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흐너 적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흐너 적분은 바나흐 공간 값 함수에 대한 적분으로, 일반적인 르베그 적분의 확장이다. 단순 함수의 보흐너 적분은 지시 함수의 선형 결합으로 정의되며, 보흐너 적분 가능 함수는 단순 함수열의 극한으로 정의된다. 보흐너 적분은 르베그 적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며, 지배 수렴 정리와 같은 정리가 성립한다. 보흐너 적분은 라돈-니코딤 성질과 관련이 있으며, 힐베르트 공간과 같은 반사 공간은 라돈-니코딤 성질을 갖는다. 보흐너 적분은 잘로몬 보흐너에 의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분 - 가우스 적분
    가우스 적분은 특정한 정적분의 값으로 정의되며, 확률론, 통계학, 물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정규분포와 관련된 계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적분 - 적분표
    적분표는 다양한 함수들의 부정적분과 정적분 예시를 모아 놓은 목록으로, 유리 함수, 무리 함수, 삼각 함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등 여러 함수와 닫힌 형식으로 표현되지 않는 함수의 정적분 값, 절댓값 함수, 곱으로 이루어진 함수를 포함하며, 마이어 히르슈의 적분 목록집에서 시작하여 그라드슈테인과 르지크의 표로 발전했다.
  • 함수해석학 - 섭동 이론
    섭동 이론은 정확히 풀리는 문제에 작은 변화가 있을 때 급수로 표현하여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으로, 초기 해에 보정항을 더하는 방식으로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섭동 형태와 적용 차수에 따라 구분된다.
  • 함수해석학 - 분포 (해석학)
    해석학에서 분포는 시험 함수 공간의 연속 쌍대 공간의 원소로 정의되며, 로랑 슈바르츠에 의해 정립되어 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다루는 데 유용하고 미분 불가능하거나 특이점을 갖는 함수를 포함한 다양한 함수를 다루는 데 효과적인 일반적인 함수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보흐너 적분
일반 정보
이름보흐너 적분
영어 이름Bochner integral
분야실해석학
유형적분
발명가살로몬 보흐너
발명 연도1933년
정의
설명단순 함수열의 극한으로 정의
특징
특징측도 공간에서 정의된 바나흐 공간 값 함수의 적분
실수 값 함수의 적분 개념을 확장
응용
응용 분야확률론, 편미분 방정식

2. 정의

\mathbb K\mathbb R(실수) 또는 \mathbb C(복소수)이고, \mathbb K-바나흐 공간 (V,\|\|_V)와 측도 공간 (X,\mathcal S,\mu)가 주어졌다고 하자. 보흐너 적분은 단순 함수를 통해 정의되며, 르베그 적분과 유사한 방식으로 확장된다.

먼저, 단순 함수는 다음과 같은 유한 합으로 정의된다.

:s(x) = \sum_{i=1}^n \chi_{E_i}(x) b_i

여기서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 E_i\sigma-대수 \Sigma의 서로소인 원소
  • b_iB의 서로 다른 원소
  • \chi_{E_i}E_i지시 함수


만약 b_i \neq 0일 때마다 \mu(E_i)가 유한하면, 이 단순 함수는 적분 가능하며, 적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int_X \left[\sum_{i=1}^n \chi_{E_i}(x) b_i\right] d\mu = \sum_{i=1}^n \mu(E_i) b_i

이는 일반적인 르베그 적분과 동일하다.

2. 1. 단순 함수

측도 공간 (X,\mathcal S,\mu)에서 바나흐 공간 (V,\|\|_V)로 가는 '''단순 함수''' f\colon X\to V는 유한 개의 지시 함수들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되며, 다음과 같은 꼴이다.

:f=\sum_{i=1}^kv_i\chi_{S_i}

여기서 각 변수는 다음을 의미한다.

