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은진은 일제강점기 경성부 출생으로, 1937년 연극 《춘향전》으로 데뷔하여 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1939년 영화 《무정》에 출연하며 영화 배우로 데뷔했고, 이후 《자유만세》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하며 지계순, 나정옥, 황정순, 정애란 등과 함께 어머니 역할을 주로 연기하는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1980년대부터는 드라마에도 출연했으며, 영화 약 300편에 출연했다. 1996년 영화 《축제》를 마지막으로 영화 배우에서 은퇴했으며, 1997년 SBS 드라마 《여자》를 마지막으로 연기 활동을 마무리했다. 2003년 7월 16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마포초등학교 동문 - 윤인자
    윤인자는 1941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배우로 활동하다가 1976년 승려가 되었으며, 1999년 영화 《얼굴》을 마지막으로 배우 분야에서 은퇴했다.
  • 서울마포초등학교 동문 - 양주남
    양주남은 일제강점기부터 1970년대까지 영화, 문학,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 영화 기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예술가이다.
  • 경성부 출신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경성부 출신 - 김상순 (배우)
    김상순은 196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 《수사반장》, 《전원일기》 등과 시트콤, 영화, 뮤지컬,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MBC 연기대상 남자 우수상, 남자 최우수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문예봉
    문예봉은 일제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배우로, 영화 《임자 없는 나룻배》로 데뷔하여 《춘향전》에서 춘향 역을 맡아 스타덤에 올랐으며, 월북 후 북한에서 공훈배우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영화 배우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한은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은진
원어명韓銀珍
출생일1918년 9월 6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종로방
사망일2003년 7월 16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자택
직업배우
형제자매언니 4명, 오빠 2명, 여동생 1명
활동 기간1937년 ~ 1997년
종교천주교 (세례명: 소피아)
학력샤오창 여자중학교 (중퇴)
웹사이트두산백과

2. 생애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現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나, 충청북도 청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다. 1932년부터 1936년까지 경성전기회사 평사원으로 근무하다가 1936년 퇴사하였다. 1937년 연극 《춘향전》으로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1939년 영화 《무정》에 조연으로 출연하며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8·15 광복 이후 1946년 영화 《자유만세》에 조연으로 출연하였고, 국립극단에서 잠시 연극배우로 활동하였다.

지계순, 나정옥, 황정순, 정애란 등과 함께 대한민국의 어머니상을 대표하는 영화배우로 자리매김하였고, 1980년대 초반부터는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하였다. 1996년 영화 《축제》를 끝으로 영화계에서 은퇴하였고, 1997년 SBS 드라마 《여자》를 끝으로 연기 분야에서 은퇴하였다. 2003년 7월 16일 노환으로 서울 용산구 이촌동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2. 1. 일제 강점기 및 광복 직후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現 서울)에서 태어나, 충청북도 청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다. 1932년부터 1936년까지 경성전기회사 평사원으로 근무하다가 1936년 퇴사하였다. 1937년 연극 《춘향전》으로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1939년 영화 《무정》에 조연으로 출연하며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8·15 광복 이후 1946년 영화 《자유만세》에 조연으로 출연하였고, 국립극단에서 잠시 연극배우로 활동하였다.

2. 2. 대한민국 영화계 활동 (1960년대~1990년대)

지계순, 나정옥, 황정순, 정애란 등과 함께 대한민국의 어머니상을 대표하는 영화배우로 자리매김하였다.[1] 1962년 제1회 대종상 여우조연상, 1963년 제6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 1985년 제24회 대종상 여우조연상, 1996년 제17회 청룡영화상 특별공로상을 수상하였다.[1] 약 300편의 영화에 출연하였고, 1996년 영화 《축제》를 끝으로 영화계에서 은퇴하였다.[1]

2. 3. 드라마 활동 및 은퇴 (1980년대~1990년대)

1980년대 초반부터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하기 시작하였다.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 MBC 주말연속극 《사랑과 진실》, MBC 대하드라마 《여명의 눈동자》, KBS1 대하드라마 《찬란한 여명》, KBS1 대하드라마 《용의 눈물》 등에 출연하였다. 1997년 SBS 드라마 《여자》를 끝으로 연기 분야에서 은퇴하였다.

2. 4. 사망

2003년 7월 16일 노환으로 서울 용산구 이촌동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3. 학력

4. 출연작

한은진은 1939년 영화 무정을 시작으로 자유만세(1946), 연산군(1962), 열녀문(1962)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했다. 1980년 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에서 문 여사 역 등을 맡았고, KBS TV 문학관 열녀문에서 시할머니 역, 1984년 MBC 주말연속극 사랑과 진실 등에 출연하는 등 드라마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4. 1. 영화

연도제목비고
1939년무정
1946년자유만세
1962년연산군
1962년열녀문
1964년벙어리 삼룡
1964년진고개 신사
1964년치마 바위
1965년만가
1965년민며느리
1965년산천도 울었다
1965년살아야 한다
1965년언제나 그 날이면
1966년무적자
1966년소금장수
1966년친정 어머니
1967년공주님의 짝사랑
1967년산불
1968년여자의 일생
1973년비바리
1976년나는 고백한다
1976년아내
1976년발가락이 닮았다
1977년옥례기
1978년고가
1978년
1978년웃음소리
1979년하늘아래 슬픔이
1979년황토기
1979년율곡과 신사임당
1979년뒤돌아 보지마라
1984년사랑의 찬가
1988년연산일기
1988년그 마지막 겨울
1988년청춘시대
1996년축제


4. 2. 드라마

5. 수상 경력

연도작품
1962년대종상 여우조연상연산군
1963년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열녀문
1985년대종상 여우조연상오싱
1996년청룡영화상 특별공로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