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렌베르크 은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렌베르크 은행은 1590년 함부르크에서 설립된 독일의 상업 은행으로, 베렌베르크 가문에 의해 소유되어 왔다. 18세기에는 머천트 뱅킹과 투자 은행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19세기에는 국제 금융 시장에 진출하여 독일의 산업화와 해운업 발전에 기여했다.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으며 스위스로 활동 기반을 제한받기도 했으나, 전후 재건에 힘썼다. 현재는 프라이빗 뱅킹, 투자 은행, 자산 운용 등의 부문에서 활동하며 함부르크에 본사를 두고 런던, 프랑크푸르트, 뉴욕 등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사회 공헌 활동으로 자선 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은행 - 독일 연방은행
독일 연방은행은 유럽중앙은행 체제 하에 독립적으로 기능하며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독일의 중앙은행으로, 재통일과 유로 도입을 거치며 현재는 지급 결제 시스템 지원, 은행 감독, 금융 서비스 제공, 금 보유고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독일의 은행 - 알리안츠
알리안츠는 1890년 독일에서 설립되어 손해보험, 생명보험, 자산운용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세계 1억 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한 유럽 최대 규모의 금융 그룹이다. - 스위스의 은행 - UBS
UBS는 1862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금융 회사로, 스위스 유니온 은행과 스위스 은행 코퍼레이션의 합병을 거쳐 현재의 UBS AG가 출범했으며,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 투자 은행, 자산 운용 등의 사업을 운영하며 크레디트 스위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 스위스의 은행 - 크레디트 스위스
크레디트 스위스는 스위스 철도 건설 자금 조달을 위해 1856년 설립된 글로벌 금융 서비스 회사로,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했으나 2000년대 이후 여러 위기를 겪으며 2023년 UBS에 인수되었다.
베렌베르크 은행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Joh. 베렌베르크, 고슬러 & Co. KG |
영문 명칭 | Berenberg Bank |
형태 | 사기업 유한책임합자회사 |
설립일 | 1590년 9월 |
설립자 | 한스 베렌베르크, 파울 베렌베르크 |
본사 위치 | 함부르크, 독일 |
서비스 지역 | 전 세계 |
주요 인물 | 헨드릭 리머 데이비드 모틀록 크리스티안 퀴hn 한스-발터 페터스 |
산업 | 금융 서비스 |
제공 상품 | 투자 은행 자산 관리 자산 운용 기업 금융 |
직원 수 | 약 1,600명 |
웹사이트 | berenberg.de |
![]() | |
![]() |
2. 역사
베렌베르크 은행은 1590년 한스와 파울 베렌베르크 형제가 함부르크에서 설립했다. 1769년 요한 힌리히 고슬러가, 1788년에는 L.E. 자일러가 경영에 합류하면서 회사는 크게 성장했다. 1791년 1월 1일부터 회사 이름은 Joh. Berenberg, Gossler & Co.로 변경되었고, 그 이후로 변경되지 않았다.
19세기에는 함부르크의 산업화와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HAPAG), 노르트도이처 로이드 등 주요 해운회사의 설립에 자금을 지원했다. 또한 노르트도이처방크를 비롯한 여러 은행의 설립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활동 기반이 스위스로 제한되었으나, 전간기에 연금 시장 진출로 실적을 회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카를 볼프와 협상하여 프리츠 바르부르크를 석방하였다.
전후에는 국제 무역을 재건하였고, 1967년 유로달러 시장을 활성화 시켰다.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동유럽 시장으로 진출하였다.
최근 쓰레드니들 스트리트에 있는 베렌베르크의 런던 사무소는 급속도로 성장하여 현재 베렌베르크의 두 번째로 큰 사무소가 되었으며, 초고액 자산가를 위한 투자 은행 및 개인 금융에 집중하고 있다.[17]
파나마 문서 공개를 계기로 한 수사를 받아 베렌베르크 스위스가 탈세 방조로 400만유로의 벌금을 부과받았다.[26]
2. 1. 설립 초기
베렌베르크 은행은 1590년 한스(1561~1626)와 파울 베렌베르크(1566~1645) 형제에 의해 함부르크에서 설립되었다. 1585년, 개신교도였던 베렌베르크 형제는 당시 유럽의 주요 상업 중심지였던 브라반트 공국(오늘날의 벨기에)의 앤트워프를 떠났다. 당시 남부 네덜란드의 개신교도들은 가톨릭으로 개종하거나 국가를 떠나는 선택을 강요받았다. 이후 이 은행은 그들의 후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소유되어 왔다.
