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봉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봉쇄는 1948년 6월부터 1949년 5월까지 소련이 서베를린으로 가는 육상 및 수로를 봉쇄하여 서방 연합국의 접근을 막은 사건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분할과 냉전 심화 속에서, 소련은 서방의 통화 개혁에 반발하여 봉쇄를 시작했다. 이에 미국, 영국, 프랑스는 베를린 공수 작전을 통해 서베를린에 식량과 물자를 공급하며 대응했고, 이는 서방 세력의 단결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봉쇄는 1949년 5월 해제되었지만, 냉전은 지속되었고,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 창설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유와 민주주의 수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봉쇄 - 베를린 공수작전
베를린 공수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의 봉쇄로 서베를린에 대한 육로 보급이 끊기자 서방 연합국이 항공 수송을 통해 필수 물자를 공급한 작전으로, 냉전 시대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베를린 봉쇄 - 베를린 항로
베를린 항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베를린의 고립을 막기 위해 설정된 연합국 간의 항공로이며, 베를린 공수 작전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냉전 시기 서베를린의 생명선 역할을 했다. - 영국이 참가한 비전투 군사작전 - 런던 브리지 작전
런던 브리지 작전은 영국 군주 사망 시 시행되는 계획의 암호명으로, 여왕 서거, 왕위 계승, 대관식을 포함하며, 사망 장소에 따라 세분화된 작전과 왕위 계승 및 대관식 관련 작전이 함께 진행되고, 영국 연방 국가들도 대응 계획을 준비한다. - 영국이 참가한 비전투 군사작전 - 영국 항모타격단 21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타격단인 영국 항모타격단 21 (CSG21)은 2015년 재편성 후 HMS 퀸 엘리자베스 항공모함과 F-35B 전투기를 중심으로 첫 작전을 시작하여 NATO 훈련 참여, 스카이넷 위성 시스템 확장 등을 통해 작전 능력을 강화하고 2021년 전 세계 배치 준비를 마쳤으며, 구축함, 호위함, 잠수함, 헬리콥터, 미국 해병대 F-35B 전투기 부대 등과 함께 영국의 해상 전력 투사 능력을 보여주었다. -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한 비전투 군사작전 - 확고한 지원 임무
확고한 지원 임무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NATO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수행된 군사 훈련, 자문 및 지원 임무로서, 아프가니스탄 국가안보군 및 기관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훈련 자문 지원 사령부를 편성하여 아프간 군단을 지원했다. -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한 비전투 군사작전 - 수마트라 어시스트 작전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발생 후 호주 해군이 실시한 수마트라 어시스트 작전 중 시 킹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호주 방위군 대원 9명이 사망했다.
베를린 봉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 냉전 |
기간 | 1948년 6월 24일 – 1949년 5월 12일 |
장소 | 서베를린, 독일 |
결과 | 미국-연합군 승리 봉쇄 해제 서베를린은 서방 연합군의 통제 하에 유지 |
교전 세력 | |
교전 세력 2 | |
지휘관 | |
지휘관 1 | 바실리 소콜로프스키 |
지휘관 2 | 로버트 A. 로베트 루시어스 D. 클레이 브라이언 로버트슨 |
병력 규모 | |
병력 규모 1 | 알 수 없음 |
병력 규모 2 | 알 수 없음 |
사상자 | |
사상자 1 | 없음 |
사상자 2 | 항공기 사고로 사망: 영국인 39명, 미국인 31명, 호주인 1명 독일 민간인 사망자 15명 |
배경 | |
배경 설명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으며, 수도 베를린도 분할 점령되었다. |
봉쇄 시작 | |
봉쇄 시작 원인 | 서방 연합국이 서독 지역의 통화를 개혁하고 독일 마르크를 도입했다. 소련은 서베를린 내 서방 연합국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했다. |
봉쇄 방식 | 소련은 서베를린으로 향하는 모든 육상 및 수로 접근을 차단했다. 서베를린의 시민과 서방 연합군 주둔군은 식량, 연료 및 기타 필수품을 공급받을 수 없게 되었다. |
서방 연합국의 대응 | |
대응 방식 | 서방 연합국은 대규모 공수 작전인 베를린 공수를 시작했다.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와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과 같은 수송기가 서베를린으로 필수품을 수송했다. |
