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 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로 운동은 청나라 말기, 철도 국유화 정책에 반대하여 일어난 대규모 민중 운동이다. 1905년 이후 이권 회수 운동으로 철도 부설권을 회수한 중국은 자국 내 철도 건설을 추진했으나, 자금 부족과 신사들의 의견 불일치로 공사가 지연되었다. 청나라는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의 차관을 통해 철도 건설을 시도했으나, 1911년 철도 국유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민중들의 반발을 샀다.
철도 국유화는 민족주의 정서를 거스르고 민간의 이권을 침해하는 조치로 여겨졌고, 호남성을 시작으로 호북, 사천, 광동 등지에서 보로 운동이 일어났다. 특히 쓰촨성에서는 철도 보호 연맹이 조직되어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청두 혈참 사건과 같은 유혈 사태로 이어졌다. 보로 운동은 점차 반청 운동으로 발전하여 우창 봉기를 촉발하고 신해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결국 청나라의 몰락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1년 중국 - 신해혁명
신해혁명은 1911년 청나라의 쇠퇴와 서구 열강의 침략 등 여러 요인으로 발생하여 중화민국을 수립하고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을 세운 혁명이다. - 1911년 중국 - 만주 페스트
1910년에서 1911년 사이 만주에서 발생한 폐렴 페스트 유행인 만주 페스트는 타르바간마멋 사냥꾼으로부터 시작되어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중국 정부는 우롄더를 방역 책임자로 임명하여 검역, 마스크 착용 장려, 환자 격리 등의 조치를 시행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질병 통제 노력을 기울여 다국적 의료 대응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개인 보호 장비의 발전을 촉진했으며, 이후 세계보건기구(WHO) 출범과 코로나19 범유행 대응에도 시사점을 남겼다. - 신해혁명 - 호국 전쟁
호국 전쟁은 1915년부터 1916년까지 중화민국에서 위안스카이의 제제국 선포에 반발하여 남부 지역에서 일어난 내전으로, 위안스카이의 퇴위와 사망으로 종결되었지만 군벌 시대가 도래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 신해혁명 - 화흥회
화흥회는 황흥이 1904년에 창립한 중국의 혁명 단체로, 만주족 축출과 중화 부흥을 목표로 반청 활동을 전개했으며, 이후 중국 동맹회와 합병하여 중국 혁명 운동에 기여했다. - 쓰촨성의 역사 - 촉한
촉한은 유비가 세력을 확장하여 건국한 국가로, 한나라의 정통 계승을 명분으로 건국되었으나, 제갈량 사후 쇠퇴하여 위나라에 멸망하였으며, 국력의 약세와 내부 문제로 멸망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는다. - 쓰촨성의 역사 - 전촉
전촉은 왕건이 사천에 건국하여 경제적, 문화적 번영을 이루었으나 왕연의 무능으로 후당에 멸망한 오대십국 시대의 왕조로, 왕건과 왕연의 능력 차이가 흥망성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보로 운동 | |
---|---|
개요 | |
명칭 | 보로 운동 |
다른 명칭 | 철도 권리 보호 운동 |
로마자 표기 | Bao lu yundong |
시기 | 1911년 |
장소 | 중국 |
원인 | 청나라 정부의 철도 국유화 정책 |
주요 인물 | 쑹자오런 탕지야오 차이 어 |
결과 | 무창 봉기의 기폭제 역할 신해혁명 발발 |
배경 | |
원인 | 청 정부의 철도 국유화 조치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철도 노선의 국유화 철도 이권 외국 양도에 대한 반발 |
전개 | |
주요 지역 | 쓰촨 성 후베이 성 후난 성 광둥 성 |
주요 사건 | 쓰촨 성의 대규모 시위 및 폭동 청 정부의 무력 진압 우창 봉기로 이어짐 |
영향 | |
정치적 영향 | 신해혁명의 발발 청 왕조 붕괴의 가속화 중화민국 수립의 기반 마련 |
사회적 영향 | 민족주의 의식 고취 반정부 운동 확산 |
2. 청조의 철도 국유화 정책
1905년 이권회수운동으로 광산 채굴권 및 철도 부설권이 외국으로부터 회수되면서, 중국은 스스로 철도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호북성(湖北省), 호남성(湖南省), 광동성(廣東省), 사천성(四川省)의 신사(紳商)들은 철도 회사를 설립하고 주식을 모았으나, 자금 부족과 신사들의 의견 불일치 및 사익 추구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었다.[26]
이에 청조(淸朝)는 천한선(川漢線)과 월한선(粵漢線, 광동 광주-호북 한구) 건설을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은행단과 5500000GBP 차관 협정을 체결하려 했다. 여기에 미국이 참여하면서 4국 은행단이 구성되었고, 1910년 5월 '철도 협정'이 체결되었다.[26]