베렌베르크 가문은 원래 직물 상인이었으며, 빠르게 사업을 다른 상품으로 확장했다. 한스 베렌베르크의 손자인 코르넬리우스 베렌베르크(1634~1711)는 최초로 머천트 뱅킹에 참여하여 회사를 매우 성공적인 상업 회사이자 머천트 은행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스칸디나비아, 러시아와 무역 관계를 맺었다. 베렌베르크 가문의 가족 관계는 특히 부유한 네덜란드 상인들의 집단이 있던 리보르노와 리스본에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렌베르크 가문의 구성원들은 17세기부터 런던에서도 상인으로 활동했다.

코르넬리우스 베렌베르크의 아들 루돌프 베렌베르크(1680~1746)는 1735년 함부르크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세기 중반까지 투자 은행과 어음 신용이 회사 활동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루돌프 베렌베르크는 리스본과 함부르크의 상인 파울 암진크(1649~1706)의 딸이자 벨저 가문의 후손인 안나 엘리자베트 암진크(1690~1748)와 결혼했다. 그들의 아들인 상원의원 파울 베렌베르크(1716~1768)와 요한 베렌베르크(1718~1772)는 베렌베르크 회사의 소유주가 되었다.

1768년 상원의원 파울 베렌베르크는 자식 없이 사망했고, 그의 형제 요한 베렌베르크는 같은 해에 외아들을 잃었다. 회사의 계속적인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요한 베렌베르크는 1769년 사위 요한 힌리히 고슬러(1738~1790)를 새로운 파트너로 영입했다. 그는 전년에 베렌베르크의 외동딸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1749~1822)와 결혼했었다. 고슬러 가문은 17세기부터 알려져 있으며, 요한 힌리히 고슬러의 증조부는 함부르크 시민이었다.[8]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는 함부르크 베렌베르크 가문의 마지막 구성원이었으며, 1822년 그녀의 사망으로 남자 계보가 단절되었다. 요한 힌리히 고슬러와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는 베렌베르크-고슬러 가문의 창립자였으며, 18세기 후반부터 함부르크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19세기 함부르크 시 공화국에서 (베렌베르크-)고슬러 가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암진크 가문은 도시 국가의 두 가장 저명한 가문으로 널리 여겨졌다.[9]

1788년 요한 힌리히 고슬러는 그의 사위 L.E. 자일러(1758~1836)를 새로운 파트너로 영입했는데, 그는 고슬러의 장녀 안나 헨리에테 고슬러(1771~1836)와 결혼했었다. 1790년부터 회사는 L.E. 자일러가 이끌었고, 그의 장모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는 1790년부터 1800년까지 독자적인 파트너였다.
2. 2. 18세기: 베렌베르크-고슬러 가문
요한 베렌베르크의 아들 루돌프 베렌베르크(1680~1746)는 1735년 함부르크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세기 중반까지 투자 은행과 어음 신용이 회사 활동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루돌프 베렌베르크는 리스본과 함부르크의 상인 파울 암진크(1649~1706)의 딸이자 벨저 가문의 후손인 안나 엘리자베트 암진크(1690~1748)와 결혼했다. 그들의 아들인 상원의원 파울 베렌베르크(1716~1768)와 요한 베렌베르크(1718~1772)는 베렌베르크 회사의 소유주가 되었다.1768년 상원의원 파울 베렌베르크는 자식 없이 사망했고, 그의 형제 요한 베렌베르크는 같은 해에 외아들을 잃었다. 회사의 계속적인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요한 베렌베르크는 1769년 사위 요한 힌리히 고슬러(1738~1790)를 새로운 파트너로 영입했다. 그는 전년에 베렌베르크의 외동딸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1749~1822)와 결혼했었다. 고슬러 가문은 17세기부터 알려져 있으며, 요한 힌리히 고슬러의 증조부는 함부르크 시민이었다.[8]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는 함부르크 베렌베르크 가문의 마지막 구성원이었으며, 1822년 그녀의 사망으로 남자 계보가 단절되었다. 요한 힌리히 고슬러와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는 베렌베르크-고슬러 가문의 창립자였으며, 18세기 후반부터 함부르크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19세기 함부르크 시 공화국에서 (베렌베르크-)고슬러 가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암진크 가문은 도시 국가의 두 가장 저명한 가문으로 널리 여겨졌다.[9]
1788년 요한 힌리히 고슬러는 그의 사위 L.E. 자일러(1758~1836)를 새로운 파트너로 영입했는데, 그는 고슬러의 장녀 안나 헨리에테 고슬러(1771~1836)와 결혼했었다. 1790년부터 회사는 L.E. 자일러가 이끌었고, 그의 장모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는 1790년부터 1800년까지 독자적인 파트너였다. 유명한 극장 감독 아벨 자일러의 아들인 L.E. 자일러는 그의 생애 동안 함부르크에서 가장 저명한 상인 중 한 명이었으며, 프랑스의 도시 통치 기간 동안 상업 위원회의 회장이자 도시 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자일러의 회사 합류를 반영하여, 회사 이름은 1791년 1월 1일부터 Joh. Berenberg, Gossler & Co.로 변경되었고, 그 이후로 변경되지 않았다.
