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范)씨와 범(凡)씨는 중국 하남성을 기원으로 하는 성씨이다. 범(范)씨는 주나라 때 사회가 범 땅을 식읍으로 받아 성을 범으로 하였고, 금성 범씨는 원나라 예부시랑 범승조가 고려에 들어와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범(凡)씨는 고려 우왕 때 문화안집사를 지낸 범영부가 안주 범씨의 시조이다.
중국 하남성 범(范)현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주나라 때 두백(杜伯)이라는 인물이 화를 입자, 그의 친척 습숙(濕淑)이 진(晉)나라로 피신했다. 습숙의 증손인 사회(士會)가 진나라에 공을 세워 범(范) 땅을 식읍으로 하사받고 성을 범씨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범(凡)씨는 중국 하남성 낙양(洛陽)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2. 범(范)씨
한국의 범(范)씨는 대부분 금성 범씨이며, 시조는 원나라에서 고려로 귀화한 범승조(范承祖)이다.
2. 1. 주요 인물
2. 2. 한국의 범(范)씨
한국의 범(范)씨는 대부분 금성 범씨이다. 금성 범씨의 시조는 고려로 귀화한 '''범승조'''(范承祖)이다. 한국의 인물로는 KBS 기자 범기영 등이 있다.
2. 2. 1. 금성 범씨
'''금성 범씨'''의 시조는 '''범승조'''(范承祖)이다. 그는 중국 낭야(瑯琊) 사람으로, 원나라에서 예부시랑을 지냈다. 고려 원종 15년(1274년)에 충렬왕의 비인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진해진(鎭海鎭, 현재의 나주)에 정착하였다. 범승조는 당시 북송 정이의 역전(易傳), 주자의 사서집주(四書集註), 백가예설(百家禮說) 등 많은 문헌을 가지고 와 널리 보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범승조의 아들 범유수(范有睢)는 고려 시대에 문하시랑에 올랐다. 고려 충숙왕 3년(1334년)에는 여진족 토벌에 공을 세워 금성군(錦城君)에 봉해졌다. 금성(錦城)은 나주의 옛 지명으로, 이로 인해 후손들이 금성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본관인 금성(錦城)은 전라남도 나주시의 옛 이름으로, 신라 신문왕 6년(686년)에는 통의군(通義郡)이었고, 신라 경덕왕 16년(757년) 이후에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불리며 무주(武州, 현재의 광주)의 관할이었다.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나주(羅州)로 지명이 바뀌었다. 이후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되어 나주군에서 분리되었으나, 1985년 나주시로 다시 개칭되었다.
금성 범씨의 인구는 2000년 통계청 인구 조사 기준으로 3,316명이다.
3. 범(凡)씨
3. 1. 한국의 범(凡)씨
범(凡)씨는 중국 하남성 낙양(洛陽)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한국의 범(凡)씨는 안주 범씨 단본이다.
3. 1. 1. 안주 범씨
'''안주 범씨'''의 시조는 고려 우왕(禑王) 때 문화안집사(文化安集使)를 지낸 '''범영부'''(凡永副)이다. 한국 범(凡)씨의 본관은 안주 1본이며, 인구는 2000년 기준 157명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