1911년 5월, 청조는 신정(新政)의 일환으로 새 내각을 구성했으나, 한족 출신 각료는 4명뿐이고 나머지 9명은 만주족이었으며 그중 6명은 황족이었다. 이는 개혁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는 인사였다.[27] 이 내각은 '철도 국유화'를 최우선으로 의결하고, 우전부대신(郵傳部大臣) 성선회(盛宣懷)의 건의에 따라 철도 국유화를 발표했다. 성쉬안화이는 4국 은행단으로부터 6000000GBP 차관을 도입하고, 호북•호남•시천•광동 네 성(省)의 이금(釐金)과 염세(鹽稅)를 담보로 제공했다.[26] 또한, 이미 불입된 주식에 대한 보상 방법을 발표했는데, 월한선은 불입액의 60%를 상환하고 나머지는 무이자 주식으로 지급하여 철도 완공 후 이익이 발생하면 10년에 걸쳐 분할 상환하기로 했다. 사천의 철도는 주식 불입액이 많아 현금 상환 대신 국가 보증 주식을 지급하고, 5년 후부터 15년에 걸쳐 상환하기로 했다.[26]
이러한 국유화 정책은 결국 철도 이권에 크게 의존하던 각 지방, 특히 사천성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2. 1. 철도 부설의 필요성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서구 열강의 침략과 경제적 침탈에 맞서기 위해 철도 부설은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었다. 철도는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다.당시 청나라 정부는 의화단 운동의 결과로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하는 등 재정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었다.[6] 이러한 상황에서 지방의 철도 사업을 국유화하고, 그 권리를 외국에 판매하여 자금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11][7][8] 이는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등 서구 열강에게 진 빚을 갚기 위한 조치였다.[11][7][8]
1911년 5월, 청나라 정부는 성쉬안화이 우정통신부 장관의 주도로 모든 지방 통제 철도 사업의 국유화를 명령했다.[11][10] 이는 곧 쓰촨-한커우 철도 및 한커우-광둥 철도 운영권을 담보로 한 대출 계약 체결로 이어졌다.[11][10] 이처럼 철도 부설은 외세에 대한 경제적 의존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2. 2. 초기 철도 부설 시도와 한계
중국은 1905년 이래 이권 회수 운동을 통해 광산 채굴권과 철도 부설권을 외국으로부터 상당 부분 회수하였다. 이후 중국인 스스로 철도를 건설하기로 하고 호북성(湖北省), 호남성(湖南省), 광동성(廣東省), 사천성(四川省)의 신사(紳商)들은 회사를 설립하고 주식을 모았으나, 기대만큼 자금이 모이지 않아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했다.[26] 각 지역 신사들의 의견 불일치와 사익 추구 또한 철도 공사를 지연시키는 요인이었다.청조(淸朝)는 호남과 호북의 천한선(川漢線)과 월한선(粵漢線, 광동 광주-호북 한구) 철도 건설을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의 은행단과 5500000GBP 차관 협정을 체결하려 하였다. 여기에 미국이 가입하여 결국 4국 은행단이 각각 4분의 1씩 출자하기로 하고, 1910년 5월에 '철도 협정'을 체결하였다.[26]
1911년 5월, 청조는 신정(新政)의 일환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였는데, 13명의 각료 중 한족 출신은 4명뿐이고 나머지 9명은 만주족이었으며 그중 6명이 황족이었다. 이는 개혁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는 인사였다. 이 내각이 가장 먼저 의결한 사항은 '철도 국유화'였다.[27] 당시 철도 건설이 지연되자 중앙 조정의 관리들은 외국 차관을 도입해서라도 철도를 조속히 부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조는 우전부대신(郵傳部大臣) 성선회(盛宣懷)의 건의에 따라 철도 국유화를 발표하고, 관료 단방(端方)을 천한선과 월한선 철도 건설 대신으로 임명하였다. 성선회는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4국 은행단과 6000000GBP 차관을 도입하기로 합의했는데, 연리 5%, 40년 상환 조건으로 호북•호남•시천•광동 네 성(省)의 이금(釐金)과 염세(鹽稅)를 담보로 제공했다.[26]
이미 불입된 천한선과 월한선의 주식에 대한 보상 방법도 발표되었다. 월한선은 불입액의 60%를 상환하고 나머지 40%는 국가가 무이자 주식을 제공하여 철도 완공 후 영업 이익이 발생하면 10년에 걸쳐 분할 상환하기로 하였다. 사천의 철도는 주식 불입액이 비교적 많아 현금 상환 대신 국가가 이익을 보증하는 주식을 제공하고, 5년 후부터 15년에 걸쳐 나누어 상환하기로 하였다.[26]
1890년대부터 1905년까지, 거의 모든 중국의 철도는 청나라 정부의 특허에 따라 외세에 의해 계획, 자금 조달, 건설 및 운영되었다. 청나라 정부는 지방 경제 발전을 돕고 철도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각 지방에 자체 철도 건설 사업을 조직할 권한을 부여했다.