베렌베르크 회사의 책임자로서 L.E. 자일러는 회사의 국제 무역을 크게 증가시켰고, 독일에서 새로 독립된 미합중국과 동아시아와 무역 관계를 맺은 최초의 상인이자 은행가 중 한 명이었다. 1800년까지 회사의 자본은 그가 파트너가 된 이후로 두 배가 되었다.
2. 3. 19세기: 국제 금융 시장 진출
1788년 요한 힌리히 고슬러는 그의 사위 L.E. 자일러(1758~1836)를 새로운 파트너로 영입했는데, 그는 고슬러의 장녀 안나 헨리에테 고슬러(1771~1836)와 결혼했었다. 1790년부터 회사는 L.E. 자일러가 이끌었고, 그의 장모 엘리자베트 베렌베르크는 1790년부터 1800년까지 독자적인 파트너였다. L.E. 자일러는 그의 생애 동안 함부르크에서 가장 저명한 상인 중 한 명이었으며, 프랑스의 도시 통치 기간 동안 상업 위원회의 회장이자 도시 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자일러의 회사 합류를 반영하여, 회사 이름은 1791년 1월 1일부터 Joh. Berenberg, Gossler & Co.로 변경되었고, 그 이후로 변경되지 않았다.[8]L.E. 자일러는 베렌베르크 회사의 책임자로서 회사의 국제 무역을 크게 증가시켰고, 독일에서 새로 독립된 미합중국과 동아시아와 무역 관계를 맺은 최초의 상인이자 은행가 중 한 명이었다. 1800년까지 회사의 자본은 그가 파트너가 된 이후로 두 배가 되었다. 그는 46년 동안 회사의 최고 파트너였으며, 1836년 사망했을 때 그는 61년 동안 회사에 있었다. 그의 매제 요한 하인리히 고슬러(1775~1842)는 자일러보다 17세 어렸으며, 1798년에 회사에 합류하여 1821년 함부르크 상원의원이 되었다. 1809년 현재 L.E. 자일러는 베렌베르크 회사의 5/12(약 41%)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회사의 최고/경영 파트너이자 최대 주주였다. 그의 매제 요한 하인리히 고슬러는 4/12(약 33%)를 소유하고 있었다.[10] 두 매제는 수십 년 동안 공동으로 회사를 이끌었는데, 자일러가 더 경험이 많은 파트너였고, 나폴레옹 전쟁 이후 자일러가 반 은퇴 상태에 들어가면서 고슬러가 점차 더 많은 책임을 맡았다.
