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를린 공수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공수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의 베를린 봉쇄에 맞서 연합국이 1948년부터 1949년까지 서베를린에 식량과 물자를 수송한 작전이다. 소련은 서베를린으로 가는 육로와 수로를 차단했고, 이에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국은 항공기를 통해 물자를 공급했다. 이 작전은 'Operation Vittles' (미국)와 'Operation Plainfare' (영국)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으며, 석탄, 식량, 건설 자재 등 210만 톤 이상의 물자를 수송했다. 공수작전은 1949년 5월 소련의 봉쇄 해제 후에도 지속되었으며, 9월 30일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봉쇄 - 베를린 항로
    베를린 항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베를린의 고립을 막기 위해 설정된 연합국 간의 항공로이며, 베를린 공수 작전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냉전 시기 서베를린의 생명선 역할을 했다.
베를린 공수작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베를린 공수 작전
다른 명칭영어: Berlin Airlift
독일어: Berliner Luftbrücke
시기1948년 6월 26일 ~ 1949년 9월 30일
장소독일, 베를린
원인소련의 베를린 봉쇄
목표서베를린 시민에게 물자 공급
베를린 공수 작전
베를린 공수 작전 당시 템펠호프 공항에 착륙하는 수송기
교전 세력
연합군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상대소련
지휘관
연합군루시우스 D. 클레이
커티스 르메이
아서 웨이블
소련이오시프 스탈린
규모
항공기수백 대
인력수천 명
결과
결과소련의 베를린 봉쇄 해제
서베를린에 대한 연합군의 영향력 유지
냉전 심화
피해 규모
연합군 사망자70여 명
항공기 손실31대
관련 정보
관련 전투/작전냉전

2. 배경

미국 점령군 사령관 루시우스 D. 클레이 장군


공수작전을 지휘한 윌리엄 H. 터너 장군


1948년 1월부터 독일 소련군정청은 서방 연합군 군인 및 점령지 민간인이 서베를린으로 물자 수송 및 이동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통제했다. 독일 주둔 소련군 총사령관 바실리 소콜롭스키는 1948년 4월 1일부터 서베를린으로 진입하는 소련군 점령지의 도로를 봉쇄했다. 미국과 영국은 4월 3일부터 서베를린 내 주둔지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하여 이틀간 소규모 공수작전을 펼쳤다. 1948년 6월 20일 서방 연합군이 서독 지역에 독일 마르크 통화를 도입하자 소련군은 무기한 봉쇄를 시작했다.

1948년 6월 24일 밤, 소련군은 서베를린으로 가는 송전을 차단했다. 6월 25일 오전 6시에는 서베를린으로 향하는 도로 및 철도 교통을 차단했고, 같은 날 상수도 공급도 차단했다. 소련에서 베를린 봉쇄를 시작했을 때 발표한 대로 소련군 점령지나 동베를린으로부터 서베를린으로 향하는 모든 물자 공급이 차단된 것이다.[1] 서방 연합군 군정에서는 화폐 개혁에 소련이 반발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도시 전체 봉쇄는 예상하지 못했다. 영국군정 사령관 브라이언 로버트슨 경(Sir Brian Robertson)은 독일 전역에서 선거를 치를 수 있도록 서방 연합군이 베를린에서 철군할 것을 주장했으나, 미군정 총사령관 루시우스 D. 클레이(Lucius D. Clay)는 공수 작전을 주장했다.

3. 베를린 봉쇄



1948년 1월부터 독일 소련군정청은 서방 연합군 군인 및 점령지 민간인이 서베를린으로 물자를 수송하고 이동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통제했다. 바실리 소콜롭스키는 1948년 4월 1일부터 서베를린으로 진입하는 소련군 점령지의 도로를 봉쇄했다. 미국과 영국은 4월 3일부터 서베를린 내 주둔지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하여 이틀간 소규모 공수 작전을 펼쳤다. 1948년 6월 20일 서방 연합군은 서독 지역에 독일 마르크 통화를 도입하면서 소련군은 무기한 봉쇄를 시작했다.

1948년 6월 24일 밤, 소련군 점령지에서 서베를린으로 가는 송전을 차단했다. 오전 6시에는 서베를린으로 향하는 도로 및 철도 교통을 차단했고, 6월 25일에는 상수도 공급을 차단했다. 소련에서 베를린 봉쇄를 시작했을 때 발표한 대로 소련군 점령지나 동베를린으로부터 서베를린으로 향한 모든 물자 공급이 차단된 것이다.[1] 서방 연합군 군정에서는 화폐 개혁에 소련이 반발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도시 전체 봉쇄는 예상하지 못했다. 영국군정 사령관 브라이언 로버트슨 경(Sir Brian Robertson)은 독일 전역에서 선거를 치를 수 있도록 서방 연합군이 베를린에서 철군할 것을 주장했으나, 미군정 총사령관 루시우스 D. 클레이는 공수 작전을 주장했다.

당시 서베를린에는 약 220만 명의 시민들과 미군 9,000명, 영국군 7,600명, 프랑스군 6,100명 및 보조 인력이 주둔하고 있었다.

