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튼인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튼인의 역사''는 829년에서 830년 사이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전통적으로 넨니우스가 저자로 알려졌으나 익명의 저자가 쓴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 책은 세계의 6시대, 브리튼인의 역사, 성 파트리치오의 생애, 아서 왕 관련 내용, 왕의 계보, 브리타니아의 도시, 브리타니아의 기적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아서 왕의 12번의 전투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브리튼의 기원과 초기 역사, 보티건과 색슨족의 도래에 대한 이야기도 전하고 있다. 이 작품은 중세 시대 브리튼의 역사 인식과 아서 왕 전설 형성에 영향을 미쳤지만, 역사적 사실과 전설이 혼재되어 사료로서의 가치는 제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일스의 연대기 - 캄브리아 편년사
캄브리아 편년사는 10세기 후반에 작성된 연대기로, 445년부터 977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하며, 아르투르 왕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 - 웨일스의 연대기 - 터워소그 연대기
터워소그 연대기는 자료 부족으로 내용 파악이 어려우며, 진보적인 관점에서 주제와 역사적 맥락을 조명해야 한다. - 후로마 브리튼 -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경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고대 영어를 사용하며 여러 소왕국을 건설하고 웨섹스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나, 노르만 정복 이후 지배가 종식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대 영어와 영국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용어는 영어권 국가들과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후로마 브리튼 - 앵글로색슨인의 브리타니아 정착
앵글로색슨인의 브리타니아 정착은 5세기부터 잉글랜드 문화와 사회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게르만 민족의 이주, 정착, 융합 과정을 통해 앵글로색슨 문화를 발전시키고 잉글랜드의 언어, 법률, 문화, 사회 구조에 유산을 남겼다. - 9세기 역사책 - 앵글로색슨 연대기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9세기부터 12세기까지 잉글랜드의 역사를 기록한 연대기로, 앵글로색슨의 역사, 바이킹의 침입, 잉글랜드 왕국 통합, 언어 변천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 9세기 역사책 - 일본후기
일본후기는 일본의 칙찬 역사서인 육국사 중 세 번째 책으로, 간무 천황부터 준나 천황까지 4대 천황 시대를 다루며, 천황과 관리들에 대한 비판적 시각, 와카 수록, 교토 황실의 벚꽃 개화 관찰 기록 등의 특징을 가진다.
브리튼인의 역사 | |
---|---|
개요 | |
제목 | 브리튼인의 역사 |
원어 제목 | Historia Brittonum |
언어 | 라틴어 |
저자 | 불명 (전통적으로 네니우스에게 귀속) |
작성 시기 | 기원후 828년경 |
주제 | 브리튼의 역사 |
내용 | |
범위 | 브리튼인의 초기 역사부터 7세기까지 |
주요 내용 | 트로이아에서 브리튼으로의 기원 설화 로마 제국의 브리튼 지배 앵글로색슨족의 침략 아더왕 전설 |
특징 | 신화, 전설, 역사적 사실의 혼합 초기 브리튼 역사에 대한 중요한 자료 여러 판본 존재 |
중요성 | |
역사적 가치 | 초기 브리튼 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 |