공수 작전 주요 내용 | 하루에 수백 회의 비행이 이루어졌다. 모든 종류의 물품, 식량, 연료, 의약품 등이 공수되었다.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도 공수 작전에 참여했다. |
봉쇄 해제 및 영향 | |
봉쇄 해제 | 소련은 1949년 5월 12일 서베를린 봉쇄를 해제했다. 봉쇄 해제는 서방 연합국의 단결과 결의를 보여주었다. |
냉전 심화 | 베를린 봉쇄는 냉전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동서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
작전명 | |
미국 작전명 | Operation Vittles |
영국 작전명 | Operation Plainfare |
관련 영상 | |
기타 | |
추가 정보 | 공수 작전 중 총 2,326,406톤의 물품이 공수되었다. |
관련 문서 | 베를린 공수 독일 점령 |
2. 배경
1948년 3월, 서유럽 강국들은 독일 내 자신들의 관할 구역을 통합하여 단일 경제 단위를 만들기로 했다. 이에 소련 대표는 항의하며 연합국공동관리위원회에서 탈퇴했다.[135] 서독 전역과 서베를린에 새로운 독일 마르크 화(貨)가 도입되었는데, 이 조치가 동독의 통화를 위협한다고 판단한 소련 점령군은 베를린과 서독을 잇는 모든 철도, 도로, 수로를 차단하기 시작했다.[146][148] 소련은 서방의 통화 개혁에 반대하며, 새로운 통화 발행은 부당하고 일방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서베를린과 서독 간의 육상 교통 연결을 모두 차단하고, 독일의 새로운 통화는 소련이 발행하는 통화만이 유효하다고 주장했다.[148]
1948년 6월 24일, 소련은 4대 강국의 베를린 행정위원회가 폐지되었으며 서유럽 연합국에게는 더 이상 베를린에 대해 아무런 권리가 없다고 선언했다. 6월 26일 미국과 영국은 항공편으로 베를린 시에 생필품들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7월 중순에 이르러 동독 주둔 소련 점령군은 40개 사단으로 늘어났으나 연합국 주둔군은 8개 사단에 불과했다. 7월 말까지 3개 편대의 미국 전략폭격기가 영국군을 증강시키기 위해 파견되었다. 긴장이 고조되었으나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2. 1. 독일 분할과 냉전의 시작
1945년 7월 17일부터 8월 2일까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연합국은 포츠담 협정을 통해 오데르-나이세 선 서쪽의 패전국 독일을 4개의 임시 점령 지역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했다.[119] 각 지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소비에트 연방(소련) 중 한 국가가 통제했다.[11] 연합군 통제위원회가 위치한 베를린 역시 소련 점령 지역 내에 있었지만, 4개 지역으로 분할되었다.[120] 미국, 영국, 프랑스는 베를린 서부를, 소련은 동부를 통제했다.동부 지역에서 소련 당국은 독일 공산당과 독일 사회민주당을 강제로 통합하여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을 결성했다.[121] SED 지도자들은 "반파시스트적 민주 정권, 의회 민주 공화국" 수립을 요구했지만, 소련 군정은 다른 모든 정치 활동을 억압했다.[122] 또한, 독일의 공장, 설비, 기술자, 경영층 및 숙련공들은 소련으로 이송되었다.[123]
1945년 6월, 스탈린은 독일 공산당 지도자들에게 소련 점령 지역 내 영국의 영향력을 점차 약화시킬 것이며, 미국은 1~2년 안에 철수할 것이고, 그러면 통일된 공산주의 독일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124] 1946년 초, 스탈린과 다른 지도자들은 불가리아와 유고슬라비아 대표단에게 독일은 소련과 공산주의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124]
베를린 봉쇄의 또 다른 요인은 소련 점령 지역을 통한 베를린으로의 철도 및 도로 접근을 보장하는 공식적인 합의가 없었다는 점이다. 전쟁이 끝날 무렵, 서방 지도자들은 소련의 호의에 의존하여 접근을 제공받았다.[125] 당시 서방 연합국들은 소련이 하루 열 대의 열차로 제한된 하나의 철도 노선 외의 화물 접근을 거부하는 것이 일시적인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소련은 나중에 제안된 추가 경로 확장을 거부했다.[126]
소련은 또한 함부르크, 뷔케부르크, 프랑크푸르트에서 베를린으로의 접근을 위해 세 개의 공중 통로만 허용했다.[126] 1946년, 소련은 동독 지역에서 농산물 공급을 중단했고, 미군 사령관 루시우스 D. 클레이는 서독에서 소련으로의 해체된 산업 설비 운송을 중단함으로써 대응했다. 이에 소련은 미국 정책에 대한 홍보 캠페인을 시작하고 네 개의 점령 지역 모두의 행정 업무를 방해하기 시작했다.
1948년 봉쇄가 시작될 때까지, 트루먼 행정부는 1949년으로 계획된 서독 정부 수립 후 미군이 서베를린에 남아 있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127] 베를린은 미국과 소련이 각자의 비전에 따라 유럽을 재편하려는 노력의 중심지가 되었다.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베를린이 어떻게 되느냐는 독일의 운명을 의미하고, 독일이 어떻게 되느냐는 유럽의 운명을 의미한다."라고 언급했다.[128] 베를린은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어, 전쟁 전 430만 명이었던 인구가 280만 명으로 줄었다.
