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베그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베그 공간은 측도 공간과 확장된 실수를 사용하여 정의되는 위상 벡터 공간으로, p 값에 따라 정의가 달라진다. 르베그 공간은 르베그 적분 가능한 가측 함수들의 공간으로 정의되며, p 제곱의 절댓값의 적분이 르베그 적분 가능한 함수들을 다룬다. 르베그 공간은 0 < p < ∞인 경우 p-노름이 유한한 가측 함수들의 동치류로 구성되며, p = ∞인 경우 본질적으로 유계인 가측 함수들의 동치류로 구성된다. 르베그 공간은 바나흐 공간이며, p=2인 경우 힐베르트 공간이 된다. 르베그 공간은 통계학, 푸리에 변환,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며, 약한 L^p 공간, 가중 L^p 공간, 벡터 값 L^p 공간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나흐 공간 - 하디의 부등식
하디 부등식은 수열과 함수의 적분 형태에 대한 부등식으로, 횔더 부등식과 변수 치환, 민코프스키 부등식을 사용하여 증명되며, 다차원 공간 및 소볼레프 공간으로 확장된다. - 바나흐 공간 - 수렴 수열 공간
수렴 수열 공간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에서 수렴하는 수열들의 집합에 상한 노름을 부여하여 정의되는 바나흐 공간이며, 0으로 수렴하는 수열들의 부분 공간인 영 수렴 수열 공간은 수렴 수열 공간의 닫힌 부분 공간이고, 이들의 연속 쌍대 공간은 르베그 공간 과 동형이다. - 급수 - 테일러 급수
테일러 급수는 매끄러운 함수를 무한 멱급수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함수의 미분 계수를 사용하여 함수를 근사하며, a=0일 때의 테일러 급수를 매클로린 급수라고 한다. - 급수 - 멱급수
멱급수는 실수 또는 복소수 체에서 정의되며, 수렴 영역과 반지름을 가지며 미분, 적분, 사칙연산이 가능하고 해석 함수와 관련되어 상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활용된다. - 측도론 - 디랙 델타 함수
디랙 델타 함수는 원점에서 무한대 값을 갖고 그 외 지점에서 0의 값을 갖는 수학적 개념으로, 분포 또는 측도로 정의되며, 순간적인 충격이나 점 형태 현상 모델링에 활용되고 푸리에 변환, 스케일링, 평행 이동 등의 성질을 가진다. - 측도론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함수는 특정 조건의 상수 와 를 사용하여 와 같은 무한 급수 형태로 정의되며 모든 점에서 연속이지만 어느 곳에서도 미분 불가능한 자기 유사성을 지닌 최초로 연구된 프랙탈 중 하나이다.
르베그 공간 | |
---|---|
개요 | |
분야 | 함수해석학, 실해석학 |
정의 | 가측 함수 공간 |
관련 항목 | 르베그 적분, 함수 공간, 바나흐 공간, 힐베르트 공간 |
정의 | |
기본 개념 | 측도 공간 (측도 μ가 정의된 집합 X) 가측 함수 (X에서 복소수체로 가는 함수 f) |
Lp 공간 | ||f||p = (∫X |f|p dμ)1/p < ∞ 를 만족하는 가측 함수 f들의 집합 |
p = ∞ 인 경우 | ||f||∞ = ess sup |f| (essential supremum) |
놈 | ||f||p 는 Lp 공간의 놈을 정의함 |
성질 | |
완비성 | Lp 공간은 완비 공간 (바나흐 공간)임 |
힐베르트 공간 | p = 2일 때, L2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임 (내적은 ⟨f, g⟩ = ∫X f(x)g(x) dμ(x) 로 정의) |
포함 관계 | 일반적으로 Lp 공간들 사이에는 포함 관계가 성립하지 않음. 단, 유한 측도 공간에서는 p < q 이면 Lq ⊂ Lp 임 |
조밀성 | Lp 공간에서, 단순 함수들의 집합은 조밀함 |
응용 | |
확률론 | 확률 변수의 기댓값, 분산 등을 다루는 데 사용됨 |
푸리에 해석 | 함수의 푸리에 변환, 역변환 등을 다루는 데 사용됨 |
편미분 방정식 | 해의 존재성, 유일성 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됨 |
참고 문헌 |
2. 정의
측도 공간 와 인 확장된 실수가 주어졌을 때, 르베그 공간은 p-노름이 유한한 가측 함수들의 동치류로 구성된 벡터 공간이다.
