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포 (해석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포(distribution)는 해석학에서 유클리드 공간 위의 연속 함수를 일반화한 개념으로, 미분, 적분, 푸리에 변환 등 다양한 연산을 정의할 수 있게 해준다. 시험 함수 공간의 연속 쌍대 공간으로 정의되며, 국소 적분 가능 함수, 라돈 측도 등을 포함한다. 분포는 편미분 방정식, 물리학, 공학, 신호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그린 함수, 디랙 델타 함수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분포의 곱셈은 일반적으로 정의되지 않지만, 매끄러운 함수와의 곱셈은 정의된다. 사토 초함수, 콜롱보 대수, 흐름 등과 같은 관련 개념들이 존재하며, 슈바르츠와 소볼레프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끄러운 함수 - 모스 이론
    모스 이론은 미분다양체 위의 함수의 임계점과 지표를 이용하여 다양체의 위상수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이론으로, 함수값에 따른 부분공간 변화를 관찰하여 다양체의 호몰로지를 계산하고 위상수학적 성질을 밝히는 데 응용된다.
  • 매끄러운 함수 - 완화자
    완화자는 분포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매끄러운 함수로, 다른 함수와의 합성곱을 통해 원래 함수의 특성을 보존하면서 더 매끄러운 함수를 얻는 데 사용된다.
  • 함수해석학 - 섭동 이론
    섭동 이론은 정확히 풀리는 문제에 작은 변화가 있을 때 급수로 표현하여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으로, 초기 해에 보정항을 더하는 방식으로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섭동 형태와 적용 차수에 따라 구분된다.
  • 함수해석학 - 산란 행렬
    산란 행렬은 복소 힐베르트 공간에서 자유 및 상호 작용 해밀토니언으로 정의되어 파동 연산자를 통해 산란 연산자를 기술하며, 입자 물리학에서 산란 과정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도구이다.
분포 (해석학)
분포의 기본 정보
유형일반화 함수
분야수학, 해석학
관련 개념함수, 측도
정의테스트 함수 공간에서 실수 또는 복소수로의 연속 선형 함수
다른 이름초함수
역사
창시자세르게이 소볼레프
발전로랑 슈바르츠
성질
미분 가능성무한 번 미분 가능
곱셈일반적으로 정의되지 않음
푸리에 변환정의됨
예시
디랙 델타 함수디랙 델타 분포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헤비사이드 계단 분포
활용
편미분 방정식편미분 방정식의 해
양자역학양자역학
신호 처리신호 처리

2. 정의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 속의 열린집합 U\subset\mathbb R^n이 주어졌을 때, U 위의 시험 함수 공간 \mathcal D(U)는 콤팩트 지지를 갖는 매끄러운 함수들의 벡터 공간이다. 이 공간에 특정한 위상을 부여하여 완비 거리화 가능 국소 볼록 공간을 이룬다.

\mathcal D(U)연속 쌍대 공간 \mathcal D'(U)를 '''분포 공간'''이라 하고, 그 원소를 '''분포'''라고 한다. 분포는 시험 함수에 작용하는 연속 선형 범함수로 정의된다.

분포 F와 시험 함수 f\in\mathcal D(U)에 대하여, F(f)는 보통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F(f)=\int_UF(x)f(x)\,d^nx

이는 x\in U에 대하여 F(x)라는 대상이 엄밀히 정의되지 않으므로, 우변은 실제 적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표기법일 뿐이다.

C_c^\infty(U)에 대한 선형 범함수 T가 연속, 즉 '''분포'''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1]


  • 모든 컴팩트 부분 집합 K\subseteq U에 대해, 지지 집합이 K에 포함된 모든 f \in C_c^\infty(U)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C>0N\in \N가 존재한다.

:|T(f)| \leq C \sup \

2. 1. 시험 함수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 속의 열린집합 U\subset\mathbb R^n 위의 실수 값 콤팩트 지지 매끄러운 함수들의 실수 벡터 공간\mathcal C^\infty_0(U) 또는 \mathcal D(U)라고 쓰고, 그 원소를 U 위의 '''시험 함수'''(test function영어)라고 한다.[1]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e0b15e9_22c810f2.png|thumb||범프 함수 (x,y) \in \R^2 \mapsto \Psi(r),의 그래프. 여기서 r = \left(x^2 + y^2\right)^\frac{1}{2}이고 \Psi(r) = e^{-\frac{1}{1 - r^2}}\cdot\mathbf{1}_{\

2. 2. 분포 공간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 속의 열린집합 U\subset\mathbb R^n 위의 콤팩트 지지를 가지는 매끄러운 함수들의 벡터 공간 \mathcal D(U) ('''시험 함수'''(試驗函數, test function영어) 공간)의 연속 쌍대 공간 \mathcal D'(U)를 '''분포 공간'''(分布空間, space of distributions영어)이라고 하고, 그 원소를 '''분포'''(分布, distribution영어)라고 한다.

분포 F와 시험 함수 f\in\mathcal D(U)에 대하여, F(f)는 보통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F(f)=\int_UF(x)f(x)\,d^nx

이는 x\in U에 대하여 F(x)라는 대상이 엄밀히 정의되지 않으므로, 실제 적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표기법이다.

U에 대한 분포 T와 테스트 함수 f \in C_c^\infty(U) 사이에는 표준적인 쌍대 쌍이 존재하며, 이는 꺾쇠 괄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begin{cases}

\mathcal{D}'(U) \times C_c^\infty(U) \to \R \\

(T, f) \mapsto \langle T, f \rangle := T(f)

\end{cases}

모든 U상의 분포 집합은 C_c^\infty(U)연속 쌍대 공간이며, 이 공간에 강한 쌍대 위상을 부여하면 \mathcal{D}'(U)로 표기된다.

3. 연산

분포는 미분, 곱셈, 합성, 컨볼루션, 푸리에 변환 등 다양한 연산이 가능하다.


  • 미분: 분포의 미분은 부분 적분 공식을 일반화하여 정의된다. 모든 분포는 무한히 미분 가능하며, 미분 연산은 분포 공간에서 선형 연산자이다.

:\left\langle \frac{\partial T}{\partial x_k}, \phi \right\rangle = - \left\langle T, \frac{\partial \phi}{\partial x_k} \right\rangle \qquad \text{ for all } \phi \in \mathcal{D}(U).
:m\delta' = m(0) \delta' - m' \delta = m(0) \delta' - m'(0) \delta (여기서 \delta는 디랙 델타 분포)

  • 컨볼루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두 분포 중 하나가 컴팩트한 지지 집합을 갖는 경우), 분포 간의 컨볼루션이 정의된다.