나폴레옹 전쟁 동안 회사는 자본의 절반을 잃었지만, 이전보다 더 강하게 부상하여 전쟁이 끝난 후 곧바로 이전 규모를 회복하고 능가했다. 아스트리드 페터손은 Joh. Berenberg, Goßler & Co.를 "광범위한 설탕 수입으로 번영을 이룬 중요한 함부르크 무역 회사의 한 예로서 (...) 1814년 이후 브라질, 미국, 동아시아와의 다양한 설탕 수입 사업은 18세기 후반부터 이어진 무역 관계를 일부 계속했으며, 이는 그들의 부의 축적에 상당히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업 은행가로서의 입지와 함께 이 회사는 독일 국경 너머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는 1830년경에는 거의 모든 무역 회사가 가지지 못했던 지위였다."라고 강조한다.[11]
19세기에 이 은행은 함부르크의 산업화 과정과 운송 활동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북미 무역과 그 자금 조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회사는 (상업 회사 H.J. 머크 & 컴퍼니와 함께) 독일 최대 해운 회사인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HAPAG)(1847)과 노르트도이처 로이드(1857)의 주요 창립자 중 하나였다. 그들은 또한 페어라인스방크 함부르크(현재 히포페어라인스방크)(1857), 일제더 휘터 제철소(1858), 그리고 노르트도이처 페어지허룽스 AG(1857)의 주요 창립자 중 하나였다. 베렌베르크-고슬러, H.J. 머크, 살로몬 하인 가문은 또한 1856년 북독일 최초의 주식회사 은행이자 도이체방크의 전신 중 하나인 노르트도이처방크의 주요 창립자였다.[15] 또한, 베렌베르크 은행은 베르겐 프라이베트방크(1855), 홍콩 상하이 은행(1865), 덴 단스케 란드만드방크(1871), 스벤스카 한델스방켄(1871)의 창립 주주 중 하나였다.[16] 베렌베르크 은행은 바링스 은행과 긴밀하게 협력했으며 독일에서 바링스의 대표였다.
2. 4. 20세기 초: 위기와 극복
19세기 후반, 베렌베르크 은행은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HAPAG)과 노르트도이처 로이드의 설립에 참여하며 독일 해운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상업은행 설립에도 참여했는데, 이는 독일-러시아 재보장 조약과 관련이 있다.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활동 기반이 스위스로 제한되었다. 전간기인 1923년 11월, 연금 시장에 진출하여 적극적으로 운용하며 실적을 회복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히야르마르 샤흐트의 다나트 은행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1930년 4월 1일 관계를 끊었다. 이듬해 다나트 은행에 양도한 부서(Joh. Berenberg, Gossler & Co.)는 다나트 은행 몰락과 함께 드레스너 은행에 흡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카를 볼프와 협상하여 프리츠 바르부르크를 석방하였다. 전후에는 어음을 이용한 전간기의 국제 무역을 재건하였다. 1956년에는 이사회에 카를 블레싱이 재직하였다. 그는 라이히스방크에서 경력을 쌓았고, 1939년 4월 독일 유니레버 사장이 되었다.
1967년, 필라델피아 국법은행(현 웰스파고)과 몬트리올 은행이 각각 베렌베르크에 10%씩 참여하여 유로달러 시장을 활성화시켰다. 1988년 6월 말에는 북독일 란데스방크도 ARAG 콘체른을 통해 10% 자본 참여를 하였다.
1990년 독일 통일에 따라 동유럽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1994년, 드레스너 증권 애널리스트였던 한스-발터 페터스가 베렌베르크의 매니징 디렉터가 되었다. 그는 보험 업계에서 뮤추얼 펀드와 같은 기관 투자자들을 유치하였고, 이는 소매업으로 진출하는 발판이 되었다.
파나마 문서 공개를 계기로 한 수사를 받아 베렌베르크 스위스가 탈세 방조로 400만유로의 벌금을 부과받았다.[26]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재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베렌베르크 은행은 카를 볼프와 협상하여 프리츠 바르부르크를 석방하였다. 전후에는 어음을 이용한 전간기의 국제 무역을 재건하였다. 1956년에는 이사회에 카를 블레싱이 재직하였는데, 그는 라이히스방크에서 경력을 쌓았고 1939년 4월 독일 유니레버 사장이 되었다.1967년 필라델피아 국법은행(현 웰스파고(Wachovia))과 몬트리올 은행이 각각 베렌베르크 은행에 10%씩 참여하여 유로달러 시장을 활성화시켰다. 1988년 6월 말에는 북독일 란데스방크(Norddeutsche Landesbank)도 ARAG 콘체른(ARAG SE)을 통해 10%의 자본 참여를 하였다.
1990년 독일 통일에 따라 동유럽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1994년 드레스너 증권 애널리스트였던 한스-발터 페터스(Hans-Walter Peters)가 베렌베르크 은행의 매니징 디렉터가 되었다. 그는 보험 업계에서 뮤추얼 펀드와 같은 기관 투자자들을 유치하였고, 이는 소매업 진출의 발판이 되어 오늘날 베렌베르크 은행의 광범위한 영업망 형성에 기여했다.
