카주의 주도이자 시/자치구로, 금 발견 이후 광업 도시로 발전하여 1906년 주도가 이전된 후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 행사가 발달한 도시이다. - 알래스카주의 도시 - 페어뱅크스 (알래스카주)
알래스카 내륙 중심부에 위치한 페어뱅크스는 1901년 교역소 설립 후 금 발견으로 급성장했으며 알래스카-캐나다 국경 분쟁 해결에 기여한 부통령의 이름을 딴 도시로, 교통, 물류, 군사적 중심지이자 관광과 오로라 관측 명소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밸디즈 (알래스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발데즈 시, 알래스카 |
현지어 명칭 | Suacit (수아시트) |
현지어 | ems |
도시 유형 | 시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표어 | 해당사항 없음 |
행정 | |
국가 | 미국 |
주 | 알래스카 |
군/구 | 추가치 |
시장 | 샤론 샤이트 |
주 상원 의원 | 마이크 샤워 (공화) |
주 하원 의원 | 조지 라우셔 (공화) |
설립일 | 1901년 6월 11일 (시) |
면적 | |
총 면적 (km²) | 704.24 |
육지 면적 (km²) | 550.86 |
물 면적 (km²) | 153.37 |
총 면적 (mi²) | 271.91 |
육지 면적 (mi²) | 212.69 |
물 면적 (mi²) | 59.22 |
인구 | |
2020년 총 인구 | 3985 |
인구 밀도 (km²) | 7.23 |
인구 밀도 (mi²) | 18.74 |
지리 | |
고도 (m) | 30 |
고도 (ft) | 98 |
좌표 | 61°7′51″N 146°20′54″W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알래스카 표준시 (AKST) |
UTC 오프셋 | -9 |
하계 시간 | 알래스카 일광 절약 시간 (AKDT) |
UTC 오프셋 (하계) | -8 |
우편 번호 | 99686 |
지역 번호 | 907 |
FIPS 코드 | 02-82200 |
GNIS ID | 1412465 |
웹사이트 | 발데즈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898년, 클론다이크 골드러시 당시 일확천금을 노린 사람들이 밸디즈에 마을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증기선 회사들은 밸디즈 빙하 트레일이 스캐그웨이에서 클론다이크 금광 지대로 가는 더 쉬운 길이며, 알래스카 내륙부 코퍼강 유역에서도 금이 발견되었다고 선전했다. 그러나 이는 거짓으로 드러났고, 빙하 트레일은 실제로는 훨씬 길고 험난했다. 많은 이들이 도중에 쓰러졌고, 일부는 영양 부족으로 괴혈병에 걸리기도 했다.[28]
1899년, 밸디즈와 페어뱅크스를 잇는 리처드슨 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1907년에는 경쟁 관계에 있던 두 철도 회사 간의 충돌로 밸디즈와 케니코트 구리 광산을 잇는 철도 계획이 좌절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처드슨 고속도로와 얼음이 없는 항구 덕분에 밸디즈는 알래스카 내륙으로 가는 주요 육상 물자 수송 경로로 자리 잡았다.[28] 1950년에는 하계에만 통행 가능했던 고속도로가 연중 통행 가능하게 되었다.[28]
1964년, 알래스카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자체는 도시를 파괴하지 않았지만, 액상화 현상으로 지반이 해수면 아래로 내려앉고 해안 제방이 파괴되어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9.1m 높이의 쓰나미가 밸디즈 만을 덮쳐 항구에 있던 32명이 사망했다.[28]
지진 3년 후, 밸디즈는 6km 떨어진 안정된 지반으로 이전했다. 미국 육군 공병 사령부의 감독 하에 54동의 주택과 건물이 트럭으로 옮겨졌고, 구 시가지는 철거되었다.[28]
1975년부터 1977년까지 프루도만 유전에서 밸디즈 항구 근처의 석유 터미널까지 트랜스 알래스카 송유관이 건설되었다.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반된 원유는 유조선으로 수송되었고, 이는 밸디즈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1989년, 밸디즈 석유 터미널을 출발한 엑손 발데즈호가 암초에 좌초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밸디즈에서 40km 떨어진 브라이 암초에서 발생한 이 사고로 유출된 원유는 주변 해역의 야생 생물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원유 제거 작업으로 밸디즈 경제는 일시적으로 활황을 띠었다.[28]
2. 1. 스페인 탐험과 명명