3. 1. 서베를린의 물자 상황

당시 서베를린은 분단 이전에도 광역권에서 대부분의 물자를 조달했기 때문에, 서베를린에 보급되는 물자의 75%는 외부에서 수입된 것이었다. 베를린 봉쇄 직전에 남아 있었던 물자는 다음과 같다.[2][1][3]

품목분량
식량36일분
의약품6개월분
휘발유4-5개월분
윤활유3-4개월분
경유7-8주분
석탄난방 및 취사용 35일분, 상하수도 처리 시설용 35일분, 제한 송전 시 발전용 3주분
코크스49일분
갈탄25일분



봉쇄 사실이 알려지면서 물자 배급이 시작되었다. 당시 성인의 1일 권장 열량은 여성 2400 kcal, 남성 3100 kcal이었으나, 배급된 식재료의 열량은 총 1500 kcal였다. 서방 연합군은 식량 자체 생산으로 200-500 kcal를 더 배급할 수 있다고 계산했으나, 농지가 부족한 베를린에서는 이마저도 불가능했다. 영국군은 당시 영국 남부에서 월동 준비용 석탄으로 가구당 1730kg, 서독의 영국군 점령지였던 함부르크에서는 890kg을 배급할 수 있었으나, 서베를린에서는 가구당 152kg 정도밖에 배급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시민들은 가로수, 사유지, 공유지 등에 있었던 나무를 베어 월동 준비를 자급해야 했다.

4. 베를린 공수작전



1948년 1월부터 독일 소련군정청은 서방 연합군 군인 및 점령지 민간인이 서베를린으로 물자를 수송하고 이동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통제했다. 바실리 소콜롭스키 소련군 총사령관은 1948년 4월 1일부터 서베를린으로 진입하는 소련군 점령지의 도로를 봉쇄했다. 미국과 영국은 4월 3일부터 서베를린 내 주둔지에 물자를 보급하기 위해 이틀간 소규모 공수작전을 펼쳤다. 1948년 6월 20일 서방 연합군이 서독 지역에 독일 마르크 통화를 도입하자, 소련군은 무기한 봉쇄를 시작했다.[1]

1948년 6월 24일 밤, 소련군 점령지에서 서베를린으로 가는 송전을 차단했다. 오전 6시에는 서베를린으로 향하는 도로 및 철도 교통을 차단했고, 6월 25일에는 상수도 공급을 차단했다. 베를린 봉쇄가 시작되면서 소련군 점령지나 동베를린으로부터 서베를린으로 향하는 모든 물자 공급이 차단된 것이다.[1] 서방 연합군 군정은 화폐 개혁에 소련이 반발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도시 전체 봉쇄는 예상하지 못했다. 영국군정 사령관 브라이언 로버트슨 경은 독일 전역에서 선거를 치를 수 있도록 서방 연합군이 베를린에서 철군할 것을 주장했으나, 미군정 총사령관 루시우스 D. 클레이는 공수 작전을 주장했다.

서베를린행 항공기에 우유를 적재하는 병사


베를린 봉쇄 중 항로


당시 서베를린 인구는 약 220만 명이었고, 미군 9,000명, 영국군 7,600명, 프랑스군 6,100명 및 보조 인력이 주둔하고 있었다. 분단 이전에도 베를린은 광역권에서 대부분의 물자를 조달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베를린에 보급되는 물자의 75%는 서베를린 외부에서 수입된 것이었다. 베를린 봉쇄 직전 식량은 36일분, 의약품은 6개월분, 연료는 수 개월 분이 남아 있었다.[2][1][3]

봉쇄 사실이 알려지면서 물자 배급이 시작되었다. 당시 성인 1일 권장 열량은 여성 2,400kcal, 남성 3,100kcal였으나, 배급된 식재료의 열량은 총 1,500kcal였다. 서방 연합군은 자체 생산으로 200~500kcal 정도를 더 배급할 수 있었으나, 농지가 부족한 베를린에서는 이마저도 불가능했다. 영국군은 당시 영국 남부에서 가구당 1730kg, 서독 점령지였던 함부르크에서 890kg의 석탄을 배급할 수 있었으나, 서베를린에서는 가구당 152kg밖에 배급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시민들은 가로수, 사유지, 공유지 등에 있었던 나무를 베어 월동 준비를 자급해야 했다.

서방 연합국은 소련의 봉쇄에 맞서 항공기를 이용해 서베를린에 물자를 공급하는 대규모 공수작전을 시작했다. 미국은 'Operation Vittles', 영국은 'Operation Plainfare'라는 작전명으로 공수작전을 개시했다.

4. 1. 공수작전 진행

1945년 11월 30일 서방 연합군은 소련군과 서베를린 진입용 폭 32km 항로를 합의했다.[2][46][4] 베를린으로 들어갈 수 있는 항로는 함부르크(북서부), 뷔케베부크(서부, 하노버 방면), 프랑크푸르트(남서부)였다. 1945년 12월 31일 협의에 따라 사용 조건이 확정되었다. 이 3곳의 항로는 자유롭게 다닐 수 있고, 시간 제한이 없으며, 서방 연합군 국적기는 이용 통보 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6]

영국군은 1948년 4월에 소규모 공수작전을 실행했고, 같은 해 6월에는 '크니커 작전(Operation Knicker)'이라는 이름으로 공수작전을 수행한 경험이 있었다.[2] 베를린 주둔 영국 공군 총사령관 레지널드 와이트는 공수작전 중 서베를린 민간인에게도 여름 물자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1948년 6월 24일 루시우스 클레이에게 알렸다. 다음 날, 에른스트 로이터 당시 베를린 시장은 빌리 브란트와 함께 클레이 장군을 만나, 공수 작전이 시행되면 베를린시를 책임질 수 있으며, 베를린의 자유를 위해 필요한 희생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로이터 시장은 공수작전의 성공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지는 않았다.[7][8][9][2] 클레이 장군은 유럽 주둔 미 공군 사령관 커티스 르메이에게 공수작전 시작을 통보했다.