파나마 문서 공개를 계기로 한 수사를 받아 베렌베르크 스위스가 탈세 방조로 400만유로의 벌금을 부과받았다.[26]
2. 6. 현대: 글로벌 확장
19세기에 베렌베르크 은행은 함부르크의 산업화 과정과 운송 활동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북미 무역과 그 자금 조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회사는 H.J. 머크 & 컴퍼니와 함께 독일 최대 해운 회사인 함부르크 아메리카 라인(HAPAG)(1847)과 노르트도이처 로이드(1857)의 주요 창립자 중 하나였다. 또한 페어라인스방크 함부르크(현재 히포페어라인스방크)(1857), 일제더 휘터 제철소(1858), 노르트도이처 페어지허룽스 AG(1857)의 주요 창립자이기도 했다. 베렌베르크-고슬러, H.J. 머크, 살로몬 하인 가문은 1856년 북독일 최초의 주식회사 은행이자 도이체방크의 전신 중 하나인 노르트도이처방크를 설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5] 이 외에도 베렌베르크 은행은 베르겐 프라이베트방크(1855), 홍콩 상하이 은행(1865), 덴 단스케 란드만드방크(1871), 스벤스카 한델스방켄(1871)의 창립 주주였다.[16] 베렌베르크 은행은 바링스 은행과 긴밀하게 협력했으며 독일에서 바링스 은행의 대표 역할을 수행했다.17세기부터 베렌베르크 가문과 회사는 포르투갈, 이탈리아, 런던에 지점을 두고 있었다. 베렌베르크 가문의 한 지파는 17세기에 런던에서 마이어 & 베렌베르크 회사를 설립하여 서인도 제도 무역 상인으로 활동했다. 최근 쓰레드니들 스트리트에 있는 베렌베르크의 런던 사무소는 급속도로 성장하여 현재 베렌베르크의 두 번째로 큰 사무소가 되었으며, 초고액 자산가를 위한 투자 은행 및 개인 금융에 집중하고 있다.[17]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카를 볼프와의 협상을 통해 프리츠 바르부르크를 석방시켰다. 전후에는 어음을 이용한 전간기의 국제 무역을 재건했다. 1956년에는 카를 블레싱(Karl Blessing)이 이사회에 재직했는데, 그는 라이히스방크에서 경력을 쌓았고 1939년 4월 독일 유니레버 사장이 되었다. 1967년 필라델피아 국법은행(현 웰스파고(Wachovia))과 몬트리올 은행이 각각 베렌베르크에 10%씩 참여하여 유로달러 시장 활성화에 기여했다. 1988년 6월 말에는 북독일 란데스방크(Norddeutsche Landesbank)도 ARAG 콘체른(ARAG SE)을 통해 10%의 자본 참여를 했다. 1990년 독일 통일 이후에는 동유럽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1994년 드레스너 증권 애널리스트였던 한스-발터 페터스(Hans-Walter Peters)가 베렌베르크의 매니징 디렉터가 되었고, 보험 업계에서 뮤추얼 펀드와 같은 기관 투자자들을 유치했다. 이는 소매업 진출의 발판이 되었으며, 베렌베르크는 오늘날의 광범위한 영업망을 구축하게 되었다.
파나마 문서 공개를 계기로 한 수사에서 베렌베르크 스위스가 탈세 방조 혐의로 400만유로의 벌금을 부과받았다.[26]
3. 로고
베렌베르크 은행의 로고는 베렌베르크 가문과 고슬러 가문의 문장을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 벨기에에서 채택된 베렌베르크 가문의 곰과 1773년 요한 힌리히 고슬러(Johann Hinrich Gossler)가 채택한 고슬러 가문의 거위 발을 특징으로 한다.[1]
4. 비즈니스 부문
베렌베르크 은행은 다음의 비즈니스 부문에서 활동하고 있다.