1945년부터 1946년까지 소련 점령 지역의 독일인들은 강제 이주, 정치적 탄압, 그리고 혹독한 겨울을 겪으며 소련에 적대감을 느꼈다.[124] 1946년 지방 선거는 특히 소련 점령 지역 베를린에서 반공산주의적 항의 투표가 대거 나오는 결과를 가져왔다.[124] 베를린 시민들은 압도적으로 비공산주의자들을 시 정부에 선출했다.
2. 2. 서독 통화 개혁과 소련의 반발
1948년 3월 서유럽 강국들은 독일 내 자신들의 관할 구역을 통합하여 단일 경제 단위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이에 소련 대표는 항의하며 연합국공동관리위원회에서 탈퇴했다.[135] 서독 전역과 서베를린에 새로운 독일 마르크 화(貨)가 도입되었는데, 이 조치가 동독의 통화를 위협한다고 판단한 소련 점령군은 베를린과 서독을 잇는 모든 철도, 도로, 수로를 차단하기 시작했다.[146][148]소련은 서방의 통화 개혁에 반대하며, 새로운 통화 발행은 부당하고 일방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서베를린과 서독 간의 육상 교통 연결을 모두 차단하고, 독일의 새로운 통화는 소련이 발행하는 통화만이 유효하다고 주장했다.[148]
이러한 배경에는 서독의 안정적인 경제 건설을 위한 라이히스마르크 개혁의 필요성이 있었다. 소련은 전쟁 중 가치가 하락한 라이히스마르크를 계속 발행하여 인플레이션을 악화시켰고, 그 결과 담배가 사실상의 통화로 사용되거나 물물교환으로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상황이었다.[146][147]
비(非)소련 지역에서는 소련 이외의 국가에 의해 신(新)통화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에, 소련은 1948년 5월 군대를 파견하여 새로운 통화를 도입하고 소련 지배하의 베를린에서는 소련 이외 국가의 통화 사용을 허용하지 않았다.[146] 1948년 6월 18일, 미국, 영국, 프랑스는 6월 21일에 독일 마르크를 도입한다고 발표했지만, 소련은 베를린에서는 법정 통화로 인정하지 않았다.[146] 서방은 이미 2억 5천만 독일 마르크를 베를린 시로 수송했고, 곧 베를린의 기축 통화가 되었다. 스탈린은 서방이 베를린을 포기하도록 유도하려 했다.
1948년 3월 9일, 스탈린과 그의 군사 고문들은 회의를 열었고, 회의록은 1948년 3월 12일 몰로토프에게 전달되었는데, 그 내용은 베를린 통행을 제한함으로써 서방의 정책을 소련의 의도에 맞추려는 것이었다.[135]
3. 베를린 봉쇄
1948년 3월 서유럽 강대국들이 독일 내 자신들의 관할 구역을 통합하여 단일 경제 단위를 만들기로 결정하자, 소련 대표는 이에 항의하여 연합국 공동관리위원회에서 탈퇴했다. 서독과 마찬가지로 서베를린에도 새로운 독일 마르크 화폐가 도입되었는데, 이 조치가 동독의 통화를 위협한다고 판단한 소련 점령군은 베를린과 서독을 잇는 모든 철도, 도로, 수로를 차단하기 시작했다. 6월 24일 소련은 4대 강국의 베를린 행정위원회가 폐지되었으며, 서유럽 연합국에게는 더 이상 베를린에 대한 아무런 권리가 없다고 선언했다. 6월 26일 미국과 영국은 항공편으로 베를린 시에 생필품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서베를린 산업 수출품을 공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7월 중순, 동독 주둔 소련 점령군은 40개 사단으로 증가했지만, 연합국 주둔군은 8개 사단에 불과했다. 긴장이 고조되었지만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 연료와 전력이 매우 부족했지만, 공수 작전은 11개월 동안 서베를린을 지원했으며, 1949년 5월 12일 소련이 봉쇄를 해제하면서 종료되었다. 공수 작전은 9월 30일까지 계속되어 총 2.24억달러의 비용으로 2,323,738t의 식량, 연료, 기계 및 기타 물품을 공급했다. 베를린 봉쇄를 중단시킬 수 있었던 것은 동독의 교통 통신에 대한 연합국의 대응 조치와 더불어, 특히 중앙유럽의 모든 전략 수출품에 대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봉쇄 덕분이었다.[212]
3. 1. 봉쇄의 시작과 서방의 대응
