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은 1912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제정된 한글 철자법으로, 보통학교 한국어 교과서의 한글 표기를 통일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철자법은 중세 한국어의 모음 'ㆍ'를 폐지하고, 일부 관습적인 표기법을 수정했으며, 받침 표기를 제한하는 등 몇 가지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된소리 표기, 부사 어미 표기, 장모음 표기 등과 함께 일본어 표기 규정도 포함하고 있다. 이 철자법은 1921년에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로 개정되었다.
1446년 조선에서 한글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반포된 이후, 한글 철자는 성문화된 맞춤법 없이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근대에 이르러 1907년 대한제국 학부에 국어 연구소가 설치되어 한국어 맞춤법을 정비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1910년 한일병합으로 그 작업은 조선총독부로 인계되었다.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은 그동안 한국어의 관습적 표기법을 정리하여 성문화한 것이다. 표기의 기본은 발음대로 적는 표음주의적 표기법이었으며, 서울 방언을 표준으로 삼는 것도 이때 정해졌다.[1]
2. 경위
조선총독부에서는 한일병합 후 보통학교의 한국어 교과서에 사용하는 한글 철자를 정리, 통일하기 위하여 철자법을 정하기로 했다. 이 작업에는 고쿠부 쇼타로(國分象太郞), 시오카와 이치타로(鹽川一太郞), 신조 준테이(新庄順貞),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강화석, 어윤적, 유길준, 현은 등이 위원을 맡았으며, 1911년 7월 28일부터 11월에 걸쳐 다섯 번 회의를 진행하여 1912년 4월에 철자법을 확정시켰다.
이 철자법은 그 후 1921년에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로서 개정된다.
3. 주요 내용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는 보통학교(초등 교육 기관)에서 사용할 한글 철자법을 정리하고 통일하기 위해 철자법 제정 작업을 시작했다. 1911년 7월부터 11월까지 5차례의 회의를 거쳐 1912년 4월에 철자법을 확정했다. 이 작업에는 국분상태랑, 시오카와 이치타로, 신조 준테이, 고바야시 토루, 강화석, 어윤적, 유길준, 현櫽한국어 등이 위원으로 참여했다.[1]
이 정서법은 1921년에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로 개정되었다.
3. 1. 아래아(ㆍ) 폐지
중세 한국어에 있었던 모음 ‘ㆍ’(아래아. 15세기의 추정 음가 [])는 16세기부터 그 음가를 잃기 시작하며 18세기 후반에는 한국어 음소로서 소멸되었다. 그러나 문자로서의 ‘ㆍ’는 그 후 20세기 초까지 관습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에서는 고유어의 표기에서 ‘ㆍ’를 폐지하고 실제 발음에 맞추어 ‘ㅏ’ 또는 ‘ㅡ’로 표기하기로 했다. 다만 한자음의 표기는 종전의 관습적 표기법을 따랐기 때문에 ‘ㆍ’가 유지되었다.
3. 2. 관습적 표기법의 일부 폐지
현실 발음에 맞추어 자음 자모와 모음 자모의 조합 중 몇몇을 바꿔 적기로 했다.
다만, 한자음의 표기는 종전의 관습적 표기법을 따랐기 때문에 이러한 표기법은 한자음 표기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3. 3. 받침 표기
받침 표기에는 한 글자 받침 'ㄱ, ㄴ, ㄹ, ㅁ, ㅂ, ㅅ, ㅇ'과 두 글자 받침 'ㄺ, ㄻ, ㄼ' 열 가지만 인정했다.1912년 철자법 현행 맞춤법 들어간다 들어간다 먹엇소 먹었소 붉은빗 붉은 빛
체언, 용언의 어간은 되도록 어미와 구별해서 적기로 되어 있지만 받침 글자가 열 가지밖에 없기 때문에 어간과 어미를 확실히 구분해서 적지는 못했다. 현행 맞춤법에서 'ㄷ, ㅈ, ㅌ, ㅄ'과 같이 적히는 것들은 아래와 같이 표기되어 형태소가 항상 동일하게 적히지 않았다.1912년 철자법 현행 맞춤법 엇고 ― 어덧다 얻고 ― 얻었다 젓고 ― 저젓다 젖고 ― 젖었다 갓흔 같은 놉흔 높은 갑슬 값을 밧글 밖을 빗츨 빛을
종성 표기에는 단종성 자음 ㄱ, ㄴ, ㄹ, ㅁ, ㅂ, ㅅ, ㅇ과 겹받침 ㄺ, ㄻ, ㄼ 10 종류만을 허용했다. 현행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과 비교했을 때 종성에 사용되는 자모가 적었다.
체언·용언의 어간은 가능한 한 어미와 구별하여 적도록 하였지만, 표기상 10 종류의 종성밖에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간과 어미의 분리는 매우 불완전했다. 현행 맞춤법에서 종성 ㄷ, ㅈ, ㅌ, ㅄ 등으로 표기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표기되었으며, 형태소가 반드시 일정하게 표시되지 않았다.
3. 4. 된소리 표기
된소리 표기는 ‘ㅺ, ㅼ, ㅽ, ㅾ’과 같이 왼쪽에 ‘ㅅ’을 덧붙이는 방법만 인정하고, ‘ㅂ’을 사용하는 ‘ㅳ, ㅄ’이나 현행 맞춤법처럼 동일 자모를 나란히 쓰는 방법은 인정되지 않았다.
3. 5. 기타
부사를 만드는 어미는 '-히'로만 적기로 했다.
1912년 철자법 | 현행 맞춤법 |
---|---|
놉히 | 높이 |
가벼히 | 가벼이 |
장모음을 표시할 때는 글자 왼쪽에 '・' 표를 붙였다.
3. 6. 일본어 표기 규정
일본어 표기를 위한 규정이 맨 마지막에 적혀 있다. ‘ス, ツ’를 ‘수, 두’로 적는 점이 현재와 다르다. 또 일본어 탁음(濁音)의 표기는 일본어 맞춤법을 따라 ‘가゛|가일본어’와 같이 한글 오른쪽 어깨에 탁점(濁點) ‘゛|일본어’ 표를 달았다.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에는 탁음 표기에 ‘ᅁ(ガ|가일본어행), ᅅ(ザ|자일본어행), ᅂ(ダ|다일본어행), ᅄ(バ|바일본어행)’과 같이 특수한 표기법을 사용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