1790년, 스페인 탐험가 살바도르 피달고는 스페인 해군 장교 안토니오 발데스 이 페르난데스 바잔의 이름을 따서 밸디즈 항구를 명명했다.[5] 피달고는 당시 누에바에스파냐 부왕 후안 비센테 데 구에메스, 제2대 레비야히헤도 백작의 지시에 따라 북서 태평양 탐험의 일환으로 알래스카 해안을 탐험했다. 같은 해 6월 15일, 피달고는 항구를 발견하고 당시 "해군 및 인디아스 범용 사무국 국무 장관"(스페인 해군과 미국 스페인 부왕령 4개, 필리핀 총독령 포함)이었던 안토니오 발데스 이 페르난데스 바잔을 기려 푸에르토 발데스[6]라고 명명했다.2. 2. 골드 러시와 도시 형성
1898년, 클론다이크 골드 러시 당시 밸디즈 빙하 길이 금광 지대로 가는 더 나은 경로라고 홍보되었으나, 이는 사기로 밝혀졌다. 빙하 길은 실제로는 훨씬 길고 험난했으며, 많은 탐광객들이 사망하거나 괴혈병에 걸렸다.[7]
1910년 리처드슨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밸디즈와 페어뱅크스를 연결한 후에야 마을이 번성했다. 새로운 도로와 얼음이 없는 항구를 갖춘 밸디즈는 알래스카 내륙으로 가는 최초의 육상 보급 경로로 영구적으로 자리 잡았다. 고속도로는 1950년까지 여름에만 개통되었지만, 그 후 연중 노선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7]
2. 3. 리처드슨 고속도로와 발전
1899년 밸디즈와 페어뱅크스를 잇는 리처드슨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밸디즈는 알래스카 내륙으로 가는 최초의 육상 보급 경로로 영구히 자리 잡았다. 얼음이 없는 항구를 갖춘 밸디즈는 내륙으로 가는 중요한 보급 기지 역할을 했다. 1950년까지는 여름에만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었지만, 그 이후 연중 운영되기 시작하면서[7] 도시 발전에 더욱 기여했다.2. 4. 철도 경쟁과 좌절
1907년, 랭글-세인트 엘리아스 산맥 중심부에 위치한 북미 최대 규모의 구리 광산 중 하나인 케니코트 구리 광산과 밸디즈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 계획은 두 철도 회사 간의 총격전으로 좌절되었다. 이 사건으로 1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당했으며, 밸디즈 측 키스톤 캐년 남쪽 입구에 있는 미완성 터널은 밸디즈의 철도 시대 종말을 알렸다. 결국 케니코트 구리 광산으로 가는 철도 노선은 해안 도시 코르도바에서 건설되었다.[7]2. 5. 1964년 성금요일 지진과 도시 이전
1964년 성금요일 지진으로 밸디즈 시는 큰 피해를 입었다. 도시 기반을 이루는 빙하성 토양 액상화 현상으로 대규모 수중 산사태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도시 해안선 일부가 붕괴되어 바다로 가라앉았다. 수중 토양 변위는 약 9.14m 높이의 국지적인 쓰나미를 일으켜 밸디즈 만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했다. 밸디즈에 정기적으로 물품을 공급하는 보급선 SS ''Chena''호의 하역을 돕거나 구경하기 위해 도시 주요 화물 부두에 있던 32명의 남녀노소가 부두 붕괴와 함께 바다에 휩쓸려 모두 사망했다. 그러나 마을에서는 이 외에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7]주민들은 약 6.44km 떨어진 더 안정적인 지반에 새로운 부지를 마련할 때까지 3년간 그곳에서 생활했다. 육군 공병대의 감독 하에 54채의 집과 건물이 트럭으로 새 부지로 옮겨져 현재 위치에 새로운 도시가 재건되었다. 원래의 타운 부지는 해체되어 버려졌고, 결국 불에 탔다.[7]

2. 6. 알래스카 송유관 건설과 경제 발전
1973년 석유 위기 이후,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알래스카 송유관이 건설되면서 밸디즈는 석유 수송의 중심지가 되었다.[9][10] 프루도 베이 유전에서 생산된 석유는 밸디즈의 터미널까지 송유관을 통해 운송된 후, 유조선에 실려 다른 지역으로 운반되었다. 송유관 건설과 운영은 밸디즈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7년 8월 초, ARCO Juneau호가 밸디즈에서 처음으로 송유관 석유를 싣고 워싱턴의 체리 포인트 정유소로 향했다.[11]1989년에는 ''엑손 발데즈''호 기름 유출 사고가 발생하여 밸디즈 인근 해역에 심각한 환경 피해를 입혔다. 유조선 ''엑손 발데즈''호가 밸디즈 터미널을 떠나 석유를 가득 채운 채 블라이 암초에서 좌초하면서 발생한 이 사고는 밸디즈에서 약 40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비록 기름이 밸디즈 시내까지 도달하지는 않았지만, 주변 해양 생태계는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기름 제거 작업으로 인해 밸디즈 경제는 일시적으로 활기를 띠기도 했다.