1948년 6월 24일, 소련은 서베를린으로 통하는 모든 육로와 수로를 차단했다.[149] 이는 서베를린 시민들에게 생필품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는 심각한 위협이었다. 서방 연합국은 봉쇄에 굴복하지 않고, 항공기를 통해 서베를린에 물자를 공급하는 대규모 공수 작전, 즉 "베를린 공수작전"을 시작했다.[149]1948년 3월, 서유럽 강대국들이 독일 내 자신들의 관할 구역을 통합하여 단일 경제 단위를 만들기로 하자, 소련 대표는 이에 항의하며 연합국 공동관리위원회에서 탈퇴했다.[149] 서독과 서베를린에 새로운 독일 마르크 화폐가 도입되자, 소련 점령군은 동독 통화가 위협받는다고 판단하여 베를린과 서독을 잇는 모든 철도, 도로, 수로를 차단하기 시작했다.[149]
소련은 6월 24일 4대 강국의 베를린 행정위원회가 폐지되었으며, 서유럽 연합국에게는 더 이상 베를린에 대한 권리가 없다고 선언했다.[149] 이에 6월 26일 미국과 영국은 항공편으로 베를린 시에 생필품들을 공급하기 시작했다.[149]
소련은 베를린 봉쇄의 명분으로 서방의 독일 마르크 화폐 개혁을 내세웠다. 서방 3국은 6월 18일 독일 마르크 도입을 발표했고, 소련은 이를 베를린에서 법정 통화로 인정하지 않았다.[146] 소련은 6월 22일 자체적으로 동독 마르크를 도입한다고 발표하며, 서방에 경제 제재 및 행정적 제재 가능성을 경고했다.[149]
소련은 서베를린으로 통하는 육로와 수로를 차단했을 뿐만 아니라, 베를린 출입 철도와 수운도 중단시켰다.[149] 서방은 역으로 동독으로 향하는 모든 철도망을 중단시키는 봉쇄 조치를 취했다.[150]

소련은 베를린에서 운영 중이던 주요 발전소를 장악하여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기도 했다. 비소련 지역에서 베를린으로의 지상 통행은 차단되었지만, 항공로는 열려 있었다.[149] 소련은 함부르크, 뷔케부르크, 프랑크푸르트에서 베를린으로의 접근을 위해 세 개의 공중 통로만 허용했다.[126]
당시 서베를린의 물자 비축 상황은 식량 36일분, 석탄 45일분이었다.[149] 군사적으로 미국과 영국은 병력이 부족한 상황이었다.[152] 반면 소련군은 150만 명에 달하는 병력으로 베를린을 포위하고 있었다.[155]
독일의 미국 점령 지역 책임자 루시우스 D. 클레이 장군은 베를린에서 철수해서는 안 된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158] 그는 소련이 제3차 세계 대전을 시작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서방의 단호한 대응을 통해 소련의 양보를 얻어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160]
3. 2. 베를린 공수작전
1948년 6월 26일, 미국과 영국은 항공편으로 베를린 시에 생필품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는 서베를린의 산업 수출품을 공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212] 연료와 전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11개월 동안 서베를린을 지원했으며, 1949년 5월 12일 소련이 봉쇄를 해제하면서 종료되었다. 9월 30일까지 공수 작전은 계속되었으며, 총 2.24억달러의 비용으로 232만 3,738톤의 식량, 연료, 기계 및 기타 물품을 공급했다.[212] 특히 중앙유럽의 모든 전략 수출품에 대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봉쇄 덕분에 베를린 봉쇄를 중단시킬 수 있었다.[212]
미국 정부는 1일 최저 배급량 1,990킬로칼로리(1948년 7월)를 기준으로,[163] 200만 명 이상의 베를린 시민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1,534톤의 물자가 필요하다고 계산했다.[162][164] 또한, 전력과 난방을 위해 매일 3,475톤의 석탄, 경유, 가솔린이 필요했다.[165]
품목 | 수량 (톤) |
---|---|
밀가루와 밀 | 646 |
곡물 | 125 |
지방 | 64 |
육류·어류 | 109 |
건조 감자 | 180 |
설탕 | 180 |
커피 | 11 |
분유 | 19 |
유아용 분유 | 5 |
생이스트 | 3 |
건조 야채 | 144 |
소금 | 38 |
치즈 | 10 |
석탄, 경유, 가솔린 | 3,475 |