:\langle S \ast T, \phi \rangle = \langle S, \psi \rangle

  • 푸리에 변환: 조절 분포 공간에서 정의되며, 분포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도구이다.

:F \dfrac{dT}{dx} = ixFT

3. 1. 지지 집합

분포 $F\in\mathcal D'(U)$의 '''지지 집합'''(支持集合, support영어) $\operatorname{supp}F$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점 $x$를 포함하지 않는다.

  • $x$의 어떤 열린 근방 $V\ni x$에 대하여, 모든 $f\in\mathcal D(V)$에 대해 $F(f)=0$이다.


분포의 지지 집합은 (열린집합들의 합집합의 여집합이므로) 항상 $U$ 속의 닫힌집합이다.

분포 $F\in\mathcal D'(U)$의 '''특이 지지 집합'''(特異支持集合, singular support영어) $\operatorname{sing\,supp}F$는 다음 조건과 동치인 점 $x$를 포함하지 않는다.

  • $x$의 어떤 열린 근방 $V\ni x$에 대하여, $F|_V$는 매끄러운 함수이다. 즉, $T_f=F|_V$가 되는 $f\in\mathcal C^\infty(V)$가 존재한다.


분포의 특이 지지 집합 역시 $U$ 속의 닫힌집합이다.

특이 지지 집합과 관련된 개념으로 '''파면 집합'''이 있다. 이는 특이 지지 집합과 달리, 특이성이 발생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U$ 위의 초함수 $S \in \mathcal{D}'(U)$에 대해, $S$가 $U$의 열린 집합 $V$ 위에서 '''사라진다''' (vanish영어)는 것은, $S$가 제한 사상 $\rho_{VU}$의 핵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S$가 $V$ 위에서 사라진다는 것은 $V$ 내부에 지지체를 갖는 임의의 테스트 함수 $\varphi \in C^\infty(U)$에 대해 $\langle S,\varphi\rangle = 0$이 성립하는 것을 말한다. $V$를 $S$가 사라지는 최대의 열린 집합, 즉 $S$가 사라지는 열린 집합들의 합집합이라고 하면, 초함수 $S$의 '''지지체''' supp $S$는 $U$에서의 $V$의 여집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supp}\,S = U - \bigcup\left\{V \mid \rho_{VU}S = 0\right\}

3. 2. 국소화

열린집합 $U$ 위에 정의된 분포 $F\in\mathcal D'(U)$와 열린 부분 집합 $V\subseteq U$가 주어졌을 때, 시험 함수에 대한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포함 관계가 존재한다.

:\iota_{VU}\colon\mathcal D(V)\hookrightarrow\mathcal D(U)

:\iota_{VU}\colon f\mapsto\left(x\mapsto\begin{cases}f(x)&x\in V\\0&x\in U\setminus V\end{cases}\right)

$F$의 $V$에 대한 '''제한'''(restriction영어)은 다음과 같다.

:F|_V\in \mathcal D'(V)

:F|_V\colon f\mapsto F(\iota_{VU}f)

이에 따라, 분포 공간은 실수 벡터 공간의 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분포 $F\in\mathcal D'(U)$ 및 점 $x\in U$가 주어졌을 때, 분포의 $x$에서의 값 $F(x)$는 정의할 수 없다. 다만, 만약 $x\not\in\operatorname{sing\,supp}F$일 경우, $F(x)$를 해당하는 매끄러운 함수의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과 마찬가지로, $F$의 $x$에서의 싹을 정의할 수 있다.

$\mathcal{D}'(U)$에서 특정 점에 대한 분포의 값을 정의할 방법은 없다. 그러나 함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U$에 대한 분포는 $U$의 열린 부분 집합에 대한 분포를 제공하도록 제한된다. 또한, 분포는 국소적으로 결정되는데, 이는 $U$ 전체에 대한 분포가 겹침에 대한 몇 가지 호환성 조건을 만족하는 $U$의 열린 덮개에 대한 분포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구조를 이라고 한다.

$V \subseteq U$를 $\R^n$의 열린 부분 집합이라고 하자. 모든 함수 $f \in \mathcal{D}(V)$는 $V$의 정의 구역에서 여집합 $U \setminus V$에서 $0$으로 설정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 확장은 $f$의 $U$로의 자명한 확장이라고 하며, $E_{VU} (f)$로 표시된다. 이 할당 $f \mapsto E_{VU} (f)$는 자명한 확장 연산자 $E_{VU} : \mathcal{D}(V) \to \mathcal{D}(U)$를 정의하며, 이는 연속적인 단사 선형 사상이다. 이는 $\mathcal{D}(V)$를 $\mathcal{D}(U)$의 벡터 부분 공간으로 (위상 부분 공간으로는 아니게) 표준적으로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그 전치 행렬은 다음과 같다.

:\rho_{VU} := {}^{t}E_{VU} : \mathcal{D}'(U) \to \mathcal{D}'(V)

이는 $U$의 분포의 $V$로의 제한이라고 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사상 아래에서 분포 $T \in \mathcal{D}'(U)$의 이미지 $\rho_{VU}(T)$는 $T$의 $V$로의 제한이라고 하는 $V$에 대한 분포이다. $\rho_{VU}(T)$의 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langle \rho_{VU} T, \phi \rangle = \langle T, E_{VU} \phi \rangle \quad \text{ for all } \phi \in \mathcal{D}(V)

만약 $V \neq U$이면 (연속적인 단사 선형) 자명한 확장 사상 $E_{VU} : \mathcal{D}(V) \to \mathcal{D}(U)$는 위상 임베딩이 아니다. 즉, 이 선형 단사 사상을 사용하여 $\mathcal{D}(V)$를 $\mathcal{D}(U)$의 부분 집합으로 식별하는 경우, $\mathcal{D}(V)$의 위상은 $\mathcal{D}(U)$가 이에 유도하는 부분 공간 위상보다 더 미세하다. 중요한 것은, 그것은 위상의 동일성을 필요로 하므로 위상 부분 공간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범위도 공역 $\mathcal{D}(U)$에서 조밀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V \neq U$이면 제한 매핑은 단사도 전사도 아니다. 분포 $S \in \mathcal{D}'(V)$는 $E_{VU}$의 전치 행렬의 범위에 속하면 $U$로 확장 가능하다고 하며, $\R^n$으로 확장 가능하면 확장 가능하다고 한다.