2. 7. 엑슨 발데즈호 기름 유출 사고
1989년, 밸디즈의 석유 터미널을 출발한 유조선 엑슨 발데즈호가 좌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는 밸디즈에서 40km 떨어진 암초인 브라이 암초에서 발생했다. 유출된 원유는 밸디즈 시내까지 도달하지는 않았지만, 주변 해역의 해양 생물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28] 원유 제거 작업을 위해 밸디즈의 경제는 일시적으로 활황을 띠었다.2. 8. 2014년 산사태
2014년 1월 24일, 밸디즈 외곽 키스톤 캐니언 인근 16마일 지점에서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여 밸디즈로 드나드는 유일한 고속도로가 폐쇄되었다.[12][13] 1월 25일, 알래스카 교통부는 또 다른 대규모 산사태를 유발하여 도로를 더욱 막았다. 당시 기상 조건으로 인해 산사태로 로우 강이 막히면서 약 800m 길이의 호수가 생겨나 눈 제거 작업이 거의 일주일 동안 중단되었다. 이 막힘은 지역 주민 조슈아 버핑턴이 지은 이름을 따서 밸디즈 시 공무원들에 의해 "댐알란체(Damalanche)"라고 불렸다. 이 사건은 전국 언론에 보도되었다.[12][13] 물이 빠지자, 작업팀은 5일 동안 약 153000m3의 눈을 제거하기 위해 밤낮으로 작업했다. 이 사고로 다친 사람은 없었다.3. 지리
밸디즈는 알래스카 프린스윌리엄만의 깊은 피오르 지형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은 빙하로 덮인 추가치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근처의 슈프 빙하는 슈프 만으로 흘러들어가며, 20세기 초 밸디즈 주민들에게 얼음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14] 밸디즈는 북미에서 연중 얼음이 얼지 않는 최북단 항구이다.[15] 또한 해안 태평양 온대 우림의 최북단 지점이 밸디즈의 블루베리 언덕에 있다.[15] 유일한 도로 접근은 리처드슨 고속도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도로는 톰슨 패스와 키스톤 협곡을 지나 밸디즈에서 끝난다.
3. 1. 위치 및 지형
밸디즈는 프린스윌리엄만의 깊은 피오르 지형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은 빙하로 덮인 추가치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14] 밸디즈는 북미에서 연중 얼음이 얼지 않는 최북단 항구이다.[15] 또한 해안 태평양 온대 우림의 최북단 지점이 밸디즈의 블루베리 언덕에 있다.[15]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밸디즈의 총 면적은 271.9mi2이며, 이 중 육지는 212.9mi2, 수역은 이다.[29]
밸디즈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습윤 기후(Dfc)에 속한다. 겨울철 기온은 전형적인 냉대 습윤 기후보다는 높지만, 해양성 기후인 케치칸이나 코디악만큼 따뜻하지는 않다. 미국 해양대기청과 웨더 채널에 따르면 밸디즈는 미국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곳으로, 연평균 750cm의 적설량을 기록한다.[30][31]
다음은 밸디즈의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을 나타낸 표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약 -3.0°C | 약 -1.1°C | 약 2.1°C | 약 6.9°C | 약 11.6°C | 약 15.2°C | 약 16.8°C | 약 16.0°C | 약 11.8°C | 약 6.1°C | 약 0.4°C | 약 -1.6°C | 약 6.8°C |
평균 최저 기온 (°C) | 약 -8.2°C | 약 -6.9°C | 약 -4.6°C | 약 -0.6°C | 약 3.7°C | 약 7.2°C | 약 8.9°C | 약 8.0°C | 약 4.9°C | 약 0.8°C | 약 -4.5°C | 약 -6.6°C | 약 0.2°C |
평균 강수량 (mm) | 약 15.29cm | 약 14.05cm | 약 11.40cm | 약 9.02cm | 약 7.82cm | 약 7.65cm | 약 9.75cm | 약 16.81cm | 약 24.36cm | 약 21.79cm | 약 14.00cm | 약 19.28cm | 약 171.22cm |
평균 적설량 (cm) | 약 144.78cm | 약 131.57cm | 약 127.00cm | 약 49.28cm | 약 3.05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1.02cm | 약 46.99cm | 약 98.55cm | 약 222.50cm | 약 756.16cm |