문학적 영향 | 아더왕 전설 형성에 기여 |
논쟁점 |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논쟁 존재 |
기타 정보 | |
다른 제목 | Nennius의 Historia Brittonum |
2. 저술 시기 및 저자
829년에서 830년 사이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된다. 책의 내용은 메르빈 프뤼흐 압 구리아드(메르메누스 왕)의 통치 4년 이후에 쓰여졌다는 언급과, 그리스도의 수난으로부터 796년, 성육신으로부터 831년이 지났다는 진술을 통해 추정된다.[3][4][5]
전통적으로 넨니우스라는 인물이 저자로 알려져 왔으나, 현대 학계에서는 여러 필사본에 다양한 저자가 언급되어 있고, 넨니우스의 서문도 후대의 위작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익명의 저자가 쓴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7] 일부 학자들은 이 작품이 여러 익명의 수정 및 가필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었다고 주장한다.[40]
2. 1. 판본 및 연구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대영 도서관 소장 할리(Harley) 3859 필사본(1100년경)이다.[58] 이 필사본은 "넨니우스 서문"이 없고, 저자에 대한 언급도 없다. 내용이 원본에 가장 가깝다고 여겨져 Stevenson, Mommsen, Morrison 편 신판의 저본으로 사용되었다.케임브리지 공립 도서관 Ff. I.27 필사본은 ''전(傳) 넨니우스 작의 원고본''(Nennian recension)의 대표적인 예시로, Petrie 편본에서 저본으로 사용된다.[59]
바티칸본(Vatican 1964 필사본)은 Gunn 편 초역본에 사용되었는데, 저자는 은자 마르코(anachoreta Marco)로 여겨진다.[60]
Giles 편역본은 Gunn 편 초역본을 바탕으로 하지만, Vatican 필사본(Mommsen의 약호로는 M본)에 없는 "넨니우스 변명문"과 "기적"도 있어, 여러 필사본을 합친 확장본이라고 할 수 있다.
샤르트르본(Chartres 98 필사본)은 다른 필사본에 비해 특이한 내용을 가졌으며, 9-10세기로 추정되어 할레이본보다 오래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소실되었다. 샤르트르본에서는 저자가 "우리엔의 아들"(filius Urbagen)로 되어 있다.[61]
''전(傳) 길다스 작의 원고본''(Gildasian recensions)에는 대영 도서관 소장 Cotton Caligula A. VIII 필사본 등이 있다.[62] 그러나, 『브리튼인의 역사』가 아서 왕과 가까운 시대에 살았던 길다스가 썼다는 것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라틴어 문체도 길다스의 문장보다 조잡하다.[63]
교정판 편집자인 라틴 학자 테오도르 몸젠은 서문과 7부로 나누었다.
데이비드 덤빌(덤빌의 바티칸본 편서는 이다)은 "넨니우스 서문"은 후세의 위작이라고 단정하고,[41] 넨니우스와 같은 저자가 단독으로 저술한 것이 아니라, 점차 내용이 추가되면서 후대 작품의 모습을 형성해 간 "무명의 작품"이라고 주장한다.[40] 덤빌의 견해 지지가 추세가 되고 있지만, 이견도 있다.[64] 과거에 넨니우스 저자설을 논한 것으로, 리버만()이 있다.
3. 주요 내용
1970년대에 데이비드 덤빌은 여러 판본의 어원 연구를 다시 검토하고 바티칸 판본을 출판하면서, 넨니우스의 서문(''Prefatio Nennii'')을 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았다. 그는 이 책이 여러 익명의 수정을 거쳐 현재 다양한 필사본 형태로 전해진다고 주장했다.[13][14]
덤빌의 견해는 현재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반론도 있다.[15] 피터 필드는 서문의 진정성을 옹호하며, 많은 판본에서 서문이 빠진 이유는 영국 학계에 대한 비판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필드는 리버만의 넨니우스 저자설에 대한 이전 주장이 여전히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16][17]