$U = V$가 아니면, $V$로의 제한은 단사도 전사도 아니다. 전사성의 부족은 분포가 $V$의 경계로 향해 발산할 수 있기 때문에 따른다. 예를 들어, $U = \R$이고 $V = (0, 2)$이면 분포

:T(x) = \sum_{n=1}^\infty n \, \delta\left(x-\frac{1}{n}\right)

는 $\mathcal{D}'(V)$에 있지만 $\mathcal{D}'(U)$로의 확장을 허용하지 않는다.

$V$를 $U$의 열린 부분 집합이라고 하자. $T \in \mathcal{D}'(U)$가 모든 $f \in \mathcal{D}(U)$에 대해 $\operatorname{supp}(f) \subseteq V$이면 $Tf = 0$을 만족하는 경우 $V$에서 사라진다고 한다. $T$가 $V$에서 사라지는 것은 $T$의 $V$로의 제한이 0과 같을 때, 또는 동등하게는 $T$가 제한 사상 $\rho_{VU}$의 커널에 속할 때와 동일하다.

$U$, $V$를 $\R^n$의 열린 집합으로, $V \subset U$를 만족한다고 하자. $E_{VU}\colon D(V) \to D(U)$를, $V$에 콤팩트 지지를 갖는 매끄러운 함수가 주어졌을 때, "0으로 연장"하여 더 큰 $U$에 콤팩트 지지를 갖는 매끄러운 함수로 간주하는 연산으로 정의할 때, 초함수의 제한 사상 $\rho_{VU}$는 $E_{VU}$의 수반 연산자로 정의된다. 즉, 임의의 초함수 $S \in D'(U)$에 대해, 그 제한 $\rho_{VU}S$는 임의의 테스트 함수 $\phi \in D(V)$에 대해

:\langle \rho_{VU}S,\varphi\rangle = \langle S, E_{VU}\varphi\rangle

를 만족하는, 공간 $D'(V)$에 속하는 초함수로 정의된다.

$U = V$가 아닌 한, $V$의 제한은 단사도 전사도 아니다. 전사가 아닌 이유는, 초함수는 $V$의 경계에서 발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단한 예로 $U = \R$, $V = (0,2)$인 경우, 초함수

:S(x) = \sum_{n=1}^\infty n\,\delta\!\left(x-\frac{1}{n}\right)

는 $D'(V)$에 속하지만, $D'(U)$의 원소로 연장될 수 없다.

3. 3. 미분

부분 적분 공식에 따라, 분포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8]

:\frac\partial{\partial x^i}F\colon f\mapsto -F\left(\frac\partial{\partial x^i}f\right)

이를 일반화하여, 임의의 다중지표 \alpha\in\mathbb N^n에 대하여 분포 F의 미분 \partial^\alpha F를 정의할 수 있다.

:\partial^\alpha F\colon f\mapsto(-1)^

F(\partial^\alpha f)

A : \mathcal{D}(U) \to \mathcal{D}(U)를 편미분 연산자 \tfrac{\partial}{\partial x_k}라고 할 때, A를 확장하기 위해 전치 연산자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langle {}^{t}A(D_\psi), \phi \rangle

&= \int_U \psi (A\phi) \,dx \\

&= \int_U \psi \frac{\partial\phi}{\partial x_k} \, dx \\[4pt]

&= -\int_U \phi \frac{\partial\psi}{\partial x_k}\, dx \\[4pt]

&= -\left\langle \frac{\partial\psi}{\partial x_k}, \phi \right\rangle \\[4pt]

&= -\langle A \psi, \phi \rangle = \langle - A \psi, \phi \rangle

\end{align}

따라서 {}^{t}A = -A이다. 좌표 x_k에 대한 T의 편미분은 다음 공식으로 정의된다.

\left\langle \frac{\partial T}{\partial x_k}, \phi \right\rangle = - \left\langle T, \frac{\partial \phi}{\partial x_k} \right\rangle \qquad \text{ for all } \phi \in \mathcal{D}(U).

이 정의를 사용하면 모든 분포는 무한히 미분 가능하며, x_k 방향의 도함수는 \mathcal{D}'(U)에 대한 선형 연산자이다.

일반적으로, \alpha가 임의의 다중 지수인 경우, 분포 T \in \mathcal{D}'(U)의 편도함수 \partial^\alpha 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angle \partial^\alpha T, \phi \rangle = (-1)^

\langle T, \partial^\alpha \phi \rangle \qquad \text{ for all } \phi \in \mathcal{D}(U).

분포의 미분은 \mathcal{D}'(U)에서 연속 연산자이다. 이는 다른 대부분의 미분 개념에는 없는 중요하고 바람직한 속성이다.

T\R의 분포인 경우

\lim_{x \to 0} \frac{T - \tau_x T}{x} = T'\in \mathcal{D}'(\R),

여기서 T'T의 도함수이고 \tau_xx만큼의 평행 이동이다. 따라서 T의 도함수는 몫의 극한으로 볼 수 있다.

만약 (T_i)_{i=1}^\inftyT \in \mathcal{D}'(U)로 수렴하면 모든 다중 지수 \alpha에 대해 (\partial^\alpha T_i)_{i=1}^\infty\partial^\alpha T \in \mathcal{D}'(U).로 수렴한다.

선형 작용소 ''T'': ''D''(''U'') → ''D''(''U'')가 편미분

:T\varphi = \frac{\partial\varphi}{\partial x_k}

로 주어질 때, 부분 적분을 통해 φ, ψ ∈ ''D''(''U'')에 대하여,

:\langle T\varphi,\psi \rangle = \left\langle \frac{\partial\varphi}{\partial x_k},\, \psi \right\rangle = -\left\langle \varphi,\, \frac{\partial\psi}{\partial x_k} \right\rangle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으므로, ''T'' = −''T''를 얻는다. 이것은 ''D''(''U'')에서 ''D''(''U'')로의 연속 선형 변환이다. 따라서, 초함수 ''S'' ∈ ''D''′(''U'')의 좌표계 ''x''''k''에 관한 편도함수는 임의의 테스트 함수 φ에 대해

:\left\langle \frac{\partial S}{\partial x_{k}},\, \varphi \right\rangle = - \left\langle S,\, \frac{\partial \varphi}{\partial x_{k}} \right\rangle

인 식으로 주어진다. 이것에 의해, 임의의 슈바르츠 초함수는 무한 번 미분 가능하게 되며, ''x''''k'' 방향으로의 미분은 ''D''′(''U'') 위의 선형 작용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α = (α1, ..., α''n'')을 임의의 다중 지수로 하고, 대응하는 혼합 편미분 작용소를 ∂α로 나타내면, 초함수 ''S'' ∈ ''D''′(''U'')의 혼합 편도함수 ∂α''S''는

:\langle \partial^{\alpha} S, \varphi \rangle = (-1)^

\langle S,\, \partial^{\alpha} \varphi \rangle \mbox{ for all } \varphi \in D(U)

로 정의된다. 초함수의 미분이 ''D''′(''U'')의 연속 선형 작용소가 된다는 것은, 다른 많은 미분 개념에는 없는 중요하고 현저한 성질이다.