1948년 6월 26일 미국 공군의 첫 수송기가 프랑크푸르트(라인마인 공군기지) 및 비스바덴에서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으로 날아오면서 공수작전(Operation Vittles 또는 Operation Proviant)이 시작되었다. 영국 공군은 6월 28일 분스토르프 비행장에서 가토 비행장으로 더글러스 C-47 수송기를 출발하면서 공수작전(Operation Plainfare, 이후 Operation Carter Patterson)에 참여했다. 7월 초부터 12월 첫 서리 전까지는 내부식성 때문에 영국군 비행정도 소금 수송에 동원되었다. 이 비행정들은 엘베강 하구의 함부르크 핑켄베르더 비행장에서 이륙하여 베를린 시내의 하펠강 및 반제호에 착륙했다. 오스트레일리아 공군도 '펠리컨 작전(Operation Pelican)'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했다.

템펠호프 공항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더글러스 C-47, 1948년


비행기 모형을 가지고 노는 어린이, 1948년


초기에는 하루 750톤의 물자를 수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1948년 7월 서방 연합군이 서베를린 지역에서 진행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공수작전이 진행되어도 겨울을 나기 어려워 소련에 항복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했다. 동베를린 지역의 의견도 비슷했다. 오토 주어(Otto Suhr) 베를린 시의회 의장도 서방 연합군이 항복하고 베를린에서 철수할 것으로 예상했다.[2] 따라서 공수작전으로 수송할 물자와 인적 자원을 적재적소에 투입해야 했고, 겨울철 난방 및 화력 발전용 석탄 수요 증가에도 대비해야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히말라야산맥을 넘는 공수 작전(더 험프)을 지휘했던 윌리엄 H. 터너 중장은 1948년 7월 23일 비스바덴에 미국과 영국 공군을 총괄 지휘하는 사령부(Combined Airlift Task Force, CALTF)를 설립했다. 그의 노력으로 1948년 7월 말에는 하루 2000톤의 물자를 수송할 수 있었다.

수송 물자의 3분의 2는 석탄이었다. 영국군 점령지였던 파스베르크 비행장(Flughafen Faßberg)에서 출발했고, 이후 미군이 공수작전을 진행했다. 영국군은 구호 물자의 3분의 1을 수송했다. 미군과 달리 영국군은 영국유럽항공이 주도하여 25개 항공사에서 다양한 항공기를 동원했다. 미국에서 구호 물자로 영국에 보낸 곡물도 공수작전의 일환으로 독일로 배송되었기 때문에, 영국에서는 2차 대전 중에도 시행하지 않았던 곡물 배급제가 시행되었다. 영국군은 미군과 달리 베를린에서 출발하는 화물도 서방 세계로 이송했는데, 한 예로 서베를린의 어린이들을 서독 지역의 병원으로 이송하여 치료 및 재활을 돕기도 했다.[10]

공수작전에 사용되는 항공기 종류, 활주로, 항공기 유지보수, 하역 과정, 항로 등을 최적화하여 화물 수송량을 늘렸다.[11][12] 나중에는 함부르크 및 프랑크푸르트 항로를 베를린행 항로, 하노버 항로를 베를린발 항로로 사용했고, 500피트 고도 간격으로 수송기 5기가 동시에 비행했다. 1948년 8월 13일(블랙 프라이데이)에는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 활주로 가시거리가 좋지 않아 비스바덴에서 이륙한 수송기가 3분 간격으로 착륙할 수 없었고, 3,000피트부터 11,000피트 상공에서 선회하고 있었다. 이는 당시 항공 관제사가 통제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터너 중장이 탑승하고 있던 수송기 아래쪽으로 항공기 3기가 활주로에 추락했고, 이 중 1기는 전소되었다.[13] 터너 중장은 안전하게 착륙하기 위해 선회 중이던 수송기를 회항시켰고, 이후 수송기가 착륙할 수 없으면 출발지로 회항한 후 다음 베를린행 출발을 대기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수송기는 3분 간격으로 착륙할 수 있게 되었다. 항공기 관리 일정을 조정하여 지상에 계류하는 시간을 75분에서 30분으로 단축했다. 공중에서 착륙하지 않고 물자를 지상으로 던져 하역하는 시도는 몇 번 있었으나 경제성이 없어 포기했다.

영국과 미국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이 참여했다. 한편 프랑스는 인도차이나 전쟁공군력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공수작전에 소규모 수송기만 보낼 수 있었다. 융커스 Ju 52/3m 수송기를 투입하여 프랑스군 주둔지에만 보급할 수 있었다. 그 대신 프랑스군 점령지에는 나중에 베를린 테겔 공항이 되는 새로운 활주로를 건설했다. 1948년 12월 중순 장 가네발(Jean Ganeval) 장군의 명령으로 프랑스군 활주로 접근에 방해가 되는 소련군 점령지에 있던 송신탑을 폭파 철거했다. 해당 송신탑은 브란덴부르크에 새로 건설되었다.[2][1][14]

서베를린 봉쇄 기간 동안 에른스트 로이터(SPD) 시장은 베를린 체제 유지의 상징이 되었다. 1948년 9월 9일 독일 국회의사당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15]

2년 후인 1950년 9월 18일, 그는 타임 지의 표지 모델로 선정되었고[16] 특집 기사로 다뤄졌다.[17]

4. 2. 수송량

베를린 공수작전 기간 동안 서베를린에는 총 210만 톤 이상의 물자가 공급되었다.[1]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석탄으로 144만 톤이 수송되었으며, 그 외에 식량 485,000톤, 공항 및 발전소 건설 자재 16만 톤 등이 포함되었다.[1] 부피를 줄이기 위해 탈수 과정을 거친 가루분유, 건조 야채, 건조 감자, 밀가루 등이 수송되었다.