  • v_1,\dotsc,v_k\in V
  • S_1,\dotsc,S_k\in\mathcal S
  • k\in\mathbb N
  • \chi지시 함수

2. 2. 보흐너 적분 가능 함수

보흐너 적분 가능 함수는 단순 함수열의 극한으로 표현될 수 있는 함수이다. f\colon X\to V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하는 단순 함수열 (f_i)_{i\in\mathbb N}이 존재하면, f를 '''보흐너 적분 가능 함수'''라고 한다.

:\lim_{i\to\infty}\int_X\|f-f_i\|_V\,\mathrm d\mu=0

여기서 좌변의 적분은 실수 값의 르베그 적분이다.

측정 가능한 함수 f : X \to B는 적분 가능한 단순 함수의 수열 s_n이 존재하여 위와 같은 식을 만족하면 보흐너 적분 가능하다.

2. 3. 보흐너 적분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가정한다.

  • \mathbb K\in\{\mathbb R,\mathbb C\}
  • \mathbb K- 바나흐 공간 (V,\|\|_V)
  • 측도 공간 (X,\mathcal S,\mu)


이때, X\to V '''단순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함수 f\colon X\to V이다.

:f=\sum_{i=1}^kv_i\chi_{S_i}

:v_1,\dotsc,v_k\in V

:S_1,\dotsc,S_k\in\mathcal S

:k\in\mathbb N

(여기서 \chi지시 함수이다.)

단순 함수의 '''보흐너 적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nt_X \left(\sum_{i=1}^kv_i\chi_{S_i}\right)\,\mathrm d\mu=\sum_{i=1}^kv_i\mu(S_i)\in V

임의의 함수 f\colon X\to V에 대해, 만약 다음 좌변이 존재하고 다음 등식을 만족하는 단순 함수열 (f_i)_{i\in\mathbb N}이 있다면, f를 '''보흐너 적분 가능 함수'''라고 정의한다.

:\lim_{i\to\infty}\int_X\|f-f_i\|_V\,\mathrm d\mu=0

여기서 좌변의 적분은 실수 값의 르베그 적분이다.

이 경우, 보흐너 적분 가능 함수 f의 '''보흐너 적분'''은 다음과 같다.

:\int_Xf\,\mathrm d\mu=\lim_{i\to\infty}\int_X f_i\,\mathrm d\mu

여기서 우변의 극한은 노름 거리 위상에 대한 것이다.

측정 가능한 함수 f : X \to B가 보흐너 적분 가능하려면, 적분 가능한 단순 함수의 수열 s_n이 존재하여 위 식을 만족해야 한다. 이때 보흐너 적분은 위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열 \left\{\int_Xs_n\,d\mu \right\}_{n=1}^{\infty} 가 바나흐 공간 B 에서 코시 수열임이 증명 가능하며, 따라서 우변의 극한은 존재한다. 또한, 극한은 단순 함수 \{s_n\}_{n=1}^{\infty}의 근사 수열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러한 언급은 적분이 잘 정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함수가 보흐너 적분 가능하려면 함수가 보흐너 공간 L^1에 속해야 한다.

2. 4. 보흐너 공간

X\to V 보흐너 적분 가능 함수들의 \mathbb K-벡터 공간\mathcal L^1(X;V)라고 하자. 그 위에 반노름

:\|f\|=\int_X\|f\|_V\,\mathrm d\mu

을 줄 수 있다. 이 반노름이 0인 원소들의 부분 벡터 공간에 대한 몫

:\operatorname L^1(X;V)=\frac{\mathcal L^1(X;V)}{\{f\in \mathcal L^1(X;V)\colon \mu(\{x\in X\colon f(x)\ne0\})=0\}}

을 1-'''보흐너 공간'''(Bochner space영어)이라고 한다. 어떤 함수가 보흐너 적분 가능하려면 그 함수는 보흐너 공간 L^1에 속해야 한다.

3. 성질

보흐너 적분은 르베그 적분의 여러 성질들을 만족한다.

보흐너 가적분 판정 조건에 따르면, (''X'', Σ, μ)가 유한 측도 공간일 때, 보흐너 가측 함수 ƒ: ''X'' → ''B''가 보흐너 가적분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다음과 같다.