당시 유럽 주둔 미군에는 C-47 수송기 2개 그룹(96대)만이 있었고, 이들은 3.5톤만 수송 가능했다.[166] 영국 공군은 독일 쪽에 항공기를 배치하고 있어 하루 400톤 수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167] 장기 작전을 위해 미국은 4발 엔진의 C-54 스카이마스터와 미국 해군의 R5D를 포함한 565대의 항공기를 확보했다.[168]
에른스트 로이터 베를린 시장과 그의 측근 빌리 브란트는 베를린 시민들이 공수를 지지할 것이라고 보장했다.[158] 미국은 비탈 작전(Vittles Operation),[169] 영국은 플레인페어 작전(Operation Plainfare)으로[170] 명명된 공동 작전이 시작되었다. 호주군의 공수 참여는 1948년 9월 펠리컨 작전(Operation Pelican)으로 시작되었다.[171]
영국군은 함부르크 지역 비행장에서 영국 지배 지역의 가토 공군기지로 비행했다. 미국과 달리 영국은 남동쪽 항로를 이용해 왕복 비행했으며, 시간 절약을 위해 석탄 등을 공중 투하하기도 했다. 7월 6일부터는 쇼트 히스도 투입되어 분유와 소금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173]
미 공군 조종사 게일 할보르센은 사탕과 껌을 낙하산에 매달아 투하하는 리틀 비틀즈 작전(Operation Little Vittles)을 시작했다.[162] 이는 선전 측면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독일 아이들은 수송기를 '로지넨 봄버(Rosinenbomber, 건포도 폭격기)' 또는 '캔디 봄버'라고 불렀다.[190]
1949년 4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스터 기간 동안, 12,941톤의 석탄이 1,383회 비행으로 수송되는 최고 기록이 달성되었다.[202] 4월 한 달 동안 총 234,476톤이 수송되었다.[177]
1949년 5월 12일, 소련의 베를린 봉쇄가 해제되었다.[204] 베를린 공수는 1949년 9월 30일에 공식 종료되었으며, 15개월 동안 미국 공군은 1,783,573톤, 영국 공군은 541,937톤을 수송했다. 총 2,326,406톤 중 약 3분의 2는 석탄이었으며, 총 비행 횟수는 278,228회였다.[205] 오스트레일리아 공군은 2,062회 출격하여 7,968톤의 화물과 6,964명을 수송했다. C-47과 C-54의 비행 거리는 1억 4,800만 km에 달했다.[205] 공수 과정에서 101명이 사망했는데, 대부분 비행 중이 아닌 사고로 인한 것이었다.[204][208] 공수 비용은 당시 금액으로 2.24억달러에서 5억달러로 추산된다.[209][206][210]
4. 봉쇄의 해제와 결과
1949년 5월 12일, 소련은 서베를린 봉쇄를 해제했다.[212] 이는 서방 연합국의 단호한 대응, 베를린 공수작전의 성공, 국제 여론의 압력에 따른 결과였다. 봉쇄 해제에는 동독의 교통 통신에 대한 연합국의 대응 조치와 중앙유럽 모든 전략 수출품에 대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봉쇄도 영향을 미쳤다.
소련의 의도와는 달리, 서방 세력은 단결하여 베를린 봉쇄에 맞섰고, 서베를린 시민들은 서방 세력에 더욱 의지하게 되었다. 서베를린 내 공산당 지지도 또한 하락했다.[212] 1946년 지방 선거에서 베를린 시민들은 압도적으로 비공산주의자들을 시 정부에 선출했다.[15] 이 사건은 북대서양 조약기구 창설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212]
베를린 봉쇄는 냉전의 긴장을 고조시켰지만, 서방 세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베를린은 미국과 소련이 각자의 비전에 따라 유럽을 재편하려는 노력의 중심지가 되었다.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베를린이 어떻게 되느냐는 독일의 운명을 의미하고, 독일이 어떻게 되느냐는 유럽의 운명을 의미한다."라고 언급했다.[19]
공수 작전은 1949년 9월 30일까지 계속되어 총 2.24억달러를 들여 232만 3,738t의 식량, 연료, 기계 및 기타 물품을 공급했다. 공수에는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조종사들이 참여했다.[206][207] 공수 과정에서 영국인 40명, 미국인 31명을 포함하여 101명이 사망했다.[204]
냉전은 이후에도 지속되었고, 영국, 미국, 프랑스는 통일 독일 건설 시도를 포기했다. 1949년 5월 독일연방공화국(서독)이, 10월 독일민주공화국(동독)이 각각 건국되었다.
