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리기테나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기테나우는 오스트리아 빈의 20구로, 도나우 운하와 도나우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이다. 면적은 5.67 km²이며, 지리적으로는 빈 분지의 서쪽 가장자리에 해당한다. 11세기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1900년 레오폴트슈타트에서 분리되어 구가 되었다. 인구는 1910년에 101,326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며, 2007년에는 82,121명으로 증가했다. 브리기테나우는 SPÖ가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며, 빈도보나 극장, 브리기타 예배당, 브리기타 교회 등의 문화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기테나우 - 스웨덴의 비르지타
    14세기 스웨덴 귀족 출신인 스웨덴의 비르지타는 신비주의적 환시와 계시, 저서 《계시》, 비르지타회 창립 등으로 알려진 성녀이자 작가이며, 유럽의 수호 성인이다.
  • 빈의 구 - 마이들링
    마이들링은 오스트리아 빈의 12구역으로, 1892년 빈에 통합되어 주거 지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빈 메들링 역 등 주요 건축물과 대중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 빈의 구 - 히칭
    히칭은 오스트리아 빈의 13구로, 쇤브룬 궁전, 빈 동물원 등을 포함하며, 1130년에 처음 언급된 후 1890년/1892년에 빈에 편입되었고, 사회민주당과 국민당이 정치적으로 경쟁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브리기테나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브리기테나우
위치오스트리아 20구
행정
국가오스트리아
도시
행정 구역 종류빈의 구 (베치르크)
구청장한네스 데어플러 (SPÖ)
제1 부구청장헤어비히 피르커 (SPÖ)
제2 부구청장헤르베르트 그라우잠 (FPÖ)
구의회 의원52명
구의회 의석 분포SPÖ 27, FPÖ 15, 녹색당 6, ÖVP 4
구청 주소Brigittaplatz 10, A-1200 Wien
웹사이트브리기테나우 공식 웹사이트
지리
면적5.68 km²
인구 통계
인구 (2016년 1월 1일)85796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정보
우편 번호A-1200
추가 정보
브리기테나우 문장
브리기테나우 문장

2. 지리

브리기테나우는 빈 북동부 도나우 강과 도나우 운하 사이의 섬 북쪽 끝에 위치하며, 도나우인젤(도나우 섬) 북서쪽에 있다. 평균 고도는 해발 162.4m이다.[3]

2. 1. 위치

브리기테나우는 비엔나 시내 중심 지역 북동쪽에 있는 도나우 운하와 도나우 강 사이의 오래되고 넓은 섬의 북쪽 끝에 위치한다. 도나우인젤(도나우 섬)의 북서쪽에 있으며, 평균 고도는 해발 162.4m이다.[3] 남쪽으로는 비엔나 제2구인 레오폴트슈타트와 경계를 접한다. 서쪽으로는 도나우 운하와 접하며, 운하는 북서쪽의 되블링, 남서쪽의 알제어그룬트와 브리기테나우를 구분한다. 동쪽으로는 도나우강의 좌안(도나우 인젤)이 플로리츠도르프와 경계를 이룬다.

2. 2. 지질

빈 분지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브리기테나우는 플리쉬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빈 분지가 붕괴되면서 브리기테나우 상층은 높이가 200m에 불과하지만, Zwischenbrücken에서는 깊이가 2000m에 달한다.

중간 마이오세(바덴 층) 동안 분지가 붕괴되어 힘이 덜한 담수 퇴적물(모래와 역암)이 퇴적되었다. 동쪽에서 바다는 점토 머얼, 모래, 조류를 저장했으며, 그 두께는 동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사르마티안(후기 마이오세)에는 해양의 작용으로 기수성 동물군이 나타나 점토 머얼이 퇴적되었다. 이 층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한다. 오늘날 브리기테나우 슈피츠에서는 이 층이 지표면 아래 10m에 위치하며, Zwischenbrücken에서는 360m에 위치한다. 판노니움 시대에는 점점 매몰되는 담수호에 테겔이 퇴적되었다.