:\int_X \|f\|_B\, d\mu < \infty

여기서 함수 ƒ: ''X'' → ''B''가 보흐너 가측이라는 것은 μ에 관해서 거의 모든 곳에서 단순 함수열의 극한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ƒ가 보흐너 가적분이면 임의의 ''E'' ∈ Σ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left\|\int_Ef\,d\mu\right\|_B \le \int_E \|f\|_B\,d\mu

이때 집합 함수

:E\mapsto \int_E f\, d\mu

는 μ에 관해 절대 연속인 ''X'' 위의 가산 가법적 ''B''-값 벡터 측도를 정의한다.

3. 1. 기본 성질

보흐너 적분은 르베그 적분과 유사한 여러 성질을 가진다. 특히, 보흐너 적분 가능성에 대한 보흐너의 기준이 유용하다. 이 기준에 따르면, (X, \Sigma, \mu)가 측도 공간일 때, 보흐너 가측 함수 f \colon X \to B가 보흐너 적분 가능할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int_X \|f\|_B\, \mathrm{d} \mu < \infty.

함수 f \colon X \to B\mu-거의 어디에서나 B의 분리 가능한 부분 공간 B_0의 값을 갖는 함수 g와 같고, B의 모든 열린 집합 U의 역상 g^{-1}(U)\Sigma에 속하면, 이 함수를 '''보흐너 가측'''이라고 한다. 이는 f가 가산 값을 갖는 단순 함수의 수열의 \mu-거의 어디에서나의 극한이라는 것과 동등하다.

보흐너 적분은 지배 수렴 정리도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f_n \colon X \to B가 완비 측도 공간 위의 가측 함수열이고 거의 모든 곳에서 f로 수렴하며, 거의 모든 x \in X에서 \|f_n(x)\|_B \le g(x)를 만족하는 g \in 르베그 공간|L^1(\mu))가 존재한다면, n \to \infty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int_X \|f-f_n\|_B\,d\mu \to 0

또한, 임의의 E \in \Sigma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int_E f_n\,d\mu \to \int_E f\,d\mu

f가 보흐너 가적분이면, 임의의 E \in \Sigma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left\|\int_Ef\,d\mu\right\|_B \le \int_E \|f\|_B\,d\mu

특히, 집합 함수

:E\mapsto \int_E f\, d\mu

\mu에 관해 절대 연속인 X 위의 가산 가법적 B-값 벡터 측도를 정의한다.

3. 2. 선형 연산자

만약 T \colon B \to B'바나흐 공간 BB' 사이의 연속 선형 연산자이고, f \colon X \to B가 보흐너 적분 가능하면, T f \colon X \to B'도 보흐너 적분 가능하며 모든 가측 부분 집합 E \in \Sigma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int_E T f \, \mathrm{d} \mu = T \int_E f \, \mathrm{d} \mu

이는 적분과 T의 적용을 서로 바꿀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결과의 더 강한 형태는 '''힐의 정리'''라고 불리며, 닫힌 연산자에도 성립한다.[1] 만약 T \colon B \to B'가 바나흐 공간 BB' 사이의 닫힌 선형 연산자이고, f \colon X \to BT f \colon X \to B'가 모두 보흐너 적분 가능하면, 모든 가측 부분 집합 E \in \Sigma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int_E T f \, \mathrm{d} \mu = T \int_E f \, \mathrm{d} \mu

3. 3. 지배 수렴 정리

지배 수렴 정리의 한 버전은 보흐너 적분에도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f_n \colon X \to B가 완비 측도 공간에서 거의 모든 곳에서 극한 함수 f로 수렴하는 가측 함수의 수열이고, 거의 모든 x \in X에 대해

\|f_n(x)\|_B \leq g(x)

이며, g \in L^1(\mu)일 때,

\int_E \|f-f_n\|_B \, \mathrm{d} \mu \to 0

(n \to \infty일때) 이고,

\int_E f_n\, \mathrm{d} \mu \to \int_E f \, \mathrm{d} \mu

(모든 E \in \Sigma에 대해) 가 성립한다.