3. 4. 곱셈

일반적으로 두 분포의 곱은 정의되지 않는다.[32] 특히,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분포의 곱셈은 정의할 수 없다.

  • 쌍선형이다.
  • 곱 규칙이 성립한다.
  • 두 국소 적분 가능 함수의 (함수로서의) 곱셈은 분포로서의 곱셈과 일치한다.


예를 들어, 실수선 위의 단위 계단 함수

:\theta(x)=\begin{cases}0&x<0\\1&x>1\end{cases}

를 생각하면, 함수의 곱셈으로서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하여

:\theta=\theta^n

이 성립한다. 양변에 곱 규칙을 적용하고, n>1이라면

:\delta=n\theta^{n-1}\delta=n\theta\delta

가 된다 (\delta는 디랙 델타 분포). 이는 임의의 n>1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delta=n\theta\delta=0이 되어 모순이다.

다만, 두 분포의 파면 집합이 적절한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그 곱셈을 정의할 수 있다.[28] 특히, 두 분포 가운데 하나가 매끄러운 함수라면, 분포와 함수의 곱셈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임의의 F\in\mathcal D'(U)f\in \mathcal C^\infty(U)에 대하여,

:fF\colon g\mapsto F(fg)

이에 따라, \mathcal D'(U)가환환\mathcal C^\infty(U) 위의 가군을 이루며, 나아가 가환환층 \mathcal C^\infty(U) 위의 가군층을 이룬다.

매끄러운 함수와의 곱셈 하에서, \mathcal{D}'(U)는 모듈이며 C^\infty(U)이다. 매끄러운 함수와의 곱셈에 대한 이 정의를 사용하면, 미적분학의 일반적인 곱 규칙이 유효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몇 가지 특이한 항등식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delta\R에서의 디락 델타 분포이면, m \delta = m(0) \delta이고, \delta^'가 델타 분포의 도함수이면,

:m\delta' = m(0) \delta' - m' \delta = m(0) \delta' - m'(0) \delta

이다.

(f,T) \mapsto fT로 주어지는 쌍선형 곱셈 사상 C^\infty(\R^n) \times \mathcal{D}'(\R^n) \to \mathcal{D}'\left(\R^n\right)는 연속이 아니지만, 준연속이다.

'''예시.''' 모든 분포 TU에서 항등적으로 1인 함수의 곱은 T와 같다.

'''예시.''' (f_i)_{i=1}^\inftyU에서 상수 함수 1 \in C^\infty(U)로 수렴하는 테스트 함수의 시퀀스라고 가정한다. U에서의 모든 분포 T에 대해, 시퀀스 (f_i T)_{i=1}^\inftyT \in \mathcal{D}'(U)로 수렴한다.

만약 (T_i)_{i=1}^\inftyT \in \mathcal{D}'(U)로 수렴하고 (f_i)_{i=1}^\inftyf \in C^\infty(U)로 수렴하면, (f_i T_i)_{i=1}^\inftyfT \in \mathcal{D}'(U)로 수렴한다.

1950년대에 로랑 슈바르츠가 만들어낸 슈바르츠 초함수론은 순수하게 선형적인 이론이므로 일반적으로 두 초함수의 곱에 대해 일관된 정의를 내릴 수 없다. 예를 들어 p.v. 1/''x''는 코시 주치에 의해 주어지는 초함수이며, 임의의 φ ∈ ''S''('''R''')에 대해

:\left(p.v.\frac{1}{x}\right)[\phi] = \lim_{\epsilon\to 0^+} \int_

3. 5. 푸리에 변환

슈바르츠 함수를 사용하면, 푸리에 변환에 대하여 닫혀 있는 분포 공간의 부분 공간인 조절 분포를 얻는다.[21] 조절 분포 공간에서 푸리에 변환은 잘 정의된다.

일반적인 연속 푸리에 변환 F : \mathcal{S}(\R^n) \to \mathcal{S}(\R^n)슈바르츠 공간의 자기동형사상이며, 푸리에 변환은 그 전치 {}^{t}F : \mathcal{S}'(\R^n) \to \mathcal{S}'(\R^n)로 정의되는데, 다시 F로 표시된다. 따라서 완화 분포 T의 푸리에 변환은 모든 슈바르츠 함수 \psi에 대해 (FT)(\psi) = T(F \psi)로 정의된다. FT는 다시 완화 분포이다. 푸리에 변환은 완화 분포 공간에서 그 자신으로의 동형사상이다. 이 연산은 미분과 호환되는데, 즉

F \dfrac{dT}{dx} = ixFT

이고 또한 컨볼루션과 호환된다. 만약 T가 완화 분포이고 \psi\R^n에서 매끄러운 함수이면 \psi T는 다시 완화 분포이고,

F(\psi T) = F \psi * FT

FTF \psi의 컨볼루션이다.

고전적인 연속 푸리에 변환 ''F''는 슈바르츠 함수의 공간상의 자기 준동형을 준다. 또한, 완증가 초함수 ''S''의 푸리에 변환을 임의의 테스트 함수 ψ에 대해 (''FS'')(φ) = ''S''(''F''φ)로 둠으로써 정의할 수 있으며, ''FS''는 다시 완증가 초함수가 된다. 이 푸리에 변환은 완증가 초함수 전체가 이루는 공간에서 그것 자신으로의 연속, 선형, 그리고 전단사 작용소이다. 이 연산은

:F\dfrac{dS}{dx}=ixFS

의 의미로 미분과 호환된다. 또한, ''S''를 완증가 초함수, ψ를 '''R'''''n'' 위의 완증가한 무한번 미분 가능한 함수로 하면, ''S''ψ는 다시 완증가 초함수이며, 그 푸리에 변환

:F(S\psi)=FS*F\psi

는 ''FS''와 ''F''ψ와의 컨볼루션이 된다는 의미에서 컨볼루션과도 호환된다.