공수작전은 1949년 5월 소련의 봉쇄 해제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비축 물자 확보를 위해 1949년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1]

다음은 공수작전 기간 동안의 일일당 물자 수송량을 나타낸 표이다.

시기일일당 톤 수주석
봉쇄 이전 하계 물자 수입량10,900
최소 하계 물자 필요량4,500생필품 1,360톤 및 석탄, 휘발유, 경유
최소 동계 물자 필요량10,000대부분 난방용 석탄
공수작전 투입량
첫 주80
둘째 주910
1948년 7월2,020
1948년 8월 말4,500하계 물자 필요량에 최초로 도달함
1948년 8월3,480
1948년 9월4,220
1948년 10월4,320
1948년 11월3,43011월 26일부터 안개
1948년 12월4,14012월 6일까지 안개
1949년 1월5,030
1949년 2월 20일185안개
1949년 2월4,930
1949년 3월5,740
1949년 4월 15일/16일11,700부활절 특별공수
1949년 4월7,120
1949년 5월 12일전면 봉쇄 해제
1949년 5월7,340
1949년 6월자료 없음
1949년 7월 24일2개월분의 추가 물자 비축 완료
1949년 7월7,410
1949년 8월 1일공수 작전 단계적 축소
1949년 8월2,320
1949년 9월450
1949년 9월 30일공수작전 종료



다음은 미국과 영국의 수송량 통계를 비교한 표이다.

합계미군 수송량영국군 수송량
왕복 항공편277,569189,96387,606
베를린행 화물 수송량(전체), 미터법 톤 환산2,109,666.8 t1,618,029.9 t491,636.9 t
생필품486,890.9 t268,816.3 t218,074.5 t
석탄1,438,821.6 t1,289,217.3 t149,604.3 t
기타 물품183,954.4 t59,996.3 t123,958.1 t
베를린발 화물 수송량(전체), 미터법 톤 환산74,144.9 t41,628.6 t32,516.3 t
수송 승객 수227,65562,749164,906
베를린행60,07825,26334,815
베를린발167,57737,486130,091
1948년 6월 26일부터 1949년 9월 30일까지 통계[21][22][23][24][25][26]



베를린발 화물도 74,145톤 수송되었으며, 대부분 봉쇄 중인 베를린 시내에서 생산한 공산품으로 "봉쇄된 베를린에서 생산됨"(Hergestellt im Blockierten Berlin)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었다.[1] 승객 227,655명도 수송되었다.[1]

영국 왕립공군은 민간인을 가토 비행장에서 뤼베크 및 분스토르프 공항으로 수송했다. 1948년 6월 말부터 1949년 5월 초까지 약 68,000명의 베를린발 승객을 수송했으며, 철도 승차권 정도의 요금을 받았다.[2] 어린이는 무료로 비행할 수 있었다.[27]

화물 수송량은 대부분 템펠호프 공항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비행기 이착륙 횟수는 가토 비행장이 가장 많았다.[28]

4. 3. 소련의 대응

소련은 서방 연합군의 공수작전을 방해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했다. 소련군 점령지를 비행하는 동안 소련 전투기를 출격시키거나, 항로 경계선 근처에서 현란한 조명을 사용하여 조종사들의 시야를 방해했다. 미국 조종사의 기록에 따르면 이러한 방해 행위는 733건이나 되었다. 이 시기에 서방 연합군 조종사들은 처음으로 MiG-15 전투기와 실전에 들어갔다.[41]

4. 4. 사고

공수작전 중에도 공중사고, 지상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있었다. 군사 자료에 접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람마다 집계 수치에는 차이가 있지만, 미군 측 사망자는 31명으로 알려져 있다.[1][20][30][31][32] 더글러스 DC-4(C-54 및 R5D 포함) 기종의 사고는 기체 일련번호별로 정리되었다. 1948년 8월 13일부터 1949년 7월 12일까지 미국 공군 및 미국 해군에서는 총 10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15명이 사망했다.[33][34][35][36][37][38][39]

영국 측 사망자는 40명,[30] 서독 측 사망자는 13명(승객 7명)으로 기록되었다.[1] 미국 측만 한정하면 사고 120건, 사망 101명이었다.[40] 그러나 당시 미국 측의 항공기 운용 시간에 따른 사고 건수 예상보다 50% 이하의 사고만 발생했다.[11]

5. 지원 시설

공수작전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독일 내외부에 다양한 지원 시설이 구축되었다. 그린란드캉게를루수아크(미국 공군 기지 Bluie West Eight) 및 나흐사흐수악(미국 공군 기지 Bluie West One)에서 중간 급유가 이루어졌다.[42][43] 서베를린 공역의 항공 관제는 서방 연합군으로 구성된 베를린 항공 안전 통제 센터에서 담당했다. 서독의 미국 점령지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영국 점령지는 바트엘리센에서 항공 관제를 담당했다.