3. 2. 기후
밸디즈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아한대 기후(Dfc)에 속하지만, 해안 태평양 온대 우림의 영향으로 겨울철 기온이 비교적 온화하다. 그러나 케치칸이나 코디액과 같은 해양성 기후 지역보다는 겨울철 기온이 낮다.밸디즈는 미국에서 가장 눈이 많이 내리는 도시 중 하나로, 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웨더 채널에 따르면 연평균 750cm 이상의 눈이 내린다.[16][17]
3. 2. 1. 기후 데이터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F) | 약 -1.8°C | 약 -0.1°C | 약 2.6°C | 약 8.0°C | 약 13.1°C | 약 16.9°C | 약 17.8°C | 약 16.7°C | 약 12.8°C | 약 7.2°C | 약 1.1°C | 약 -0.7°C | — |
평균 최저 기온 (°F) | 약 -7.2°C | 약 -5.9°C | 약 -5.0°C | 약 -0.1°C | 약 4.3°C | 약 7.9°C | 약 9.5°C | 약 8.3°C | 약 5.3°C | 약 1.2°C | 약 -3.9°C | 약 -5.7°C | — |
역대 최고 기온 (°F) | 약 12.8°C | 약 15.0°C | 약 13.9°C | 약 20.6°C | 약 26.1°C | 약 32.2°C | 약 29.4°C | 약 28.9°C | 약 23.9°C | 약 20.6°C | 약 15.0°C | 약 12.2°C | — |
역대 최저 기온 (°F) | 약 -31.1°C | 약 -33.3°C | 약 -23.9°C | 약 -17.8°C | 약 -10.6°C | 약 -2.8°C | 약 0.6°C | 약 -1.7°C | 약 -10.0°C | 약 -15.0°C | 약 -23.3°C | 약 -27.8°C | — |
평균 강수량 (인치) | 약 16.66cm | 약 15.04cm | 약 10.41cm | 약 8.56cm | 약 7.67cm | 약 6.20cm | 약 9.83cm | 약 17.78cm | 약 24.79cm | 약 20.27cm | 약 15.60cm | 약 19.66cm | 약 172.47cm |
평균 강설량 (인치) | 약 169.16cm | 약 161.04cm | 약 116.33cm | 약 56.64cm | 약 8.64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1.78cm | 약 23.11cm | 약 110.49cm | 약 179.07cm | — |
평균 강수 일수 (≥ 약 0.03cm) | 16.3 | 15.3 | 13.9 | 14.3 | 15.0 | 13.8 | 18.0 | 18.4 | 20.9 | 19.3 | 15.5 | 17.3 | 198.0 |
평균 강설 일수 (≥ 약 0.25cm) | 15.6 | 14.3 | 13.0 | 6.2 | 1.4 | 0.0 | 0.0 | 0.0 | 0.3 | 4.7 | 12.9 | 16.0 | — |
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웨더 채널에 따르면 밸디즈는 미국에서 적설량이 가장 많은 도시로, 연평균 750cm의 눈이 내린다. 과거 한 시즌에 약 254.00cm 이상의 강설량을 기록한 달이 5개월이나 되는 해도 있었다.[30][31]
4. 인구
202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밸디즈에는 3,985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도시의 인종 구성은 백인 75.7%, 흑인 0.8%, 미국 원주민 또는 알래스카 원주민 7.8%, 아시아인 2.6%, 태평양 섬 주민 0.8%, 기타 인종 2.0%, 둘 이상의 인종 10.3%였다.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는 6.8%였다.[22]
도시에 1,758가구의 주택이 있었고 총 1,610가구가 있었다. 중간 연령은 40세였다. 가구의 중간 소득은 99151USD였고 가족의 중간 소득은 102832USD였다. 인구의 4.4%가 빈곤선 이하에 있었고, 여기에는 18세 미만의 7.6%와 65세 이상의 3.8%가 포함되었다.[22]
201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3,976명이 있었다. 인종 구성은 백인 78.6%, 흑인 0.6%, 미국 원주민 또는 알래스카 원주민 7.6%, 아시아인 1.9%, 태평양 섬 주민 0.8%, 둘 이상의 인종 5.8%였다.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는 4.7%였다.[33][26]
다음은 2000년 인구 조사[34]에 따른 인구 통계 데이터이다.