4. 1. 봉쇄 해제와 냉전의 지속
1949년 5월 12일, 소련은 서베를린 봉쇄를 해제했다.[212] 이는 서방 연합국의 단호한 대응과 베를린 공수작전의 성공, 그리고 국제 여론의 압력에 따른 결과였다. 봉쇄 해제는 동독의 교통 통신에 대한 연합국의 대응 조치와 더불어, 특히 중앙유럽의 모든 전략 수출품에 대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봉쇄 덕분이었다.소련의 당초 의도와는 반대로, 서방 세력은 단결해서 베를린 봉쇄에 맞섰다. 서방 세력의 대규모 공수 작전으로 서베를린 시민들은 서방 세력에 더욱 의지하게 되었고, 서베를린 내 공산당에 대한 지지는 떨어지게 되었다.[212] 1946년 지방 선거에서 베를린 시민들은 압도적으로 비공산주의자들을 시 정부에 선출했다.[15] 또한 이 사건은 북대서양 조약기구 창설의 계기가 되었다.[212]
베를린 봉쇄는 냉전의 긴장을 고조시켰지만, 동시에 서방 세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베를린은 미국과 소련이 각자의 비전에 따라 유럽을 재편하려는 노력의 중심지가 되었다. 소련 외무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베를린이 어떻게 되느냐는 독일의 운명을 의미하고, 독일이 어떻게 되느냐는 유럽의 운명을 의미한다."라고 언급했다.[19]
공수 작전은 1949년 9월 30일까지 계속되어 총비용 2.24억달러에 232만 3,738t의 식량과 연료, 기계 및 기타 물품을 공급했다. 공수에 참여한 조종사의 국적은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프리카였다.[206][207] 공수 과정에서 101명이 사망했는데, 그중 영국인이 40명, 미국인이 31명이었다.[204]
4. 2. 베를린 장벽 건설
냉전은 이후에도 오래 지속되었고, 영국, 미국, 프랑스는 통일 독일 건설 시도를 포기했다. 1949년 5월 독일연방공화국(서독)이, 10월 독일민주공화국(동독)이 각각 건국되었지만, 동독(과 소련)은 자국민의 서베를린 탈출을 막기 위해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을 건설했다.[188]5. 베를린 봉쇄의 교훈과 영향
1948년 소련의 베를린 봉쇄는 서방 연합국의 단결된 대응을 이끌어냈고, 이는 북대서양 조약기구 창설의 계기가 되었다.[212] "베를린이 어떻게 되느냐는 독일의 운명을 의미하고, 독일이 어떻게 되느냐는 유럽의 운명을 의미한다."라는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소련 외무장관의 언급은[19] 당시 베를린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전쟁 전 430만 명이었던 베를린 인구는 280만 명으로 줄어들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혹독한 대우, 강제 이주, 정치적 탄압, 그리고 1945년에서 1946년의 혹독한 겨울을 겪은 동독 주민들은 소련에 적대적이었다.[15] 1946년 지방 선거에서 베를린 시민들은 압도적으로 비공산주의자들을 시 정부에 선출했다.[15]
미국과 영국은 항공편으로 베를린 시에 생필품을 공급하며 봉쇄에 맞섰다. 1948년 10월 중순, 미 공군 유럽사령부(USAFE)와 영국 공군의 수송 작전을 중앙에서 통제하는 ''연합 공수 임무 부대''(CALTF)가 발족되었다.[74] 윌리엄 투너 장군은 공수 작전을 효율적으로 개편하여, "검은 금요일" 사건 이후 항공기 운항 규칙을 개선하고, 꼬리바퀴식 C-47 수송기를 삼륜식 C-54로 교체하는 등 획기적인 조치를 취했다.[76][77][79]
투너는 이동식 스낵바를 운영하여 승무원들의 사기를 높이고,[57] 항공기 회전 시간을 단축시켰다.[80] 또한, 항공기 간 간격을 좁히고 정기 검사를 철저히 하여 항공기 가동률을 극대화했다.[69][81] 베를린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하역 작업에 참여하여 공수 작전의 성공에 기여했다.
1949년 1월에는 225대의 C-54가 수송에 투입되어[74][83][84] 하루 5,000톤 이상의 물자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참조
[1]
비디오
Journey Across Berlin (1961)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2012-02-22
[2]
비디오
Air Force Story, The Cold War, 1948–1950 (1953)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2012-02-22
[3]
서적
The American People: Creating a Nation and a Society
Pearson Longman
[4]
웹사이트
Where Berlin and America Meet
http://americanherit[...]
American Heritage
2010-07-29
[5]
간행물
[6]
서적
South Africa: a country study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7]
뉴스
La France et la crise internationale du blocus de Berlin
http://www.persee.fr[...]
2017-06-11
[8]
웹사이트
Berlin Airlift: Logistics, Humanitarian Aid, and Strategic Success
http://www.almc.army[...]
Army Logistician
[9]
참고문헌
[10]
서적
Berlin: The New Capital in the East
https://www.aicgs.or[...]
The American Institute for Contemporary German Studies, Johns Hopkins University
2021-03-02
[11]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19]
서적
Airbridge to Berlin
[20]
서적
The Peace of Illusions: American Grand Strategy from 194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1]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23]
웹사이트
Financial Vergangenheitsbewältigung: The 1953 London Debt Agreement
http://ssrn.com/abst[...]