베를린에는 가토 비행장(영국령), 템펠호프 공항(미국령), 테겔 비행장(프랑스령)으로 수송기가 도착했다. 서독에서는 비스바덴프랑크푸르트 공군기지, 파스베르크 비행장, 분스토르프 비행장, 뤼베크 공항, 첼레-비첸브루흐 비행장, 슐레스비히 비행장에서 수송기가 이륙했다. 함부르크 핑켄베르더 비행장에서는 영국 비행정이 이륙하여 하펠강과 반제호에 착륙했다. 공수작전 총 지휘는 비스바덴에 있던 Combined Airlift Task Force (CALTF)에서 담당했다.[44]

첼레와 같이 대규모 공군 기지가 있었던 곳에서는 매춘이 성행했다. 군정청에서는 성병(VD) 예방에 대한 안내문을 배포하였으며, VD는 "Veronica, Danke schön"으로 해석되기도 했다.[45]

5. 1. 독일 외부

그린란드캉게를루수아크(미국 공군 기지 Bluie West Eight) 및 나흐사흐수악(미국 공군 기지 Bluie West One)에서 중간 급유가 이루어졌다.[42][43]

5. 2. 항공 관제

서베를린 공역의 항공 관제는 서방 연합군으로 구성된 베를린 항공 안전 통제 센터에서 담당했다. 서독의 미국 점령지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영국 점령지는 바트엘리센에서 항공 관제를 담당했다.

5. 3. 베를린

베를린에는 가토 비행장(영국령), 템펠호프 공항(미국령), 테겔 비행장(프랑스령)으로 수송기가 도착했다. 가토와 템펠호프 비행장에는 풀밭 활주로만 있었으나 공수작전 중 잦은 항공기 이착륙을 버틸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한편 테겔 지역에서는 과거 로켓 시험장으로 사용된 곳에 활주로를 건설했고, 서독 노동자 19,000명(여성 비율 약 50%)을 동원해서 90일 만에 필요한 건물과 활주로를 건설했다. 당시 건설된 활주로는 2400m 규모로 유럽에서 가장 긴 활주로였다.[1] 템펠호프 공항은 악조건에도 비행기가 착륙할 수 있고 고밀도 운항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레이다 시스템을 개량했다. 함부르크 핑켄베르더 비행장에서는 영국 비행정이 이륙하여 하펠강과 반제호에 착륙했다.

5. 4. 서독

미국 측에서는 비스바덴프랑크푸르트 공군기지에서 수송기를 이륙시켰다. 석탄 수송을 담당하는 항공기는 영국령 지역에 있었던 파스베르크 비행장, 분스토르프 비행장, 뤼베크 공항, 첼레-비첸브루흐 비행장, 슐레스비히 비행장에서 이륙했다. 이 비행장들은 수송기 이륙을 위해 일부 증축되었고, 화물 수송용 지선 철도가 연결되었다.[44] 공수작전 총 지휘는 비스바덴에 있던 Combined Airlift Task Force (CALTF)에서 담당했다.

5. 5. 매춘 문제

베를린 공수작전 기간 동안 첼레와 같이 대규모 공군 기지가 있었던 곳에서도 매춘이 성행했다. 1948년과 1949년 동안 일부 영국 소속과 당시 독일보다 더 좋은 생활 조건을 갖추고 있었던 미국 소속 조종사, 기술자, 화물 운송사를 대상으로 하는 매춘부가 약 2,000명 있었다. 군정청에서는 성병(Venereal Diseases, VD) 예방에 대한 안내문을 배포하였다. 이 때 사용된 약어 VD는 "Veronica, Danke schön"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성 구매자들이 매춘부를 부를 때 베로니카라고 불렀다는 근거 중 하나이기도 하다.[45]

6. 특별 행사

1948년 노이비베르크 미국 공군 부대는 풋볼 마스코트였던 수컷 낙타 클레런스(Clarence)를 활용하여 서베를린 어린이에게 줄 구호품을 기부받았다. 클레런스의 다리가 골절되면서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암컷 낙타 클라리사(Clarissa)를 공수해야 했다. 1948년 10월 21일 제과류 3ton과 함께 클라리사 낙타를 서베를린으로 수송했다.[2][31]

1948년 크리스마스에는 비행기에서 산타클로스가 등장하여 선물을 투하하는 특별 작전이 있었다. 영국 측에서는 서베를린 어린이에게 크리스마스 특별식을 대접하기로 했다. 1948년 12월 20일 첼레 비행장에서 서베를린 어린이 10,000명에게 줄 선물을 수송하는 산타클로스 작전(Operation Weihnachtsmann)을 수행했다.[47]

1948년 크리스마스에는 서베를린 시민들의 지친 마음을 달래기 위해 미국에서 밥 호프, 유지니아 팰컨버그(Eugenia Lincoln "Jinx" Falkenburg), 어빙 벌린을 초청하여 템펠호프 공항에서 공연을 열었다. 이때 비스바덴 공군 기지에서도 공연을 보러 온 방문자가 있었다.[48] 어빙 벌린은 이 공연을 위해서 Operation Vittles라는 곡을 작곡 및 초연했고, 일부 GI들은 후렴구를 연습했다.[49][50]

1949년 4월 15일4월 16일에는 터너 장군이 부활절 퍼레이드를 기획했고, 24시간 동안 1,398편을 투입해서 화물 12849ton을 수송했다. 당시 하루 수송량 중 최대 규모였다.[51] 곡물, 분유, 건조감자 등 식량 외에도 난방 및 발전용 석탄, 휘발유, 의약품 등 물자를 수송했다. 부활절 작전을 진행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향후 공수량을 더 늘릴 수 있었다.