1905년, 쓰촨성은 쓰촨-한커우 철도 회사를 설립했다.[1] 청두에서 우한까지 1238km의 철도 건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회사는 대중에게 주식을 판매했으며, 성 정부는 토지 소유주가 지불한 수확량에 대해 특별 3% 세금을 부과하고 이들에게 주식 증서도 제공했다.[2] 쓰촨의 많은 지주와 상인 계급이 철도 사업의 주주가 되었다.[3] 1911년까지, 회사는 11,983,305 태양의 은을 모았으며, 이 중 9,288,428(77.5%)은 세금 징수, 2,458,147 태양은 일반 투자, 236,730 태양은 정부에서 나왔다.[4] 회사는 정부가 임명한 관리들의 부패와 무능한 운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건설 노력은 거의 진전이 없었다. 1907년, 회사 경영진은 지주, 상인 및 퇴직 관리로 구성된 이사회로 교체되었다.[5] 1909년, 베이징-장자커우 철도를 건설한 예일 대학교 출신의 잔톈유가 수석 엔지니어로 고용되었다. 그러나 이사회는 계획된 철도의 노선을 놓고 분쟁을 벌였고, 1911년까지 약 약 16.09km의 선로만 부설되었다.[5]
한편, 청 정부는 지방 자금으로 운영되는 철도 사업의 진척에 대해 인내심을 잃고 외국 대출 기관으로 다시 돌아섰다. 당시 청나라는 의화단 운동의 조건에 따라 막대한 부채를 갚아야 하는 재정적 압박을 받고 있었다.[6] 지방 철도 사업을 국유화한 다음 해당 사업의 권리를 외국에 판매함으로써, 정부는 영국, 독일, 프랑스 및 미국에 진 부채를 갚을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11][7][8]
2. 3. 청조의 국유화 정책
清朝|청조중국어는 1905년부터 이권회수운동을 통해 외국으로부터 광산 채굴권과 철도 부설권을 회수하고, 중국인 스스로 철도를 건설하고자 했다. 호북성(湖北省), 호남성(湖南省), 광동성(廣東省), 사천성(四川省)의 신사(紳商)들은 회사를 설립하고 주식을 모았으나, 자금 부족, 신사들의 의견 불일치 및 사익 추구로 인해 철도 공사가 지연되었다.[26]이에 청조는 천한선(川漢線)과 월한선(粵漢線, 광동 광주-호북 한구) 철도 건설을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의 은행단과 차관 협정을 체결했다.[26] 1911년 5월, 청조는 신정(新政)의 일환으로 새 내각을 구성했으나, 각료 대부분이 만주족 황족으로 구성되어 개혁에 대한 기대를 저버렸다. 이 내각은 '철도국유화'를 의결하고, 우전부대신(郵傳部大臣) 성선회(盛宣懷)의 건의에 따라 철도 국유화를 발표했다.[27] 성선회는 4국 은행단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고, 이미 불입된 주식에 대한 보상 방법을 발표했다.[26]
월한선 주식은 불입액의 60%를 상환하고 나머지는 무이자 주식으로 지급하여, 철도 완공 후 이익이 발생하면 10년에 걸쳐 분할 상환하기로 했다. 사천의 철도는 주식 불입이 많아 현금 상환 대신 국가 보증 주식을 지급하고, 5년 후부터 15년에 걸쳐 상환하기로 했다.[26]
청나라 정부는 지방 철도 사업을 국유화하여 외국에 판매함으로써 부채를 상환할 자금을 마련하고자 했다.[11][7][8] 1911년 5월, 성쉬안화이는 모든 지방 통제 철도 사업의 국유화를 명령하고, 중국 컨소시엄과 대출 계약을 체결했다.[11][10]
그러나 이러한 국유화 정책은 각 지방, 특히 철도 이권에 크게 의존하던 사천성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결국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3. 보로운동
청조의 철도 국유화 정책은 민중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전국적인 보로운동으로 확산되었다.