기초 데이터 | 인종별 인구 구성 | 연령별 인구 구성 | 가구 및 가족 | 수입 및 가계 |
---|---|---|---|---|
연도 | 인구 |
---|---|
1900년 | 315명 |
1910년 | 810명 |
1920년 | 466명 |
1930년 | 442명 |
1940년 | 529명 |
1950년 | 554명 |
1960년 | 555명 |
1970년 | 1,005명 |
1980년 | 3,079명 |
1990년 | 4,068명 |
2000년 | 4,036명 |
2010년 | 3,976명 |
2020년 | 3,985명 |
5. 경제
알래스카 송유관 건설과 운영은 밸디즈 경제를 부양했다. 1977년 8월 초, 송유관 석유를 처음으로 실은 유조선인 ARCO Juneau호가 워싱턴의 체리 포인트 정유소로 향했다.[11] 1989년 ''엑손 발데즈'' 기름 유출 사고는 밸디즈에서 약 40km 떨어진 블라이 암초에서 발생했지만, 기름 제거 작업은 밸디즈 경제에 단기적인 활력을 불어넣었다.
밸디즈는 상업 및 스포츠 낚시를 위한 어항이며, 화물은 밸디즈를 거쳐 알래스카 내륙으로 이동한다. 해양 생물과 빙하 관광, 심해 낚시 및 헬리 스키는 밸디즈의 관광 산업을 뒷받침한다. 알래스카 송유관의 원유는 밸디즈 석유 터미널에서 선박에 적재된다.
알래스카 송유관 서비스 회사는 밸디즈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이다.
6. 교통
밸디즈는 리처드슨 고속도로를 통해 알래스카 내륙과 연결되어 있으며, 알래스카 해양 고속도로 페리 시스템의 기항지이다.[1] 고속도로에서 밸디즈 바로 북쪽에 있는 톰슨 패스에는 고속도로 옆에 멋진 폭포와 빙하가 있다.[1] 톰슨 패스는 겨울철에 위험한 운전 조건으로도 알려져 있다.[1]
밸디즈 공항(파이오니어 필드)에서는 라븐 알래스카와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1]
7. 문화 및 미디어
밸디즈에서는 한때 ''밸디즈 스타''와 ''밸디즈 뱅가드''라는 주간 신문이 발행되었다. 2004년에 ''스타''는 ''뱅가드''를 인수했다.[1]
밸디즈에는 KCHU, KVAK, KVAK-FM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1]
프린스 윌리엄 사운드 칼리지가 주최하는 라스트 프론티어 극장 컨퍼런스가 매년 밸디즈에서 열린다. 이 연례 컨퍼런스에는 미국 전역에서 극작가와 배우들이 모인다.[1]
1994년 영화 데드 걸은 워싱턴 빙하 근처, 밸디즈 시민 센터, 밸디즈 공항, 그리고 추가치 산맥의 톰슨 패스에서 밸디즈 외곽 약 48.28km 지점에서 촬영되었다.[1]
8. 밸디즈 해양 터미널
밸디즈 해양 터미널은 알래스카 송유관의 남쪽 끝에 위치한 석유 항구이다. 엑손 발데스호 원유 유출 사고 직전에 엑손 발데즈호가 출항했던 곳이기도 하다.[23]
터미널에는 18개의 석유 저장 탱크가 있으며, 매주 평균 3~5척의 유조선이 드나든다. 1977년 송유관 가동 이후 15,000척이 넘는 유조선이 이곳에서 원유를 운송했다. 터미널에는 2개의 운영 가능한 적재 부두가 있다.
밸디즈 석유 터미널에서는 프루도 만 유전에서 트랜스 알래스카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된 원유를 선적한다.