6. 1. 사탕 폭격기

미군 조종사 게일 핼버슨(Gail Halvorsen)이 사탕, 초콜릿, 젤리 등을 포장해서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에 착륙하기 전에 공항에서 대기하던 어린이들에게 투하했던 것에서 사탕 폭격기(Candy bomber영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베를린 지역 언론 보도를 통해 이 사실이 알려진 후에는 다른 조종사들도 이를 따라하기 시작했다. 미군 조종사뿐만 아니라 미국 민간인도 사탕과 젤리를 기부해서 Operation Little Vittles 작전으로 간식거리를 투하했다.[46] 한편 1948년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한 영국 조종사가 건포도를 투하했던 적이 있었는데, 베를린 시민들이 붙인 또 다른 명칭인 건포도 폭격기(Rosinenbomberde)는 이 사실에서 유래한다.

6. 2. 기타 특별 행사

1948년 노이비베르크 미국 공군 부대는 풋볼 마스코트였던 수컷 낙타 클레런스(Clarence)를 활용하여 서베를린 어린이에게 줄 구호품을 기부받았다. 클레런스의 다리가 골절되면서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암컷 낙타 클라리사(Clarissa)를 공수해야 했다. 1948년 10월 21일 제과류 3ton과 함께 클라리사 낙타를 서베를린으로 수송했다.[2][31]

1948년 크리스마스를 위한 특별 작전으로 비행기에서 산타클로스가 등장하여 선물을 투하했다. 한편 영국 측에서는 서베를린 어린이에게 크리스마스 특별식을 대접하기로 했다. 1948년 12월 20일 산타클로스 작전(Operation Weihnachtsmann) 수행으로 첼레 비행장에서 서베를린 어린이 10,000명에게 줄 선물을 수송했다.[47]

서베를린 시민들의 지친 마음을 달래기 위해서 1948년 크리스마스에 미국에서 밥 호프, 유지니아 팰컨버그(Eugenia Lincoln "Jinx" Falkenburg), 어빙 벌린을 초청하여 템펠호프 공항에서 공연을 열었다. 이때 비스바덴 공군 기지에서도 공연을 보러 온 방문자가 있었다.[48] 어빙 벌린은 이 공연을 위해서 Operation Vittles라는 곡을 작곡 및 초연했고, 일부 GI들은 후렴구를 연습했다.[49][50]

1949년 4월 15일4월 16일에 터너 장군은 부활절 퍼레이드를 기획했고, 24시간 동안 1,398편을 투입해서 화물 12849ton을 수송했다. 당시 하루 수송량 중 최대 규모였다.[51] 곡물, 분유, 건조감자 등 식량 외에도 난방 및 발전용 석탄, 휘발유, 의약품 등 물자를 수송했다. 부활절 작전을 진행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향후 공수량을 더 늘릴 수 있었다.

7. 항공기 종류

미국 공군의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


영국 왕립공군의 Avro 요크


영국 왕립공군의 쇼트 선더랜드 비행정


공수작전 초기, 미국은 2발기 더글러스 DC-3의 민간용 및 군용 C-47 스카이트레인을 투입했다. 그러나 최대 화물 적재량이 3톤에 불과했기 때문에, 더 큰 수송 능력을 가진 4발기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 및 민간용 더글러스 DC-4를 투입했다. C-54/DC-4는 최대 화물 적재량이 9톤이었고 비행 속도도 더 빨랐다. 공수작전 동안 C-54/DC-4 380기가 동원되었고, 이 중 225기는 미국 국적이었다. 기타 미국 항공기로는 보잉 C-97 스트라토프라이터 및 더글러스 C-74 글로브마스터가 투입되었으나, 최대 화물 적재량이 20톤으로 당시 기준으로는 매우 컸지만 활발하게 투입되지는 않았다.

미국은 비행기 종류를 최소화하여 공수작전을 최적화했다. 동일한 비행기의 운항 속도와 특성 덕분에 비행 간 거리를 최소화하고 이착륙 빈도를 최대화할 수 있었다. 또한 검수 및 대체 부품 수급을 원활하게 했고, 한 기종으로 훈련받은 조종사를 비상시 다른 기체에도 투입할 수 있었다. 화물 적재 및 하역 작업도 표준화를 통해 최적화했다.

반면 영국은 다양한 비행기를 투입했다. 대부분 과거 영국산 폭격기나 민간용 수송기였다. 영국 왕립공군만으로는 수송기가 부족해서 민간 항공사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 내부식성이 강한 비행정을 투입하여 소금 수송에 사용했는데, 겨울에는 비행정을 사용할 수 없어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Handley Page Halifax) 폭격기로 소금을 수송했다. 프랑스에서 융커스 Ju 52 항공기를 잠깐 사용했던 것을 제외하면 독일제 항공기는 물류 및 정치적인 이유로 사용되지 않았다.