3. 1. 보로운동의 발발
청조의 철도국유화 정책은 발표 직후부터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우선, 내각이 의회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정책을 결정하고 통보한 것은 민주적 절차를 무시한 처사였다. 또한, 만주족이 독점한 내각이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려 한 것은 중국 민족주의 정서를 크게 자극했고, 이미 투자한 민간인들의 이권을 박탈하는 조치로서 입헌파, 혁명파를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의 불만을 샀다.[28]이러한 배경 속에서, '철도국유화'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민중들은 보로운동을 일으켰다. 호남성에서는 국유화 발표 이후 가장 먼저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장사에서는 1만여 명이 참가한 각 계층의 모임이 소집되어 '국유화 명령 철회'를 요구했다. 또한, 조세 저항, 상인들의 철시(撤市), 학생들의 동맹 휴학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했다.[29]
자의국에서도 호남순무 양문정에게 국유화 철회를 청조에 상주하도록 요구했다. 양문정 역시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청조에 상주했지만, 오히려 질책만 받았다. 이 소식은 군중을 더욱 격분시켜 보로운동을 확산시켰다. 호남에 이어 호북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나 시위 규모가 커졌다. 의창에서 만현까지 이미 철도 공사가 시작된 상황이었는데, 청조가 강제로 공사를 중지시키자 공사장의 노동자와 상인들이 모여 반대 시위를 벌였다. 청조는 군대를 동원해 강경 진압에 나섰다.[29]
무한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났다. 무한의 혁명당들은 대강보에 청조의 매국 행위를 폭로하는 글을 연재하여, 무한 지역 군중들에게 청조에 대한 기대와 환상을 버리도록 호소했다. 이를 통해 보로운동을 반청(反淸) 운동과 결합시켜 혁명으로 이끌고자 했다. 청조는 즉각 대강보를 폐간하고 관련자들을 체포했지만, 이는 오히려 무창봉기를 촉발시키는 도화선이 되었다.[29]
양광 지역에서는 양광총독 장명기의 위압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광동의 월한선 주식 소유자들이 만인대회를 개최하여 청조의 국유화 정책에 반대했다. 해외 화교들도 전보를 보내 보로운동을 격려했다. 장명기는 주주들을 위협하고 언론 보도를 통제하려 했지만, 민중의 저항을 막을 수는 없었다.[29]
쓰촨에서는 쓰촨-한커우 철도 사업에 대한 공공 지분이 가장 많았기 때문에 국유화에 대한 반대가 특히 거셌다. 투자자들은 은화 대신 정부 채권으로 부분적인 보상만 받게 되자 불만을 품었다.[13] 쓰촨에 제공된 보상 금액은 다른 성보다 훨씬 적었다.[11] 1911년 6월 17일, 푸 뎬쥔 등 쓰촨성 유력 인사들은 철도 보호 연맹을 조직하고 국유화 계획에 반대하는 공개 연설을 했다. 이들은 국유화 계획을 만주 조정에 의한 귀중한 경제 자산 압류이자, 지역 재산을 외국 통제 하에 두는 것으로 간주했다.[14]
8월 11일부터 13일까지, 10,000명이 넘는 시위대가 청두에서 국유화 반대 집회를 열고 학생과 상인들의 파업과 보이콧을 조직했다.[11] 9월 1일, 쓰촨-한커우 철도 회사는 주주 결의안을 채택하여 쓰촨 시민들에게 청 정부에 곡물세를 납부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9월 7일, 쓰촨 총독 자오얼펑은 푸 뎬쥔 등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회사를 폐쇄했다.[15] 격분한 시위대는 푸뎬쥔의 석방을 요구하며 청두의 총독 관저로 행진했고, 자오얼펑은 병사들에게 발포를 명령하여 수십 명의 시위대가 사망했다.("청두 혈참 사건")[16][15] 청두에서만 32명이 사망했다.[11]
이 유혈 사태는 시위를 더욱 격화시켰다.[17] 반청 정서를 가진 퉁멍회와 거라오회 등 지하 단체들은 청두 안팎에서 청군과 무력 충돌을 시작했다.[16] 9월 15일, 룽 현의 거라오회 수장 왕톈제는 동지군을 조직하고 청두로 진격하여 자오얼펑을 타도하겠다고 맹세했다. 쓰촨의 긴장이 고조되자 청 정부는 자오얼펑을 총독직에서 해임하고 투자자들에게 완전한 보상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지만,[18] 이미 10만 명에 달하는 무장 단체들이 쓰촨의 정부 당국을 압도하고 있었다.[19]