자산관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계좌 개설 또는 유지에 필요한 최소 예치금은 100만유로이다.[18]
5. 지점
베렌베르크 은행은 함부르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런던, 프랑크푸르트, 뉴욕에 주요 거점을 두고 있다. 뒤셀도르프, 뮌헨, 뮌스터, 슈투트가르트, 브뤼셀, 제네바, 파리,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시카고에도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취리히에 있던 자회사였던 베렌베르크 은행(스위스) AG(Berenberg Bank (Schweiz) AG)는 2018년 9월 독립적인 스위스 프라이빗뱅크인 베르고스 AG(Bergos AG)로 설립되었다. 2017년 베렌베르크 캐피털 마켓츠(Berenberg Capital Markets)는 맨해튼의 1251 아베뉴 오브 더 아메리카스 건물 53층 전체를 임대했다.[19]
6. 사회 공헌
1990년 베렌베르크 은행 설립 400주년을 기념하여 베렌베르크 은행 슈티프퉁(Berenberg Bank Stiftung)이라는 자선 재단이 설립되었다. 이사회 의장은 한스-발터 페터스(Hans-Walter Peters)이다. 이 재단은 젊은 예술가들에게 수여하는 베렌베르크 문화상(Berenberg Culture Prize)과 개별 예술가 및 단체에 수여하는 베렌베르크 장학금(Berenberg Scholarships)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여한다.[20] 2009년부터 함부르크 대학협회(Universitäts-Gesellschaft Hamburg)는 독일어를 과학 언어로 촉진하는 베렌베르크 과학 언어상(Berenberg Prize for Scientific Language)을 수여하고 있다.[20]
베렌베르크 은행은 CDU에 가장 많은 기부금을 기탁한 함부르크의 기업이다.[21]
참조
[1]
웹사이트
Berenberg's rapid expansion shows no sign of letting
https://www.ft.com/c[...]
[2]
서적
Market Players: A Guide to the Institutions in Today's Financial Markets
Wiley
2011
[3]
뉴스
Die Bank der feinen Hanseaten
https://www.faz.net/[...]
2009-10-24
[4]
뉴스
Deutschlands älteste Bank
http://www.abendblat[...]
2003-07-24
[5]
웹사이트
Berenberg sets its sights on aggressive U.S. recruitment after London build-out
https://www.efinanci[...]
2017-03-14
[6]
웹사이트
Privatbanken profitieren von der Finanzkrise
http://www.sueddeuts[...]
2013-04-06
[7]
웹사이트
Privatbank Berenberg verkauft Schweizer Tochtergesellschaft
https://www.welt.de/[...]
2018-09-17
[8]
간행물
Genealogie der Familie Gossler
http://www.rambow.de[...]
1881
[9]
서적
Death in Hamburg
1987
[10]
서적
Neun Generationen
1963
[11]
서적
Zuckersiedergewerbe und Zuckerhandel in Hamburg im Zeitraum von 1814 bis 1834: Entwicklung und Struktur zweier wichtiger Hamburger Wirtschaftszweige des vorindustriellen Zeitalters
Franz Steiner Verlag
1998
[12]
서적
Blåfargen fra Modum: storhetstiden: Blaafarveværket 1822–1848
Stiftelsen Modums Blaafarveværk
2022
[13]
웹사이트
Johann Heinrich Goßler II
http://www.deutsche-[...]
[14]
서적
Handbook on the History of European Banks
European Association for Banking History
1994
[15]
서적
Banking, Trade and Industry: Europe, America and Asia from the Thir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6]
웹사이트
The banking house in the period of promoterism
http://www.berenberg[...]
2010-12-21
[17]
웹사이트
Berenberg expands UK private banking team to serve ultra wealthy
http://in.reuters.co[...]
2016-01-16
[18]
뉴스
Berenberg will nur Millionäre
https://www.handelsb[...]
[19]
웹사이트
German bank Berenberg, law firm McGuireWoods sign leases at 1251 Sixth Ave
http://rew-online.co[...]
2017-04-01
[20]
웹사이트
Berenberg Bank Stiftung
http://www.berenberg[...]
2010-12-21
[21]
웹사이트
80 Prozent aller Spenden gehen an die CDU
https://fink.hamburg[...]
2018-07-13
[22]
뉴스
Hamburger Nachrichten
1837-04-19
[23]
문서
2010年からロンドン支店のチーフ・エコノミスト。[[クリスティアン・アルブレヒト大学キール|キール大学]]で経済学博士号を取得。[[国際通貨基金]]、[[バンカメ]]、[[メリルリンチ]]で働いていた。
[24]
뉴스
Die Bank der feinen Hanseaten
http://www.faz.net/a[...]
2009-10-24
[25]
문서
[[ルクセンブルク]]、[[ロンドン]]、[[パリ]]、[[ニューヨーク]]、[[ボストン]]、[[ザルツブルク]]、[[ウィーン]]、[[上海]]にも支店がある。
[26]
뉴스
Der Bankenpräsident schweigt und schweigt
2017-07-11
[27]
웹인용
Berenberg’s rapid expansion shows no sign of letting
https://www.ft.com/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