9. 주요 인물
- 네바 이간(1914–2011), 초대 알래스카 영부인(1959–1966, 1970–1974)[24]
- 윌리엄 A. 이간(1914–1984), 초대 알래스카 주지사 (1959–1966, 1970–1974)
- 마가렛 키난 해레이스(1872–1964), 밸디즈의 미국 위원; 알래스카가 주가 된 후 밸디즈의 부 판사가 됨
- 로버트 캠벨 리브(1902–1980), 밸디즈를 기반으로 활동한 부시 파일럿; 리브 알류샨 항공 설립자
- 빌 워커(1951년 출생), 전 알래스카 주지사
- 에드 워커(1917–2011), 캐스트너스 컷스로트의 생존자 중 두 번째로 마지막 멤버, 전 밸디즈 시의회 의원[25]
참조
[1]
서적
1996 Alaska Municipal Officials Directory
Alaska Municipal League/Alaska Department of Commerce, Community and Economic Development
1996-01
[2]
웹사이트
2020 U.S. Gazetteer Files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1-10-29
[3]
웹사이트
Changes to Counties and County Equivalent Entities: 1970-Present
2020-02-28
[4]
웹사이트
2020 Census Data - Cities and Census Designated Places
https://live.laborst[...]
State of Alaska, Department of Labor and Workforce Development
2021-10-31
[5]
웹사이트
Port Valdez
GNIS
[6]
문서
"Reduced spherical chart containing the northernmost part of the California"
https://bibliotecavi[...]
1790
[7]
문서
Paragraph edited by the Valdez Museum and Historical Archive Mar 2009
[8]
웹사이트
Hazelet's Journal
https://hazeletsjour[...]
2023-09-25
[9]
뉴스
'Pig' leading flow of oil in pipeline
https://news.google.[...]
1977-06-20
[10]
뉴스
Hot North Slope oil flowing
https://news.google.[...]
1977-06-20
[11]
뉴스
Tanker casts off with load of oil
https://news.google.[...]
1977-08-02
[12]
뉴스
Valdez's main highway reopens after blocked by avalanches for 12 days
https://www.upi.com/[...]
UPI
2014-02-06
[13]
뉴스
Goodbye, avalanche: Highway to Valdez, Alaska, clear at last
https://www.latimes.[...]
LA Times
2014-02-07
[14]
논문
Preliminary Bathymetry of Shoup Basin and Late Holocene Changes of Shoup Glacier, Alaska
https://pubs.usgs.go[...]
2021-04-27
[15]
웹사이트
InfoRain.org: "Prince William Sound / Copper River Ecosystem: Biological and Ecological Resources"
https://web.archive.[...]
2006-09-07
[16]
웹사이트
America's Top 10 Snowiest Cities
https://web.archive.[...]
2010-12-17
[17]
웹사이트
Governor Lynch's Veto Message Regarding HB 218
https://web.archive.[...]
2007-05-25
[18]
웹사이트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s://www.weat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07-03
[19]
웹사이트
Summary of Monthly Normals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07-03
[20]
웹사이트
xmACIS2
https://xmacis.rcc-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3-06
[21]
웹사이트
WMO Climate Normals for VALDEZ, AK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04
[22]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5-06-04
[23]
웹사이트
Alyeska - 2011
https://www.alyeska-[...]
TAPS
[24]
뉴스
Neva Egan, the first of Alaska's first ladies, dies at age 96
https://web.archive.[...]
2011-02-18
[25]
뉴스
Ed Walker obituary
http://www.frontiers[...]
2011-11-24
[26]
웹사이트
P2: HISPANIC OR LATINO, AND NOT HISPANIC OR LATINO BY RACE
https://data.census.[...]
アメリカ合衆国国勢調査局
2020
[27]
웹사이트
gnis
[28]
문서
Paragraph edited by the Valdez Museum and Historical Archive Mar 2009
[29]
웹사이트
GEO Geography Information
https://data.census.[...]
アメリカ合衆国国勢調査局
2023
[30]
문서
America's Top 10 Snowiest Cities
http://www.weather.c[...]
[31]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lwf.ncdc.noaa[...]
2007-05-25
[32]
웹사이트
NCDC: U.S. Climate Normals
http://cdo.ncdc.noaa[...]
アメリカ海洋大気庁
2011-01-30
[33]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www.census.go[...]
Census.gov
2015-06-04
[34]
웹사이트
American FactFinder
http://factfinder2.c[...]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11-25
[35]
웹인용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5-06-04
[36]
웹인용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s://www.weather.[...]
미국 해양대기청
2021-07-03
[37]
웹인용
Summary of Monthly Normals 1991-2020
https://www.ncei.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1-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