4. 성질

분포는 다양한 성질을 가지며, 함수 및 측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분포 공간은 여러 가지 위상을 부여하여 위상 벡터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함수 공간, 측도 공간 등은 분포 공간에 자연스럽게 포함될 수 있다. 모든 분포는 유한 개의 연속 함수의 유한 차 미분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5]

유클리드 공간 \mathbb R^n 속의 열린집합 U\subset\mathbb R^n 위의 실수 값 콤팩트 지지 매끄러운 함수들의 실수 벡터 공간\mathcal C^\infty_0(U) 또는 \mathcal D(U)라고 하고, 그 원소를 U 위의 '''시험 함수'''(test function영어)라고 한다.

\mathcal D(U)연속 쌍대 공간 \mathcal D'(U)를 '''분포 공간'''(space of distributions영어)이라고 하고, 그 원소를 '''분포'''(distribution영어)라고 한다.

TC_c^\infty(U) 상의 선형 범함수이면 다음 명제들은 동치이다.

{| class="wikitable"

|-

! 명제

|-

| 연속이다.

|-

| 원점에서 연속이다.

|-

| 균등 연속이다.

|-

| 유계이다.

|-

| 수열 연속이다.

|-

| C_c^\infty(U)에서 어떤 f \in C_c^\infty(U)로 수렴하는 모든 수열 \left(f_i\right)_{i=1}^\infty에 대해, \lim_{i \to \infty} T\left(f_i\right) = T(f)이다.[5]

|-

| 원점에서 수열 연속이다. 즉, 영수열[6]을 영수열로 매핑한다.

|-

| C_c^\infty(U)에서 원점으로 수렴하는(그러한 수열을 영수열이라고 한다) 모든 수열 \left(f_i\right)_{i=1}^\infty에 대해, \lim_{i \to \infty} T\left(f_i\right) = 0이다.

|-

| 영수열을 유계 부분 집합으로 매핑한다.

|-

| C_c^\infty(U)에서 원점으로 수렴하는 모든 수열 \left(f_i\right)_{i=1}^\infty에 대해, 수열 \left(T\left(f_i\right)\right)_{i=1}^\infty는 유계이다.

|-

| Mackey 수렴하는 영수열을 유계 부분 집합으로 매핑한다.

|-

| C_c^\infty(U)에서 모든 Mackey 수렴하는 영수열 \left(f_i\right)_{i=1}^\infty에 대해, 수열 \left(T\left(f_i\right)\right)_{i=1}^\infty는 유계이다.

|-

| 수열 f_{\bull} = \left(f_i\right)_{i=1}^\infty는 만약 발산하는 수열 r_{\bull} = \left(r_i\right)_{i=1}^\infty \to \infty 양의 실수들의 수열이 존재하여 수열 \left(r_i f_i\right)_{i=1}^\infty가 유계이면 Mackey 수렴하는 영으로라고 한다; 원점으로 Mackey 수렴하는 모든 수열은 반드시 (일반적인 의미에서) 원점으로 수렴한다.

|-

| T의 커널은 C_c^\infty(U)의 닫힌 부분 공간이다.

|-

| T의 그래프는 닫혀 있다.

|-

| |T| \leq g를 만족하는 C_c^\infty(U) 상의 연속 반노름 g가 존재한다.

|-

| |T| \leq C(g_1 + \cdots + g_m)을 만족하는 상수 C > 0와 유한 부분 집합 \{g_1, \ldots, g_m\} \subseteq \mathcal{P}(여기서 \mathcal{P}C_c^\infty(U) 상에서 정준 LF 위상을 정의하는 모든 연속 반노름들의 모임이다)가 존재한다.[7]

|-

| 모든 콤팩트 부분 집합 K\subseteq U에 대해, 모든 f \in C^\infty(K)에 대하여 |T(f)| \leq C \sup \{|\partial^\alpha f(x)| : x \in U, |\alpha|\leq N\};를 만족하는 상수 C>0N\in \N가 존재한다.

|-

| 모든 콤팩트 부분 집합 K\subseteq U에 대해, 지지 집합이 K에 포함되는 모든 f \in C_c^\infty(U)에 대해, |T(f)| \leq C_K \sup \

모든 컴팩트 부분 집합 K\subseteq UC^\infty(K)에 있는 모든 수열 \{f_i\}_{i=1}^\infty에 대해, 모든 다중 지수 p에 대하여 \{\partial^p f_i\}_{i=1}^\infty가 균등하게 0으로 수렴하면, T(f_i) \to 0이다.


4. 1. 분포 공간의 위상

분포 공간 $\mathcal{D}'(U)$는 연속 쌍대 공간이므로, 그 위에 다양한 위상이 존재한다. 흔히 사용되는 위상은 다음과 같다.

$U$상의 모든 분포 집합은 $C_c^\infty(U)$의 연속 쌍대 공간이며, 이 공간에 강한 쌍대 위상을 부여하면 $\mathcal{D}'(U)$로 표기된다. 특히,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mathcal{D}'(U)$상의 위상은 강한 쌍대 위상이다. 위상이 대신 약-* 위상인 경우 이를 표시한다. 두 위상 모두 거리화 가능 공간은 아니지만, 약-* 위상과는 달리, 강한 쌍대 위상은 $\mathcal{D}'(U)$를 몇 가지 바람직한 속성을 가진 완비 위상 벡터 공간인 핵 공간으로 만든다.

$\mathcal{D}'(U)$에 부여된 위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검증 함수와 분포 공간 및 극 위상, 쌍대 시스템에 대한 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

약-* 위상을 고려함으로써, ''D''′(''U'')는 국소 볼록 위상 선형 공간이 된다. 특히 ''D''′(''U'')에서의 수열 (''S''''k'')가 초함수 ''S''로 수렴하는 것은 임의의 테스트 함수 φ에 대해

:\langle S_k, \varphi\rangle \to \langle S, \varphi\rangle

이 만족되는 것과 동치이다. 이는 또한, ''D''(''U'')의 임의의 유계 부분 집합 위에서 ''S''로 균등 수렴하는 것과도 동치이다.