3. 1. 브리튼의 기원과 초기 역사
''브리튼인의 역사''(Historia Brittonum)는 트로이의 정착민들이 브리튼에 정착했으며, 브리튼이라는 이름이 아이네이아스의 후손인 브루투스에게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 이 책은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가상 역사 소설인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주요 자료였다.[1] ''브리타니아 열왕사''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트로이 기원 설화를 포함한 브리튼 초기 역사 이야기는 중세 영어 ''잉글랜드의 브루트''(The Chronicles of England)와 같은 후대 역사 연대기에도 포함되었다.3. 2. 보티건과 색슨족의 도래
보르티게른 왕은 작센족을 헹기스트의 딸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브리튼 섬에 정착하도록 허락했다.[21] 보르티겐은 스노든 산 근처에 디나스 엠리스라는 요새를 건설하려 했지만, 건축 자재가 계속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조언자들은 아버지 없는 소년의 피를 뿌려 저주를 풀라고 조언했고, 보르티게른은 암브로시우스에게서 그러한 소년을 찾았다. 암브로시우스는 현자들을 꾸짖으며 땅속에 묻힌 두 마리 용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났다고 밝혔다.[22]갈리아의 주교 오세르의 성 게르마누스( Germanus of Auxerre영어)의 성인전에 따르면, 보티건 왕은 자신의 딸과 결혼하여 자식을 낳았는데, 이 사실을 게르마누스에게 비난받았다. 보티건은 딸을 시켜 게르마누스가 아이의 아버지라고 거짓 증언하게 했으나, 게르마누스는 아이에게 "네 아버지가 되어 주마"라고 말하며 보티건에게 아이의 머리카락을 자르도록 했다. 이는 당시 브리튼에서 행해지던 성인식이었다.[44]
3. 3. 아서 왕 전설
《브리튼인의 역사》는 아서 왕을 역사적 인물로 묘사한 가장 오래된 자료 중 하나이다.[23] 이 책에서 아서는 왕이 아닌 군사 지도자(두스 벨로룸) 또는 전사(군인)로 묘사되며, 그가 참여한 12번의 전투가 언급되어 있다.또한, 아서가 성모 마리아의 형상을 어깨(또는 방패)에 지니고 싸웠다는 내용도 등장하는데,[2] 이는 웨일스어 단어의 유사성 때문에 생긴 오역으로 보인다. 아서 왕의 12번의 전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3. 1. 아서 왕의 12번의 전투
Arthurcy가 브리튼의 왕들과 함께 색슨족에 맞서 싸운 12번의 전투는 다음과 같다:
이 전투들의 정확한 위치는 대부분 불분명하며,[24]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9세기경 고대 웨일스 시에서 이 목록을 차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4]
3. 4. 브리튼의 불가사의 (Mirabilia)
Mirabiliala('경이, 기적'을 뜻하는 라틴어)는 브리튼 섬 각지에 있는 13~14개의 기적적인 장소나 현상 목록이다.[29] 이 목록에는 앵글시 섬('Menand insulae' 또는 Mona)과 아일랜드의 몇 가지 경이로운 사건들이 추가로 언급된다.[30] ''Mirabilia''는 원래 작품의 일부가 아니라 9세기 초에 추가된 것으로 여겨진다.두 가지 경이로운 사건은 아서왕 전설과 관련이 있다(''Historia''의 73장).
첫 번째는 아서 왕의 개 카발(웨일스어: Cavall)이 멧돼지 트로인트(→트로이트)(웨일스어: 투르흐 투르위스)를 쫓다가 남긴 발자국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는 아서 왕의 아들 아닐 또는 암르(웨일스어: Amhar)와 그의 무덤에 관한 것이다.