공수작전에 투입된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8. 결과 및 영향

1959년 베를린 봉쇄 종료 기념우표


게일 핼버슨(Gail Halvorsen)


서방 연합군은 베를린 봉쇄에 대응하여 소련군 점령지와 동베를린에 첨단 기술 상품 판매를 금지하고 일반 무역을 차단했으며, 베를린 공수작전으로 서베를린이 소련의 점령에 저항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국 소련은 봉쇄를 해제했다.[2] 1949년 5월 11일/12일 자정 직전에 소련군 점령지에서 서베를린으로의 송전이 재개되었고, 0시 1분에 도로 및 수도 공급이 재개되었다. 이후에도 몇 차례 통행 제한이 있었으나, 서방 연합군 측의 지속적인 항의로[2] 1949년 가을에 봉쇄 이전의 통행 자유가 회복되었다. 봉쇄 종료 후에도 2개월분 비축 물자를 확보할 때까지 공수작전은 축소된 규모로 계속되었다. 1949년 9월 30일 공수작전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며, 그 날 템펠호프 공항에는 석탄 10톤을 실은 마지막 수송기가 착륙했다.[29]

9. 기념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에는 에두아르트 루트비히가 설계한 공수작전 기념비가 1951년에 설립되었다.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및 첼레 비행장에도 기념비가 설립되었다. 파스베르크 비행장에는 베를린 공수작전을 다루는 박물관이 있다.[53] 에르딩 비행장의 윌리엄스빌 관사는 사고로 사망한 조종사를 추모하는 뜻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2012년 5월 11일 과거 가토 비행장이자 현재의 독일 연방군 군사역사 박물과의 관제탑에 새로운 기념비가 설립되었고, 과거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C-47 수송기가 전시되었다.

1959년 빌리 브란트 시장은 공수작전 기념 재단(Stiftung Luftbrückendank)을 설립했다. 약 이 모금되었고, 재단의 투자 이익금으로 베를린 공수작전으로 희생된 조종사 유족에게 재정적인 지원을 했다. 현재의 재단 목적은 베를린 봉쇄와 공수작전을 기념하는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54] 함부르크의 올스도르프 묘지에는 희생자를 기념하는 석판과 은행나무가 있다.

베를린 장벽이 세워진 직후이자 공수작전 시작 15주년이 되던 해,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서베를린을 방문했다. 1963년 6월 26일, 당시 서베를린 시청사였던 쇠네베르크 구청 앞에서 나는 베를린 사람입니다라는 연설을 통해 베를린 공수작전 당시 미국이 보여준 연대와 지원을 강조했다.[53]

2019년 5월 12일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 격납고와 주기장에서는 베를린 공수작전 70주년 기념 행사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는 98세가 된 게일 핼버슨 미군 조종사를 포함한 베를린 공수작전 참가자들도 함께 했다.

9. 1. 기념 시설

프랑크푸르트 공항의 기념비, 2008년


뤼베크 공항의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기념비, 2008년


1951년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에 에두아르트 루트비히(Eduard Ludwig)가 설계한 공수작전 기념비가 설립되었다.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및 첼레 비행장에도 기념비가 설립되었다. 파스베르크 비행장에는 베를린 공수작전을 다루는 박물관이 있다.[53] 에르딩 비행장의 윌리엄스빌(Williamsville) 관사는 사고로 사망한 조종사를 추모하는 뜻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2012년 5월 11일 과거 가토 비행장이자 현재의 독일 연방군 군사역사 박물과의 관제탑에 새로운 기념비가 설립되었고, 과거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C-47 수송기가 전시되었다.

1959년 빌리 브란트 시장은 공수작전 기념 재단(Stiftung Luftbrückendank)을 설립했다. 약 이 모금되었고, 재단의 투자 이익금으로 베를린 공수작전으로 희생된 조종사 유족에게 재정적인 지원을 했다. 현재의 재단 목적은 베를린 봉쇄와 공수작전을 기념하는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54]

함부르크의 올스도르프 묘지에는 희생자를 기념하는 석판과 은행나무가 있다.

9. 2. 케네디 대통령의 베를린 방문

베를린 장벽이 세워진 직후이자 공수작전 시작 15주년이 되던 해,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서베를린을 방문했다. 1963년 6월 26일, 당시 서베를린 시청사였던 쇠네베르크 구청 앞에서 나는 베를린 사람입니다라는 연설을 통해 베를린 공수작전 당시 미국이 보여준 연대와 지원을 강조했다.[53]

9. 3. 기념 축제



2019년 5월 12일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 격납고와 주기장에서는 베를린 공수작전 70주년 기념 행사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는 98세가 된 게일 핼버슨 미군 조종사를 포함한 베를린 공수작전 참가자들도 함께 했다.