청나라는 후베이성 및 후난성 총독인 돤팡에게 후베이성 병력을 쓰촨성 지원에 투입하라고 명령했다. 후베이성과 후난성의 엘리트들은 쓰촨성 엘리트들만큼 분노하지는 않았지만,[20] 언론과 양성의 급진적 학생들은 현지 엘리트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난하며 쓰촨성 시위자들과 비교했다.[21]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양성의 대중적 분위기는 급진화되었고, 만주 왕조가 멸망하기를 바라는 '소망'으로 바뀌었다.[21]
결과적으로, 후베이성에서 신군 병력 동원은 그곳의 지하 혁명 단체들이 계획된 봉기를 서두르게 만들었다. 신군 병력의 차출은 우한의 방어를 약화시켰지만, 혁명가들에게 우호적인 군부대 일부도 앗아갔다.[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쓰촨성에서 싸우기 위해 청나라 군대를 중국 중부에서 차출한 것은 1911년 10월 10일에 시작된 우창 봉기가 성공한 주요 이유였다.[16]
신해혁명 발발 후, 쓰촨에서는 충성파와 혁명가들 간의 봉기와 충돌이 11월까지 계속되었다. 돤팡은 신군 부대의 반란으로 류이펑에게 살해되었다. 11월 14일, 자오얼펑은 푸뎬쥔을 감옥에서 석방하고 새로 설립된 쓰촨 대한 군정부에 권력을 넘겨주는 데 동의했다.[22] 11월 27일, 푸뎬쥔은 청나라로부터 쓰촨의 독립을 선포했다.[23] 자오얼펑은 이후 12월에 청두를 휩쓸었던 쿠데타를 조장한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12월 28일 혁명가들에 의해 처형되었다.[22],[23]
3. 2. 보로운동의 확산
호남성에 이어 호북성, 사천성, 광동성 등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났다.[29]- '''호북성''': 무한 지역의 혁명당들은 대강보(大江報)를 통해 청조의 매국 행위를 폭로하고, 보로운동을 반청 운동으로 발전시키려 했다. 청조는 즉각 대강보를 폐간하고 관련자들을 체포했으나, 이는 무창 봉기의 도화선이 되었다.[29]
- '''사천성''': 가장 격렬한 저항이 일어난 곳으로, 푸뎬쥔 등 유력 인사들이 철도 보호 연맹을 조직하고 대규모 시위를 주도했다.[14] 총독 자오얼펑의 강경 진압으로 '청두 혈참 사건'이 발생하고,[16] 수십 명의 시위대가 사망하면서 민중의 분노가 극에 달했다.[15] 지하 조직들은 무력 충돌을 일으키고, 거라오회 수장 왕톈제는 동지군을 조직하여 청두로 진격했다.[16]
- '''광동성''': 양광총독 장명기의 위압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29] 광동의 월한선 주식 소유자들이 만인 대회를 개최하여 국유화 정책에 반대했다. 해외 화교들도 보로운동을 지지했다.[29]
4. 신해혁명으로의 발전
청조의 철도국유화 정책은 여러 가지 이유로 민중의 커다란 반발을 불러왔다. 우선, 내각이 의회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을 내리고 통보함으로써 민주적 절차를 무시했다는 점이 문제였다. 또한, 만주족이 독점한 내각이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려 한 것은 중국 민족주의 정서를 크게 자극했다. 게다가 이미 투자한 민간인들의 이권을 박탈하는 조치였기 때문에 입헌파와 혁명파 모두에게 큰 불만을 샀다.[28]
이러한 불만은 전국 각지에서 보로운동으로 이어졌다. 호남성 장사에서는 1만여 명이 모여 국유화 명령 철회를 요구하고, 상인들은 철시(撤市), 학생들은 동맹휴학(同盟休學)으로 조세에 항거하며 '청조에 대항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났다.[29] 자의국 역시 호남순무(湖南巡撫) 양문정에게 철회를 요구했으나, 양문정은 오히려 중앙 정부로부터 질책을 받았다. 이 소식은 군중을 더욱 격분시켜 보로운동을 확산시켰다.[29]
호북성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났고, 의창에서 만현까지 이미 시작된 철도 공사가 강제 중단되자 노동자와 상인들이 시위를 벌였다. 청조는 군대를 동원해 강경 진압에 나섰다.[29]