4. 예
로 정의되는 함수
4. 1. 유한 집합
:
이다. 즉, 이 경우 르베그 공간은
노름 | |
---|---|
\>f\|_p=\sqrt[p]{\sum_{x\in X}|f(x)|^p} | |
\>f\|_\infty=\max_{x\in X}|f(x)| |
만약
일반적으로
집합
4. 2. 수열 공간
자연수한국어 집합 위에 셈측도를 부여한 경우, 르베그 공간은 $\ell^p$ 공간이 된다.[13] $1 \leq p \leq \infty$일 때, $\ell^p$ 공간은 $L^p$ 공간의 특수한 경우이며, 이때 $S$는 자연수 $\mathbb{N}$이고 $\mu$는 계수 측도이다.$\ell^p$ 공간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경우를 포함한다.
수열 공간은 덧셈 및 스칼라 곱을 좌표별로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벡터 공간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x = (x_1, x_2, \dotsc, x_n, x_{n+1}, \dotsc)=(x_n)$를 실수 또는 복소수의 무한 수열이라고 할 때, 벡터의 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x_n)+(y_n):=(x_n+y_n)$ (즉, $(x_1, x_2, \dotsc, x_n, x_{n+1},\dotsc)+(y_1, y_2, \dotsc, y_n, y_{n+1},\dotsc):=(x_1+y_1, x_2+y_2, \dotsc, x_n+y_n, x_{n+1}+y_{n+1},\dotsc)$)
스칼라 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ambda(x_n):=(\lambda x_n)$ (즉, $\lambda(x_1, x_2, \dotsc, x_n, x_{n+1},\dotsc) := (\lambda x_1, \lambda x_2, \dotsc, \lambda x_n, \lambda x_{n+1},\dotsc)$)
$p$-노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x\|_p := \left(|x_1|^p + |x_2|^p + \dotsb+|x_n|^p + |x_{n+1}|^p + \dotsb\right)^{1/p}$
여기서 우변의 급수는 반드시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만으로 구성된 열 (1, 1, 1, …)의 $p$-노름(길이)은 모든 유한한 $p$ ≥ 1에 대해 무한대가 된다. 이를 감안하여, 공간 ℓ$p$는 $p$-노름이 유한한 실수 또는 복소수의 무한 수열 전체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p$가 증가함에 따라 ℓ$p$ 집합은 커진다. 예를 들어, 수열 $(1, \frac{1}{2}, \dotsc, \frac{1}{n}, \frac{1}{n+1},\dotsc)$는 ℓ1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p$ > 1인 ℓ$p$에는 포함된다. 왜냐하면 급수 $1^p + \frac{1}{2^p} + \dotsb + \frac{1}{n^p} + \frac{1}{(n+1)^p}+\dotsb$는 $p$ = 1 (조화 급수)일 때는 발산하지만, $p$ > 1일 때는 수렴하기 때문이다.
∞-노름은 상한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x\|_\infty:=\sup\{|x_1|, |x_2|, \dotsc, |x_n|,|x_{n+1}|, \dotsc\}.$
그리고 대응하는 유계 수열의 공간 ℓ∞도 정의할 수 있다.[13]
$\|x\|_\infty = \lim_{p\to\infty}\|x\|_p$는 우변이 유한하거나 좌변이 무한할 때 성립한다. 따라서 1 ≤ $p$ ≤ ∞에 대해 ℓ$p$ 공간을 고려할 수 있다.
ℓ$p$에 대해 정의된 $p$-노름은 실제로 노름이며, 이 노름에서 ℓ$p$는 바나흐 공간이 된다.