참조

[1] 간행물 To Save a City: The Berlin Airlift 1948–1949 http://www.afhso.af.[...] Air Force History and Museum Program,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8
[2] 서적 The Berlin Blockade Coronet Books 1989
[3] 서적 Daring Young Men: The Heroism and Triumph of The Berlin Airlift, June 1948 – May 1949 Simon and Schuster 2010
[4] 문서 agreement concerning the creation of a system of air corridors to be used for flights in the respective Zones of occupation in Germany
[5] 문서 Flight rules for aircraft flying in air corridors in Germany and the Berlin Control Zone
[6] 문서 full freedom of action, at any time of day and night, without prior notification, by aircraft of the nations governing Germany
[7] 논문 The United States and the Berlin Blockade, 1948–1949: A Study in Crisis Decision-mak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8] 논문 Willy Brandts Amerikabild und -politik 1933–1992 Vandenhoeck & Ruprecht 2010
[9] 서적 The Blockade Breakers: The Berlin Airlift The History Press 2011
[10] 방송 Die Luftbrücke ZDF History 2008-06-24
[11] 간행물 Combined Airlift Task Force (CALTF): A Report On The Airlift, Berlin Mission; the operational and internal aspects of the advance element https://ia801402.us.[...] US Air Force 1975
[12] 간행물 Berlin airlift: a USAFE summary https://ia801009.us.[...] 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1949
[13] 웹사이트 Unfallbericht DC-4/C-54G 45-514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16-12-01
[14] 잡지 Zum Tod von Jean Ganeval Der Spiegel 1981
[15] 웹사이트 Ernst Reuters Rede am 9. September 1948 vor dem Reichstag. https://www.berlin.d[...] berlin.de 2013-12-13
[16] 웹사이트 Ernest Reuter | Sep. 18, 1950. http://content.time.[...] Time 2009-11-04
[17] 웹사이트 Germany: Last Call for Europe. http://content.time.[...] Time 2009-11-04
[18] 문서 민간 및 군 통계 자료에 따라서 정확한 값이 다를 수 있다.
[19] 웹사이트 Berlin-Blockade und Luftbrücke – Chronologie http://www.stiftung-[...] Stiftung Luftbrückendank
[20] 간행물 Logistische Aspekte der Berliner Luftbrücke 1948/49 http://www.auguste-p[...] 2013
[21] 서적 Berlin Airlift, a USAFE Summary........26 June 1948, 30 September 1949 http://archive.org/d[...] USAFE Reproduction Center 1949
[22] 문서 미국 측 통계는 영국과 미국 수송량 모두 미국식 쇼트 톤 단위로 되어 있었다. 이 표에서는 미터법 톤으로 환산한 값을 사용한다(1 tn. sh. = 0,90718474 t).
[23] 문서 미국 공군과 미국 해군 수송량의 합
[24] 문서 영국 왕립공군과 영국 민간 항공사 수송량의 합
[25] 문서 왕편과 복편을 따로 계산하면 전체 약 550,000회
[26] 문서 1948년 6월-10월, 1949년 9월에는 미국 측 통계가 없었다.
[27] 웹사이트 Personentransport mit der Berliner Luftbrücke http://www.bpb.de/ge[...]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2013-02-14
[28] 웹사이트 Das süße Bild der Rosinenbomber https://www.deutschl[...] Deutschlandfunk 2017-03-16
[29] 웹사이트 Tagesschau https://www.tagessch[...] Tagesschau 1989-09-30
[30] 서적 The Two Germanies Since 1945: East and West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7
[31] 웹사이트 Berlinblockade und Luftbrücke – ein zeitlicher Abriss http://www.stiftung-[...] Stiftung Luftbrückendank
[32] 문서 1948년 10월 13일 소련군에 의해서 격추되었다고 추정되는 C-54 수송기에 탑승하고 있었던 최소 3명은 포함되지 않았다.
[33] 웹사이트 Accident list: Douglas DC-4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16-12-21
[34] 서적 The Douglas DC-4, Production List Airline Publication & Sales 1980
[35] 서적 Piston Engine Airliner Production List The Aviation Hobby Shop 1996
[36] 서적 The Douglas DC-4, including Canadair 4 and Douglas DC-5
[37] 서적 Douglas DC-4, Detailed Production List
[38] 웹인용 Rosinenbomber-Abstürze https://www.welt-im-[...] 2016-12-21
[39] 웹인용 ASN Aviation Safety WikiBase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6-12-21
[40] 서적 Over the Hump https://archive.org/[...]
[41] 서적 The Berlin Airlift. Band 1. The First Battle of the Cold War, Kapitel III.U
[42] 웹인용 Berliner Luftbrücke in Grönland: Berliner Geschichte mit arktischen Geschichten http://www.polarwelt[...] 2021-03-25
[43] 문서 Museum Narsarsuaq, Jørgen Vaengtoft, Museum Kangerlussuaq
[44] 웹인용 Berliner Luftbrücke „Operation Vittles“ http://www.berliner-[...] 2016-10-21
[45] 웹인용 Wie die Luftbrücke die Prostitution blühen ließ https://www.welt.de/[...] 2008-06-24
[46] 서적 Die Rosinenbomber: die Berliner Luftbrücke 1948/49; ihre technischen Voraussetzungen und deren erfolgreiche Umsetzung Berliner Wissenschafts-Verlag
[47] 웹인용 Wie Stalin zu Weihnachten Alpträume bekam https://www.welt.de/[...] 2013-12-24
[48] 서적 The Candy Bombers: The Berlin Airlift, 1948/49: the Technical Conditions and Their Successful Transformation Berliner Wissenschaftsverlag
[49] 서적 Operation Vittles: Stories from the Berlin Airlift Xlibris Corporation
[50] 서적 Much Alive at Ninety-Five iUniverse
[51] 웹인용 Dieses Geheimunternehmen brach den Willen der Sowjets https://www.welt.de/[...] 2019-04-17
[52] 서적 Over the Hump
[53] 웹사이트 Fliegerhorst Faßberg und Luftbrücke Faßberg–Berlin http://www.geschicht[...]
[54] 웹사이트 Stiftung Luftbrückendank http://www.stiftung-[...]
[55] 웹사이트 Die Luftbrücke https://www.peter-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