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절은 도교 및 불교 탄트라 수행자들이 사용하는 마법적인 그림을 의미하며, 고대 중국에서 권력과 신분을 나타내는 증표로 사용되었다. 부절은 옥이나 청동으로 제작되었으며, 호랑이 모양의 호부, 물고기 모양의 위부 등이 있었다. 호부는 군대 파견 권한을 위임하는 데 사용되었고, 위부는 관료의 신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부절은 외교관이나 군관에게 주어져 권한을 부여하는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절월은 부절과 부월을 합쳐 부르는 말로, 높은 권위를 나타냈다. 부절은 현대에는 성씨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사사 - 화창
    화창은 화약을 사용하여 불꽃이나 폭발을 일으키는 무기로, 흑색화약의 낮은 폭발력으로 위협용으로 사용되다가 금속 화약총통의 등장으로 소총의 전신이 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최무선에 의해 개발되어 화차와 신기전으로 개량되었다.
  • 중국의 군사사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부절
개요
진나라 시대 청동 호부
진나라 시대의 청동 호부
한자
로마자 표기Fu
상세 정보
용도고대 중국에서 권위의 상징으로 사용됨
명령을 전달하고 신분을 증명하는 데 사용됨
형태주로 동물의 형상 (예: 호랑이)
둘로 나뉘어 각각 다른 사람이 보관, 필요시 합쳐서 증명
역사적 맥락진나라 시대에 널리 사용됨
왕의 명령을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
추가 설명현대에는 부적의 의미로도 사용됨
종교적인 의미를 내포하기도 함

2. 용어

부절(符節)은 으레 제국의 권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조정에서 임명된 외교관이나 군관(軍官)이 병사를 모으고 장수를 파견하는 경우, 관리가 천자를 대신해 지방을 순찰하는 경우, 황제의 조칙을 행사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되는 경우에 주어졌다. 稱謂雜記|칭위잡기중국어에는 "속설에 무왕이 도끼로 비렴과 악래를 죽였으므로 임금이 도끼를 주어 군법을 맡게 하였으니 후의 세검과 같았다"라고 그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절월은 부절과 부월(斧鉞)의 합칭으로 월(鉞)은 도끼류의 고대 병기이자 제왕이 대신(大臣)을 참살하는 데 사용하였던 생사여탈권의 상징으로, 군주들은 으레 황색 부월을 사용하였다. 부월을 쥔 대신이나 장군은 일반적으로 높은 권위를 누렸다.

부절이나 절월을 수여하는 과정, 예식은 보통 가절(假節)이라 했고, 이를 거쳐 부절을 수여받은 대신들은 지절(持節)이라고 불렸다. 중요한 외교 사절로 파견되는 대신들은 대부분 지절이었으니, 대표적으로 전한 시대의 소무가 있다.

군사 방면으로는 위 시대의 감군사(監軍使)들이 지절, 즉 부절을 받은 자들이었는데, 당나라 시대에는 부절을 가진 각지의 초토사(招討使), 관찰사(觀察使) 등 고위 군관들은 통칭 '''절도사'''(節度使)로 불렸다.

병부(兵符)는 고대 중국에서 병사를 모으거나 명령을 하달하는데 사용되었던 증표이다. 구리, 옥, 나무 또는 돌을 써서 만든 것도 있었다. 형태는 을 닮았기 때문에 '''호부'''(虎符)로도 불렸다. 병부는 두 개로 나누어 반쪽을 군주가 갖고 나머지 반쪽은 휘하 관속에게 발급하여 두 개를 서로 맞춰보아 합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명령이 발효되었다.

1973년 중국 시안의 남쪽 교외(지금의 옌타 구) 북침가교촌(北沈家桥村)에서 두호부(杜虎符)가 발굴되었다. 이는 가장 오래된 현존 병부 유물이기도 하다.

부(符)라는 용어는 도교 및 불교 탄트라 수행자들이 사용하는 마법적인 그림을 의미한다.[2]

3. 형태

부절은 시대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주례에서는 옥과 뿔로 만든 부절과 함께 호랑이, 사람, 용, 인장, 깃발 모양이 언급된다.[6][3] 초기 주나라 시대에는 이빨이 있는 형태인 '창'이라는 옥제 부절이 사용되었다.[4]

일반적으로 호부(虎符)는 모양이며, 후푸(虎符|hǔfú중국어)라고도 불렸다. 처음에는 옥으로 만들어졌지만, 전국 시대에는 청동으로 제작되었다.[2][4] 호부는 뒷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었고, 대개 두 조각으로 나뉘어 한쪽은 중앙 정부가, 다른 한쪽은 지방 관리나 사령관이 보관했다.[1] 그러나 남월조말 왕묘에서 출토된 호부는 단일 조각으로 주조되어, 호부가 반드시 두 조각으로 나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6]