$X=\mathbb N$일 때, $p$ 값에 따른 수열 르베그 공간 $\ell^p(\mathbb K)$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p$의 범위 | $\ell^p(\mathbb K)$의 성질 |
---|---|
$0\le p<1$ | $\mathbb K$-위상 벡터 공간 ($\mathbb K$-국소 볼록 공간이 아님) |
$1\le p<2$ | $\mathbb K$-바나흐 공간 |
$p=2$ | 분해 가능 $\mathbb K$-힐베르트 공간 |
$2 | $\mathbb K$-바나흐 공간 |
4. 3. 디랙 측도
집합:
1&S\ni x_0\\
0&S\not\ni x_0
\end{cases}
이 경우,
:
:
즉, 이 측도를 이용하면 르베그 공간은 실수 또는 복소수 공간과 동형이 된다.
5. 응용
L^p영어 공간은 수학 및 그 응용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5. 1. 통계학
통계학에서 평균, 중앙값, 표준 편차와 같은 중심 경향이나 통계적 변동성의 척도는 ''L''''p'' 거리에 관해 정의된다. 그리고 중심 경향의 척도는 변분 문제의 해로 특징지어진다.[11]5. 2. 하우스도르프-영 부등식
푸리에 변환(또는 주기 함수의 경우 푸리에 급수)은 1 ≤ p ≤ 2이고 $\frac{1}{p} + \frac{1}{q} = 1$을 만족하는 p, q에 대해 $L^p(\mathbb{R})$를 $L^q(\mathbb{R})$로 (또는 $L^p(\mathbf{T})$를 $\ell^q$로) 사상한다. 이는 리스-소린 정리의 결과이며, 하우스도르프-영 부등식으로 구체화된다.반대로, p > 2인 경우, 푸리에 변환은 $L^q$로 사상되지 않는다.
5. 3. 힐베르트 공간
힐베르트 공간은 양자역학에서 확률 미적분에 이르기까지 많은 응용 분야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L^2$ 공간과 $\ell^2$ 공간은 모두 힐베르트 공간이다. 실제로 힐베르트 기저 $E$ ($L^2$ 또는 임의의 힐베르트 공간의 최대 정규 직교 부분 집합)를 선택하면, 모든 힐베르트 공간이 $\ell^2(E)$ (위와 동일한 $E$)와 등거리적 동형임을 알 수 있다. 즉, $\ell^2$ 타입의 힐베르트 공간이다.$p = 2$일 때, $\ell^2$ 공간처럼 $L^2$ 공간은 그 종류 중 단 하나의 힐베르트 공간이 된다. 복소수의 경우 $L^2$ 상의 내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angle f, g \rangle = \int_S f(x) \overline{g(x)} \, \mathrm{d}\mu(x)$
이 부가적인 내적 구조는 더욱 풍부한 이론을 제공하며, 푸리에 해석이나 양자역학 등에 응용되는 사례가 존재한다. $L^2$에 속하는 함수는 종종 '''제곱 가적분 함수''', '''자승 가적분 함수''' 또는 '''제곱 총합 가능 함수''' 등으로 불린다.
6. 확장
측도 공간 $(S, \Sigma, \mu)$가 주어졌을 때, $1 \leq p < \infty$인 경우 $L^p$ 공간을 확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약한 $L^p$ 공간 (Weak $L^p$ Spaces): 함수 $f$의 분포 함수를 이용해 정의한다. 마르신키에비츠 보간 정리처럼 조화해석, 특이 적분 연구에 쓰인다.
- 가중 $L^p$ 공간 (Weighted $L^p$ Spaces): 가측 함수 $w$를 사용해 정의하며, Muckenhoupt 정리 등 조화 해석의 주요 결과를 나타내는 틀을 제공한다.
- 다양체 위의 $L^p$ 공간 ($L^p$ Spaces on Manifolds): 밀도를 이용해 정의하며, 다양체의 '''내재적 $L^p$ 공간'''이라고 부른다.
- 벡터 값 $L^p$ 공간 (Vector-valued $L^p$ Spaces): 함수가 완비 국소 볼록 공간 $E$의 값을 가지는 경우로 확장한다. Bochner 적분 가능 함수, Pettis 적분 가능 함수, 또는 $L^p$ 공간과 $E$의 위상적 텐서 곱을 이용해 정의할 수 있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E$가 핵 공간일 때 이 공간들이 서로 동형임을 보였다.