양광 지역에서는 양광총독 장명기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광동의 월한선 주식 소유자들이 만인대회를 개최하고 해외 화교들도 전보를 보내 보로운동을 지지했다. 장명기는 주주들을 위협하고 언론 보도를 통제하려 했다.[29]
특히 쓰촨성의 반발이 거셌는데, 쓰촨-한커우 철도 사업에 대한 투자 규모가 가장 컸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정부가 은화 대신 채권으로 보상하려는 것에 분노했고,[13] 쓰촨에 제공된 금액은 다른 성보다 훨씬 적었다.[11] 푸뎬쥔 등은 철도 보호 연맹을 조직하고 공개적으로 반대 연설을 했다.[14]
4. 1. 보로운동과 혁명 세력의 연계
청조의 철도국유화 정책에 대한 민중의 불만은 보로운동으로 이어졌고, 이는 혁명 세력에게 반청(反淸) 혁명의 기회를 제공했다. 혁명파는 민중의 불만을 조직하고 무장 투쟁을 준비하는 데 힘을 쏟았다.[29]무한(武漢)의 혁명당들은 대강보(大江報)를 통해 청조의 매국 행위를 폭로하고, 보로운동을 반청 운동으로 발전시키려 했다. 비록 대강보는 폐간되고 관련자들이 체포되었지만, 이는 오히려 무창기의를 촉발시키는 도화선이 되었다.[29]
쓰촨에서는 퉁멍회와 거라오회 등 지하 조직들이 청군과 무력 충돌을 벌이며 혁명 분위기를 고조시켰다.[16] 특히, 룽 현의 거라오회 수장 왕톈제는 동지군을 조직하여 청두로 진격하기도 했다.[18] 이러한 상황은 신해혁명의 첫 주요 전투 중 하나로 이어졌고, 청나라 군대가 중국 중부에서 쓰촨으로 이동하면서 우창 봉기의 성공에 기여했다.[16]
4. 2. 우창 봉기
1911년, 청나라 정부는 철도 국유화 정책을 발표했는데, 이는 민간이 투자한 철도 이권을 빼앗는 조치였다. 특히 쓰촨성에서는 이 정책에 대한 반발이 거셌다. 쓰촨-한커우 철도 사업에 많은 투자를 한 쓰촨성 주민들은 정부가 은화 대신 채권으로 보상하려는 것에 분노했다.[13] 푸뎬쥔 등은 철도 보호 연맹을 조직하고 시위를 주도했다.[14]청두에서는 시위대에 대한 무력 진압으로 '청두 혈참 사건'이 발생하여 수십 명이 사망했다.[15][16] 이 사건은 시위를 더욱 격화시켰고, 퉁멍회와 거라오회 등은 청군과 무력 충돌을 벌였다.[16]
이러한 상황에서 청나라는 후베이성 및 후난성 총독인 돤팡에게 후베이성 병력을 쓰촨성으로 이동시켜 진압을 지원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후베이성과 후난성의 엘리트들은 쓰촨성만큼 분노하지 않았고, 언론과 학생들은 이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난했다.[20][21]
결과적으로, 후베이성에서 신군 병력 동원은 그곳의 지하 혁명 단체들이 봉기를 서두르게 만들었다. 신군 병력의 차출은 우한의 방어를 약화시켰지만, 혁명가들에게 우호적인 군부대 일부도 앗아갔다.[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쓰촨성에서 싸우기 위해 청나라 군대를 중국 중부에서 차출한 것은 1911년 10월 10일에 시작된 우창 봉기가 성공한 주요 이유였다.[16]
4. 3. 신해혁명의 발발과 청조의 몰락
청조의 철도국유화 정책은 민중들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내각이 의회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통보한 사항으로, 정부가 약속한 민주적인 절차를 무시한 것이었다. 또한 만주족이 독점한 내각이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려 했다는 점은 중국 민족주의 정서를 크게 자극했고, 이미 투자한 민간인들의 이권을 박탈하는 조치로 입헌파, 혁명파를 가리지 않고 민중들의 커다란 불만을 샀다.[28]이후 '철도국유화'가 해당되는 지역에서 민중들은 보로운동을 일으켰다. 국유화 발표 이후 호남성에서 가장 먼저 봉기가 일어나, '청조가 주권을 팔아먹는다'고 항의하며 장사에서 1만여 명이 참가한 각 계의 모임을 열고 '국유화 명령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조세에 항거하여 '청조에 대항하자'며 상인들은 철시하고 학생들은 동맹휴학을 단행했다.[29] 자의국에서도 호남순무 양문정에게 명령 철회를 청조에 상주하라고 요구했다. 양문정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청조에 상주했으나, 오히려 질책만 받았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군중은 더욱 격분하여 보로운동이 확산되었다. 호남에 이어 호북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나 시위 규모는 더욱 커졌다. 의창에서 만현까지 이미 철도 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청조는 공사를 강제로 중지시켜 공사장 노동자와 상인들이 모여 반대 시위를 벌였다. 청조는 군대까지 동원하여 강경 진압했다.[29]