Economic Growth Center, Yale University
[24]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26]
서적
Airbridge to Berlin
[27]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30]
뉴스
Clay Halts Trains
1948-04-02
[31]
웹사이트
Accident Details
http://www.planecras[...]
PlaneCrashInfo.com
2016-10-27
[32]
웹사이트
Accident
http://aviation-safe[...]
2016-10-27
[33]
뉴스
Soviet-British Plane Collision Kills 15; Russian Apologizes
1948-04-06
[34]
참고문헌
[35]
참고문헌
[36]
논문
[37]
논문
[38]
서적
Europe since 1945
Routledge
[39]
논문
[40]
웹사이트
Berlin 1948–1949 A Divided City
http://homepages.stm[...]
2017-08-12
[41]
서적
The Berlin Airlift: Breaking the Soviet Blockade
https://books.google[...]
Capstone
[42]
논문
[43]
논문
[44]
학술지
Theory and Reality in the Anglo-American Alliance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간행물
The 28th and 307th Bomb Groups were deployed to England, while the 301st Bomb Group were assigned to Fürstenfeldbruck, Germany. In all, about 90 conventionally-armed B-29s were assigned.
[49]
서적
Airbridge to Berlin
[50]
논문
[51]
논문
[52]
학술지
US 'Atomic Capability' and the British Forward Bases in the Early Cold War
2007-01
[53]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http://www.spiritoff[...]
[54]
웹사이트
Air of Authority – A History of RAF Organisation, Air Commodore R N Waite (16017)
http://www.rafweb.or[...]
2020-04-11
[55]
논문
[56]
논문
[57]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https://www.pbs.org/[...]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간행물
The original code name for the RAF operation was "Carter Paterson", a noted British hauling (US="moving") firm. A caustic Soviet jest prompted the change to "Plainfare", a deliberate pun on "plane fare" (airplane/food), on 19 July.
[65]
웹사이트
Operation Pelican: The Australian Air Force in the Berlin Airlift
http://airpower.airf[...]
2010-02-14
[66]
서적
In Defence of Canada: volume 4: Growing Up Allied
[67]
서적
The World That Came in from the Cold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68]
논문
[69]
논문
[70]
간행물
MAC and the Legacy of the Berlin Airlift
[71]
웹사이트
Fifty years ago, a massive airlift into Berlin showed the Soviets that a post-WW II blockade would not work
http://www.indianami[...]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서적
The Cognitive Dynamics of Computer Scien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83]
논문
[84]
기타
The figure of 225 Skymasters—201 from the Air Force and 24 from the Navy—represents only those in Germany at any one time. Another 75 were always in the maintenance pipeline (raised in April 1949 to 100), and 19 more were assigned to the airlift replacement training unit at Great Falls AFB, Montana. At its maximum, 312 of the 441 USAF C-54s were committed to the airlift.
[85]
뉴스
Opinion {{!}} The 'Candy Bomber' showed that in wartime, kindness is a superpower
https://www.washingt[...]
2022-10-31
[86]
논문
Wars averted: Chanak 1922, Burma 1945–47, Berlin 1948
[87]
서적
Berliner Blokade 1948/49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라디오
The Reunion, The Berlin Airlift
BBC Radio 4
2014-08-22
[92]
논문
[93]
서적
After the Reich
John Murray London
[94]
서적
Die Verfassung von Berlin
La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sarbeit Berlin
[95]
서적
To Save a City: The Berlin Airlift, 1948–1949
https://apps.dtic.mi[...]
Texas A&M University Press
[96]
논문
[97]
웹사이트
Berlin blockade {{!}} Overview, Significance, Histor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11
[98]
논문
[99]
웹사이트
A Record in the Berlin Airlift
http://vickersvalian[...]
2019-06-30
[100]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 Facts & Figures
http://www.nationalc[...]
2013-01-02
[101]
뉴스
Germany remembers Berlin airlift on 60th anniversary
https://www.nytimes.[...]
2008-06-26
[102]
웹사이트
RAAF Participation in Berlin Airlift 1948–49 – Operation Pelican
http://airpower.airf[...]
2018-01-05
[103]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 Die Luftbrücke 1948–49
https://web.archive.[...]
2008-06-24
[104]
웹사이트
Occupation of Germany, including the Berlin air lift, cost the UK taxpayer £35 million in 1948
http://www.epw.in/sy[...]
2019-06-30
[105]
기타
Raphael (1982) Integrative Complexity Theory and Forecasting International Crises: Berlin 1946-1962
[106]
논문
Khrushchev and the Berlin Crisis: Soviet brinkmanship seen from inside
2003
[107]
간행물
Berlin Airport Company – Special Report on Air France's 25th Anniversary at Berlin Tegel, March 1985 Monthly Timetable Booklet for Berlin Tegel Airport
Berlin Airport Company
1985
[108]
서적
1987
[109]
서적
2008
[110]
서적
2008
[111]
서적
1987
[112]
서적
2008
[113]
뉴스
An Era Ends with Closing of Berlin Airport
http://www.spiegel.d[...]