브리기테나우 지역은 제4기 퇴적물로 덮여 있으며, 그 두께는 10m에서 15m 사이이다. 하부 층은 주로 자갈, 모래, 자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Heiligenstadt 다리, Franz-Josef 기차역, 아우가르텐, 화물역 사이 지역에서는 이 층이 로옴, 고운 모래, 뢰스와 유사한 퇴적물로 덮여 있다. 잔해 퇴적물은 빙하기 동안의 침식 과정에서 유래되었으며, 대량의 퇴적물을 형성했다. 이 구역에서 다뉴브강은 넓은 테라스를 잘랐으며, 브리기테나우는 "최근의 만곡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프라터의 테라스의 빙하기 이후 부분을 형성한다. 반복되는 홍수와 다뉴브강 바닥의 지속적인 재배치, 새로운 잔해 둑의 형성은 두께가 10m에서 15m에 불과하게 만들었다. 잔해 퇴적물 위에는 회색과 갈색의 범람원 토양이 있다.[4]

2. 3. 토지 이용

브리기테나우의 개발 지역은 구역 면적의 38.7%(비엔나 시 전체 33.32%)를 차지하며, 주택이 64.2%, 운영 시설이 21.2%, 공공 시설이 10.7%를 차지한다. 브리기테나우의 녹지 공간은 7.9%로 비엔나 시 구역 중 낮은 편이다. 녹지 공간의 약 66%는 공원, 22.3%는 스포츠 및 레저 구역이며, 나머지는 작은 정원과 초지이다. 도나우 운하와 도나우 강이 차지하는 면적이 커서 수역은 전체 구역 면적의 20.9%를 차지하며, 이는 구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구역 내 교통 구역의 비율은 32.9%이다.[5]

2001년 공간 할당[5]
건축 공간녹지 공간수역교통 구역
주거운영공공 시설농지공원산림초지작은 정원레크. 구역
140.6546.423.43028.3803.731.319.58118.26186.24


3. 역사

1900년 3월 24일, 카를 루에거 시장 시대에 레오폴트슈타트에서 분리되어 빈의 20번째 구가 되었다.[1] 1913년에는 북서역 홀에서 제국 의회 의원인 사회민주당 정치인 프란츠 슈마이어가 파울 쿤샤크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폭격으로 인해 브리기테나우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1945년 4월에는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고, 플로리드스도르퍼 다리는 후퇴하는 독일군에 의해 폭파되었다. 전쟁 후 빈은 4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브리기테나우는 소련군 점령 하에 있었다.

1996년에는 빈 외곽 고속도로에서 브리기테나우와 플로리드스도르프까지 지하철 6호선이 개통되었고, 다뉴브 운하의 누스도르프 지역에서 되블링과의 경계 조정이 있었다. 1999년에는 빈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인 밀레니엄 타워가 개관되었다.

3. 1. 19세기 이전

11세기에 바벤베르크가 출신의 최초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1096년, 이 지역은 레오폴트 3세에 의해 그가 설립한 수도원인 성 마리아 니벤부르크(오늘날의 클로스터노이부르크 수도원)로 확장되었다. 이 지역은 자주 양도, 판매, 임대되었기 때문에 소유주가 자주 바뀌었다.

13세기에는 이 지역이 연대기에 처음 기록되었다. 빈 사람들은 이 지역을 "베르트"(섬)라고 불렀다. 이 지역의 최초 정착민들은 어부, 사냥꾼, 목재상이었다. 나중에는 정원사나 농부들도 정착했다.

1463/64년에 슐라크브뤼케(오늘날의 스웨덴 다리, ''Schwedenbrücke'')가 건설되었다. 이것은 아직 규제되지 않은 다뉴브강의 내륙 지류를 가로지르는 최초의 영구 다리였다.

1529년, 빈에 대한 첫 번째 터키 포위 때 다뉴브강 섬 지역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1618년부터 1648년까지 30년 전쟁이 일어났다. 1645년 4월 9일, 레나르트 토르스텐슨 휘하의 스웨덴군은 늑대의 소굴(''Wolfsschanze'')에서 승리했다. 제국군은 4일간의 전투 끝에 이 지역을 탈환했다. 그리하여 현재의 브리기타카펠레를 기념하는 브리기타 사가가 생겨났다.

1670년에 "브리기테나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작성되었다. 이전 이름은 "임 베르트", "쇼테나우", "볼프사우"였다.

1683년, 빈에 대한 두 번째 터키 포위 때 늑대의 소굴과 현재의 프리덴스브뤼케 근처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면서 브리기타카펠레가 파괴되었다.

타보 다리 (1898)


1688-1698년에 타보 다리가 건설되었다. "Zwischen den Brücken"을 지나는 새로운 도로가 만들어져 늑대 다리가 더 하류로 이전되었다.

1695년, 브리기타카펠레가 재건되었다.

1732년, 꿩 사육장이 호프 운트 란트예거암트에 의해 세워졌다. 1796년, 타보 다리 근처에 요한 네포무크 예배당이 세워졌다.