무한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났다. 무한의 혁명당들은 긴밀히 연락하여 대강보에 청조의 매국행위를 폭로하는 글을 연재하여, 무한 지역 군중들에게 청조에 대한 기대와 환상을 버리도록 호소했다. 그리하여 보로운동을 반청(反淸)운동으로 결합시켜 혁명으로 이끌어 나가려고 하였다. 청조는 즉각 대강보를 폐간시키고 관련자들을 체포했다. 이에 청조의 만행을 규탄하고 대강보를 지지하는 성원, 위문 전보, 항의문이 사옥 벽마다 붙여져 무한의 보로운동은 무창봉기의 도화선이 되었다.[29]
양광 지역은 당시 양광총독 장명기가 위압적인 태도를 취했으나, 광동의 월한선 주식소유자가 만인대회를 개최하여 청조의 국유화 정책에 반대했다. 해외 화교들도 이 소식을 듣고 전보를 보내 보로운동을 격려했다. 장명기는 주주들을 위협하고 언론에 보로운동 소식을 일체 게재하지 못하게 하여 막으려 했다.[29]
국유화 명령은 중국 남부 전역, 특히 쓰촨에서 강력한 반대에 직면했는데, 쓰촨은 쓰촨-한커우 철도 사업에 가장 많은 공공 지분을 가지고 있었다. 투자자들은 은화 대신 정부 채권으로 부분적인 보상만 받게 되자 불만을 품었다.[13] 쓰촨에 제공된 금액은 다른 모든 성보다 훨씬 적었다.[11] 푸 뎬쥔과 쓰촨 성 의회의 다른 유력 인사들은 6월 17일에 철도 보호 연맹을 조직했으며, 이 계획에 반대하는 공개 연설을 했다. 이 계획은 만주 조정에 의한 귀중한 경제 자산의 압류이자 지역 재산을 외국 통제로 전환하는 것으로 널리 여겨졌다.[14]
5. 결론 및 역사적 의의
청나라 정부의 철도 국유화 정책은 근대화를 위한 노력이었지만, 민족주의 정서를 고려하지 않고 민주적인 절차를 무시한 채 강압적으로 추진되어 결국 실패로 끝났다. 특히 쓰촨성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직면했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은화 대신 정부 채권으로 부분적인 보상만 받게 되면서 불만이 커졌기 때문이다.[13] 쓰촨성에 제공된 보상금은 다른 성보다 훨씬 적었다.[11]
이에 푸 뎬쥔 등 쓰촨성의 유력 인사들은 1911년 6월 17일 철도 보호 연맹을 조직하고, 공개 연설을 통해 국유화 계획에 반대했다. 이들은 국유화 계획을 만주족 조정에 의한 경제 자산 압류이자, 지역 재산을 외국에 넘기는 행위로 간주했다.[14] 1911년 8월부터 청두에서 대규모 시위와 파업이 일어났고,[11] 9월에는 쓰촨-한커우 철도 회사가 청 정부에 세금 납부를 거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15] 쓰촨 총독 자오얼펑은 강경 진압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많은 시위대가 사망하는 '청두 혈참 사건'이 발생했다.[15][16]
이러한 유혈 진압은 오히려 시위를 더욱 격화시켰다.[17] 반청 정서를 가진 퉁멍회와 거라오회 등 비밀결사 단체들이 청군과 무력 충돌을 시작했다.[16] 1911년 9월 15일, 룽 현의 거라오회 수장 왕톈제는 동지군을 조직하고 청두로 진격했다.[18] 쓰촨성의 상황이 악화되자, 청 정부는 자오얼펑을 해임하고 투자자들에게 완전한 보상을 약속했지만, 이미 10만 명에 달하는 무장 단체가 쓰촨성의 정부 당국을 압도한 후였다.[19]
신해혁명의 첫 주요 전투 중 하나에서 자오얼펑의 신군은 청두 성문에서 거라오회 전투원들에게 발포하여 1,000명 이상을 죽였다.[16] 그러나 이 사건으로 인해 청 정부는 중국 중부에서 쓰촨으로 군대를 이동시켜야 했고, 이는 우창 봉기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16]
보로 운동은 단순한 이권 수호 운동을 넘어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신해혁명은 청나라를 멸망시키고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을 수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아이러니하게도, 보로 운동의 원인이었던 쓰촨-한커우 철도는 오랫동안 건설되지 못하다가, 1911년 사건이 발생한 지 100년이 지나서야 상하이-우한-청두 여객 전용선으로 완공되었다.