4. '브리튼인의 역사'의 의의와 한계
''브리튼인의 역사''는 중세 시대 브리튼의 역사 인식과 아서 왕 전설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자료이다.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주요 출처[1]가 되었으며, 중세 영어 ''잉글랜드의 브루트''를 포함한 후대의 여러 연대기에도 영향을 주었다.[1]
이 책은 아서 왕을 왕이 아닌 ''두스 벨로룸''(군사 지도자) 또는 ''군인''(전사)으로 묘사한 최초의 출처[2]이며, 아서가 치른 12번의 전투를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캄브리아 연대기''와는 달리 실제 전투가 벌어진 날짜는 제시하지 않는다. 또한 아서가 성모 마리아의 이미지를 어깨에 지고 전투에 임했다는 언급이 있는데, 이는 후대 해설가들에 의해 아서가 방패에 마리아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는 뜻으로 오역되기도 하였다.[2] 이는 웨일스어에서 "어깨"와 "방패"를 뜻하는 단어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브리튼인의 역사''는 역사적 사실과 전설이 뒤섞여 있고, 연대기 순서에도 오류가 많아 사료로서의 가치는 제한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6] 현대 학계에서는 이 책을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기록한 사료로 보기보다는, 당시 사람들이 역사를 어떻게 인식했는지, 그리고 어떤 신화적 요소가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로 간주한다. 특히 역사를 종합하고 동기화하는 기법은 전설적인 요소를 사실과 결합시켜 텍스트의 진실성을 평가하기 어렵게 만든다.[6]
5. 한국적 관점에서의 '브리튼인의 역사'
(요약 없음)
(참조할 원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고, 하위 섹션의 내용만 주어졌으므로, 주어진 지침에 따라 '한국적 관점에서의 브리튼인의 역사'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위 섹션의 내용은 주어진 섹션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하위 섹션의 내용을 참고하여 상위 섹션의 내용을 유추하거나 생성할 수 없습니다.)
5. 1. 아서 왕 전설과 한국 문화
《브리튼인의 역사》(Historia Brittonum)는 아서 왕을 둘러싼 전설과 신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책은 아서 왕을 역사적 인물로 묘사한 가장 오래된 자료이며, 이후 작가들에 의해 반복되고 확대된 여러 이야기의 근원이 되었다.[1]『브리튼인의 역사』에서는 아서가 왕이 아닌 군사 지휘관으로 묘사되며, 신분도 그다지 높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다.[1] 편집자 모음젠의 분류에 따르면, 아서 본인에 관한 기술은 단 한 장(§56장)뿐이다.[1]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보면, 작중에 등장하는 「멀린・앰브로시우스」(§42장) (「멀린」이라는 이름은 사용되지 않지만)은 물론, 보티건 왕(§31-49장)도 아서 왕 전설의 중요 인물들이다.[1]
6. 결론
《Historia Brittonumla》는 역사적 사실과 허구가 뒤섞인 작품이지만, 중세 시대의 역사 인식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에 담긴 브리튼의 기원 설화, 보티건과 색슨족의 이야기, 아서 왕 전설 등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한국 독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논문
"Some aspects of the chronology."
[5]
서적
King Arthur: Myth Making and History
Routledge & Kegan Paul
2002
[6]
백과사전
Arthurian Writer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2008
[7]
서적
'Early Latin Sources', in Helen Fulton ed, ''Blackwell Companion to Arthurian Literature''
Oxford
2009
[8]
서적
'Nennius', in A. G. Little ed, ''Essays in Medieval History presented to T. F. Tout''
Manchester
1925
[9]
서적
The Medieval Foundations of England
London
1966
[10]
서적
'Nennius', in A. G. Little ed, ''Essays in Medieval History presented to T. F. Tout''
Manchester
1925
[11]
서적
'Nennius', in A. G. Little ed. ''Essays in Medieval History presented to T. F. Tout''
Manchester
1925
[12]
서적
'Nennius', in A. G. Little ed. ''Essays in Medieval History presented to T. F. Tout''
Manchester
1925
[13]
논문
“ ‘Nennius’ and the Historia Brittonum”
1975/6
[14]
서적
"Introduction"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The Fortunes of Arthur
2005
[18]
백과사전
"Nennius"
1986
[19]
서적
[20]
서적
[21]
Wikisource
History of the Britons: Chapters 31–38
[22]
Wikisource
History of the Britons: Chapters 40–42
[2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Britons (Historia Brittonum)
http://www.lib.roche[...]
The Camelot Project
2008-07-27
[24]
웹사이트
Who Was King Arthur?
https://yalebooks.ya[...]
2019-01-28
[25]
서적
[26]
서적
[27]
백과사전
"Annales Cambriae."