6. 1. 약한 $L^p$ 공간
측도 공간 $(S, \Sigma, \mu)$와 $S$에서 정의된 가측 함수 $f$가 주어졌을 때, $f$의 분포 함수는 $t \geq 0$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lambda_f(t) = \mu(\{x \in S : |f(x)| > t\})$
만약 $f$가 $1 \leq p < \infty$인 어떤 $p$에 대해 $L^p(S, \mu)$에 속한다면, 마르코프 부등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lambda_f(t) \leq \frac{\|f\|_p^p}{t^p}$
함수 $f$가 '''약 $L^p(S, \mu)$''' 공간 또는 $L^{p,w}(S, \mu)$에 속한다는 것은, 모든 $t > 0$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상수 $C > 0$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lambda_f(t) \leq \frac{C^p}{t^p}$
이 부등식을 만족하는 최적의 상수 $C$는 $f$의 $L^{p,w}$-노름이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f\|_{p,w} = \sup_{t > 0} ~ t \lambda_f^{1/p}(t)$
약 $L^p$ 공간은 로렌츠 공간 $L^{p,\infty}$와 일치하므로, $L^{p,\infty}$ 표기법도 사용된다.
$L^{p,w}$-노름은 삼각 부등식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진정한 노름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p(S, \mu)$에 속하는 $f$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f\|_{p,w} \leq \|f\|_p$
특히, $L^p(S, \mu) \subset L^{p,w}(S, \mu)$이다.
$L^{p,w}$-공간을 이용한 주요 결과 중 하나는 마르신키에비츠 보간 정리이며, 이는 조화해석과 특이 적분 연구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6. 2. 가중 $L^p$ 공간
측도 공간 $(S, \Sigma, \mu)$가 주어졌을 때, $w : S \to [a, \infty), a > 0$인 가측 함수 $w$를 생각하자. $w$ - '''가중 $L^p$ 공간'''은 $L^p(S, w \, \mathrm{d} \mu)$로 정의되며, 여기서 $w \, \mathrm{d} \mu$는 다음으로 정의된 측도 $\nu$를 의미한다.$\nu(A) \equiv \int_A w(x) \, \mathrm{d} \mu (x), \qquad A \in \Sigma$
또는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사용하면 $w = \tfrac{\mathrm{d} \nu}{\mathrm{d} \mu}$이다. $L^p(S, w \, \mathrm{d} \mu)$에 대한 노름은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u\|_{L^p(S, w \, \mathrm{d} \mu)} \equiv \left(\int_S w(x) |u(x)|^p \, \mathrm{d} \mu(x)\right)^{1/p}$
$L^p$ 공간으로서, 가중 공간은 $L^p(S, w \, \mathrm{d} \mu)$가 $L^p(S, \mathrm{d} \nu)$와 같기 때문에 특별한 점이 없다. 그러나 이들은 조화 해석에서 몇 가지 결과에 대한 자연스러운 틀을 제공한다.[3] 예를 들어, Muckenhoupt 정리에서 나타난다. $1 < p < \infty$에 대해, 고전적인 힐베르트 변환은 $L^p(\mathbf{T}, \lambda)$에서 정의되며, 여기서 $\mathbf{T}$는 단위 원을 나타내고 $\lambda$는 르베그 측도를 나타낸다. (비선형) 하디-리틀우드 최대 작용소는 $L^p(\Reals^n, \lambda)$에서 유계이다. Muckenhoupt의 정리는 힐베르트 변환이 $L^p(\mathbf{T}, w \, \mathrm{d} \lambda)$에서 유계로 유지되고 최대 작용소가 $L^p(\Reals^n, w \, \mathrm{d} \lambda)$에서 유계로 유지되도록 하는 가중치 $w$를 설명한다.