요나라에서는 호부의 변형인 물고기 모양의 위부(魚符)가 사용되었다.[7] 위부는 원래 구리로 만들어졌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료의 지위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었고, 궁궐 문이나 성문을 출입하는 통행증으로도 활용되었다.[7] 일반적인 계약에는 나무나 대나무로 만든 위부가 사용되었다.[2]

두 조각 호부(hufu), 청동에 금 상감, 기원전 2~1세기


단일 조각 호부, 남월의 조말왕 묘에서 출토, 서한 시대


요나라에서 사용된 위부

3. 1. 고대

병부(兵符)는 고대 중국에서 병사를 모으거나 명령을 하달하는 데 사용되었던 증표이다. 구리, 옥, 나무 또는 돌을 써서 만든 것도 있었다. 을 닮은 형태 때문에 '''호부'''(虎符)라고도 불렸다. 병부는 두 개로 나누어 한쪽은 군주가, 다른 한쪽은 휘하 관속에게 발급하여 서로 맞춰보아 명령이 발효되는지를 확인했다.

1973년 중국 시안(西安) 남쪽 교외(지금의 옌타 구) 북침가교촌(北沈家桥村)에서 두호부(杜虎符)가 발굴되었다.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병부 유물이기도 하다.

주례에는 옥과 뿔로 만든 부절에 대한 언급과 함께 호랑이, 사람, 용, 인장, 깃발 모양이 묘사되어 있다.[6][3] 초기 주나라 시대에는 이빨이 있는 형태의 부절, 즉 '창'이 사용되었다. 이는 왕이 전달받은 메시지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으며,[4] 옥으로 만들어졌다.[4]

호부(虎符)는 후푸(虎符|hǔfú중국어)라고 불렸다. '후푸'라는 단어는 사기 신릉군 열전에 처음 등장하는데, 여기서 훔친 호부가 조나라를 구하는 데 사용된다.[4] 중국 황제는 호부를 통해 장군에게 군대를 지휘하고 파견할 권한을 위임했다.[1][2] 중국 전통에서 호랑이는 용맹의 상징이었으며, 호랑이 모양의 부절은 황제의 명령을 신속하고 용감하게 완수해야 한다는 기대를 상징했다.[1]

호부는 처음에는 옥으로 만들어졌지만, 전국 시대에 청동으로 제작되었다.[2][4] 호부에는 뒷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두 조각으로 만들어졌다.[1] 중앙 정부의 군대 배치 명령을 확인할 때 두 조각으로 된 호부가 사용되었다. 왼쪽 조각은 지방 사령관이나 지방 관리에게 주어졌고, 오른쪽 조각은 중앙 정부가 보관했다.[1] 정부의 명령은 받는 사람의 왼쪽 조각과 일치하는 오른쪽 조각이 함께 있을 때 진본으로 간주되었으며,[5] 두 조각이 일치해야만 명령이 효력을 발휘하고 군대를 동원할 수 있었다.[1] 황실은 군대 명령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내릴 때 오른쪽 부분을 가지고 있는 관리에게 왼쪽 부분을 보냈다.[2] 이러한 관행은 전국 시대, 진나라, 한나라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며,[1] 수나라까지 한나라 전 기간 동안 계속되었다.[4][2]

모든 호부가 두 조각으로 분리되거나 부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6] 남월 조말 왕의 무덤에서 나온 호부는 단일 조각으로 주조되었다. 이는 호부가 균일하지 않고 부적 대신 토큰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6]

물고기 부절은 호부의 변형이다.[7] 두 조각으로 만들어진 물고기 부절은 위부(魚符, yufú)라고 불렸다. 원래 구리로 만들어졌으며,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에서 신분 증명으로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관료의 지위를 나타내는 품목이 되었다.[7] 물고기는 궁궐 문이나 성문을 출입하는 통행증으로도 사용되었다.[7] 일반적인 계약 목적으로 사용될 때는 나무나 대나무 같은 간단한 재료로 만들어졌다.[2]

4. 역사

부절은 으레 제국의 권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조정에서 임명된 외교관이나 군관(軍官)에게 주어졌다. 군관은 병사를 모으고 장수를 파견하는 경우, 관리는 천자를 대신해 지방을 순수하는 경우, 사신은 황제의 조칙을 행사하기 위해 파견되는 경우에 부절을 받았다. 《칭위잡기(稱謂雜記)》에는 "속설에 무왕(武王)이 도끼로 비렴과 악래를 죽였으므로 임금이 도끼를 주어 군법을 맡게 하였으니 후의 세검(勢劍)과 같았다."라는 기록이 있다.[1]

절월은 부절(符節)과 부월(斧鉞)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월(鉞)은 도끼류의 고대 병기이자 제왕이 대신(大臣)을 죽이는 데 사용하였던 생사여탈권의 상징으로, 군주들은 으레 황색 부월을 사용하였다. 부월을 쥔 대신이나 장군은 일반적으로 높은 권위를 누렸다.