6. 추가 참고 사항
자오얼펑은 쓰촨 총독으로 재임하면서 푸뎬쥔 등 보로 운동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청두에서 발생한 시위대에 발포를 명령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다.[15] 이 사건은 "청두 혈참 사건"으로 알려져 있으며,[16] 보로 운동을 더욱 격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자오얼펑은 혁명군에 의해 처형되었다.[22][23]
푸뎬쥔은 쓰촨 성 의회의 유력 인사로, 철도 국유화에 반대하며 철도 보호 연맹을 조직하고 공개 연설을 주도했다.[14] 자오얼펑에게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후, 쓰촨의 독립을 선포하고 쓰촨 군정부의 수장이 되었다.[23]
신해혁명 이후, 보로 운동의 원인이었던 쓰촨-한커우 철도 건설은 오랫동안 중단되었다. 정치적 혼란, 전쟁, 자금 부족, 지형 문제 등이 원인이었다. 1955년에 건설된 청두-충칭 철도와 1979년에 완공된 샹양-충칭 철도가 청두와 우한을 연결했지만, 원래 계획했던 노선은 아니었다. 1세기 후, 상하이-우한-청두 여객 전용선의 일부 구간이 개통되면서 원래 계획의 일부가 실현되었다.[24][25]
참조
[1]
문서
Gao
[2]
문서
Gao
[3]
문서
Wu
[4]
문서
Gao
[5]
문서
Gao
[6]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 W. Norton & Company publishing
1990
[7]
서적
中國通史. 清
Intelligence press
2002
[8]
서적
中國歷史講堂 #6 民國
中華書局
2005
[9]
문서
Dillon
[10]
문서
Dillon
[11]
서적
Science and Football III, Volume 3
Taylor & Francis publishing
1997
[12]
서적
The History of Modern China: The Fall and Rise of a Great Power
2008
[13]
문서
Cambridge History Vol 11, Part 2
[14]
문서
Fogel & Zarrow
[15]
문서
Wu
[16]
서적
The Whites are Enemies of Heaven: Climate Caucasianism and Asian Ecological Protection
Duke University Press
2020
[17]
문서
Wu
[18]
문서
Cambridge History Vol 11, Part 2
[19]
문서
Cambridge History Vol 11, Part 2
[20]
서적
Reform and Revolution i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6
[21]
서적
Reform and Revolution in China: The 1911 Revolution in Hunan and Hube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6
[22]
문서
Guo
[23]
문서
Rhoads
[24]
뉴스
U.S. Backs China's Move to Reopen 1911 Railroad Bond Case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1983-08-19
[25]
판결문
Jackson v.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scholar.goog[...]
[26]
서적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
대명출판사
[27]
웹인용
먼나라이웃나라
https://web.archive.[...]
2011-03-17
[28]
웹인용
먼나라 이웃나라
https://web.archive.[...]
2011-03-17
[29]
서적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
대명출판사
[30]
서적
중국사(下)
대한교과서
[31]
서적
중국근현대사: 근대중국 개혁과 혁명)(상.하)
대명출판사
2004-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