4. 2. 함수 공간의 매장

locally integrable function|국소 적분 가능 함수영어 f\colon U\to\mathbb R는 임의의 콤팩트 집합 K\subset U에 대하여 (|f|)|_K르베그 적분 가능한 함수인 함수이다. 모든 연속 함수와 임의의 p에 대하여 Lp 함수는 국소 적분 가능 함수이다. 국소 적분 가능 함수의 공간은 \mathcal L^1_{\text{loc}}(U)로 표기한다. Lp 공간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f,g\in\mathcal L^1_{\text{loc}}(U)에 대하여 f-g거의 어디서나 0인 경우 f\sim g로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1_{\text{loc}}(U)=\mathcal L^1_{\text{loc}}(U)/{\sim}

국소 적분 가능 함수 f에 대하여, 대응하는 분포 T_f\in\mathcal D'(U)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_f\colon\mathcal D(U)\to\mathbb R

:T_f\colon g\mapsto\int_Ufg

이는 항상 연속 함수이며, 실수 벡터 공간의 단사 선형 변환

:T\colon L^1_{\text{loc}}(U)\hookrightarrow\mathcal D'(U)

을 정의한다.

함수 f : U \to \R가 U의 모든 컴팩트 부분 집합 K에 대해 르베그 적분 가능하면 국소 적분 가능 함수이다. 이는 모든 연속 함수와 모든 Lp 공간 L^p 함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함수 부류이다. \mathcal{D}(U) 상의 위상은 모든 국소적 적분 가능 함수 f\mathcal{D}(U) 상의 연속 선형 범함수, 즉 \mathcal{D}'(U)의 원소로 이어지도록 정의되며, T_f로 표기하고 테스트 함수 \phi에서의 값은 르베그 적분으로 주어진다.

:\langle T_f, \phi \rangle = \int_U f \phi\,dx

일반적으로 혼동의 여지가 없을 경우, T_ff로 식별하여 표기법 남용을 하며, 따라서 T_f\phi 사이의 쌍은 종종 다음과 같이 작성된다.

:\langle f, \phi \rangle = \langle T_f,\phi\rangle

만약 fg가 두 개의 국소적 적분 가능 함수라면, 관련 분포 T_fT_gfg가 거의 어디에서나 같을 때와 같은 \mathcal{D}'(U)의 원소와 같다.

4. 3. 측도 공간의 매장

라돈 측도 $\mu$에 대하여, 대응하는 분포 $T_\mu \in \mathcal{D}'(U)$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_\mu \colon \mathcal{D}(U) \to \mathbb{R}$

:$T_\mu \colon g \mapsto \int_U g \, d\mu$

반대로, 분포 $F \in \mathcal{D}'(U)$가 다음 성질을 만족하면,

:$\forall f \in \mathcal{D}(U) \colon (\forall x \in U \colon f(x) \ge 0) \implies F(f) \ge 0$

$T_\mu = f$가 되는 라돈 측도 $\mu$가 존재한다. 이는 리스 표현 정리와 유사하다.

하지만 위 조건이 성립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인 분포는 (부호 붙은) 측도로 나타낼 수 없다. 예를 들어, 실수선 위의 디랙 델타 분포의 미분 $\delta'$은 부호 붙은 측도로 나타낼 수 없다.[4]

포함 사상 $\operatorname{In} \colon C_c^\infty(U) \to C_c^0(U)$는 연속적인 단사 사상이며, 그 상은 공역에서 조밀하다. 따라서 전치 사상 ${}^{t}\operatorname{In} \colon (C_c^0(U))'_b \to \mathcal{D}'(U) = (C_c^\infty(U))'_b$도 연속적인 단사 사상이다.

연속 쌍대 공간 $(C_c^0(U))'_b$는 라돈 측도의 공간으로 식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연속 선형 범함수 $T \in (C_c^0(U))'_b$와 라돈 측도에 대한 적분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즉,

  • $T \in (C_c^0(U))'_b$이면 모든 $f \in C_c^0(U)$에 대해 $T(f) = \int_U f \, d\mu$를 만족하는 라돈 측도 $\mu$가 $U$에 존재한다.
  • $\mu$가 $U$에 대한 라돈 측도이면, $f \in C_c^0(U)$를 $\int_U f \, d\mu$로 보내는 방식으로 정의된 $C_c^0(U)$상의 선형 범함수는 연속이다.


단사 사상 ${}^{t}\operatorname{In} \colon (C_c^0(U))'_b \to \mathcal{D}'(U)$를 통해, 모든 라돈 측도는 $U$에 대한 분포가 된다. $f$가 $U$에 대한 국소 가적분 함수이면, 분포 $\phi \mapsto \int_U f(x) \phi(x) \, dx$는 라돈 측도이며, 따라서 라돈 측도는 크고 중요한 분포의 공간을 형성한다.

4. 4. 연속 함수로의 표현

열린집합 U\subseteq\mathbb R^n 위의 임의의 분포 F\in\mathcal D'(U)는 유한 개의 다중지표연속 함수(\alpha_1,f_1),\dots,(\alpha_k,f_k)로부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5]

:F=\sum_{i=1}^k\partial^{\alpha_k}f_k

다시 말해, 분포 공간은 연속 함수들의 모든 유한차 미분을 포함하는 최소의 벡터 공간이다.

임의의 분포에서 각 분포를 U상에서 연속 함수의 분포 미분의 유한 합으로 쓸 수 있는 압축된 지지 집합을 가진 일련의 분포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임의의 T \in \mathcal{D}'(U)에 대해 다음을 쓸 수 있다.

:T = \sum_{i=1}^\infty \sum_{p \in P_i} \partial^p f_{ip},

여기서 P_1, P_2, \ldots는 다중 지수의 유한 집합이고 함수 f_{ip}는 연속이다.

5. 예

국소 적분 가능 함수와 라돈 측도는 분포의 예이다. 모든 국소 적분 가능 함수는 분포를 이루며, 모든 라돈 측도 역시 분포를 이룬다. 디랙 델타 함수와 그 도함수는 분포의 예이며, 이는 더 이상 함수가 아니지만 라돈 측도이다. 코시 주요값은 함수는 아니지만 분포이며, 아다마르 유한 부분은 분포의 예이다.

5. 1. 함수와 측도

모든 국소 적분 가능 함수는 분포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모든 라돈 측도 역시 분포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부호 붙은 라돈 측도, 즉 두 라돈 측도의 차 \mu_+-\mu_- 역시 분포를 이룬다.

단사 사상 {}^{t}\operatorname{In} : (C_c^0(U))'_b \to \mathcal{D}'(U)를 통해, 모든 라돈 측도는 U에 대한 분포가 된다. 만약 f가 U에 대한 국소 가적분 함수이면, 분포 \phi \mapsto \int_U f(x) \phi(x) \, dx는 라돈 측도이며, 따라서 라돈 측도는 크고 중요한 분포의 공간을 형성한다.