부절이나 절월을 수여하는 과정, 예식은 보통 가절(假節)이라 했고, 이를 거쳐 부절을 수여받은 대신들은 지절(持節)이라고 불렸다. 전한 시대의 소무는 대표적인 지절이었다.

군사 방면으로는 위(魏晉) 시대의 감군사(監軍使)들이 지절, 즉 부절을 받은 자들이었다. (唐) 시대에는 부절을 가진 각지의 초토사(招討使), 관찰사(觀察使) 등 고위 군관들은 통칭 '''절도사'''(節度使)로 불렸다.

병부(兵符)는 고대 중국에서 병사를 모으거나 명령을 하달하는데 사용되었던 증표이다. 구리, 옥, 나무 또는 돌을 써서 만든 것도 있었다. 형태는 을 닮았기 때문에 '''호부'''(虎符)로도 불렸다. 병부는 두 개로 나누어 반쪽을 군주가 갖고 나머지 반쪽은 휘하 관속에게 발급하여 두 개를 서로 맞춰보아 합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명령이 발효되었다.

1973년 중국 시안(西安)의 남쪽 교외(지금의 옌타 구) 북침가교촌(北沈家桥村)에서 두호부(杜虎符)가 발굴되었다. 이는 가장 오래된 현존 병부 유물이기도 하다. 중국 문화 속 호랑이도 참고할 수 있다.

호부(虎符)는 후푸(hufu, 虎符|hǔfú중국어)라고도 불렸다. '후푸'라는 단어는 사기의 신릉군 열전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훔친 호부가 조나라를 구제하는 데 사용된다.[4] 중국 황제는 호부를 통해 장군에게 군대를 지휘하고 파견할 권한을 위임했다.[1][2] 중국 전통에 따르면 호랑이는 용맹의 상징이었으며, 호랑이 모양의 부절은 황제의 권한을 받은 호랑이처럼 신속하고 용감하게 황제의 명령을 완수해야 한다는 기대를 상징했다.[1]

호부는 처음에는 옥으로 만들어졌지만, 전국 시대에 청동으로 만들어졌다.[2][4] 호부에는 뒷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두 조각으로 만들어졌다.[1] 두 조각으로 된 호부는 중앙 정부의 군대 배치 명령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왼쪽 조각은 지방 사령관이나 지방 관리에게 주어졌고, 오른쪽 조각은 중앙 정부가 보관했다.[1] 정부의 명령은 받는 사람의 왼쪽 조각과 일치하는 오른쪽 조각이 함께 있을 때 진본으로 간주되었으며,[5] 두 조각이 일치해야만 이러한 명령이 효력을 발휘하고 군대를 동원할 수 있었다.[1] 군대 명령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내릴 때 황실은 오른쪽 부분을 가지고 있는 관리에게 왼쪽 부분을 보냈다.[2] 이러한 관행은 전국 시대, 진나라한나라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다.[1] 호부의 사용은 수나라까지 한나라 전체 기간 동안 계속되었다.[4][2]

모든 호부가 두 조각으로 분리되거나 부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6] 남월조말 왕의 무덤에서 나온 호부는 단일 조각으로 주조되었다. 이것은 호부가 균일하지 않고 부적 대신 토큰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6]

물고기 부절은 호부의 변형이다.[7] 물고기 부절은 두 조각으로 만들어졌으며, 위부(魚符, yufú)라고 불렸다. 물고기 부절은 원래 구리로 만들어졌으며,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에서 신분 증명으로 사용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관료의 지위를 나타내는 품목이 되었다.[7] 물고기는 또한 궁궐 문이나 성문을 출입하는 통행증으로도 사용되었다.[7] 일반적인 계약 목적으로 사용될 때는, 물고기 부절은 더 간단한 재료, 일반적으로 나무나 대나무로 만들어졌다.[2]