3. 2. 19세기

1810년, 브리기테나우에 예술 철판 공장, 증기 제재소, 소방 주사기 공장 등 최초의 수공예 사업이 정착했다.[1] 1828년에는 엔터테인먼트 시설인 콜로세움이 건설되었다.[1] 1830년에는 다뉴브강에서 치명적인 유빙과 큰 홍수가 발생했다.[1] 1834년에는 또 다른 장소인 "Universum"(오늘날의 유니버스 거리)이 건설되었다.[1]

1838년, 황제 페르디난트 북부 철도가 개통되었으며, 1837년에는 플로리드스도르프 - 도이치-바그램 구간에서 오스트리아 제국(당시 헝가리 포함)의 최초의 증기 기차로 운행되었고, 1년 후 다뉴브강을 건너 프라터슈테른의 북역으로 향했다.[1] 1840년에는 최초의 철도 기차가 오늘날의 옛 타보의 예거슈트라세를 따라 "콜로세움"까지 운행되었다.[1] 1846년에는 남은 강변 숲을 정리하고, 지구 북쪽에 육묘장(포르가르텐슈트라세)을 세웠다.[1]

1848년, 1848년 오스트리아 제국 혁명은 빈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랑크푸르트 국회 의원이자 쾰른 출신인 로베르트 블룸은 민주주의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빈으로 여행을 갔다. 빈 봉기가 진압된 후, 그는 "브리기타발들"에서 오스트리아 제국군에 의해 처형되었다.[1]

1850년, 브리기테나우 지역은 다뉴브 운하와 다뉴브강 사이로 빈 시의 레오폴트슈타트로 편입되었다. 그것은 빈의 2구였다.[1] 1862년에는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여 1870년에 시작된 빈 다뉴브 규제의 마지막 계기가 되었다.[1] 1867년에는 브리기타키르헤 교회 건설이 시작되었다.[1]

1870년, 다뉴브 규제와 과거 "Universums" 부지에 북서역 건설이 시작되었다(현재의 타보 근처).[1] 1871년에는 북서 철도 다리와 브리기타브뤼케(현재 평화의 다리)가 건설되었다.[1] 1873년에는 북부 철도 다리(Nordbahnbrücke)가 건설되었고, 북서역 건설이 완료되었다.[1] 1874년에는 브리기타키르헤와 다뉴브강의 새로운 물길(1875년부터 물을 운반)을 가로지르는 카이저-프란츠-요제프 다리(오늘날 플로리드스도르퍼 다리)의 낙성식이 거행되었다.[1]

1875년, 새로운 다뉴브 강바닥이 완성되었다.[1] 다뉴브 규제로 인해 건축을 위한 넓은 새로운 토지가 생겨났다.[1] 1883년부터 1884년까지는 다뉴브 운하를 가로지르는 카이저 프란츠 요제프 다리(현재 하일리겐슈테터 다리)가 건설되었다.[1]

1886년, 증기 트램 빈-슈타머스도르프가 개통되었다.[1] 오늘날의 21구역으로 가는 경로는 예거슈트라세, 슈트롬슈트라세, 마르히펠트슈트라세를 통과하고 카이저 프란츠 요제프 다리를 건너간다.[1] 1897년에는 빈 최초의 전기 트램이 개통되었다.[1] "Transversallinie"(오늘날 5호선)는 북부, 북서부, 프란츠 요제프, 서부 철도의 빈 본선을 연결한다.[1] 이 노선은 2구에서 출발하여 아우가르텐(라우셔슈트라세)과 발렌슈타인 거리를 따라 브리기타브뤼케(오늘날의 평화의 다리)를 지나 9구로 향한다.[1] 1873년부터 다뉴브강 본류에서 다뉴브 운하의 분기점에는 필요한 경우 물의 유입을 조절하는 부유식 장벽(Schwimmtor)이 설치되었다.[1] 1894년부터 1898년까지는 오토 바그너가 대신 누스도르프 보 및 갑문을 건설했다.[1]

3. 3. 20세기 이후

1900년 3월 24일, 카를 루에거 시장 시대에 브리기테나우는 레오폴트슈타트에서 분리되어 빈의 20번째 구가 되었다.[1] 1906년에는 브리기타플라츠에 암트하우스가 문을 열었고,[2] 같은 해 7월 7일에는 안톤 카라스가 라이슈트라세 46번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1948년 영화 ''제3의 사나이''에서 해리 라임의 치터 테마를 연주하여 유명해졌다.[3]