Spiegel Online
2008-10-30
[114]
기타
[115]
웹사이트
Home of Eagle – G-AJBL
http://www.britishea[...]
2019-06-30
[116]
웹사이트
One-Eleven 500 into service ...
http://www.flightglo[...]
2019-06-30
[117]
서적
1980
[118]
서적
1980
[119]
서적
2000
[120]
서적
2000
[121]
서적
2008
[122]
서적
2000
[123]
서적
2000
[124]
서적
2000
[125]
서적
2000
[126]
서적
2000
[127]
서적
2011
[128]
서적
Airbridge to Berlin
[129]
기타
[130]
서적
The Peace of Illusions: American Grand Strategy from 194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7
[131]
서적
2000
[132]
서적
1987
[133]
논문
Financial Vergangenheitsbewältigung: The 1953 London Debt Agreement
http://ssrn.com/abst[...]
Economic Growth Center, Yale University
2004
[134]
서적
2000
[135]
서적
2000
[136]
서적
Airbridge to Berlin
[137]
서적
2000
[138]
서적
1998
[139]
서적
1998
[140]
뉴스
Clay Halts Trains
1948-04-02
[141]
웹사이트
Accident Details
http://www.planecras[...]
PlaneCrashInfo.com
2016-10-27
[142]
웹사이트
Accident
https://asn.flightsa[...]
2016-10-27
[143]
뉴스
Soviet-British Plane Collision Kills 15; Russian Apologizes
1948-04-06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서적
Europe since 1945
Routledge
[149]
논문
[150]
웹사이트
Berlin 1948–1949 A Divided City
http://homepages.stm[...]
2017-08-12
[151]
서적
The Berlin Airlift: Breaking the Soviet Blockade
https://books.google[...]
Capstone
[152]
논문
[153]
논문
[154]
학술지
Theory and Reality in the Anglo-American Alliance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서적
Airbridge to Berlin
[159]
논문
[160]
논문
[161]
학술지
US 'Atomic Capability' and the British Forward Bases in the Early Cold War
2007-01
[162]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http://www.spiritoff[...]
[163]
논문
[164]
논문
[165]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https://www.pbs.org/[...]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웹사이트
Operation Pelican: The Australian Air Force in the Berlin Airlift
http://airpower.airf[...]
2008-03
[172]
서적
In Defence of Canada: volume 4: Growing Up Allied
[173]
서적
The World That Came in from the Cold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74]
논문
[175]
논문
[176]
책
MAC and the Legacy of the Berlin Airlift
[177]
웹사이트
Fifty years ago, a massive airlift into Berlin showed the Soviets that a post-WW II blockade would not work
http://www.indianami[...]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논문
[182]
논문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188]
논문
[189]
뉴스
Opinion {{!}} The 'Candy Bomber' showed that in wartime, kindness is a superpower
https://www.washingt[...]
2022-10-31
[190]
간행물
Where Berlin and America Meet
http://americanherit[...]
2003-04
[191]
논문
Wars averted: Chanak 1922, Burma 1945–47, Berlin 1948
[192]
책
Berliner Blokade 1948/49
Berlin
[193]
논문
[194]
논문
[195]
논문
[196]
논문
[197]
논문
[198]
라디오방송
The Reunion, The Berlin Airlift
BBC Radio 4
2014-08-22
[199]
논문
[200]
책
After the Reich
John Murray London
[201]
법률
Die Verfassung von Berlin
La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sarbeit Berlin
[202]
논문
[203]
책
観光コースでないベルリン ヨーロッパ現代史の十字路
高文研
[204]
논문
[205]
웹사이트
Berlin Airlift: Logistics, Humanitarian Aid, and Strategic Success
http://www.almc.army[...]
[206]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 Facts & Figures
http://www.nationalc[...]
National Cold War Exhibition
2013-01-02
[207]
뉴스
Germany remembers Berlin airlift on 60th anniversary
https://www.nytimes.[...]
2008-06-26
[208]
논문
[209]
웹사이트
The Berlin Airlift – Die Luftbrücke 1948–49
https://web.archive.[...]
[210]
웹사이트
Occupation of Germany, including the Berlin air lift, cost the UK taxpayer £35 million in 1948
http://www.epw.in/sy[...]
[211]
방송
BBC다큐멘터리-베를린
한국방송
2010-05-04
[212]
서적
The Dynamics of Soviet Foreign Policy
Harper&Row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