함수 f : U \to \R이 국소적 적분 가능 함수라는 것은 U의 모든 콤팩트 부분 집합 K에 대해 르베그 적분 가능하면 정의된다. 이는 모든 연속 함수와 모든 Lp 공간 L^p 함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함수 부류이다. \mathcal{D}(U) 상의 위상은 모든 국소적 적분 가능 함수 f\mathcal{D}(U) 상의 연속 선형 범함수, 즉 \mathcal{D}'(U)의 원소로 이어지도록 정의되며, 여기서는 T_f로 표기하고 테스트 함수 \phi에서의 값은 르베그 적분으로 주어진다.

:\langle T_f, \phi \rangle = \int_U f \phi\,dx.

만약 fg가 두 개의 국소적 적분 가능 함수라면, 관련 분포 T_fT_gfg가 거의 어디에서나 같을 때와 같은 \mathcal{D}'(U)의 원소와 같다. 마찬가지로 U 상의 모든 라돈 척도 \mu는 테스트 함수 \phi에서의 값이 \int\phi \,d\mu\mathcal{D}'(U)의 원소를 정의한다.

5. 2. 디랙 델타 함수와 그 도함수

실수선 위에 다음과 같은 연속 함수를 생각하자.

:f(x)=\max\{x,0\}

이 함수에 도함수를 취하면, 다음과 같은 분포들을 얻는다.

  • f'(x)단위 계단 함수이다. 이는 국소 적분 가능 함수로 나타낼 수 있지만, 연속 함수가 아니다.
  • f''(x)=\delta(x)는 디랙 델타 분포이다. 이는 더 이상 함수가 아니지만, 라돈 측도이며, 다음과 같다.


::\int\delta(x)g(x)=g(0)

  • f''(x)=\delta'(x)는 디랙 델타의 도함수이다. 이는 더 이상 라돈 측도조차 아니며, 다음과 같다.


::\int\delta'(x)g(x)=-\int g'(x)\delta(0)=-g'(0)\qquad\forall g\in\mathcal D(\mathbb R)

  • 계속해서 도함수를 취하면, 다음과 같다.


::\int\delta^{(n)}(x)g(x)=(-1)^ng^{(n)}(0)\qquad\forall g\in\mathcal D(\mathbb R)

임의의 x \in U에 대해, \delta_x \in \mathcal{D}'(U)를 점 x에서의 디랙 측도에 의해 유도된 분포로 나타낸다. 임의의 x_0 \in U와 분포 T \in \mathcal{D}'(U)에 대해, T의 지지 집합이 \{x_0\}에 포함되는 것은 Tx_0에서의 디랙 측도의 도함수의 유한 선형 결합인 것과 필요충분 조건이다. 만약 게다가 T의 차수가 \leq k이면, 다음과 같은 상수 \alpha_p가 존재한다.[1]

:T = \sum_{|p| \leq k} \alpha_p \partial^p \delta_{x_0}.

다르게 말하면, 만약 T가 단일 점 \{P\}에서 지지 집합을 가지면, T는 사실 P에서의 \delta 함수의 분포 도함수의 유한 선형 결합이다. 즉, 정수 m과 복소 상수 a_\alpha가 존재하여

:T = \sum_

5. 3. 코시 주요값

실수선 위에서 함수 f(x)=x(\ln|x|-1)연속 함수이다. 이 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f'(x)=\ln|x|는 연속 함수가 아니지만, 국소 적분 가능 함수이다.

::f''(x)=\operatorname{pv}1/x코시 주요값 (\operatorname{pv})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egin{align}

\int f''(x)g(x)&=\lim_{\epsilon\to0^+}\left(\int_{-\epsilon}^\epsilon f''(x)g(x) + \int_\epsilon^\infty\frac{g(x)-g(-x)}x\right)\\

&=\lim_{\epsilon\to0^+}\left(\frac{g(\epsilon)-g(-\epsilon)}{2\epsilon}2\epsilon\ln|\epsilon|

  • \left(g'(\epsilon)+g'(-\epsilon)\right)\epsilon(\ln|\epsilon|-1)

+\int_{-\epsilon}^\epsilon x(\ln|x|-1)g''(x) + \int_\epsilon^\infty\frac{g(x)-g(-x)}x\right)\\

&=\lim_{\epsilon\to0^+}\int_\epsilon^\infty\frac{g(x)-g(-x)}x\\

&=\operatorname{pv}\int \frac{g(x)}x

\end{align}

::f'''(x)=-\operatorname{fp}1/x^2는 아다마르 유한 성분(partie finie프랑스어) (\operatorname{fp})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egin{align}

\int f'''(x)g(x)&=\lim_{\epsilon\to0^+}\left(\int_{-\epsilon}^\epsilon f'''(x)g(x)-\int_\epsilon^\infty\frac{g(x)+g(-x)}{x^2}\right)\\

&=\lim_{\epsilon\to0^+}\left(

[f''(x)g(x)]_{-\epsilon}^\epsilon

  • [f'(x)g'(x)]_{-\epsilon}^\epsilon

+[f(x)g''(x)]_{-\epsilon}^\epsilon

  • \int_{-\epsilon}^\epsilon f(x)g'''(x)
  • \int_\epsilon^\infty\frac{g(x)+g(-x)}{x^2}\right)\\

&=\lim_{\epsilon\to0^+}\left(

\frac{g(\epsilon)+g(-\epsilon)}{\epsilon}

+0+0+0

  • \int_\epsilon^\infty\frac{g(x)+g(-x)}{x^2}\right)\\

&=\lim_{\epsilon\to0^+}\left(

2g(0)/\epsilon

+0+0+0

  • \int_\epsilon^\infty\frac{g(x)+g(-x)}{x^2}\right)\\

&=-\operatorname{pf}\int\frac{g(x)}{x^2}

\end{align}

보다 일반적으로, f^{(n)}=(-1)^n\operatorname{pf}x^{1-n}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begin{align}

\int f^{(n)}(x)g(x)&=\lim_{\epsilon\to0^+}\left(\int_{-\epsilon}^\epsilon f^{(n)}(x)g(x)+\int_\epsilon^\infty\frac{g(x)+(-1)^{n-1}g(-x)}{x^{n-1}}\right)\\

&=\lim_{\epsilon\to0^+}\left(

\sum_{i=0}^{n-1}

(-)^i[f^{(n-1-i)}g^{(i)}]_{-\epsilon}^\epsilon

+(-1)^n\int_{-\epsilon}^\epsilon f(x)g^{(n)}(x)+\int_\epsilon^\infty\frac{g(x)+(-1)^{n-1}g(-x)}{x^{n-1}}\right)\\

&=\lim_{\epsilon\to0^+}\left(

2

\sum_{j=0}^{\lfloor(n-3)/2\rfloor}

\epsilon^{-2j-1}

g^{(n-2j-3)}(0)

\sum_{k=0}^{n-2j-3}

\frac1{k!}

+\int_\epsilon^\infty\frac{(-1)^ng(x)-g(-x)}{x^{n-1}}\right)\\

\end{align}



코시 주요값은 함수는 아니지만 분포이다. 아다마르 유한 성분은 분포의 예이다.