1907년에는 벡스슈트라세에 트램 서비스 스테이션이 개통되었고,[4] 1910년에는 증기 트램이 전기 트램 31호선으로 대체되었다.[5] 1912년에는 황제 프란츠 요제프 다리(현재 플로리드스도르퍼 다리)의 재건이 시작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22년까지 개통되지 못했다.[6]

1913년에는 북서역 홀에서 제국 의회 의원인 사회 민주주의자 프란츠 슈마이어가 파울 쿤샤크에게 살해당했다.[7] 1914년에는 백작 사샤 콜로브라트-크라코프스키가 사샤-필름을 설립하여 브리기테나우에서 처음 제작을 시작했고,[8] 같은 해 브리기타슈피탈 병원이 설립되었다.[9]

1924년에는 비나르스키-코트 공동 주거 단지가 개관되었고,[10] 1924년부터 1926년까지는 다뉴브 운하의 오래된 브리기타브뤼케가 새로운 평화의 다리(''Friedensbrücke'')로 교체되었다. 1926년에는 베버가세에 로렌츠 뵘러 박사의 지휘 아래 응급 병원이 설립되었고, 1929년에는 다뉴브강에서 거대한 유빙이 발생했다. 1932년에는 프리드리히-엥겔스-플라츠에 대규모 시립 주거 단지가 완공되었다.

1938년 안슐루스 이후, 유대인 빈에 대한 테러가 시작되어 추방과 대량 학살이 자행되었고, 카라얀가세 학교는 최초의 강제 수용소가 되었다. 북서역 홀에서는 나치 전시회 퇴폐 미술이 열렸다. 1943년에는 아우가르텐에 대공포탑이 건설되었고, 1944년 7월 16일에는 빈에 대한 최초의 미국 폭격으로 브리기테나우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1945년 4월에는 폭탄 피해로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고, 플로리드스도르퍼 다리는 후퇴하는 독일군에 의해 폭파되었다. 빈은 4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브리기테나우는 소련에 속했다. 1946년 5월 19일, 플로리드스도르퍼 다리는 말리노프스키 다리로 재개통되었고, 1956년부터 다시 플로리드스도르퍼 다리로 불렸다. 되블링과 평화의 다리가 재건되었다.

1952년에는 파괴된 북서역 홀이 제거되었고, 1962년에는 브리기테나우를 통과하는 북쪽 트랙에 트라이젠가세 역이 있는 새로운 빈 급행 열차가 개통되었다. 1964년에는 다뉴브 운하 위에 벨트 다리가 개통되었고, 1972년에는 도나우에싱겐슈트라세에 새로운 로렌츠-뵘러 응급 병원이 개원했다.

1977년에는 사고 보험 새 건물이 개관했고, 1978년에는 새로 건설된 플로리드스도르퍼 다리가 개통된 후 낡은 다리가 제거되었다. 1979년에는 벡스슈트라세에 TGM(고등 기술 학교)이 건설되었다.

1982년에는 노르트반브뤼케와 라이히스브뤼케 사이의 7번째 빈 다뉴브 다리인 브리기테나우어 다리가 개통되었다. 1996년에는 빈 외곽 고속도로에서 브리기테나우와 플로리드스도르프까지 지하철 6호선이 개통되었고, 같은 해 다뉴브 운하의 누스도르퍼 토지 분야에서 되블링과의 경계가 변경되었다. 1999년에는 밀레니엄 타워가 개관되었다.

4. 인구

연도인구1869년15,922명1880년17,250명1890년37,524명1900년71,445명1910년101,326명1923년97,403명1934년98,021명1939년86,146명1951년72,855명1961년75,671명1971년81,647명1981년73,696명1991년71,876명2001년76,268명2006년82,121명


4. 1. 인구 구조

2005년 브리기테나우 구의 인구 연령 구조는 비엔나 전체 평균보다 약간 젊었다. 15세 미만 인구는 14.9%로 비엔나 전체 평균(14.6%)보다 약간 높았고, 15세에서 59세 사이의 인구 비율은 64.7%(비엔나: 63.4%)로 평균 이상이었다. 60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5%(비엔나: 22.0%)로 더 낮았다. 2001년 브리기테나우 구의 성별 분포는 남성 48.6%, 여성 51.4%였다. 기혼자 비율은 41.0%로, 비엔나 전체 41.2%에 비해 약간 낮았다.