4. 라돈-니코딤 성질

보흐너 적분에서는 일반적인 경우 라돈-니코딤 정리가 성립하지 않는다. 대신, "좋은" 바나흐 공간을 정의하는 '''라돈-니코딤 성질'''이 사용된다.[2]

\mu(X, \Sigma) 위의 측도일 때, 전변동이 유계이고 \mu에 대해 절대 연속인 B 값을 갖는 모든 가산 가법 벡터 측도 \gamma에 대해, 모든 가측 집합 E \in \Sigma에서 \mu-적분 가능한 함수 g : X \to B가 존재하여 다음이 성립하면 \mu에 대해 라돈-니코딤 성질을 가진다고 한다.

:\gamma(E) = \int_E g\, d\mu [2]

바나흐 공간 B가 모든 유한 측도에 대해 라돈-니코딤 성질을 가지면 라돈-니코딤 성질을 갖는다고 한다.[2] 바나흐 공간이 라돈-니코딤 성질을 가질 때, 보흐너 적분에 대한 라돈-니코딤 정리가 성립한다.

라돈-니코딤 성질의 동치 표현은 다음과 같다.[3][4]


  • B에서 유계인 이산 시간 마팅게일은 거의 확실하게 수렴한다.
  • B로의 유계 변동 함수는 거의 모든 곳에서 미분 가능하다.
  • 모든 유계 D\subseteq B에 대해, f\in B^*\delta\in\mathbb{R}^+가 존재하여 \{x:f(x)+\delta>\sup{f(D)}\}\subseteq D는 임의로 작은 지름을 갖는다.

4. 1. 라돈-니코딤 성질을 갖는 공간

\ell_1 공간은 라돈-니코딤 성질을 갖지만, c_0\Omega\R^n의 열린 유계 부분 집합인 경우 L^{\infty}(\Omega), L^1(\Omega), 공간, 그리고 K가 무한 컴팩트 공간인 경우 C(K)는 그렇지 않다.[5] 라돈-니코딤 성질을 갖는 공간으로는 분리 가능한 쌍대 공간(이는 던포드-패티스 정리이다)과 반사 공간이 있으며, 여기에는 특히 힐베르트 공간이 포함된다.[2]

4. 2. 라돈-니코딤 성질을 갖지 않는 공간

\ell_1 공간은 라돈-니코딤 성질을 가지지만, c_0 공간, \Omega\R^n의 열린 유계 부분 집합인 경우 L^{\infty}(\Omega), L^1(\Omega) 공간, 그리고 K가 무한 컴팩트 공간인 경우 C(K)는 라돈-니코딤 성질을 갖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라돈-니코딤 성질을 가진 공간으로는 분리 가능한 쌍대 공간(이는 던포드-패티스 정리이다)과 반사 공간이 있으며, 여기에는 특히 힐베르트 공간이 포함된다.[2]

5. 예

만약 V=\mathbb K (실수 또는 복소수)일 경우, V값의 보흐너 적분은 르베그 적분과 같다.

6. 역사

잘로몬 보흐너가 도입하였다.[7]

참조

[1] 서적 Vector Measure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 논문 The Radon–Nikodym Theorem for Reflexive Banach Spaces http://www.emis.de/j[...]
[3] 간행물
[4] 간행물 "Early workers in this field were concerned with the Banach space property that each {{mvar|X}}-valued function of bounded variation on {{closed-closed|0,1}} be differentiable almost surely. It turns out that this property (known as the Gelfand-Fréchet property) is also equivalent to the RNP [Radon-Nikodym Property]."
[5] 간행물
[6] 논문 The Radon-Nikodym Theorem for Reflexive Banach Spaces http://www.emis.de/j[...]
[7] 논문 Integration von Funktionen, deren Werte die Elemente eines Vektorraumes sind http://matwbn.icm.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