송나라 관리가 유다이를 착용한 그림


어부(魚符)는 당나라 시대에 사용되었다. 5품 이상의 모든 관리는 허리에 묶어 어부를 보관하는 어형(魚形) 부대인 유다이(yudai)를 하사받았다.[8][7] 어부에는 관료의 이름과 관직이 새겨져 있었으며, 관료의 신분을 증명하는 것으로 황궁 입구에서 제시해야 했다.[8]

송나라 시대에는 어부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다.[7] 그러나 붉은색 또는 자색 관복을 입는 송나라 관료들은 유다이(魚袋|yúdài중국어)를 착용해야 했다.[9][7] 유다이는 착용자의 관직이나 황제의 특별한 총애를 나타내기 위해 금, 은 또는 옥으로 만들어졌다.[9] 당나라 규정을 따라, 송나라 관료의 조복 허리띠에 유다이를 착용하거나 걸어두었다.[9] 특수한 임무(예: 외교 임무)를 수행하는 하위 관료들도 유다이를 착용해야 했으며, 임무를 완수하기 전에 자색 또는 붉은색 예복을 빌려야 했다.[7] 한편, 총애를 받은 송나라 화가들은 이 시대에 고위 관료의 상징이자 명예인 유푸(yufu)를 착용하는 것이 허용되었다.[10]

5. 사회문화적 의의

부절(符節)은 으레 제국의 권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조정에서 임명하는 외교관이나 군관이 병사를 모으거나 장수를 파견할 때, 관리가 천자를 대신해 지방을 순수할 때, 황제의 조칙을 행사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될 때 주어졌다. 《칭위잡기(稱謂雜記)》에는 "속설에 무왕(武王)이 도끼로 비렴과 악래를 죽였으므로 임금이 도끼를 주어 군법을 맡게 하였으니 후의 세검(勢劍)과 같았다"라고 그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1]

절월은 부절(符節)과 부월(斧鉞)을 합쳐 부르는 말로, 월(鉞)은 도끼류의 고대 병기이자 제왕이 대신(大臣)을 참살하는 데 사용하였던 생사여탈권의 상징이었다. 군주들은 으레 황색 부월을 사용하였으며, 부월을 쥔 대신이나 장군은 일반적으로 높은 권위를 누렸다.[1]

부절이나 절월을 수여하는 과정, 예식은 보통 가절(假節)이라 했고, 이를 거쳐 부절을 수여받은 대신들은 지절(持節)이라고 불렸다. 중요한 외교 사절로 파견되는 대신들은 대부분 지절이었는데, 대표적으로 전한(前漢) 시대의 소무(蘇武)가 있다.[1]

군사 방면으로는 위(魏晉) 시대의 감군사(監軍使)들이 지절, 즉 부절을 받은 자들이었다. (唐) 시대에는 부절을 가진 각지의 초토사(招討使), 관찰사(觀察使) 등 고위 군관들은 통칭 '''절도사'''(節度使)로 불렸다.[1]

병부(兵符)는 고대 중국에서 병사를 모으거나 명령을 하달하는데 사용되었던 증표이다. 구리, 옥, 나무 또는 돌을 써서 만든 것도 있었다. 형태는 을 닮았기 때문에 '''호부'''(虎符)로도 불렸다. 병부는 두 개로 나누어 반쪽을 군주가 갖고 나머지 반쪽은 휘하 관속에게 발급하여 두 개를 서로 맞춰보아 합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명령이 발효되었다.[1]

1973년 중국 시안(西安)의 남쪽 교외(지금의 옌타 구) 북침가교촌(北沈家桥村)에서 두호부(杜虎符)가 발굴되었다. 이는 가장 오래된 현존 병부 유물이기도 하다.[1]

6. 성씨

부씨는 부적을 담당하는 관직의 칭호에서 유래되었으며, 기원전 249년에 사망한 노청공의 손자 공야가 사용한 관직명 '부실령'에서 유래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Tally(符 Fu) http://www.chinainfo[...] China Info Online 2012-04-24
[2] 서적 Zongmi on Chan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2009
[3] 웹사이트 The Rites of Zhou - 符 - 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ri[...] 2022-05-30
[4] 서적 Science in traditional China: a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archive.org/[...] Chines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Tiger Tally http://www.chinancie[...] China Ancient 2011-09-28
[6] 서적 Text and Ritual in Early China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 서적 5000 years of Chinese costumes https://www.worldcat[...] Commercial Press 1987
[8] 서적 Traditional Chinese rites and rituals https://www.worldcat[...]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5
[9] 서적 A social history of middle-period China : the Song, Liao, Western Xia and Jin dynasties https://www.worldcat[...] 2016
[10] 서적 Chinese painting An intellectual history American Academic Press
[1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family names in Britain and Ireland https://www.worldcat[...]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