4. 2. 출신 및 언어

2005년 브리기테나우의 외국인 거주자 비율은 26.2%로, 빈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이는 빈 전체 평균인 18.7%보다 높은 수치이다. 2001년까지 외국인 인구 증가율은 24.1%였다. 2005년 기준 외국인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출신으로 약 7.0%를 차지했다. 튀르키예인은 5.4%, 폴란드인은 1.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크로아티아인은 각각 1.4%였다.

2001년, 구역 인구의 31.0%가 오스트리아 밖에서 태어났다. 약 9.4%가 세르비아어를, 9.3%가 튀르키예어를, 3.3%가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한다고 밝혔다.[1]

4. 3. 종교

외국인의 비율이 높은 브리기테나우는 로마 가톨릭 신앙을 가진 인구 비율이 42.4%로 빈에서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였다(빈 시 전체: 49.2%). 이 지역에는 20개의 시 교구청을 포함하는 4개의 구 로마 가톨릭 교구가 있다. 이슬람교 신앙을 가진 인구 비율은 14.1%로 빈에서 두 번째로 높았으며, 동방 정교회 신자 비율은 8.4%로 평균보다 훨씬 높았다. 반면 개신교 신자 비율은 3.1%로 평균보다 낮았다. 2001년 기준으로, 구 인구의 약 24.7%는 종교 공동체에 속하지 않았고, 7.4%는 종교가 없거나 다른 선호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5. 정치

브리기테나우에서는 SPÖ이 전통적으로 가장 강력한 정당이었다. 그러나 1996년 FPÖ이 득표율 31.1%를 기록하며 빈에서 세 번째로 높은 성적을 거두면서 SPÖ의 과반수가 무너졌다. 2001년 선거에서 SPÖ는 FPÖ의 전반적인 하락세 덕분에 과반수를 되찾았고, 2005년에도 FPÖ는 득표율이 16.6%로 하락하며 1996년 이후 15%나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리기테나우는 FPÖ와 SPÖ 간의 격전지로 남아있었다. 2010년 선거에서는 SPÖ가 8.5% 감소하여 47.8%로 과반수를 잃었고, FPÖ는 11.3% 증가한 27.9%를 기록했다. 녹색당은 12.0%의 득표율로 정체 상태를 보였다. ÖVP는 전통적으로 브리기테나우에서 작은 역할만 수행했으며, 2010년 선거에서는 8.5%로 하락하여 (브리기테나우 역사상 처음으로 10% 미만) 4번째로 강력한 정당이 되었다. 새로 창당된 BZÖ는 2010년 선거에서 1.0%를 기록했다.

5. 1. 역대 구청장

1945년 이후 역대 구청장
이름소속 정당재임 기간
요제프 볼프불명1945년 4월 ~ 1945년 7월
카를 미하엘SPÖ1945년 ~ 1954년
프란츠 코블리즈카SPÖ1954년 ~ 1969년
요한 스트로SPÖ1969년 ~ 1978년
안톤 다이슬러SPÖ1978년 ~ 1987년
카를 라치나SPÖ1987년 ~ 2008년
하네스 데어플러SPÖ2008년 ~ 현재


6. 문화 및 명소


브리기타 예배당

브리기타 교회

브리기테나우 구는 구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 박물관은 계획, 그림, 사진, 모형 등을 통해 구의 역사를 보여준다. 도나우 강의 역사와 특별 전시에 대한 내용도 있다. 박물관은 상업 및 산업의 역사, 교통, 통신, 일상생활, 사회생활, 그리고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7. 경제 및 기반 시설

브리기테나우 토지 면적의 40% 이상이 교통 구역에 속한다. 반면에 녹지 면적은 약 10%에 불과하다.[9]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엄청난 면적을 차지하는 노르트베스트반호프와 노이세도르프 컨테이너 터미널이다. 다뉴브강을 가로지르는 가장 중요한 교통 동맥이 이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교통량이 매우 많다. 상류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다뉴브강 다리는 투른에 있으며, 50km 떨어져 있다. 또한 브리기테나우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86%가 이 지역에서 일하지 않는다.[10]

8.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 Statistik Austria 2017-07-25
[2] 웹사이트
[3] 문서 Franz Kaiser
[4] 서적 Das geologische Bild der Brigittenau (Wien XX) in Vergangenheit und Gegenwart Wien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wien.gv.a[...] 2008-12-17
[6] 웹사이트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wien.gv.a[...] 2008-12-28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wien.gv.a[...] 2017-12-03
[9] 웹사이트 "MA 41: City zone after utilization types 2003" http://www.magwien.g[...]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agwien.g[...] 2008-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