6. 3. 다양체 위의 $L^p$ 공간
다양체 위에도 밀도를 사용하여 $$L^p$$ 공간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다양체의 '''내재적 $$L^p$$ 공간'''이라고 부른다.6. 4. 벡터 값 $L^p$ 공간
함수가 벡터 값을 갖는 경우로 $L^p$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주어진 측도 공간 $(\Omega, \Sigma, \mu)$와 완비 국소 볼록 공간 $E$가 주어졌을 때, $\Omega$에 대한 $p$차 적분 가능한 $E$ 값 함수 공간은 여러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한 가지 방법은 Bochner 적분 가능 및 Pettis 적분 가능 함수 공간을 정의하고, 일반적인 $L^p$ 위상의 자연스러운 일반화인 국소 볼록 TVS-위상을 부여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L^p(\Omega, \Sigma, \mu)$와 $E$의 위상적 텐서 곱을 포함한다. 벡터 공간 $L^p(\Omega, \Sigma, \mu) \otimes E$의 원소는 단순 텐서의 유한 합 $f_1 \otimes e_1 + \cdots + f_n \otimes e_n$이며, 각 단순 텐서 $f \times e$는 $x \mapsto e f(x)$를 보내는 함수 $\Omega \to E$로 식별될 수 있다. 이 텐서 곱 $L^p(\Omega, \Sigma, \mu) \otimes E$는 국소 볼록 위상을 부여받아 위상적 텐서 곱으로 변환되며, 가장 일반적인 위상은 $L^p(\Omega, \Sigma, \mu) \otimes_\pi E$로 표시되는 사영 텐서 곱과 $L^p(\Omega, \Sigma, \mu) \otimes_\varepsilon E$로 표시되는 단사 텐서 곱이다.
일반적으로 이 공간은 완비되지 않으므로 각각 $L^p(\Omega, \Sigma, \mu) \widehat{\otimes}_\pi E$ 및 $L^p(\Omega, \Sigma, \mu) \widehat{\otimes}_\varepsilon E$로 표시되는 완비가 구성된다. 이는 $\Omega$에서 스칼라 값 단순 함수 공간이 임의의 $\|\cdot\|_p$로 세미노름화될 때 완비되지 않으므로 완비를 구성하고, $\ker \|\cdot\|_p$로 몫을 취한 후 바나흐 공간 $L^p(\Omega, \mu)$와 등거리적으로 동형인 것과 유사하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E$가 핵 공간일 때, 이 두 구성이 Bochner 및 Pettis 적분 함수 공간과 각각 정규 TVS-동형임을 보였다. 즉, 구별할 수 없다.
7. 역사
"르베그 공간"이라는 용어는 앙리 르베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러나 르베그는 르베그 적분의 도입을 제외하고는 르베그 공간의 개념과 크게 관계가 없다.
$\ell^2$ 공간은 이미 19세기 푸리에 변환 이론에서 등장하였다 (파르세발 정리).[20] 이후 다비트 힐베르트가 이 수열 공간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는 "힐베르트 공간"으로 불리게 되었다.[20]
리스 프리제시는 힐베르트의 이론을 $p\ne2$로 일반화하여, 1910년에 르베그 공간을 도입하였다.[19][20] 이 논문에서 리스는 오늘날 사용되는 기호 $\operatorname L^p$를 도입하였고, 또한 르베그 공간의 쌍대성 $\operatorname L^p'=\operatorname L^q$ ($1/p+1/q=1$)을 증명하였다.
참조
[1]
Citation
Elements of Functional Analysis
CUP
[2]
간행물
Long colimits of topological groups I: Continuous maps and homeomorphisms.
[3]
서적
Inequalities: A Journey into Linear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MathWorld
L^2-Space
[9]
Citation
Handbook of Analysis and its Foundations
Academic Press Inc.
[10]
Citation
Another note on the inclusion {{math|''Lp''(''μ'') ⊂ ''Lq''(''μ'')}}
[11]
서적
Statistical Learning with Sparsity: The Lasso and Generalizations
CRC Press
[12]
Citation
Functional analysis and control theory: Linear systems
D. Reidel Publishing Co.; PWN—Polish Scientific Publishers
[13]
Citation
Elements of Functional Analysis
CUP
[14]
Citation
Real and Complex Analysis
Tata McGraw-Hill
[15]
서적
Topological vector spaces
Springer
[16]
서적
https://archive.org/[...]
McGraw-Hill
[17]
저널
[18]
저널
Another note on the inclusion ''L''''p''(''μ'') ⊂ ''L''''q''(''μ'')
[19]
저널
Untersuchungen über Systeme integrierbarer Funktionen
http://resolver.sub.[...]
[20]
서적
Espaces vectoriels topologiques (chapitres 1 à 5)
Mas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