New York: Garland
1991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Wikisource
History of the Britons: Chapter 73
[33]
문서
ch. 62
[34]
웹사이트
Early Welsh poetry
https://www.bbc.co.u[...]
BBC
2008-08-11
[35]
간행물
Enwau ac Anryfeddodau Ynys Prydain and a Tradition of Topographical Wonders in Medieval Britain
https://journal.fi/s[...]
2021-07-21
[36]
논문
The Supposedly 'Frankish' Table of Nations: An Edition and Study
[37]
논문
The Supposedly 'Frankish' Table of Nations: An Edition and Study
[38]
서적
[39]
웹사이트
The Irish version of the Historia Britonum of Nennius
https://celt.ucc.ie/[...]
University College
[40]
서적
Dict. Celt. Myth.
[41]
서적
Dumville has argued that the Nennian Prologue is a later forgery.. the work should therefore be treated as anonymous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문서
라틴 원전에서는 네 번째의 기적 "Quartum miraculum"까지 밖에 수를 나타내지 않고, 그 이후에는 "또 다른 기적은.." (Aliud miraculum) "과 철자하고있다.
[47]
서적
Cambrian Quarterly
[48]
서적
[49]
서적
"Two names in the ''Mirabilia'' should be replaced by better variant readings, Troynt by Troit, and Anir by Amr"
[50]
서적
"잉글랜드의 국경 헤러포드에는, 아서가 아들 아므르(Amr)를 살해해 묻은 묘.."。森野는 "이 둔덕"라고 계속한다.
[51]
서적
"Ercing. Namely Erchenfield".
[52]
서적
라틴어 원문
[53]
웹사이트
Wonders of Britain, Ch. 73
https://wikisource.o[...]
[54]
서적
[55]
문서
Dumville, "Some aspects of the chronology." pp. 439–445.
[56]
서적
The Histora Brittonum: Authorship and Purpose
https://books.google[...]
[57]
문서
예를 들어, Gunn 편집본에도 제목에서 "commonly ascribed to Nennius (일반에서 넨니우스에 귀속되는 작)"라는 표현이 되어 Mommsen 편집본도 "cvm additamentis Nennii" "넨니우스에 의한 가필 있는 브리튼 사람의 역사"라고 제목한다
[58]
서적
[[제프리 오브 몬마스]]의 저작(1136년)보다 오래된 사본이라면 문제 없지만, 더욱 새로운 것이 되면, 제프리 작품에서 알 수 있었던 지식이 삽입된 가능성이 나와 버려, 고찰이 약간 복잡하게 된다.
[59]
서적
이 같은 사본에는 실은, 제2의 『브리튼 사람의 역사』 고본(전 길다스 작의 고본)도 綴じられている
[60]
서적
Descriptive Catalogue
[61]
서적
[62]
웹사이트
Manuscripts Catalog
http://www.bl.uk/cat[...]
British Library
2012-03-11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C2D2GL本"Ego Nennius Elvodugi discipulus..이하"。「弁明文 (Apologia)」 의 제목([[인키피트]])는 L本에 있는 것 외, C2의 난에 후의 필적으로 쓰여져 있다.
[66]
서적
Apologia, "Ego autem coacervavi omne quod inveni tam de annalibus Romanorum..
[67]
서적
기념비처럼 쌓아 올려진 돌과 같아서, 균등하지 않고, 조립도 엉성하다.....역사가의 일의 종류로는 전혀 엉망이다. 그러나, 이 단점에는 어떤 종류의 가치가 있다. 우리는 쌓아 올려진 기념비의 하나 하나를 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단편을 손에 넣어 원래 있었던 모습을 쫓아 원래의 시대와 있어야 할 모습을 구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68]
서적
"Dumville has argued that the Nennian Prologue is a later forgery.. the work should therefore be treated as anonymous"
[69]
서적
"Formerly ascribed to one Nennius, ''Historia'' is now, seen, thanks to the work of David Dumville, to be a compilation.."
[7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