6. 관련 개념

'''콜롱보 대수'''(Colombeau algebra)는 분포와 달리 곱셈이 정의되는 일반화 함수 이론이다. 콜롱보 대수의 원소는 분포로 수렴하는 함수열로 구성되는데, 콜롱보 대수에서의 곱셈은 일반적으로 함수열에 의존한다.

'''흐름'''(current)은 분포의 개념을 미분 형식으로 일반화한 것이며, 조르주 드 람이 도입하였다.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n차 흐름과 분포는 일치하지만, 임의의 매끄러운 다양체에서는 이는 성립하지 않는다.

6. 1. 사토 초함수

사토 간오의 대수적 해석학에서 발전된 사토 초함수는 정칙 함수를 시험 함수로 사용하는 초함수 이론이다. 층 이론과 다변수 복소 해석을 사용하여, 파인만의 경로 적분과 같은 형식적인 방법들을 엄밀한 수학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준다.

7. 응용

분포는 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리학, 공학 등에서 나타나는 비연속적인 문제를 미분 방정식으로 나타낼 때 분포가 해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신호 처리, 확률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7. 1. 편미분 방정식

모든 적분 가능한 함수는 분포들의 공간에서 미분을 가지며, 이를 이용해 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물리학이나 공학에서 나타나는 비연속적인 문제들을 미분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이는 분포를 해로 갖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인 예로 디랙 델타 분포가 있다.[12]

A : \mathcal{D}(U) \to \mathcal{D}(U)를 편미분 연산자 \tfrac{\partial}{\partial x_k}라고 하자. A를 확장하기 위해 전치 연산자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langle {}^{t}A(D_\psi), \phi \rangle

&= \int_U \psi (A\phi) \,dx \\

&= \int_U \psi \frac{\partial\phi}{\partial x_k} \, dx \\[4pt]

&= -\int_U \phi \frac{\partial\psi}{\partial x_k}\, dx && \text{(부분 적분)} \\[4pt]

&= -\left\langle \frac{\partial\psi}{\partial x_k}, \phi \right\rangle \\[4pt]

&= -\langle A \psi, \phi \rangle = \langle - A \psi, \phi \rangle

\end{align}

따라서 {}^{t}A = -A이다. 좌표 x_k에 대한 T의 편미분은 다음 공식으로 정의된다.

\left\langle \frac{\partial T}{\partial x_k}, \phi \right\rangle = - \left\langle T, \frac{\partial \phi}{\partial x_k} \right\rangle \qquad \text{ for all } \phi \in \mathcal{D}(U).

이 정의를 사용하면 모든 분포는 무한히 미분 가능하며, x_k 방향의 도함수는 \mathcal{D}'(U)에 대한 선형 연산자이다.

다중 지수 \alpha에 대해, 분포 T \in \mathcal{D}'(U)의 편도함수 \partial^\alpha 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angle \partial^\alpha T, \phi \rangle = (-1)^

\langle T, \partial^\alpha \phi \rangle \qquad \text{ for all } \phi \in \mathcal{D}(U).

분포의 미분은 \mathcal{D}'(U)에서 연속 연산자이다.

T\R의 분포인 경우

\lim_{x \to 0} \frac{T - \tau_x T}{x} = T'\in \mathcal{D}'(\R),

여기서 T'T의 도함수이고 \tau_xx만큼 평행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T의 도함수는 몫의 극한으로 볼 수 있다.

7. 2. 물리학 및 공학

디랙 델타 분포는 물리학이나 공학에서 점전하, 점질량 등 이상적인 물리적 대상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는 분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2]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적분 가능한 함수는 분포 공간에서 미분을 가지며, 이를 통해 비연속적인 문제들을 미분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해는 분포가 되는 경우가 많다.

8. 역사

편미분 방정식 이론이 발달하면서, 1830년대에 발명된 그린 함수와 같은 개념을 엄밀히 정의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분포의 실질적인 사용은 1830년대에 그린 함수를 사용하여 상미분 방정식을 푸는 것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훨씬 나중에 정형화되었다. 1954년에 로랑 슈바르츠는 일반적으로 두 분포의 곱을 정의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32]

8. 1. 주요 인물

세르게이 리보비치 소볼레프는 1936년에 2차 쌍곡 편미분 방정식을 다루는 데 분포의 개념을 사용하였다.[29] 로랑 슈바르츠는 1950년에 분포 이론을 체계적으로 엄밀히 개발하였고, "분포"(distribution|디스트리뷔시옹프랑스어)라는 용어를 고안하였다.[30][31]

참조

[1] 서적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서적
[9] 문서
[10] 서적 A Guide to Distribution Theory and Fourier Transforms
[11] 서적
[12] 문서
[13] 웹사이트 Multiplication of two distributions whose singular supports are disjoint https://math.stackex[...] Stack Exchange Network 2017-06-27
[14] 저널 Differential equations driven by rough signals
[15] 저널 A theory of regularity structures 2014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Harmonic Analysis in Phase Spa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서적 Topological Vector Spaces and Distribution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Distributions Dekker
[24] 서적 Introduction to the Fourier Transform and Pseudo-Differential Operators Pitman Publishing
[25] 서적 Probability and Information Theory with Applications to Radar Pergamon Press
[26] 서적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Distribu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인용 초함수 (distribution, generalized function ) http://www.nktech.ne[...]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28] 저널 A smooth introduction to the wavefront set 2014-11-07
[29] 인용 Méthode nouvelle à résoudre le problème de Cauchy pour les équations linéaires hyperboliques normales http://mi.mathnet.ru[...] 1936
[30] 서적 Théorie des distributions. Tome 1 Hermann et Compagnie 1950
[31] 서적 Théorie des distributions. Tome 2 Hermann et Compagnie 1951
[32] 저널 Sur l’impossibilité de la multiplication des distribu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